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 형성과정 재검토

        천선행(Cheon Seon Haeng) 한국신석기학회 2010 한국신석기연구 Vol.- No.20

        본고는 신석기시대 말기 이중구연토기가 무문토기시대로의 전환과정을 엿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거라는 관점에서 공통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이중구연토기 형성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였다. 신석기시대 이중구연토기 형성에 관하여 크게 외부기원설, 자체발생설이 있으며, 각각의 다양한 견해를 검토하여 자체발생설 특히 남부내륙지역 발생설과 남해안지역 발생설을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남부내륙지역 신석기시대 후말기 토기편년을 수립하고 남해안지역과의 병행 관계를 설정하였다. 그 결과, 이중구연토기가 남해안지역보다 앞서 신석기시대 후기 후엽에 남부내륙지역에서 출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중구연토기는 기존 연구처럼 내륙지역 봉계리식토기의 구연공백부를 유지하는 의식이 제작기법에 투영되어 이중 구연이 형성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한편, 이중구연토기 출현시점, 이중구연형태, 문양 구성으로 볼 때, 이중구연토기가 남해안지역에서 형성될 요건들이 갖추어져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내륙지역에서 이중구연토기가 출현한 후 남해안 각지로 확산되어 남해안식 이중 구연토기가 형성되는 시점을 말기로 파악하였다. 이중구연토기의 확산에 따른 남해안식 이중구연토기의 출현을 시기구분 획기로 삼은 이유는 당시 주거양식 변화가 기후환경적 요인과 결합하면서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내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the formation of double-rimed pottery still have not been in agreement was examined from a new angle that double-rimed pottery at the end of Neolithic age could be a clue to solve the changing process from the end of Neolithic Age to early Mumon Pottery Age(Bronze Age). There are 2 arguments the origins from outside and occurrence itself. Among a variety of opinions above, I studied especially the occurrence in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and the occurrence in the southern coast region. Frist, made the chronology and the parallel-relationship with pottery between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and the southern coast reg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double-rimed Pottery had been appeared at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in the late phase of the last Neolithic Age. Double-rimed Pottery is formed by consciousness was projected in manufacturing pottery to keep lip part s gap of Bongge-ri type pottery as existing study. Meanwhile, the meaning of Double-rimed Pottery s appearance time, form and design composition, It is sure that factors to form Double-rimed Pottery are not fitted in the southern coast region. After the appearance of Double-rimed Pottery in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I figured out the time being spread to various parts of the southern coast region to the end of the Neolithic Age. Because the spread of double-rimed Pottery derived a new transition due to the change of settlement style combined with climatic environment s factors and change.

      • KCI등재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의 실제와 과제

        박현숙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8 No.-

        한국국학진흥원의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은 2009년부터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는 현대의 대표적 생활현장형 이야기판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이야기할머니 이야기판의 현지 조사를 통해 이야기 연행에 필요한 이야기, 화자, 청중 3요소를 중심으로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의 실제를 파악하고, 이야기꾼으로서의 이야기할머니 연행 양상과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나아가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의 향후 개선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은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단에서 기획하고 제작한 운영 지침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연 활동에 필요한 이야기는 연간 계획에 따라 사업단에서 별도로 제작한 교재에서 매해 구연 목록을 선정하여 제공한다. 최근 3년간 선정된 이야기 목록을 살펴본 바, 문헌에 기록된 선현들의 미담을 다룬 역사인물담 선정 비중이 매우 높았다. 현지 조사를 통해 분석한 이야기할머니 연행 방식은 소통개방형, 오락놀이형, 연기형으로 나타났다. 소통개방형 화자는 지난 이야기 되새기기 단계와 생각 말하기 단계에서 다양한 질문기법을 통해 청중을 이야기판에 참여시켜 화자와 청중의 소통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오락놀이형 화자는 본격적인 이야기 구연 전후로 오락성이 가미된 노래와 율동을 삽입하여 청중을 적극적으로 이야기판에 참여시켜 이야기판을 놀이판 양상으로 이끌어 나갔다. 연기형 화자는 다양한 목소리 연기를 통해 청중이 흥미를 갖고 이야기판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고, 대화 삽입을 통해 서사를 확장해 나갔다.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은 이야기를 통한 조손 세대의 교감과 훈육의 목적을 넘어 이제는 단절되고 사라져가는 전통적인 이야기 구술문화를 회복시키는 구심으로의 역량을 확장시켜 나가야 한다. 따라서 향후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은 이야기판의 3주체인 이야기, 화자, 청중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화자가 기억하여 구연하기 쉽고, 청중의 상상력을 자극시킬 수 있는 생명력과 전승력을 지닌 구전설화 발굴과 목록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화자가 구연 활동을 통해 개성 있는 이야기꾼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화자에게 구연의 자율성과 개방성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청중이 이야기판의 한 주체이자 잠재적 이야기꾼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이야기판에서 청중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 The project 'Beautiful Storytelling Grandmother' of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is modern typical storytelling sites of life fields type which was started since 200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actualities of storytelling activities by ‘Storytelling Grandmother’ using the three requisites of story, storyteller, and audience through a field investigation about their storytelling site, and try to figure out their performanc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as a storyteller. Further more this paper is to suggest improvement and tasks of Storytelling Grandmothers’ oral narration activities. The Storytelling Grandmothers' oral narration activities follow guidelines for operating which is made by the project team of 'Beautiful Storytelling Grandmother'. Stories required for oral narration activities are selected and provided by the project team according to annual plan. Looking at the list of stories selected over the last three years, the stories of historical figures with impressive tales of ancient sages was chosen very highly. In the field investigation, the performance of Storytelling Grandmothers as a storyteller falls into three categories; the open-communication type, entertainment- play type, and acting type. The open-communication type is a way of induc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toryteller and the audience by engaging the audience into the story site through various questioning techniques in the story-reminding stage and the thought-talking stage. The entertainment-play type is a way of leading the story site to the play site by engaging the audience actively using songs and movements accompanied with entertainment. The acting type is a way of getting the audience to concentrate on story site using storyteller's various voice acting.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expanding stories through dialogue-centered storytelling. The project 'Beautiful Storytelling Grandmother' should expand its capacity as a center for restoring the traditional storytelling culture that is disconnected and disappearing beyond the purpose of communion and education of the generation of grandparents and grandson with storytelling. Therefore, future storytelling activities by Storytelling Grandmothers should be centered on the story, storyteller, and audience, which are the three requisites of story site. The following is suggestions for this. First, it is necessary to discover oral folk tales that has a power of vitality and transmission and expand its lists because it has the power that the storyteller narrating the folk tales can remember and narrate the stories easily and stimulate the imagination of the audi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oryteller's autonomy and openness so that the storyteller can grow up as a characterful storyteller through their storytelling activ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audience's position in the story site so that the audience can grow as a subject and potential storyteller.

      • KCI등재

        학습자 구연을 통한 전래동화교육의 방법 연구: <오늘이>를 중심으로

        오판진 ( Pan Jin 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구연이 전래동화교육의 한 방법으로 필요한 이유와 그 실체를 구명하는 데 있다. <오늘이>라는 텍스트에 대한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텍스트 고유의 의미보다는 ``줄거리 요약 능력`` 신장에 초점을 두고 역할극이라는 교육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구연이라는 학습자 중심의 동화구연 방법이 보다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 교사나 성인들의 실연을 바탕으로 학습자 스스로 동화구연자가 되어 보도록 하는 것이 학습자 구연의 핵심이다. 비록 미흡할지라도 이런 동화구연 경험은 줄거리 요약 능력 신장은 물론 이야기 문화를 창조적으로 향유하고, 계승할 수 있는 소양을 길러주기 때문에 국어교육 측면에서 가치가 크다. 학습자 구연의 구체적인 양상을 전제 조건과 지향점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학습자 구연의 전제 조건은 첫째 구연하는 전래동화 텍스트의 분량을 학습자 자신의 능력을 고려하여 스스로 조절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고, 둘째 교육의 장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들의 동화구연은 경연대회가 아닌 축제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학습자 구연의 지향점은 첫째 학습자 구연이라는 교육 활동의 수준을 학습자 발달 단계에 맞게 위계적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며,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음독하기``, 중학년은 ``낭독하기``에 초점을 두는 방식이 그것이다. 둘째 교사나 특정인의 시각에 근거한 ``목소리 흉내 내기``에 치중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구연을 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This study claims that learner story telling is needed in order to get access to the essence of traditional fairy tale. So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why and how to teach traditional fairy tale teaching through learner story telling. When I survey traditional fairy tale teachings, I detect that most them are planned in terms of Korean literature teaching or Korean language teaching. <Onuli> which is selected for this study is taught in Korea elementary school. But it is focused on not text`s core meaning but student ability to summarize story-line. The essence of traditional fairy tale teaching is to teach traditional fairy tale`s core which is cultural inheritance, and students continue to inherit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 In doing so student`s ability about thinking and language skill is improved, and they can have korean cultural mind-set to live their life in harmony in korea. Therefore I attempted to prepare contents for this purpose. ``Story culture`` to connect past, present and future is very important. So I suggest ``student story telling`` which is a learner-centered story telling method. This method is not becoming a passive listener to their parents and teachers but becoming a storyteller based on adults` presentation. Even if this opportunity to become a storyteller is lack, listening story telling is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enjoy and inherit story culture, and in this context it is very valuab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paper I present two preconditions and two directions on a specific aspect of student`s story telling. First precondition is to control an traditional fairy tale text`s quantity. Second, learner story telling is to be a festival not a contest. The activities of learner story telling are to be organised in hierarchical order according to student`s development level, and then it should not focus on mimicking adult`s or teacher`s style.

      • KCI등재

        靑銅器時代早期二重口緣土器의 觀察

        정대봉(Jung, Dae Bong)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9 No.-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청동기시대의 시작과 함께 등장하는 이중구연토기는 청동기시대 早期부터 前期까지 장기간 존속하는 토기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중구연토기의 장기존속에도 불구하고 계통과 분류가 분명치 않아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돌대문계토기와 공반하며 (석상)위석식노지를 갖춘 대형 (장)방형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이중구연토기의 계통은 크게 조기의 古式과 전기의 新式으로 구분되고 古式은 다시 조기전반의 재지계와 외래계로 분류 할 수 있다. 조기전반으로 편년되는 고식의 재지계이중구연토기는 상촌리식토기와 같이 점토띠를 기벽에 두르는 형태로 제작되고 외래계는 요동계이중구연토기와 같이 점토띠 자체가 구연단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고식이중구연토기는 초창기 모습인 조기전반의 사례만 확인될 뿐, 한반도남부지역에서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치면서 전기 가락동식토기로 변모하였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고에서는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에서 출토되는 이중구연토기군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조기전반의 고식이중구연토기와 형태적 차이점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중구연부의 제작기법은 구연단을 꺾어 접는 방식으로 제작한 것이 밝혀졌고 이러한 제작방법 및 외형적 특징은 서북지역 및 동북지역에서 전혀 확인되지 않는 방식이며 이는 원형에서 다소 변형한 형태로 파악된다. 요컨대, 이러한 제작방식은 조기 전반 외래계 古式이중구연토기가 서북지역에서 한반도 남부지역으로 남하하면서 변형된 고유의 형태로 파악되며 중심연대는 조기 후반에 속하며 이를‘평거동식이중구연토기’로 지칭하여 구분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즉, 고식이중구연토기는 조기전반 이중구연부를 별도로 제작하는 방식(재지계/외래계)에서 조기후반 이중 구연부를 꺾어 접는 방식으로 변형한 다음, 최종적으로 전기의 가락동식토기로 완전히 재지화되는 양상으로 파악한 것이다. It is a double-rimmed pottery and Doldaemun pottery which is marking a beginning of early Bronze Ag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aterial culture of Early Bronze Age has been identified by increasing data and continuous research. It is that their origin is from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ome is from the northeast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o far the Research trends have been focused on typical Doldaemun pottery and now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ouble-rimmed pottery in early Bronze Age. Therefore, in this paper, I looked up the meaning of the double-rimmed pottery, and making a classifying between double-rimmed pottery by old and new type. An old type double-rimmed pottery is also divided traditional type and exotic type. Meanwhile,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data, it is so difficult to divide double-rimmed pottery or Doldaemun pottery. Because of morphological resemblance. So I suggested that the way of division metho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lso I made a conclusion the origin of these pottery is individual variation of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So, to propose naming of these new type of double-rimmed pottery to “double-rimmed pottery of Pyunggeodong type”, It appears only early Bronze Age in the Nam river basin in sou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후보

        음성군 역사인물담의 전승과 구연 양상

        최명환(Choi, Myung-hwa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1 民俗硏究 Vol.0 No.22

        설화는 구연자와 수용자가 한 자리에 앉아 표현과 수용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그 때 형상되는 공감의 폭이 곧 ‘설화의 창조’라는 독특한 양식상의 특징을 지닌다. 그러나 농촌 생활환경의 변화는 우리 생활 주변에서 설화 구연 현장의 감소로 이어졌다. 자연적인 설화구연 현장을 만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설화 조사자는 인위적인 설화 구연 현장을 만들어 사라져가는 설화 각편들의 복원과 전승, 아카이브 구축을 통한 보전에 노력한다. 지난 2009년~2010년 음성군 현지조사를 통해 채록한 설화 자료들을 중심으로 음성군 설화의 전승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음성군에서는 지명유래담과 인물담 전승이 가장 활발하다. 지명유래담은 지명으로 명명된 연유를 설명하는 형태이며, 인물담은 역사적 인물에 관한 이야기 곧 ‘역사인물담’이 주를 이룬다. 또한 역사인물담은 행위 중심, 장소 중심, 행위+장소 중심 등으로 구연된다. 이번에 시행한 현지 조사와 같이 음원의 확보를 위해 개인적으로 구연해 줄 구연자를 만나고, 조사자와 거의 일대일의 면담을 주고받는 상황에서 구연자는 일반 청중을 대상으로 하는 구연현장과 다르다. 거기다가 동영상 촬영까지 함께 진행되기 때문에 인터뷰 형태의 말투를 사용하기도 하며, 몸짓 또한 최소화 하는 경향을 보인다. 자발적인 구연이 아닌, 조사자의 질문의 답변을 하는 형태로 구연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구연자의 말투, 몸짓, 표정 등 구술에 동반되는 외적인 모습으로 구연 양상을 살피는 것은 것이 매우 어렵다. 앞으로 구연 현장을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채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Folk tales takes place at the same time, expression and acceptance. The new tales is created in the process. However, changes in rural life, decreased the oral narratives. Oral narratives of the natural scene that is very difficult to meet. In these circumstances, researchers create artificial scene oral narratives. Researchers are trying to restore the narratives, is trying to preserve through archiving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local Eumseong-gun. Have examined narratives Eumseong-gun narratives were about the status of the tradition. Eumseong-gun in the folktale of Place names and folktale of Personal tradition is the most active. Folktale of Place names as a reason to be called to explain. Folktale of Personal story about a historical figure is the most. Folktale of Personal is Oral narratives. action oriented, central place, activity center and a place, etc. The fieldwork was the purpose of good sound source to put on. Therefore, The researchers met with him personally, Oral narratives give Oral narratives. One to one interviews with The researchers who were Oral narratives. In addition, the video was also shot. Oral narratives may use the interview form of speech and gesture also tends to minimize. Now the Oral narratives speech, gestures, facial expressions, and watching where it was difficult. In the future, while maintaining the Oral narratives field, can effectively find a way to investigate.

      • KCI등재

        전통방식의 ‘옛이야기 구연 실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구연 활동을 중심으로 -

        박현숙 한국구비문학회 2013 口碑文學硏究 Vol.0 No.36

        이 논문의 목적은 누구나 이야기의 주인이 되어 이야기를 공유하며 즐기던 전통적인 이야기문화의 회복을 위한 현장 적용의 실천적 방안을 찾는 데 있다. 실천적 방안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옛이야기 구연 활동’ 사례를 통한 실제적 모델을 제시한다. 본 옛이야기 구연 활동은 옛이야기를 좋아하는 어린이들을 중요한 이야기 구연 활성자원으로 보고 진행되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옛이야기 구연 활동은 단계별로 ‘준비단계 → 보조 구연자 역할하기 → 구연자 역할하기 → 이야기꾼으로 성장하기’의 총 4단계로 구성하였다. 구연 활동 대상이 어린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각각의 활동 역시 수준을 고려하고 참가자들의 구연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 1단계 준비단계는 옛이야기를 구연하기 위한 사전 준비과정이다. ⑴ 핵심서사 요약하기와 ⑵ 이야기 변형하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⑴ 핵심서사 요약하기 활동은 ①단어 채워 넣기 ②문장으로 요약하기 ③자기만의 기억 방법 찾아 적용하기와 같이 단계적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 활동은 참가자들이 구연자로서 이야기를 잘 구연하기 위해 이야기를 기억할 수 있는 벙법을 익히고 자신만의 방법을 찾도록 하기 위한 활동이다. ⑵ 이야기 변형하기 활동은 ①동일한 이야기장면 변형시키기 ②이야기를 자유롭게 변형시키기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 활동을 통해 옛이야기의 개방적이고 가변적인 특성을 자연스럽게 체득하기 위한 활동이다. 2단계 보조구연자 역할하기는 청자 중심의 1단계 활동에서 구연자 역할을 경험해 나가는 과정이다. 참가자들이 주구연자의 역할을 일부 맡아서 ‘보조구연자’ 역할을 경험하고 확대해 나가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참가자 전체가 음성상징어와 같은 작은 장면 구연부터 시작하여 점차 비중있는 인물의 역할을 맡아 구연해 나가도록 하였다. 3단계 구연자 역할하기는 ⑴ 구연자 경험 역할하기와 ⑵ 구연자 역량 강화하기 단계로 구성하였다. 3단계는 참가자가 주도적으로 이야기를 구성하여 이끌어 나가는 과정이다. 즉 실제 구연자 역할을 경험하고 확대해 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⑴ 구연자 경험 역할하기 활동은 ①짧은 이야기 엮어서 하나의 이야기로 완성하기 ②여러 사람이 이어서 하나의 이야기 완성하기 활동은 팀별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다양한 구연자 역할 경험 활동이 팀별 활동으로 이루어지면 여러 사람이 하나의 이야기를 완성해야 하기 때문에 각자 맡은 파트에 대한 책임감, 앞뒤 참가자 구연에 대한 상황 판단력, 돌발 상황에 대한 문제해결력까지 경험을 통해 강화해 나갈 수 있다. ⑵ 구연자 역량 강화하기 활동은 자신이 구연할 구연종목을 선정하는 활동이다. 본 옛이야기 구연활동에서는 팀별 활동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신화, 전설, 민담 각 장르별 옛이야기를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르에서 팀별 구연종목을 선정하였다. 그 다음엔 각 팀에서 자신이 맡을 파트를 정하여 구연 습을 진행하였다. 구연 연습 과정은 ‘파트 바꿔 구연하기’ ‘다른 팀 구연종목 구연해 보기’ 다른 팀과 팀원의 구연종목을 즉흥적으로 구연해 보거나 <순차형> <교차형> <혼합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행되었다. 4단계 이야기꾼으로 성장하기는 옛이야기 구연활동의 마무리 단계로 지금까지의 구연 활동을 기반으로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practical ways for a field application and to restore traditional story culture that everyone was the owner of the story to share and enjoy. So this paper presents a practical model for practical ways through the case of activitie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layed an old story. This activity of playing the old story regard children like the old story as important active source of the playing the story. The activity of playing the old story aimed at children was composed of four steps : Ready to step → Doing the role of second narrator → Doing the role of narrator → Growing to storyteller. This paper also consider the level of each activity, considering that the subject of playing activity for the old story, and are building up stage by stage to reduce participant's psychological burdens due to playing an old story. Step 1 'Ready to step' is preparation process for playing the old story. This step was composed of two process : ⑴ To summarize the key narrative, ⑵ To transform the story of the activity. Activity ⑴ 'To summarize the key narrative' was performed like this processes : ① Filling the words, ② Summarizing by the sentence and ③Applying to find their own way to remember. This activity for the participants as a narrator can remember the story and learn how to find your own methods to playing the old story. Activity ⑵ 'To transform the story of the activity' was composed of two process : ① Transforming the scene of same story, ② Transforming the story freely. It is an activity that narrator to acquire activities open and variable characteristics of the old story naturally. Step 2 'Doing the role of second narrator' is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role of narrator in first step of the center of the listener. It is a step that participants attended to some role of main narrator and experience the role of 'second narrator'. This is a narrated step that the whole participants starts with from small scene like symbolic words as a voice and assume a weighty role gradually. Step 3 'Doing the role of narrator' was composed of two process : ⑴ To experience the role of narrator, ⑵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narrator. This step is a leading process that the participant leads the story. That means, this step is the process of experiencing and expanding the real role of the narrator. Activity ⑴ 'To experience the role of narrator' was composed of two process : ① To complete one story with a combination of a short story, ② To complete one story with several people. This activity can be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for each task undertaken, the situation judgment about before and after the other participant's play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for unexpected situations. Because it is to complete one story with several people as team activities. Activity ⑵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narrator' is an activity that participants is to select events by themselves. Participants can experience a each genre of the old story such as myths, legends, folk tales because it can be selected to event from each team. Next, each team decided part of their members and practiced playing an old story. The process of practice is to playing other teams and team members's events extemporaneously or can be conducted with playing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sequential>, <cross-type>and <mixed>. Step 4 'Growing to storyteller' is the final stage of the playing activity of the old story and is compose of two process : ① To produce a sound events of playing the old story, ② To present the events of playing the old story. Participants has the self-confidence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about to play the old story with the results of their activities, and grow as storytellers who can enjoy story through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audienc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the activity of playing the old story. ① Various skills have been improved : ex...

      • 어린이무용극에서 춤과 구연동화의 역할 연구: 대전시립무용단 ‘춤으로 그리는 동화’ 중심으로

        이현수 ( Lee Hyun-soo ),정은혜 ( Jeong Eun-hye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3 국제문화예술 Vol.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 정서에 맞는 무용수 개발에 도움을 주며, 다양한 어린이무용극 작품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18년 11월 12일∼29일 동안 전문무용수 15명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어린이무용극에서 춤과 구연동화의 역할 및 효과, 무용공연을 수행하는 무용수가 느끼는 구연동화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또한 심층 면담의 중심적인 내용을 텍스트마이닝 분석으로 데이터를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린이무용극에서 구연동화는 무용수의 표현적인 움직임을 전달, 무용극을 장으로 나누어 스토리 전개를 연결, 구연동화의 스토리 전달이 극의 사실감을 높이고, 장면을 연결, 어린이 관객의 지루함을 방지하여 공연의 이해도를 높이고 몰입감 있게 만드는 역할이다. 구연동화의 효과는 구연의 요소가 감정을 전달, 장면 전환의 설명, 코믹하고 마임 같은 동작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무용수의 움직임과 캐릭터를 부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둘째, 구연 의지 및 긍정적 인식, 잘못 표현된 구연 설명과 비중의 문제, 구연동화에 의한 춤의 변위, 구연동화의 비중에 대한 대안이 도출되었다. 결론: 구연동화는 어린이무용극에서 어린이 관객의 작품 이해와 극의 스토리 전개에 도움을 주는 역할과 무용수의 감정전달, 움직임, 캐릭터를 부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어린이무용극에서 구연동화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무용수도 구연에 의존하여 마임적인 움직임과 표현을 대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대안으로 춤의 움직임에 충실한 작품개발의 필요성과 충분한 예산, 시간 등의 제약조건의 문제가 해결된다면 어린이무용극의 구연동화와 구연의 도움 없이 춤으로만 어린이무용극을 만들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Purpo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nvestigating the role and effect of dance and narrated fairy tales in children’s dance dramas, helping develop dancers suitable for children’s emotions, and present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children’s dance dramas. Methods: This study identified the role and effect of dance and narrated fairy tales in children’s dance dramas and the perception of narrated fairy tales felt by dancers performing dance performa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5 professional dancers from November 12 to 29, 2018. In addition, the central content of the in-depth interview was visualized by text mining analysis. Result: First, narrated fairy tales in children’s dance dramas convey the expressive movements of dancers, connect the story development by dividing the dance drama into chapters, and deliver the story of narrated fairy tales to increase the play’s realism, connect the scene, and prevent the boredom of children’s audiences. The effect of narrating fairy tales has the effect of highlighting the dancer’s movements and characters in which the elements of narrating convey emotions, explain scene transitions, and effectively express comical and mime-like movements. Second, alternatives to the will and positive perception of narration, the problem of misrepresented narration explanation and weight, the displacement of dance by narration, and the proportion of narration were derived. Conclusion: In children’s dance dramas, narrated fairy tales have the effect of highlighting the role of helping children’s audiences understand the work and develop the story of the play, as well as the emotional transmission, movement, and character of the dancer.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narration fairy tale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children’s dance dramas, and dancers also rely on narration to replace mime movements and expressions. On the other hand, it was suggested that children’s dance dramas could be created only with dance without the help of narration and narration of children’s dance dramas if the need to develop works faithful to dance movements, sufficient budget, and time were resolved.

      • KCI등재

        식민지기 재조일본인의 구연동화 활용과 전개양상

        김광식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8 No.-

        본고에서는 근대 일본을 대표하는 구연동화가 이와야 사자나미와 구루시마 다케히코의 활동을 조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개략하고, 그 영향을 받은 재조일본인의 움직임을 고찰하였다. 재조일본인 구연동화가는 경성일보를 통해 활동했는데, 구루시마의 인맥(오토기구락부와 회자회)이 활용되었다. 1918년에 다쓰야마 루이코는 재조일본인 소학교를 중심으로 오토기 강연회를 실시했지만 단기간의 활동에 그쳤다. 매일신보 및 경성일보는 1921년 말부터 소아회를 발족시켜 그 대상을 조선아동으로까지 확대시켜 구연동화를 보급시키려고 노력했고, 1923년 조선동화보급회를 통해 구체화 된다. 소아회와 조선동화보급회는 시모노세키 오토기구락부의 야시마 류도와 회자회(回字會)의 사다 시코가 동시에 참여했는데, 야시마는 전자를, 사다는 후자를 주도했다. 사다는 계속해서 1925년 말부터 1931년까지 조선아동협회를 이끌며 스승 구루시마를 비롯해 회자회 회원을 다수 조선에 초청해 구연 순례회를 개최했다. 영미권(英美圈)에서는 도서관원이 원화(原話)에 중점을 두고 소규모로 스토리텔링하는 방식으로 발달․보급된데 반해, 일본에서는 구연동화가, 교육자, 종교 관계자가 큰 장소에서 웅변술과 같은 화술과 제스처를 중시하고, 대중적 성격을 지니고 독특한 발전을 이루었다. 구연동화의 보급자 구루시마는 근세적 일본 전통과 개인적 전쟁체험(청일전쟁, 러일전쟁 참전), 군인, 기독교 신자, 당대 내셔널리즘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정신 및 인격 수양을 목표로 구연동화를 보급하였다. 사다는 아동애호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1923년 조선동화보급회, 경성소년의용단, 1924년 내선(內鮮)아동애호연맹, 1925년 경성소년단, 조선아동연맹(조선아동협회로 개칭) 등 여러 단체명을 수시로 바꾸면서 아동애호를 위한 교화활동, 잡지 발행, 강연회, 모성존중, 모체보호사업 장려, 일본에서의 조선 소개 구연활동 등을 전개했다. 1928년 당시 사다의 구연활동은 대중구연동화, 교실동화, 종교동화를 전부 포괄하며 조선아동협회 주간, 경성사범학교 내 순광(醇光)동화연구회 고문, 종교동화일본연맹 간사 등을 역임하며 전방향적으로 활동했지만, 그 주요 활동의 대상과 목적은 일본아동과 ‘내선융화’에 있었다. 읽기용 일본어 조선동화집에 비해, 일본어 구연동화는 조선아동에게 더 높은 일본어 능력을 요구했다. 일본어 구연동화의 활용은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취학률과 일본어 식자율의 저조로 인해 조선아동으로까지 대상을 확장하는 데 한계로 작용하였다. 이를 민감하게 인식한 고이케 다케루는 의태어 등을 생략한 구연을 제안했지만, 이 또한 대안이 될 수는 없었고 식민지 언어 문제는 심각한 균열을 야기했다. 본고는 일본어를 중심으로 다루었지만, 조선어와 일본어를 통한 읽고 쓰기용 조선동화집, 듣기용 구연동화, 말하기용 구연동화집의 수용과 확산에 대한 구체적인 비교 검토는 앞으로의 과제다. Activity of Fairy tale storytelling writer who represents Japan (Sazanami Iwaya and Takehiko Kurushima) was considered in concerning with Chosun by this paper. And the movement of the Japanese Settlers in Chosun under Japanese Rule who underwent influence of Takehiko Kurushima was considered. The Japanese Settlers in Chosun Fairy tale storytelling writer came into action through the Gyeongseongilbo mainly. And That concerned connections of Kurushima (Otogi-club and Kaijikai). The Maeil-sinbo and the Gyeongseong-ilbo made the children’s committee start from the end of 1921, and even made them expand to a Chosun child, and tried to make a Fairy tale spread. It was embodied through the Chosun Fairy tale spread Group in 1923 actually. Yashima of Shimonoseki Otogi-club, Sada of Kaijikai participated with the children’s committee and the Chosun Fairy tale spread Group. Yashima took the lead in the children’s committee and Sada took the lead in the Chosun Fairy tale spread Group. Sada led a Chosun child society from the end of 1925 to 1931 continuously. Sada asked a member of Kurushima and Kaijikai to Chosun and held a Fairy tale storytelling meeting. A library clerk put emphasis on field talk in the area of England and America, and it developed by the system which does small-scale storytelling. But an art of conversation like an oratory and a gesture are emphasized at a big place in Japan, and, it's popula. Kurushima is the spread person of a Fairy tale storytelling in Japan. Kurushima utilized Japanese tradition and nationalism and made a Fairy tale storytelling spread, targeting the training of spirit and the character. Sada had the interest in child's kind movement and established various child groups. Sada organized the Chosun Fairy tale spread Group (1923), child love union of Japan and the Chosun (1924) and Chosun child society (1925) etc. But Sada had the interest in Japanese child and was aiming at goodwill of Japan and Chosun. Japanese Fairy tale storytelling requested the high Japanese ability of a Chosun child compared with the Japanese Fairy tale collection for reading. The percentage of school attendance in the colony Chosun and the expert rate of Japanese were low in 1920's. Chosun child couldn't understand Japanese Fairy tale storytelling with that. For example, Takeru Koike understood such situation and proposed Fairy tale storytelling from which an imitative word was omitted. But this couldn't be also an alternative. Language problem in a colony has caused a serious crack.

      • KCI등재

        구술 생애담에서 ‘결핍’의 기억과 서사구연방식

        한서희 남도민속학회 2022 남도민속연구 Vol.44 No.-

        본고는 구술 생애담에서 결핍의 기억이 구술자의 서사구연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생애담 속 결핍의 구체적 양상과 그것을 통해 형성된 생애담의 서사구조에 대해 알아보았다. 1928년에 전북 고창의 죽도라는 작은 섬에서 삼대독자로 태어난 안성만은 병역을 기피하게 되면서 굴곡진 삶을 살게 되었다. 그의 생애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결핍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학교교육의 부재’와 ‘군 기피자’로서의 삶, 그리고 그로 인해 겪어야했던 ‘가난’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 세 가지의 결핍을 통해 이루어진 안성만의 생애담은 ‘고난–고난의 극복’이라는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고, 이 서사구조는 선학들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구술 생애담의 일반적 서사구조를 따르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야기꾼의 경험이 그의 이야기 목록에 영향을 미치듯이, 생애담 구연자의 지난 삶의 경험은 생애담의 서사구연방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안성만의 생애담에서 특징적인 서사구연방식으로는 먼저 고난의 상황에 대한 구체적 묘사를 들 수 있다. 특히 군 기피자로 숨어 살다가 군경에게 잡히던 순간의 구연은 상당히 구체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듣는 이로 하여금 긴박감과 현장감을 함께 느끼게 해주고 있다. 또한 그렇게 살아야만 했던 자신의 심경에 대한 묘사 역시 ‘풍상에 노그라진 어머니의 마포치마’에 비유하는 등 문학적 형상화에 노력하고 있는 모습도 서사구연방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안성만 생애담의 두 번째 서사구연방식의 특징은 반복적 구연을 통해 아쉬움의 정서를 표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두 번째 특징은 군 기피자라는 결핍이 만들어낸 서사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내 호가 나이롱 기피자여.”라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구연함으로써 군 기피자라는 자신의 부끄러운 과거와 그것을 자신의 의지가 아닌 외부의 힘에 의해 해결해야만 했던 아쉬움의 정서를 표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안성만 생애담을 통해 드러난 세 번째 서사구연방식의 특징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통한 자기애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안성만은 하나의 주제에 대한 이야기가 끝날 쯤에는 늘 자기 자신에 대한 인정과 신뢰를 드러내는 구연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결핍으로 인한 고난의 상황을 자기의 노력과 의지로 극복한 이가 가질 수 있는 여유일 것이며, 이러한 구연방식을 통해 안성만이 자기 삶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생애담의 서사구연방식에서 보이는 특징은 구연자의 지난 삶의 지문과 같다. 따라서 생애담의 서사구연방식을 통해 드러나는 삶에 대한 인식과 스스로에 대한 판단 등은 적어도 그 자신에게 있어서는 진실일 수밖에 없다. 생애담의 서사구연방식은 연습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무의식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기에, 앞으로도 생애담을 통한 인간이해의 심화를 위해서도 서사구연방식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memory of deficiency on the narrative’s way of expression in The Oral Life Story. To this end, we first investigated the pattern of deficiency in the life story and the narrative structure. His deficiency in his life stor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se are the ‘absence of school education’, life as a ‘military evasion’, and the ‘poverty’ they had to endure.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Ahn Seong-man's life story, which was made through these three deficiencies, has a narrative structure of ‘hardship - overcoming hardship’, and that this narrative structure follows the general narrative structure of oral life stories. The narrator's past life experiences affect the narrative's way of expression of life stories.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s way of expression i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fficult situation. In particular, the moment when he was caught by the police while hiding as a ‘military evasion’ is described very specifically, giving the listener a sense of urgency and presenc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he is forming a literary figure by describing in detail his feelings about his life, which he had to live like that.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s way expression is that it expresses the emotion of regret through repeated narratives. This characteristic is more prominent in the narrative created by the deficiency of a ‘military avoider’, and by repeating the expression ‘My nickname is a false-military evasion’, he expresses the emotion of regret for his shameful past. The third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s way expression is the expression of self-love through positive expressions. At the end of a story about a topic, Ahn Seong-man always takes a narrative style that reveals his acceptance and trust in himself, which is an opportunity that can be afforded to those who have overcome hardship due to lack through their own effor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s way expression of the life story are the same as the fingerprints of the speaker's past life. Therefore, the perception of life and judgment about oneself, which are revealed through the narrative's way expression of the life story, must be true, at least for himself.

      • KCI등재

        서울시 공공도서관 옛이야기 구연 프로그램의 현재와 미래

        류정월 한국구비문학회 2015 口碑文學硏究 Vol.0 No.41

        These days, old stories are read or run but there are some places where the stories are performed. They are public libra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mmarise the current state of storytelling programs and plan to present ways for vitalizing the programs for old stories in the public libraries in Seoul.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locations and problems of the old storytelling programs. The typical storytelling programs are old storytelling programs and narration of fairy tales. Old storytelling programs are thought to be replaced or subset of fairy tales programs. The classes for fairy tales programs are almost four times as much as old storytelling programs. The programs of narration of fairy tales are thought to be more enjoyable and educational. This paper studies the cases of old storytelling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to find internal problems and suggest alternatives. The case which is examined here are three: Doggabigamtu, the storyteller in Songpa Children’s Library, Arumdaun grandma, storytellers whom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selected and educated, Unarae, the volunteers who read books in the libraries. They feel some pressure to tell the old stories when they thing the tradition stories must be perfect and fixed. I propose “sharing stories” on the base of old stories to release the pressure. It is plan to open old story treasure warehouse to provide the sources of new stories. Oral situation is not a barrier but a new possibility. Finally, this paper shows the meanings of the project and other questions remaining unanswered. 옛이야기가 읽히거나 상영되는 것이 아니라 구연되는 대표적인 현장이 공공도서관의 이야기 구연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행해지는 옛이야기를 비롯한 이야기 구연 프로그램의 현황을 정리하면서 도서관에서 옛이야기 구연이 가지는 위상과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이야기판으로서 도서관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도서관에서 옛이야기 구연의 활로를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획되었다. 이야기 구연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두 가지 방식은 동화구연과 옛이야기 구연이다. 이때 옛이야기 구연과 동화구연은 대체 관계이거나 혹은 옛이야기 구연이 동화구연의 부분 집합인 것처럼 생각된다. 동화구연은 옛이야기 구연보다 대략 4배 이상 많은 도서관에서 개설되었으며 더 흥미롭고 더 교육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옛이야기 구연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그 문제를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송파어린이도서관의 도깨비감투, 한국국학진흥원의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은나래 자원봉사자의 활동에 나타난 문제점은 옛이야기를 완결된 것으로 향유하고자 하는 욕망에서 기인하였다. 본고는 그 대안으로 옛이야기를 기반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이야기 나눔”을 제안하였다. 이야기의 분기점을 택해서 이후의 이야기를 상상하도록 하고 그 이야기를 함께 나누는 것이다. 본고는 사례를 통해 구술 상황이 장애가 아니라 자유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야기 나눔은 아이들이 모방할 수 있는 자료를 옛이야기 창고를 열어 제공하는 데에서 시작한다. 그 과정에서 불완전하고 정체가 규정되기 어려운 이야기들이 생성될 수밖에 없지만 이러한 이야기들 자체가 삶과 주체를 구성하는 힘을 가진 것으로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