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컬리즘과 지역문화연구

        홍순권 ( Soon Kwon H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6

        최근 학계에서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을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한 보완적 또는 대안적 현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글로칼적인`` 세계화의 중요한 특징은 교류의 주체가 반드시 국가일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지역단위 또는 개별 생산단위 주체간의 직접적인 교류가 확대된다는 데 있다. 이는 ``지역의 자립``과 ``지역과 지역간 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차원 수평적 관계의 새로운 공동체간 관계의 형성이라는 이념적 지향을 담고 있다. 오늘날 글로컬리즘에 대한 관심의 고조 현상은 세계화에 대응한 지역(지방)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도 조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지역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새로운 해석에 대한 욕구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은 산업화의 관점에 머물고 있을 뿐, 아직은 ``글로컬리즘`` 시대에 걸맞은 지역문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새로운 가치의 창출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글로컬리즘에 의한 지역문화 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글로컬리제이젼을 문화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해 보면, ``글로컬리즘``이란 인간적 삶의 표현으로서의 문화가 생산되는 공동체로서의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관계망을 의미하는 개념이 된다. 한마디로 ``세계적인 동시에 자국적인[지역적인] 공간``이 ``글로벌-로컬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의 발전이 바로 ``글로컬리즘 공간``이다. 이러한 문화 공간을 해석하는 문화이론이 곧 ``문화-글로컬리즘``이다. 지역문화는 중앙과의 관계 속에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독자적인 생산과 소비, 그 양자를 매개하는 유통의 문화공간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즉, 글로컬리즘의 관점에서는 민족문화에 있어서 지역문화의 자립화와 국제간 교류(세계화)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민족문화의 범주를 뛰어넘어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우리는 현대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도시문화의 실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세계 여러 도시문화의 비교 연구를 통해 다문화주의 또는 글로컬리즘 시대의 도시화, 즉 지역문화의 이상적 모델을 탐구할 수 있다. 오늘날 도시문화의 특징적 현상인 이주문화, 다문화 또한 글로컬리즘의 해석이 요구되는 지역문화 연구의 주요한 과제이다. The concerns about the local culture have grown rapidly since the local autocracy system began in the early 1990s in Korea. As a reflection of such a phenomenon, the concept of the glocalization or glocalism has widely spreaded so far recently in the academical society of Korea. The ``glocalization`` is a newly-coined word which was combined with both word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means that the today`s world has inclination to develop both the globalization and the localization which are quite different and contradicted each other in appearance.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was used as a business terminology at least before 1990, but it is used now also as a cultural or sociological concept explaining the new phenomenon which happens between the regions(local communities) nowadays. The ``Hanlyu``(the spread of the Korean styles) is often incited as one of examples which support such a view. The glocalization does not mean the parallel phenomenon of both the globalizaion and localization. It expresses a will to make the new formation of the horizontal relation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various information networks. In other word, it could be translated into the inter-local rel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ter-national relation. It is generalized more and more rapidly in a few decades. It is a cultural-social phenomenon internationally, but can not be identified with the cutural imperialism. Today the great concern about the glocalism demands the new recognition on the local culture. That is, we have to study and interpretate the local culture new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localism. Because the local culture is not the sub-culture subjective to the national or global culture, but it belongs to its independent category of the local culture itself from the viewpoint of glocalism. In short, the space of glocal cuture explained as a local space and a global space at same time. This explanation of cutural space, so-called ``the culture glocalism`` is supported by the culture theorist such as Ramond Williams and other theorists on cultural science. There are many examples which explain the glocal phenomenon of culture in the past pre-modern society as well as in modern or post-modern society. Through all the times the best example of the glocal cultural space is the city. As we know, the city has been and is now the symbolic space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t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ill be good examples of the research if we want to study the urban culture as a local culture at this time from the view of the glocalism. So, I suggest the joint research of culture, history, and the other social sciences about the 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hich will help us understand more deeply the phenomenon of the cultural glocalism in the 21th century.

      • KCI등재

        글로컬리즘과 지역문화연구

        홍순권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6

        The concerns about the local culture have grown rapidly since the local autocracy system began in the early 1990s in Korea. As a reflection of such a phenomenon, the concept of the glocalization or glocalism has widely spreaded so far recently in the academical society of Korea. The ‘glocalization’ is a newly-coined word which was combined with both word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means that the today's world has inclination to develop both the globalization and the localization which are quite different and contradicted each other in appearance.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was used as a business terminology at least before 1990, but it is used now also as a cultural or sociological concept explaining the new phenomenon which happens between the regions(local communities) nowadays. The ‘Hanlyu’(the spread of the Korean styles) is often incited as one of examples which support such a view. The glocalization does not mean the parallel phenomenon of both the globalizaion and localization. It expresses a will to make the new formation of the horizontal relation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various information networks. In other word, it could be translated into the inter-local rel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ter-national relation. It is generalized more and more rapidly in a few decades. It is a cultural-social phenomenon internationally, but can not be identified with the cutural imperialism. Today the great concern about the glocalism demands the new recognition on the local culture. That is, we have to study and interpretate the local culture new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localism. Because the local culture is not the sub-culture subjective to the national or global culture, but it belongs to its independent category of the local culture itself from the viewpoint of glocalism. In short, the space of glocal cuture explained as a local space and a global space at same time. This explanation of cutural space, so-called ‘the culture glocalism’ is supported by the culture theorist such as Ramond Williams and other theorists on cultural science. There are many examples which explain the glocal phenomenon of culture in the past pre-modern society as well as in modern or post-modern society. Through all the times the best example of the glocal cultural space is the city. As we know, the city has been and is now the symbolic space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t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ill be good examples of the research if we want to study the urban culture as a local culture at this time from the view of the glocalism. So, I suggest the joint research of culture, history, and the other social sciences about the 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hich will help us understand more deeply the phenomenon of the cultural glocalism in the 21th century. 최근 학계에서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을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한 보완적 또는 대안적 현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글로칼적인’ 세계화의 중요한 특징은 교류의 주체가 반드시 국가일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지역단위 또는 개별 생산단위 주체간의 직접적인 교류가 확대된다는 데 있다. 이는 ‘지역의 자립’과 ‘지역과 지역간 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차원 수평적 관계의 새로운 공동체간 관계의 형성이라는 이념적 지향을 담고 있다. 오늘날 글로컬리즘에 대한 관심의 고조 현상은 세계화에 대응한 지역(지방)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도 조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지역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새로운 해석에 대한 욕구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은 산업화의 관점에 머물고 있을 뿐, 아직은 ‘글로컬리즘’ 시대에 걸맞은 지역문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새로운 가치의 창출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글로컬리즘에 의한 지역문화 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글로컬리제이젼을 문화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해 보면, ‘글로컬리즘’이란 인간적 삶의 표현으로서의 문화가 생산되는 공동체로서의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관계망을 의미하는 개념이 된다. 한마디로 ‘세계적인 동시에 자국적인[지역적인] 공간’이 ’글로벌-로컬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의 발전이 바로 ’글로컬리즘 공간‘이다. 이러한 문화 공간을 해석하는 문화이론이 곧 ’문화-글로컬리즘‘이다. 지역문화는 중앙과의 관계 속에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독자적인 생산과 소비, 그 양자를 매개하는 유통의 문화공간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즉, 글로컬리즘의 관점에서는 민족문화에 있어서 지역문화의 자립화와 국제간 교류(세계화)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민족문화의 범주를 뛰어넘어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우리는 현대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도시문화의 실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세계 여러 도시문화의 비교 연구를 통해 다문화주의 또는 글로컬리즘 시대의 도시화, 즉 지역문화의 이상적 모델을 탐구할 수 있다. 오늘날 도시문화의 특징적 현상인 이주문화, 다문화 또한 글로컬리즘의 해석이 요구되는 지역문화 연구의 주요한 과제이다.

      • KCI등재

        지역방송의 글로컬 콘텐츠 기획과 표현 전략에 관한 연구

        임종수(Jongsoo Lim),김영수(Young-Soo Kim) SBS 2013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1 No.1

        글로벌 시대 지역방송의 콘텐츠 생존전략은 무엇인가? 지역의 특수성과 글로벌의 보편성을 연결해 내는 글로컬은 그 대안의 하나다. 이 연구는 최근 KNN에서 방송한 <위대한 비행>을 방송콘텐츠의 글로컬화라는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지역방송콘텐츠 글로컬화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본다. 최근 지역적 특수성과 세계적 보편성을 담은 다큐멘터리가 속속 제작되고 있는데, <위대한 비행> 역시 이 같은 맥락에서 제작된 것이다. 이는 지역 및 글로벌 주체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 제작시스템의 개방, 의미 있는 글로컬 기획이 일정정도 뒷받침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구체적으로 글로컬 콘텐츠화 수준과 상태를 살펴보기 위해 <위대한 비행> 제작 과정에서의 콘텐츠 기획과 표현전략을 살펴봤다. 분석결과 제작진이 글로컬을 실현하기 위한 기획단계를 정확하게 지켰다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기존의 지역방송 다큐멘터리와 비교해 보면 분명히 글로컬주의적 차별성을 실현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What is survival points of local television in global age? Although limited finances, human resources and production capabilities, it’s time to consider local television in aspect of competitive content strategy than objective of support. Glocalization, it seems to be one of alternative, binding local specificity and global universality. This study exams outcomes and limits of contents glocalization of local television, analysing ‘Great Flight’ broadcasted at KNN located in Busan, Korea. Recently, as widely known, the documentary linking local specificity with global universality has been successively produced, ‘Great Flight’ is also manufactured in this context. This documentary is partly underpinned by the cooperation network between local and global agents, openness of production system and meaningful glocal planning. This article inquired the glocal contents planning and strategy of address in local television, so that reviewing the glocal television contents level and states. As a result, we wholly didn’t assert that staffs conform to contents planning process, but could verify the effort to realize differential glocalism contrasting with existing local documentary.

      • KCI등재

        글로컬리즘의 시선에서 바라본 율곡의 철학사상

        이종성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2 No.-

        This article is to review Yulgok's philosophical thought from a modern point of view, focusing on the specific topic of glocalism. In this article, after reviewing the relational significance of the glocal spirit, the cases of global localization, the issue of delocalization of academic discourse in the global knowledge field at the time, and the subjective awareness of glocalism and the communication problem of transboundary ideology,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and tasks of Yulgok's glocalism were sequentially examined. ‘Glocalism’ is a combination word created by combining the two concepts of ‘global’ and ‘local’. It is a concept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glocal’ formed in terms of being both global and local at the same time. It is very suggestive that the simultaneous co-existence of ‘global’ and ‘local’ contained in ‘glocal’ has the possibility of close connection with the philosophy of the ‘Mysterious Relation between Li and Qi (理氣之妙)’, the core of Yulgok’s philosophy. The spirit of humanism that values human beings is inherent in glocalism in the sense of Yulgok. In addition, the moral significance requested from the perspective of civilization theory is confirmed, and when paying attention to Hyangyak (鄕約) advocated by Yulgok, it is meaningful in providing various implications in terms of modern local self-government management. In short, it is judg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responsibl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us' and between 'us' and 'me', which is confirmed in the characteristics of Yulgok's glocalism, can act as a sustainability that enables mutual coexiste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These prospects remain hopeful. 이 글은 글로컬리즘이라는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율곡의 철학사상을 현대적 관점에서 검토해 본 것이다. 이 글에서는 글로컬 정신의 관계론적 의의와 글로벌의 로컬-지역화 사례를 비롯하여 당대 글로벌 지식장에 나타난 학술 담론의 탈로컬-지역성의 문제, 그리고 글로컬리즘에 대한 주체적 자각과 탈경계론적 이념의 소통 문제를 살펴본 후 율곡 글로컬리즘의 철학적 의의와 과제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살펴보았다. ‘글로컬리즘’은 ‘글로벌’과 ‘로컬’이라는 두 가지 개념이 합하여 만들어진 조합어로서, 글로벌이면서 동시에 로컬이라는 측면에서 형성된 ‘글로컬’의 특성을 갖는 개념이다. ‘글로컬’ 안에 함유된 ‘글로벌’과 ‘로컬’의 동시동재성은 율곡철학의 핵심인 ‘리기지묘(理氣之妙)’의 철학과 밀접한 연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은 매우 시사적이다. 율곡적 의미의 글로컬리즘에는 인간을 중시하는 휴머니즘의 정신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문명론적 시각에서 요청되는 도덕주의적 의의가 확인될 뿐만 아니라, 율곡이 제창한 향약에 주목할 때 그것은 현대적 지방자치 운용의 측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는 의의가 있다. 요컨대 율곡적 글로컬리즘의 특징 안에서 확인되는 ‘나’와 ‘우리’ 그리고 ‘우리’와 ‘나’의 책임 있는 관계맺음은 주체와 타자의 상호 공존을 가능케 하는 지속 가능성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전망은 여전히 희망적이다.

      • KCI등재

        로컬리티와 1954년, 대구 -『마당 깊은 집』을 중심으로-

        박승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硏究 Vol.- No.64

        In 1954, Daegu is a region where the world condition and anti-Communism ideology followed by the Korean War and Cold War coexisted with the postwar life of poverty. The novel 『A House with the Deep Yard』 is a sort of growth novel against the background of post-war Daegu region. This represents the logic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embodied after the Korean War. In addition, this novel shows how the liberalists' growth logic after the Korean War was reflected in the local area in a boy's perspective. Represented all are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mirrored in the post-war culture of the U.S.,local life restructured with poverty and anti-Communism, and the oppression of the government against the local area. Thus,『A House with the Deep Yard』well describes how the locals were aware of the world after the War when the liberalistic economy started to be recognized and how the local life was restructured by the government. In particular, in that the novel was created in the mid-1980's, this novel is a significant material through which you may look into the awareness of globalization among the older generation with the positive view on the post-war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글로컬리즘에 대한 재사유와 로컬리즘의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세계화의 부작용을 제어하고 극복하는 운동으로서 로컬리티가 글로컬리즘의 새로운 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는 (신)자유주의적 경제 체제와 자본의 이윤동기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매개고리로서의 국가, 그리고 세계/국가/중앙의 가부장 체제 등에 대응하는 로컬의 삶 자체에 대한 질문과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글은 소설 『마당 깊은 집』을 통해 대구라는 특정 지역에서 나타난 전후의 내재화된 성장과 개발의 논리를 살펴, 한국전쟁 이후 자유주의적 성장 논리가 로컬의 위치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고구하였다. 전후 미국 문화를 통한 세계 인식, 가난과 반공으로 재구성되는 로컬의 삶, 그 과정에 드러나는 로컬에 대한 국가의 억압 기제는 소설이 재현하는 로컬의 모습이다. 따라서 자유주의 경제 인식이 본격화 되는 전후의 로컬 내부에서 세계가 어떻게 인식되었으며 국가에 의해 로컬의 삶이 어떻게 재구성 되는지를 우리는 소설 『마당 깊은 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소설이 창작된 1980년대 중반의 시점에서 전쟁 이후 경제 발전과 성장을 긍정하는 기성세대들의 세계화 의식을 들여다 보고자 한다. 이는 1954년, 대구가 보여준 전후 삶의 재현 과정은 세계화 내지 글로컬리즘에 포섭된 지금의 대구 혹은 한국의 내부에서 로컬적 삶의 실체를 확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국내 라이선스 패션 잡지 화보에 나타난 글로컬리즘 경향

        김선영 ( Sun Young Kim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3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글로컬리즘(glocalism)의 관점에서 국내 라이선스 패션 잡지 화보에 나타난 연출 경향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글로컬리즘의 경향이 국내 라이선스 패션 잡지의 화보 스타일링에서도 중요한 현상임을 밝히고, 우리 문화에 대한 재인식과 이해의 폭을 넓혀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한 패션 스타일링 전개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을 통한 문헌고찰과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한 화보는 『Vogue』와 『Harper`s Bazaar』의 2007년 1월부터 2012년 8월호까지 전통 한복이나 한국적 이미지를 연상하게 하는 소품을 활용하여 글로컬리즘을 반영한 화보 총 159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화보의 구성요소에 준하여 주제, 아이템, 소재, 색상, 문양과 장식소품, 화보 배경 등으로 분류하여 고찰한 결과 라이선스 패션 잡지에 나타난 글로컬리즘의 연출 경향은 첫째, 이상적인 미의 기준을 서구모델에 한정하던 것에서 벗어나 다국적 패션모델이 지면을 장식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패션모델을 통한 화보연출로 지역적 특성을 부각시켰다. 둘째, 한국 고유의 명절이나 절기를 콘셉트로 전개하여 한국적 특징을 부각시켰고, 특히 주제와 부합되는 의복 아이템으로서 한복은 전통 장식소품, 메이크업, 헤어와 함께 특유의 곡선미와 비정형의 아름다움을 연출하였으며 새로운 시각에 의한 스타일링의 조화로 글로컬리즘의 특성을 반영하였다. 셋째, 전통 한복과 서양 복식의 혼합 및 착장방식의 해체에 의한 하이브리드 이미지 표현으로 전통 복식의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였고 지역적 경계를 초월한 글로컬리즘을 반영하였다. 넷째, 국내 아티스트와의 협업에 의한 예술화 표현으로 글로컬리즘의 경향을 반영함과 동시에 전통 복식과 아트의 융합으로서 우리의 복식문화를 현대적 예술작품의 하나로 승화시켰다.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look into the trend featured in pictorials of domestic licensed fashion magazines from the viewpoint of glocalism, and help develop fashion styling so as to reflect cultural identity by confirming recognition of our culture and widening comprehension. Both literary review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relevant literature. In selection of the pictures for the case studies, small pieces reminiscent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or unique images that appeared in 『Vogue』 issues and 『Harper`s Bazaar』 issues from January, 2007 to August, 2012 were used. 159 pieces that reflect glocalism were finally extracted. The trends expressed in licensed fashion magazines about glocalism a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aesthetic criteria in ideal beauty confined only to western model, local characteristics were marked with pictorials using domestic models and multinational fashion models pictured in other pages of the magazine. Second, unique Korean characteristics were stressed through concept evolution of festival days or seasons unique to the country. Third, a new image of traditional costume was created as a hybrid type that mixed traditional and western clothes and deconstruction of method of dressing, generating glocalism beyond the local boundaries. Fourth, efforts were exercised to reflect the glocalism trend in artistic expression in cooperation with domestic artists, and Korean costume culture was sublimated into a modern art work by integrating traditional costumes with the arts.

      • KCI등재

        글로컬리즘과 환대의 자리에 대한 시학적 모색 - 신동엽의 시를 중심으로 -

        공현진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0 No.-

        Poetic literature research needs to preempt and build the poetry of ‘glocalism’ that is not included in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capitalism. This paper reviewed the concept of ‘glocalism’ and interpreted Shin Dongyeop’s poem as a practical example applying the methodology. Shin Dongyeop is suitable for a glocal perspective because he is a poet who sought to escape from central power-centeredism and showed thoughts for areas and places that do not result in a ‘state’ or ‘ethnicity’.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emphasized that the poetry of ‘hospitality’ should be appli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poetic method of glocalism, and that can also be found in Shin Dongyeop’s poem. Shin Dongyeop’s poem emphasizes the active power and beauty of the region itself, and this paper noted that the power of locality that appears in Shin Dongyeop’s poem is not simply due to the comparison with ‘Seoul’ or the sense of opposition. Shin Dongyeop’s poem ultimately aims to restore the spatiality of each region as the ‘place of life’. The glocal space should be a space of difference that is not included in the uniformity of central power, but also a space of hospitality that does not establish boundaries between the periphery and the periphery. Shin Dongyeop’s poem is trying to resist the hierarchy between Seoul and the region, while also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regions and regions. While emphasizing locality, Shin Dongyeop’s poem finds a place of friendship, solidarity, and hospitality in it. In addition to dismantling the boundary between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 area, the value of the glocal space can be highly appreciated in Shin Dongyeop’s breaking down the boundary between the surrounding and the surrounding area. 시 문학 연구는 자본주의의 세계화 전략에 포섭되지 않는 ‘글로컬리즘’의 시학을 선취하고 구축해나갈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글로컬리즘’이라는 개념을 검토하고, 그 방법론을 적용한 하나의 실천적 사례로 신동엽의 시를 해석하였다. 신동엽은 중앙권력 중심주의를 벗어나기 위한 모색을 해나간 시인이자 ‘국가’나 ‘민족’ 으로 귀결되지 않는 지역과 장소에 대한 사유를 보여준 시인이기에 글로컬리즘적 관점으로 접근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이 논문은 글로컬리즘의 시학적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환대’의 시학이 함께 적용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는데 그러한 모습 역시 신동엽의 시에서발견할 수 있다. 신동엽의 시는 지역 자체의 능동적 힘과 아름다움을 강조하는데 이때 신동엽 시에 나타나는 지역성의 힘이 단순히 ‘서울’과의 비교나 대항 의식에서 기인하지 않는다는 점에이 논문은 주목하였다. 신동엽의 시는 각각의 지역이 모두 ‘삶의 터전’으로서 그 공간성을회복해야 함을 궁극적으로 지향한다. 글로컬적 공간은 중앙권력의 획일성에 포섭되지 않는 차이의 공간이면서도 또한 주변과 주변의 경계를 구축하지 않는 환대의 공간이어야 한다. 신동엽의 시는 서울과 지역 간의 위계에 저항하는 동시에 또한 지역과 지역의 경계도 허물며 연결하고자 한다. 신동엽의시는 지역성을 강조하면서도 그 안에서 우정과 연대, 환대의 자리를 발견한다. 중심과 주변의 경계를 해체할 뿐만 아니라 주변과 주변의 경계도 무너뜨리는 것에서 신동엽 시 글로컬적 공간의 가치를 높이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글로컬리즘을 향한 지역축제의 운영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아비뇽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정지은,이석규,정지영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10

        This qualitative research addresses the management plans for local festival toward glocalism by analyzing the well-known Avignon festival. To suggest the more effective ways of improving the local festivals in Korea, we did some in-depth interviews with festival experts regarding the following 4 aspects of festival: ‘festival management’, ‘festival examples’, ‘festival theory(culture theory)’, and ‘festival consulting’. After that interviews, the five factors are found for effective management plans from the Avignon festival case analysis. In-depth interview that Hatch(2002) suggested and a qualitative study of Seidman(2006) are used for analysing research. The factors are: historicity (regionality) or placeness/ cultural character/ friendliness/ operability/ economic feasibility. This study propose the importance of then “glocalism” for the success of any local festival toward globaliz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festival managers another theoretical evidence through the various factor analysis of Avignon festival which leads local glocalism. The lessons from the Avignon festival analysis can be helpful at the site as measures for developing and succeeding lots of local festivals in Korea.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세계화로 나아가는 대표적인 사례로 아비뇽 페스티벌을 선정하여, 운영 방안에 관한 특징들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현상을 보다 깊게 접근할 수 있는 질적 연구의 심층면담(공식면담)을 진행하였다. 사전 조사로 2012년 아비뇽 페스티벌의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오프 아비뇽 페스티벌 조직위원장과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참여자는 사전 조사를 포함하여, ‘축제운영’, ‘축제 사례’, 축제이론(문화이론)’, ‘축제컨설팅’ 분야의 전문가로 최종 6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Hatch(2008)의 심층면담과 Seidman(2009)의 질적 연구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아비뇽 페스티벌의 운영 방안은 총 다섯 가지 요인들(1. 역사성(지역성) 및 장소성/ 2. 문화성/ 3. 친화성/ 4. 운영성/ 5. 경제성)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의 지역축제가 세계적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한류 속의 전통예술 재인식 : 한국의 악·가·무를 중심으로

        박소현,김소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작금의 세계는 자국의 문화와 특수성을 내세우며 글로컬화를 추구한다. 한국의 경우, 한류를 중심으로 이러한 글로컬리즘을 구현하고 있다. 한류가 생성되고 부상되기 이전부터 전통예술을 포함한 전통문화는 민족을 대표하고 민족정신을 잇는 사상과 정서였다. 이런 역사적 실체를 근거로 유네스코에서는 한국의 무형유산의 가치를 인정하여 2018년까지 20여 종목이 등재되었고, 이 중 국악은 12종목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이제 한류의 열풍은 단순한 문화수출이 아닌 국민의 자긍심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 시기에 좀 더 중요하게 살펴봐야 할 것은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이다. 전통문화는 일상에서 그 존재와 가치성에 대해 느끼기가 쉽지 않을뿐더러 전통이라는 문화 속에는 역사와 정신문화가 함께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류의 글로컬리즘에서 한국 전통예술이 갖는 의미를 되짚어보고 문화인식의 단계에서 전통예술의 가치에 대하여 분석한다. 첫째, 전통예술의 재인식을 통해 전통의 개념과 흐름을 살펴본다. 둘째, 악가무를 통해 전통예술이 갖고 있는 고유성과 가치를 알아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