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 후 손상된 잠김 나사 제거의 실패

        김성진 ( Sung Jin Kim ),이경재 ( Kyung Jae Lee ) 대한골절학회 2011 대한골절학회지 Vol.24 No.2

        목 적: 잠김 압박 금속판 (locking compression plate)의 제거를 어렵게 만드는 잠김 나사 제거 실패의 발생률과 원인을 알아보고 그 제거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잠김 압박 금속판을 사용하여 골절 고정 후 금속판 제거 수술을 시행한 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잠김 나사 제거 실패의 발생률과 파손의 원인 및 저자들이 사용하였던 제거 방법의 장단점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 과: 3.5-mm 잠김 나사 298개 중 17개 (5.7%), 5.0-mm 잠김 나사 289개 중 2개 (0.7%)에서 제거 실패가 발생하였다.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제거하는데 실패한 경우 일차적으로 conical extraction screw를 이용하였으며 3개의 나사를 더 제거하였다. 남은 16개의 잠김 나사에 대해 주위 금속판 절단 후 금속판과 함께 돌려서 제거하는 방법 (3개), 금속판을 절단하여 제거 후 hallow reamer를 이용하는 방법 (1개), 잠김 나사 머리부분만을 갈아내어 금속판 제거 후 shaft는 남겨두거나 돌려서 제거하는 방법 (12개)이 사용되었으며 hallow reamer를 사용하였던 환자에서 재골절이 발생하였다. 결 론: 잠김 압박 금속판 제거 시 잠김 나사 머리의 육각 와 손상으로 인한 제거 실패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세심한 주의 및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possible causes of stripped locking screws that make difficult to remove the locking compression plate. We also tried to find the useful methods to remove the stripped locking screw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5 and January 2009, 84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s for removal of locking compression plat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removed 298 3.5-mm locking screws and 289 5.0-mm locking screws in these patient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possible causes of stripped locking screws and evaluated the pros and cons of the methods that we have used to remove the stripped locking screws. Results: 17 out of 298 3.5-mm locking screws (5.7%) and 2 out of 289 5.0-mm locking screws (0.7%) were encountered with difficulties by hexagonal driver during removal because of the stripping of the hexagonal recess. First we used the conical extraction screw for all the stripped locking screws and only 3 screws were removed successfully. We removed 3 screws by cutting the plate around the stripped locking screw and twisting the plate with the screw and we removed 1 screw by the use of hallow reamer after cutting the plate. Twelve screw shafts were left except grinding of screw head by metal-cutting burr. There was one iatrogenic re-fracture in whom we have used with hallow reamer. Conclusion: At the time of locking compression plate removal, difficulties of locking screw removal due to the stripping of the hexagonal recess should be expected and surgeon must prepare several methods to solve this problem.

      • KCI등재

        근위 상완골 골절 치료 중 경험한 LCP 금속판의 고정 실패

        민우기 ( Woo Kie Min ),신상진 ( Sang Jin Sin ),전인호 ( In Ho Jeon ),차기봉 ( Ki Bong Cha ),오창욱 ( Chang Wuk Oh ),김풍택 ( Poong Taek Kim ),천상호 ( Sang Ho Cheon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근위 상완골 골절에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 후 발생한 치료 실패를 경험하고 그 원인인자에 대해 분석,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0월부터 2005년 7월까지 6명의 환자 6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4.6세(범위: 38~70)였다. 손상의 원인으로는 교통사고가 4예, 실족이 1예, 낙상이 1예였고 Neer 분류상 이분 골절이 4예, 3분 골절과 4분 골절이 각 1예였으며 전예에서 관혈적 정복술 및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6예 중 금속판과 나사못이 철퇴되면서 골절 정복이 소설된 경우가 5예, 금속판 부전이 1예였다. 전예에서 술 전 내측 피질골의 분쇄상 및 골 결손을 보였으며 수술시 골이식 및 대결절에 긴장대 강선은 시행하지 않았다. 술 후 3예에서 해부학적 정복을 얻었으나 3예에서는 골절부의 전위 및 각형성을 보이는 비해부학적 정복을 얻었다. 결론: 근위 상완골 골절의 관혈적 정복술 및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 시 내측 골 지지의 회복 및 해부학적 정복의 실패, 골두의 짧은 나사못 고정, 대결절 골절의 불충분한 고정 등이 위험 인자로 생각되었으며 이러한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서 잠김 압박 금속판의 근위 상완골 골절 고정시 충분한 술 전 준비와 추가적인 고정과 골 이식술 등을 고려해야 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ausative factors in the catastrophic failure of LCP in the proximal humerus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Six patients (6 cases)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2003 and July 2005. The mean age was 55.6 years (range: 38~70). The cause of injury was road traffic accident in four, fall down in one and slip down in one. According to the Neer classification, four were 2 part fractures, each one in 3 part fracture and 4 part fracture. Results: Fixation failure occurred due to back-out of the plate and screw in five and plate breakage in one. Analysis of the preoperative radiographs revealed medial cortical defect in all and no bone graft and tension band wiring in the greater tuberosity fragment were carried out. Postoperative radiographs showed the anatomical reduction in three and non-anatomical in three. Conclusion: Non-anatomical reduction, insufficient medial bony buttress, inadequate screw length to the head and the neglect for the greater tuberosity fragment were the contributing factors to the failure of LCP. Knowledge of these factors will enable the surgeon to avoid failure of the LCP. Augmentation fixation and bone graft procedures with careful preoperative planning are necessary for successful fixation of LCP.

      • KCI등재

        금속 내고정술을 이용한 대퇴 경부 골절의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임수재 ( Soo Jae Yim ),우승한 ( Seung Han Woo ),김민영 ( Min Young Kim ),박종석 ( Jong Seok Park ),김응하 ( Eung Ha Kim ),서유성 ( Yoo Sung Seo ),이병일 ( Byung Il Lee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3

        목적: 다발성 유관 나사를 이용한 금속 내고정술을 시행한 대퇴 경부 골절 환자에서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2월부터 2002년 6월까지 본원에서 대퇴 경부 골절로 입원하여 다발성 유관 나사를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 받은 대퇴 경부 골절 환자 96명 (남자 63예, 여자 33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8세 (17세∼90세) 였으며, 추시기간은 50개월(36개월∼6년)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C-형 영상 증폭 장치를 이용한 도수 정복 후 다발성 유관 나사로 내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3개월 후 대퇴 경부의 10 mm 이상의 내반 변형과 유관 나사못 사이의 각도가 5% 이상 변하는 경우, 20 mm 이상의 후방 전위, 골두 천공이 있을 때 고정 실패로 정의하였다. 연령 및 성별, 골절의 형태와 전위 유무 및 정복 형태, 유관 나사의 위치를 분석하여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분석하였고 고정 실패가 불유합이나 대퇴 골두의 무혈성 괴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결과: 96명의 환자 중 24예에서 고정 실패가 발생하였고 이 중 10예 (41%)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였으며 8예 (33%)에서 대퇴 골두의 무혈성 괴사가 발생하였다. 특히 불유합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로서 대퇴 경부 후방 피질골의 분쇄 유무, 정복의 정확도, 내고정물의 적절한 위치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대퇴 경부 골절 환자에서 다발성 유관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술 시행 시 대퇴 경부의 후방 분쇄정도와 정복 형태, 유관 나사의 위치가 대퇴 경부 골절 환자의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fixation failure after internal fixation using multiple cannulated screws in the patients with femoral neck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Ninty-six patients (male: 63, female: 33) who underwent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femoral neck fracture between Feb. 1994 and Jun. 2002 with use of multiple cannulated screws. The mean age was 68 years (17∼90) and mean follow-up period was average 50 months (36 months∼6 years). The fixation failure was defined by change in fracture position above 10 mm, change in each screws position above 5%, backing above 20 mm, or perforation of the head, respectively. They were evaluated with the age, gender, fracture type, accuracy of reduction, placement of screws, posterior comminution and also studied the risk factors which influenced nonunion and the development of avascular necrosis. Results: Twenty-four patients out of 96 patients had radiographic signs of fixation failure. The incidence of nonunion in the fixation failure group was 41% (10/24) and AVN was 33% (8/2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ixation failure and nonunion and that posterior comminution, poor reduction and improper placement of the screws were the major factors contributing to nonunion. Conclusion: In case of femoral neck fracture of internal fixation using multiple cannulated screws, posterior comminution, poor reduction and improper placement of the screws were the major factors contributing to nonunion and fixation failure.

      • KCI등재후보

        대퇴골 전자부 골절후 발생한 내고정 실패에서 칼날 금속판을 이용한 치료

        장재석 ( Jae Suk Chang ),오형근 ( Hyoung Keun Oh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4

        목적: 대퇴골 전자부 골절후 발생한 내고정의 실패 및 불유합에서 칼날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과 골이식술로 치료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8명의 환자에서 95도 칼날 금속판을 이용한 견고한 내고정을 시행하였고, 7예에서는 골 이식술을 병행 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73세 였으며, 추시 기간은 26개월(6~65개월)이었다. 임상적으로 술 후 동통의 감소 및 보행 능력 향상 등을 평가하였고, 방사선적으로 평균 골유합 시기, 정복의 만족도 및 유지 상태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총 8예의 환자중 6예에서 최종 추시상 정복의 소실 없이 견고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평균 골유합 시기는 20주였고, 대퇴 경간각은 술 전 평균 118°에서 술 후 133°를 보였다. 1예에서 내고정 실패로 양극성 반치환술로 전환하였고, 1예에서 방사선 추시상 내반 전위 소견을 보였다. 임상적으로 술 후 동통의 감소 및 보행 능력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대퇴부 전자부 골절후 발생한 내고정의 실패 및 불유합에서 칼날 금속판을 이용한 견고한 내고정과 골이식술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blade plate fixation and bone grafting for the treatment of failed intertrochanteric hip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 patients were treated with 95°blade plate fixation and bone grafts were performed in 7 patien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73 years ol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6 months (range, 6 to 65 months).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pain, walking ability, union period, and maintenance of reduction. Results: 6 of 8 patients obtained a solid union after a median period of 20 weeks. The neck-shaft angle was changed from 118°to 133°postoperatively. One patient underwent revision of a bipolar hemiarthroplasty due to failed blade plate fixation and varus malunion occurred in one patient Conclusion: Blade plate fixation and bone grafting for failed internal fixation of intertrochanteric hip fractures can provide a solid union and a good clinical result.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단분절 척추 유합술 및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나사못 기기의 금속 실패 단축과 다축 나사못 비교

        강종원,김환정,성환일,박재국,박건영,김용인,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08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5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metal failure and screw loosening of short-segmental (1- or 2-segmental) monoaxial or polyaxial screw fixation for degenerative lumbar diseas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was a report on metal failure and screw loosening in short-segmental monoaxial and polyaxial screw fixation in degenerative lumbar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227 cases who underwent short-segmental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and vertebral fusion for a degenerative lumbar. Results: Metal failure of transpedicular screws was detected in 6 cases, 3 each in groups A and B. Screw loosening occurred in 16 and 43 cases in group A and B, respectively. Both groups had a similar incidence of spinal stenosis with instability and spondylolisthesis. The failure rate and screw loosening according to the fusion level was also similar. The failure and screw loosening rates was higher in the cases who did not undergo PLIF than in the cases who underwent PLIF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metal failure and screw loosening rates after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and spinal fusion procedures for degenerative lumbar diseases using monoaxial screws and polyaxial screws were simi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