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NA)을 활용한 한국인사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하미승(Ha Mee Sung),이진만(Lee Jin Man),공주(Gong Ju),이병진(Lee Byeong Jin) 한국인사행정학회 2015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4 No.1

        한국인사행정학회가 우리나라의 인사행정 관련 연구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그동안 부족했다. 본 연구는 한국인사행정학회에서 발표된 지난 10년간의 논문 키워드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경향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크고 작은 60개의 하위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정권별 연구경향의 경우, 노무현 정부에서는 ‘개혁 혁신’ 등의 의미와 관련있는 키워드가 중심성이 높았으며, 이명박 정부에서는 ‘성과 정실주의’ 등의 의미와 관련있는 키워드가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사행정과 관련된 연구들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타 학문분야와의 융합연구는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Even though the KOSPPA(Korean Society for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conducting researches o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few study examined such previous researches in a systematic way. This study found the trends of the existing studies published by the KOSPPA during the last ten years by conducting network analysis on the key words of such studies. As a result, the previous studies consist of sixty sub-networks. In a comparison between the studies on the last two former administrations, the key words pertaining to ‘reform’ and ‘innovation’ show a relatively high centrality in terms of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whereas the key words related to ‘performance’ and ‘patronage system’ show a relatively high centrality in terms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dealt with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suggesting the need to actively conduct mor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es.

      • 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NA)을 활용한 한국인사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하미승 ( Mee Sung Ha ),이진만 ( Jin Man Lee ),공주 ( Ju Gong ),이병진 ( Byeong Jin Lee ) 한국인사행정학회 2015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4 No.1

        Even though the KOSPPA(Korean Society for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conducting researches o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few study examined such previous researches in a systematic way. This study found the trends of the existing studies published by the KOSPPA during the last ten years by conducting network analysis on the key words of such studies. As a result, the previous studies consist of sixty sub-networks. In a comparison between the studies on the last two former administrations, the key words pertaining to ``reform`` and ``innovation`` show a relatively high centrality in terms of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whereas the key words related to ``performance`` and ``patronage system`` show a relatively high centrality in terms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dealt with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suggesting the need to actively conduct mor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es.

      • KCI등재

        인사행정 60년 연구분석: 정권 및 중앙인사관장기구의 변화에 따른 연구경향 분석

        이선우 한국인사행정학회 2016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5 No.4

        이 연구는 1967년 이후 발간된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인사행정학회보에 게재된 인사행정 관련 논문을 분석 하여 정권별 연구주제 변화를 비교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중앙정부에서 발주하는 정책연 구를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시작한 1999년 이후 정책연구관리시스템 프리즘(www.prism.go.kr)에 탑재된 인사정책과제의 주제와 수, 그리고 과제수행에 소요된 금액을 파악하고 비교함으로써 독립된 중앙인사관장 기구의 존재가 왜 중요한지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전반적으로 한국행정학보(1967년 제1권-2016년 제 50권)와 한국인사행정학회보(2002년 제1권-2016년 제15권)에 게재된 인사행정 관련 논문은 총 448편이 었으며, 연구 주제별 전체 빈도를 살펴보면, 능력발전, 성과관리, 사기관리를 포함하는 Development를 주제로 하는 연구가 160편(35.7%)으로 가장 많았고, 윤리와 규범, 노동조합, 신분보장을 포함하는 Sanction 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95편(21.2%)으로 다음을 차지했다. 인사행정제도를 다룬 연구가 66편(14.7%)이었 으며, 공직분류와 인력기획(계획)을 포함한 Planning을 주제로 하는 연구는 47편(10.5%)이었다. 임용과 관련된 Allocation을 주제로 하는 연구는 40편(8.9%)이였다. 인사혁신을 주제로 한 연구가 22편(4.9%),인사 행정의 이념과 특징, 관리체제, 환경체계를 포함하는 인사행정체계를 주제로 한 연구는 18편(4.0%)이었다. 한 가지 특징이라면 대부분의 정권들이 공무원들의 복무관리(Sanction)dp 관심을 많이 가졌고 공직부패, 윤리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다가 최근에는 공직가치에 초점을 맞추면서 연구경향도 함께 변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영삼 정부 이후 지속적으로 학자들이 관심을 기울인 부분은 공직 경쟁력향상과 관련된 공무원들의 능력발전과 관련된 분야였다. 능력발전은 성과관리가 핵심적이기 때문에 단순히 능력발전에 초점을 맞춘 연구 에서 성과관리를 위한 다양한 주제들이 연구되기 시작한 특징도 가진다. 한편, 일중심 제도연구에서 일-가정 양립정책이나 사기관리 등 공무원의 인간적 삶에 관한 연구도 많아졌다. 특히, 균형인사, 전문성, 개방 등에 관한 관심은 지속적인 연구자들의 관심이었다. 중앙인사위원회가 출범한 1999년 이후 인사행정관련 논문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중앙인사위원회의 출범은 인사행정전공 학자들의 모임을 활성화시켰고, 그 결과 한국인사행정학회를 만드는 초석이 되기도 하였다. 인사행정에 관한 연구는 과거 60년간 많은 발전을 하여 왔으며, 중앙인사전담기구의 탄생으로 인사제도와 학문의 발전에 상호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공무원인사제도에 있어서 아마쿠다리(天下り) 개혁에 관한 연구

        길종백,하정봉 한국인사행정학회 2013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2 No.2

        일본 행정시스템에서 아마쿠다리는 순기능과 역기능의 양면을 가지고 있는데 2000년대에 들어 아마쿠다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정부조직에 의한 아마쿠다리가 금지되기에 이르렀다. 본 논문은 아마쿠다리 개혁의 배경, 주체 및 수단, 그리고 그 성과를 고찰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하였다. 먼저, 배경으로는 1990년대 이후 누적되어 온 정관관계의 변화, 관료제의 기능저하, 관료 부패 부각이라는 요인을 지적할 수 있으며 관료에 대한 ‘정치 주도성’ 강화를 내세운 수상들의 리더십에 의해 행정개혁의 일환으로 아마쿠다리 개혁이 추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재취업 규제관련기구의 신설과 함께 조기퇴직 관행의 시정, 전문스태프직 신설, 성과주의 인사의 강화, 인사교류 확대와 같은 공무원 인사제도 전반의 변화가 수반되었다. 규제강화의 결과 간부직 공무원 퇴직자수 및 비영리 특정법인으로의 재취업자 비중이 감소하여 개혁은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쿠다리 개혁은 성청할거주의 약화라는 긍정적 측면이 기대되나 관료의 사기저하와 같은 부작용에 대한 면밀한 대책이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일본의 아마쿠다리 개혁 사례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우리나라공무원의 재취업과 관련된 시사점으로는 첫째 재취업 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둘째실현 가능한 구체적 방안 마련, 셋째 관련되는 제도에 대한 보완 수정 노력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합리적인 경찰인력 배분을 위한 경찰조직의 효율성 분석

        조준택,성시경 한국인사행정학회 2013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2 No.2

        본 연구는 향후 경찰인력의 증원에 대비하여, 합리적인 인력 배분을 위한 사전 분석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지방경찰청 조직의 상대적 효율성을 DEA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경기·광주·경남지방경찰청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제주, 강원지방경찰청의 경우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원인은 낮은 기술적 효율성 때문인 것으로 본다. 비효율성이 나타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부터 2011년까지의 5년간 지방경찰청-경찰서-지구대·파출소의 조직구조에 따른 인력배분 현황과 효율성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일선 치안 현장부서인 경찰서와 지구대·파출소의 인력 감소가 효율성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울지방경찰청은 시위동원경찰관수를 산출변수에서 제외할 경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경비업무에 적정수준 이상의 경찰관이 투입되어 규모의 비효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경찰관 증원시 현장부서에 대한 인력의 증원, 경비업무 동원 경찰관 규모에 대한 재검토, 인사 교류 등을 활용한 인력재배치 등의 효율성 향상방안과 아울러 조직 효율성을 측정하여 성과지표에 반영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공기업,사기업 구성원의 체면의식과 체면행위에 관한 비교 연구

        심형인,유민봉 한국인사행정학회 2013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2 No.2

        이 연구는 공기업과 사기업 구성원들의 체면의식과 조직 내 체면행위, 그리고 이들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체면의식은 품위 능력 인격 체면의식으로, 체면행위는 직무수행 동기부여, 겸손행위, 비공식 관계중시 행위, 집단순응 행위로 변수를 설정하였으며, 공기업 구성원409명과 사기업 구성원 3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체면의식과 체면행위의 평균값이 공기업과 사기업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 모두에서 체면의식이 체면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체면의식이 체면행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사기업에 비해 공기업에서 더 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체면의식과 체면행위의 영향관계에 조직유형이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공기업 구성원들이 사기업 구성원들에 비해 조직 내에서 행하는 행태적 측면에 체면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공공 조직문화유형에 따른 감성적 지성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 분석: 고용노동부 공무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종희,서승현 한국인사행정학회 2013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2 No.2

        이 연구는 감성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사회 변화 속에서 이성과 감성의 조화 형태인 감성적 지성에 대해 개념화를 시도하고 공공 조직 문화의 유형에 따라 감성적 지성의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감성적 지성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감성적 지성이 공공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증명함으로써 직무만족에 대한 이성적 요인 외에 감성적 요인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문화, 감성적 지성, 직무만족에 대해 선행문헌을 검토하여 조직문화 유형는 경쟁가치모형을 토대로 설정하였다. 또한 감성적 지성은 감성과 이성의 조화로운 활용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조직문화와 감성적 지성의 영향을 받는 직무만족은 인간의 심리적 결과물이기 때문에 구성원이 체화되어 있는 가치체계와 이를 활용하는 능력에 따라 직무만족의 영향력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용노동 관련 공공 조직문화는 위계문화와 감성조절 능력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시장문화의 조직은 감성 표현과 상관관계가 유의미하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감성적지성의 활용 능력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 관계는 감성표현 능력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조직문화와 감성적 지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 관계문화와 시장문화에서 감성적 지성 능력이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공공조직문화의 유형에 따라 감성적 지성의 활용의 기반을 갖추는데 있어 차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위계문화와 혁신문화가 강한 공공 조직은 감성적 지성보다는 이성적 조직 관리가 더 바람직할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동기부여와 사기의 관계에 관한 시론적 연구: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원석,김형성,황성원 한국인사행정학회 2013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2 No.2

        본 연구는 공무원의 동기부여와 사기와의 관계에서 두 변수 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찾아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aslow의 이론에 입각한 동기부여의 다양한 요인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중앙부처 공무원은 Alderfer가 제시한 ERG이론과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존재의 욕구, 성장의 욕구로, 관계의 욕구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이 사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회귀분석한 결과, 존재의 욕구, 성장의 욕구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지만(p<.001), 관계의 욕구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둘째, 인구통계학적 요인들로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년수는 사기에 독립변수에 영향을 주나, 동기부여요인과사기 간에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입직경로는 사기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동기부여요인과 사기간에 조절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은 사기에 독립변수로서 영향을 주고 더불어, 동기부여요인과사기 간에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관계의 욕구에 보다 강한 조절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부호가 (-)로 나타나 연령이 높을수록 관계의 욕구에 대한 만족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중앙부처 공무원들의 동기부여 이론은 Alderfer의 ERG이론의 적용할 수 있다는 것과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사기양양 요인과의 상호작용의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정책적 시사점은 향후 공직의 사기양양 방안으로 연령의 요소에 대한 세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을 밝혀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