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에 관한 개념화

        고희성 ( Hee Sung Ko ),김혜숙 ( Hey Souk Kim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8 No.-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에서 국어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을 밝히는 데 있다. 다문화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의 소통이 증대된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의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어 교사는 ‘문화 조직자, 문화 매개자, 사회적 맥락의 조정자’로서 다문화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할 다문화 교육 역량은 이를 구성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요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다문화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을 담당하는 국어 교사는 ‘국어 교과에 대한 지식, 다양한 언어문화에 대한 지식, 다양한 학습자들에 대한 지식’ 등의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을 담당하는 국어 교사는 ‘교육 내용의 재구성 능력,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 능력, 학습자들과의 의사소통 능력’ 등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셋째, 다문화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을 담당하는 국어 교사는 ‘다양한언어문화를 존중하는 태도, 다양한 학습자를 배려하는 태도, 다문화 교수-학습에 대한 책무감과 효능감’ 등의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competenc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f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all be able to make a contribution to increas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f learners liv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communication of members with a variety of cultural backgrounds is increased. For the foregoing, Korean language teachers, as ‘cultural organizers, cultural mediator, orchestrator of social contexts`, shall be equipped with ‘competenc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le of perform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multicultural education more effectively. Competenc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shall be equipped with is able to be confirmed through the elements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at comprise the aforementioned competence. First, Korean language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shall be equipped with ‘knowledge’ such as ‘knowledge of Korean subject, knowledge of various language cultures, knowledge of a variety of learners’ etc. Secon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shall be equipped with ‘skill’ such as ‘ability to reconstitute contents of education, ability to apply a varie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bility to communicate with learners’ etc. Thir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 cation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shall be equipped with ‘attitude’ such as ‘attitude that respects various language cultures, attitude to consider of various learners, feeling of duty and efficacy with respect to teachinglearning of multiple cultures’ etc.

      • KCI등재

        다문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한)국어교육 학위 논문의 연구 경향 분석-

        심상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learner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f research topic and research type. For the study, a total of 189 research papers, searched in RISS, are identified and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opic and research type. The comparative analysis shows that research studies in Korean education focused on the methodology field, whereas the research studies in KSL/KFL education were concentrated in the contents field. The results of analysis also reveals that primary research was more used than secondary research in both Korean education and KSL/KFL education, and multiple research was less utilized than other research types of studies. Research studies in Korean education were more interpretive research, whilst research studies in KSL/KFL education were more survey research are also fou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a variety of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s should be utilized in the fields of bo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SL/KF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learners and the multiple research methods also should be enhanced to increase validity and reliability. 본 논문은 다문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을 연구 주제와 연구 유형에 에 따라 살펴본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다문화 학습자 대상의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과 관련 있는 189편의 학위논문을 연도별, 연구 주제별과 연구 유형별로 나누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본고에서는 연구 주제에 따른 분석의 틀을 (한)국어교육의 일반, 내용학, 방법학의 세 가지로 범주로 나누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국어교육은 방법학 영역, 한국어교육은 내용학 영역의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유형은 크게 일차연구와 이차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두 분야 모두 일차 연구가 이차 연구보다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중 연구의 비중은 다른 연구 유형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어교육은 해석 연구의 비중이 높고, 한국어교육은 조사 연구의 비중이 높다는 것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의 다양성 제고와 두 가지 이상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다중 연구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피동에 관한 국어학적 고찰

        김윤신(Kim Yoon-shin)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8

        이 논문은 국어 피동에 대한 문법 교육 내용을 국어학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피동 교육 내용의 적절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1개정 국어과 교육 과정과 2015 개정 국어과 교육 과정을 살펴보고 지난 교육 과정을 반영한 국어과 교과서에 나타난 교육 내용을 검토하였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 과정 전까지 국어 문법 교육 과정에서는 국어의 피동은 사동과 같은 표현 효과를 가졌다고 언급되었다. 피동과 사동이 인과 관계를 바탕으로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사동은 피동과 달리 동일한 사태에 대한 다른 표현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국어학 연구와 같이 문법 교육에서도 접미사 파생, ‘-어지다’류, ‘-게 되다’류 등의 형태에 초점을 맞추어 피동에 접근하고 있고 피동의 의미는 각각의 경우를 산발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가능 속성의 의미나 비의도성 등의 비전형적인 피동의 의미는 학생들에게 비대격 동사인 자동사와 구별하기 어렵게 한다. 그리고 ‘되다’류, ‘받다’류, ‘당하다’류의 동사들이 교육의 항목으로 언급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은 국어학 연구에 근거를 두어야 하지만 국어학 그 자체가 되어서도 안 된다. 따라서 피동에 대한 국어학 연구도 국어 교육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기초 연구로서 실제 사용에 대한 실증적 연구도 실행되어야 한다. From the linguistic point of view,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passive in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and discuss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for the grammar education. So I examined 2011 and 2015 curricula for Korean, and reviewed the textbooks written based on those curricula. Before 2015, the curricula described that passive and causative have the same expressive effect in Korean. Actually passive and causative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terms of the causal relation, but causative does not express the same situation with a different expressive effect. In the Korean linguistics and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passive is treated in terms of its morphology such as suffix-driven, ‘-eojita (-어지다)’, ‘-geo doeda (-게 되다).’ So the meanings of passive as the educational item are so confusing and various. The non-typical meanings of passive, such as the properties of possibility and non-volitionality, make students not differentiate between passive and unaccusative. Also the educational contents of passive do not contain so many passive items such as ‘-doeda (되다)’, ‘-batda (받다)’, ‘-danghada (당하다).’ The contents of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are not the Korean linguistics itself although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is based on the Korean linguistics. Therefore, Korean linguistic studies for the grammar education and the empirical studies on the linguistic use should be perform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스마트교육 시대의 국어교육연구 방향

        서유경 ( Yu Kyung Seo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2

        스마트교육은 전면 실행 단계로 접어드는 듯이 보인다. 그런데 국어교육은 아직 스마트교육에 대한 준비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교육이 내포하고 있는 구체적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쟁점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국어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국어교육 연구 주제들을 탐색하여 보았다. 우선 스마트교육의 정체성을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전개 과정, 매체언어교육의 정립과 실행 과정 속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스마트교육이 실현될 때 우리 국어교육에서 발생할 수 있는 쟁점들을 디지털교과서 측면, 교수-학습 주체 측면, 스마트기술의 국어교육적 적용 측면 등으로 구체화하여 보았다. 이러한 스마트교육이 지니는 국어교육적 쟁점들에서 향후 스마트교육 시대에 필요한 국어교육 연구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스마트교육이 지닌 교육 체제 변혁의 성격은 기존의 매체언어교육뿐만 아니라 전체 국어교육의 판도를 바꾸는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 이루어질 새로운 국어교육 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교육 시대를 제대로 맞이하고 이끌어 갈 수 있기를 바란다. It seems that the smart education would begin entirely. But we can judge the preparation for the smart education is not ready. Accordingly this thesis aims that what the smart education is, what the issue of the smart education is and what we should study on Korean education. At first, the identity of the smart education was examined with the history of adapting media in Korean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And issues was found that could appear as the smart education carries out on the side of the digital textbook, the subject in teaching-learning and the adaptation of the smart technology into Korean education. The character of the transforming system that the smart education has show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structure and the territory of Korean education as well as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new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should lead properly to the age of the smart education.

      • KCI등재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국어교육 연구의 과제

        서현석(Seo Hyun-seok)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1 No.-

        예측 가능한 미래를 대비하며 앞으로 다가올 국어교육의 모습을 전망하고, 그 시대를 살아갈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교육적 지향과 방법을 모색하는 일은 지속적으로 탐구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미래 세대인 학습자들이 좀 더 풍요로운 국어사용의 삶을 영위해 나가는데 기여하는 국어교육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먼저 ‘문식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역량’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점검하였다. 그리고 미래를 살아 갈 학습자의 풍요로운 국어 생활을 돕기 위한 국어 교육 연구의 방향을 ‘자기배려’를 고려한 국어과 교육의 목표와 내용 탐구, 학습자의 삶에 의미있는 국어활동의 특성 연구, 인성교육으로서 국어과 교육의 성격과 실천방안 연구, 통일을 대비하는 국어과 교육의 방향 연구 등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ppropriate way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research to help the future generation to use more affluent Korea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I have searched for the definition of the literacy and the contents of new 2015 Korean curriculum focusing on Key competencies. Then, as a the topic of Korean education research project, four proposals were discussed to help the forthcoming future learner. Those things were the "self care" exploring with the goal and the contents of Korean education,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eaningful language activities in the lives of learners, the study on the nature and practice of Korean education for a character education and the study of language education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of Korea.

      • KCI등재

        국어(國語) 교과(敎科)와 한문(漢文) 교과(敎科)의 ‘독서(讀書)’ 교육(敎育) 연계(連繫) 방안(方案)

        백광호 ( Baek Kwang-ho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9 한문교육논집 Vol.52 No.-

        이 연구는 ‘독서’ 교육을 내세워 한문 교과와 국어 교과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어 교과와 한문 교과는 원래 하나의 교과였다. 한문 교과가 독립 교과가 되면서 현재의 위상에 이르게 되었다. 국어 교과의 존재 이유를 부정할 이는 없을 것이다. 한문 교과의 존재 이유 또한 명약관화하다. 국어 교과와 한문 교과의 분절된 현 상태를 연계 내지 융합할 당위성은 충분하다. 다만, 어떻게 할 것이냐가 관건이다. 이 글에서는 특별히 ‘독서’를 화두로 국어 교과와 한문 교과의 연계 방안을 살피고자 한다. 한문과의 위상은 날로 저하되어 가지만, 선인들의 기록이 후예들의 기억에 남도록 하는 데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한문과의 입장에서 국어과와의 연대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입시 위주 교육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고등학교에 비해 보다 다양한 교육이 가능한 중학교에서의 고전 독서 교육 방안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문과ㆍ국어과 융합 독서를 위한 워크북을 제안한다. 이 워크북은 적절한 발문과 학습 내용을 통해 학습자의 독서 능력과 사고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학생 스스로 짧은 분량의 글을 작성해 보는 엽편소설 쓰기를 통해 능동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말하기, 읽기, 듣기, 쓰기와 같은 국어과의 기능이 한문과 수업과 연계 가능하고, 국어과에서 선수 학습한 기능을 한문과의 내용에 순차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한문과와 국어과의 연계 내지 융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교과 고유의 정체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각 교과의 기능과 역할이 재조정되어야 하겠다. 또한, 국어과와 한문과의 연계ㆍ융합 교육이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관련 교사들이 협업하고 연구할 수 있는 환경과 제도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한자ㆍ한문 교육을 국어 교육의 동반자로 수용하여 함께 나아간다면, 현재 국어과와 한문과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열악한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nkage between Chinese classics subjects and Korean subjects by reading education. For this, This study develops workbooks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for reading a fusion of Chinese classics and Korean language courses. This workbook can facilitate learner's reading ability and thinking ability through proper learning and writing contents. In addition, after presenting contents that students can read by themselves, active participation can be made through writing leaf novels. Through this study, I learned that functions of Korean language such as speaking, reading, listening and writing can be linked with Chinese classics class. Moreover, I learned that the functions learned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 can be applied sequentially to the contents of Chinese classics subjects. In order for the linkage or convergence of Chinese classics subjects and Korean subjects to be effective,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association and fusion should be readjusted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harm the identity of each subject. In addition, an environment and a system should be set up so that related teachers can collaborate and research so that the Chinese classics subjects and the Korean subjects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If the Chinese character and the Chinese classics education are accepted as a compan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go together, it can be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harsh environment that the Chinese classics subjects and the Korean subjects have in common.

      • KCI등재

        國語 敎科와 漢文 敎科의‘讀書’ 敎育 連繫 方案

        백광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19 한문교육논집 Vol.52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nkage between Chinese classics subjects and Korean subjects by reading education. For this, This study develops workbooks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for reading a fusion of Chinese classics and Korean language courses. This workbook can facilitate learner's reading ability and thinking ability through proper learning and writing contents. In addition, after presenting contents that students can read by themselves, active participation can be made through writing leaf novels. Through this study, I learned that functions of Korean language such as speaking, reading, listening and writing can be linked with Chinese classics class. Moreover, I learned that the functions learned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 can be applied sequentially to the contents of Chinese classics subjects. In order for the linkage or convergence of Chinese classics subjects and Korean subjects to be effective,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association and fusion should be readjusted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harm the identity of each subject. In addition, an environment and a system should be set up so that related teachers can collaborate and research so that the Chinese classics subjects and the Korean subjects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If the Chinese character and the Chinese classics education are accepted as a compan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go together, it can be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harsh environment that the Chinese classics subjects and the Korean subjects have in common. 이 연구는 ‘독서’ 교육을 내세워 한문 교과와 국어 교과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어 교과와 한문 교과는 원래 하나의 교과였다. 한문 교과가 독립 교과가 되면서 현재의 위상에 이르게 되었다. 국어 교과의 존재 이유를 부정할 이는 없을 것이다. 한문 교과의 존재 이유 또한 명약관화하다. 국어 교과와 한문 교과의 분절된 현 상태를 연계 내지 융합할 당위성은 충분하다. 다만, 어떻게 할 것이냐가 관건이다. 이 글에서는 특별히 ‘독서’를 화두로 국어 교과와 한문 교과의 연계 방안을 살피고자 한다. 한문과의 위상은 날로 저하되어 가지만, 선인들의 기록이 후예들의 기억에 남도록 하는 데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한문과의 입장에서 국어과와의 연대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입시 위주 교육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고등학교에 비해 보다 다양한 교육이 가능한 중학교에서의 고전 독서 교육 방안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문과․국어과 융합 독서를 위한 워크북을 제안한다. 이 워크북은 적절한 발문과 학습 내용을 통해 학습자의 독서 능력과 사고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학생 스스로 짧은 분량의 글을 작성해 보는 엽편소설 쓰기를 통해 능동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말하기, 읽기, 듣기, 쓰기와 같은 국어과의 기능이 한문과 수업과 연계 가능하고, 국어과에서 선수 학습한 기능을 한문과의 내용에 순차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한문과와 국어과의 연계 내지 융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교과 고유의 정체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각 교과의 기능과 역할이 재조정되어야 하겠다. 또한, 국어과와 한문과의 연계․융합 교육이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관련 교사들이 협업하고 연구할 수 있는 환경과 제도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한자‧한문 교육을 국어 교육의 동반자로 수용하여 함께 나아간다면, 현재 국어과와 한문과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열악한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광고와 국어교육 : 그 현황과 전망

        이관규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7 No.-

        국어 교육은 국어라고 하는 언어를 대상으로, 매개체로, 수단으로 하는 교육이다. 국어 교육에 있어서 광고는 문자 언어, 음성 언어를 기본으로 하고, 그림, 음향, 영상까지 사용하는 다매체 교구라고 할 수 있다. 광고를 통해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와 같은 기능 요소 영역은 물론이고, 나아가 문학이나 국어 지식과 같은 문화 요소 영역의 교육도 할 수 있다. 초등학교나 중학교 국어 교육에서의 광고 교육은 문자 언어와 그림을 이용한 교육에 머무르고 있으며, 고등 학교에서는 이것에다 음향이나 영상을 느끼게 하려는 시도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현재 7차 교육 과정 시기에는 각급 학교에서의 국어 교육이 종이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생들은 인터넷을 자유 자재로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시대에 살고 있는데, 교실에서는 아직도 종이 교과서 수업에 머물러 있는 셈이다. 교육 과정에는 매체 관련 내용밖에 없으며, 교과서에서만 광고를 사용한 내용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광고를 이용한 국어 교육에서 그 내용의 위계성은 전혀 고려되고 있지 못하며, 특히 국어 지식 영역 내용에 있어서도 교육의 위계성이 간과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국어 지식 교육에 있어서 광고를 이용하는 것은 종래의 맞춤법 수준을 뛰어 넘어, 사고력과 창의력을 신장하는 차원에서 고려될 수 있다. 문학이나 기능 영역 내용들과 연계되는 통합 교육을 광고를 이용한 국 어 수업을 통해서 기대해 봄직하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cerned with learning of language, about language, through language. Advertis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using written language and spoken language, and then multimedia teaching tools such as picture, sound, visual. With advertising, we can teach functional areas like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cultural areas like korean knowledge and literature.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advertising education uses written language and picture, but in high school, it attempts to use sound and visual including them. Bu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7th curriculum don't get over limits of paper texts. Students live in internet age, classrooms remain in paper texts. In 7th curriculum there are only multimedia contents, in texts there are advertising contents. Moreover, there's no hierarchy in advertising contents. especially in korean knowledge area. Using advertising in korean knowledge education deals with orthography, must further develope creativity and thinking faculty. Korean language class using advertising means t o educate unifying literature and functional areas.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 교육과정의 개정과 교과서 구성 방안 탐색

        신재한(Shin, Jae-Ha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8 교육연구 Vol.44 No.-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제 7차 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특징을 먼저 살펴보고, 그에 따른 국어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운영실태, 국어 교과서의 구성 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국어 교육과정 개정 방향과 국어 교과서 구성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국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정에 개선 방안을 제시함은 물론,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아무리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교육과정과 교과서라 할지라도,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적용되어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첫째, 교사는 국어 교과서를 재구성할 수 있는 안목과 식견이 있어야 한다. 둘째, 텍스트 위주의 교과서가 아닌 동영상, 소리, 그림, 사진 등이 포함된 멀티미디어식 전자교과서의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유⋅초⋅중⋅고등학교의 실질적인 국어 교육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은 현 실정에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이 중복되지 않고, 위계성에 벗어나지 않도록 국어 교육과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과정 및 교과서 운영에서 도출되는 문제점을 수정⋅보완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교육과정 개정이 아닌, 상시적인 교육과정 개정⋅운영이 필요하다. The study presented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Seven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subjects for the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problems & operational state and composition system respective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aimed to suggest efficient and desirable revision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composition methods of the textbooks and to provide some concrete improvement measure for the areas and concerned implications. However efficient and desirable curriculums and textbooks may be, their educational goals will not be attained unless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met first; first, the teacher should have the eyes and insight to reorganiz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Second, they should introduce multimedia-based electronic textbooks containing moving images, sound, pictures, and photos beyond text-based ones. Third, it's a sad fact that there are no connections found among the practical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rom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o middle and high school. The curriculum must be revised so that the contents won't be overlapped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escape the intended hierarchy. Fourth, the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all the time rather than once in a while to identify, correct, and supplement the problems with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 KCI등재후보

        스마트 교육 정책 실현과 국어 교육의 전망

        최숙기(Choi Sook ki)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8 No.2

        최근 정부 주도의 스마트 교육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국어교육 차원에서의 실현 방식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이는 국어 교육 내 스마트 교육이 필요한가에 대한 본질적인 탐색인 동시에 현재의 국어 교육 내용과 방법 가운데 스마트 교육의 정책을 통해 변화되어야 할 부분과 그 방향성에 대한 고찰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교육 기반의 국어 교육이 유의미한 교육적 실효를 거두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국어 교과 차원에서는 새로운 교육 기술과의 결합이 국어 교육 차원에서 지닌 의미나 결합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특히, 스마트 교육의 국어 교육적 실현의 주요방향,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정책 방향, 맞춤형 교육의 실현태인 온라인 교수 학습과 진단을 위한 평가에 대한 국어 교육적 적용 가능성과 그 방향에 대해 살펴보는 가운데 국어 교육의 미래적 전망을 살펴보았다. When SMART education initiated by a Korea government begin in earnest, the realization direction of SMART education policy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is discussed. Aim of the discussion is to judge necessity of SMART education and to explore directions of change traditional i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for successful SMART education policy re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effective integration direction of SMART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Especially, It is discussed about how to reflect New literacies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and online diagnosis assessment for differentiated korean language arts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