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특수학급 직업교육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박미화,문영지 한국발달지원학회 2013 발달지원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에 설치된 특수학급에서의 직업교육 실태 및 직업교육을 운영하는 데 많은 비중을 차 지하는 직업위탁교육 실태, 특성화고등학교의 시설 및 전문 인력 활용에 대한 교사 인식을 살펴보고 특성화고등 학교에서의 특수교육대상학생 직업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목적이 있었 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청에 소속된 특성화고등학교 중 특수학급이 설치된 24개교의 특수학급 교사들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24개교 중 설문을 거부한 1개교와 개인적으로 설문을 거부한 2명을 제외한 23개 특성화 고등학교 총 76명의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65명(85.5%)의 설문지를 분석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직업교육은 학생의 장애상태나 장래 희망 학부모의 요구를 많이 고려하는 등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중시하고 있으며 이론보다 실습 위주의 교육을 중시하 고 있다. 또한 직업위탁교육을 통해 직업교육 전문가 및 지역사회 기관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둘째, 직업 위탁교육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지만 장애학생 개인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실시하기 어렵고 직업위탁교육기 관 및 강사가 부족하며 지역사회 자원과 연계된 현장실습이 부족하다. 따라서 장애학생의 직업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개인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지역사회 자원과 연계할 수 있는 현장실습 업 체를 발굴하여 업체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반영할 수 있는 직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장애학생의 직업교육을 위해 특성화 고등학교 시설과 전문 인력의 활용이 바람직하나 이를 위해서는 전문교과 교사의 장애 학생에 대한 낮은 이해도와 비협조, 수업 시수 문제가 우선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특성화 고등학교의 장 애학생을 위한 직업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특수교육에 대한 연수를 강화하고 특수교사와 전문교과 교사들 간의 협력 강화를 통해 전문교과의 통합수업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며 아울러 전문교과 교사가 특수학급의 직업교육에 참여해야 한다. 또한 장애학생의 직업능력평가를 실시하여 장애학생 개개인에게 맞는 직업프로그램을 개발할 필 요가 있겠다.

      • KCI등재

        SWOT 기법을 활용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편 사례 연구

        장민수,이상봉 한국기술교육학회 201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aimed to restructure ◌◌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strategy using SWOT technique in order to meet change industrial need. At the time of this study, the existing curriculum of the ◌◌ Specialized High School has not met the demand of the manpower needed by the industry. To let ◌◌ Specialized High School to find its identify as a specialized high school for engineering and expect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in the long term through the restructuring of curriculum, we first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actual state of management of ◌◌ Specialized High School. Secondly, we conducted a survey and an interview about the school employees and the parents on the restructuring of ◌◌ Specialized High School’s curriculum and the renaming of the courses,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deduced the utilization strategy based on SWO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o be more beneficial for ◌◌ Specialized High School to focus on the restructuring of curriculum that can improve the courses’ specialty and awareness by renaming the courses rather than to completely restructure the current curriculum. In conclusion, despite the fact that it is a small school, it is desirable to be transformed into a characteristic ◌◌ Specialized High School which provides the specialized curriculum of industrial departments to education demanders, and to establish the identity as an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 through the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between departments. 이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지역의 산업수요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SWOT 기법을 활용한 전략을 바탕으로 ◌◌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진행 시점에서 ◌◌ 특성화고등학교의 기존의 교육과정은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 특성화 고등학교가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특성화고등학교로서의 정체성을 찾고 장기적 으로 학교의 발전을 기대하기 위해서 첫째, ◌◌ 특성화고등학교의 운영 실태 와 현황을 분석했고, 둘째, ◌◌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편과 학과명 변 경에 대해 교직원들과 학부모에 대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를 SWOT 기법에 의한 활용 전략으로 추론하였다. 연구 결과, ◌◌ 특성화고등 학교는 현행 교육과정을 전면적으로 개편하기보다는 학과명을 변경하여 학과의 전문성과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개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소규모의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교육 수요자들이 바라는 공업계열 의 특화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학과 간 교육과정의 개편을 통해 ◌◌ 특성화 고등학교가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e-비즈니스 분야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 필요성 분석 : 제천지역을 중심으로

        전용철,황홍익,서인석 한국상업교육학회 2012 상업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학교 특성화는 전략 수립, 환경 분석, 내부역량분석, 실행, 통제가 효율적으로 이루어한다. 공기업, 은행, 대기업의 고졸 취업 확대에 따라 회계, 금융, 국제 통상, 물류, 국제컨벤션, 산업디자인, e-비즈니스 분야 등으로의 특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중에서 e-비즈니스 분야는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선정된 콘텐츠/소프트웨어 산업의 핵심 분야이다. 본 연구는 e-비즈니스 분야 학교 특성화를 위한 교육 필요성 분석연구이다. 첫째, e-비즈니스 분야 업무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특성화고 출신의 현재 업무수행능력보다 미래의 업무수행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사 및 급여 관리, 고객/마케팅관리, 영업 관리, 사무자동 및 정보자원관리, 전략 및 기획 관리에서 중요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즈니스 업무 관리 프로그램 운영 능력 측면에서도 현재 보다는 미래가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현재의 중요도는 사무프로그램이 가장 높지만 미래에는 전사적 자원관리 프로그램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업정보계열 e-비즈니스 교육에서 현재와 미래 모두 자격증 위주의 교육을 지양하고 실습위주의 교육이 기업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특성화고 출신에 대한 신규 인력 채용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은 현재와 미래 모두 적극성 및 성실성이 전공능력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e-비즈니스 분야는 제천지역에서 산업 수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특성화 교육과정을 편성 시 전사적 자원관리(ERP)가 강화된 e-비즈니스 분야로의 학교 특성화가 필요하며, 자격증 위주의 교육보다는 실무 능력을 강화하는 교육 내용, 인성교육의 강화에 중점을 두는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rategy-making, environmental analysis, internal capability analysis, execution, and control are effectively conducted in the special and professional schools. The increasing employment for high school graduates in the public enterprises, banks, and conglomerates has spurred all specialized high schools to offer specialized programs such as accounting, finance, international trade and administration, logistics systems, international convention, industrial design, e-business, and so on. Especially, e-business sectors are the core areas of contents& software industry chosen as new growth businesses of key growth engines.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for e-business oriented school specialization. Firstly, the analysis shows that the future performance potential will be more important than the present performance in term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They will also make more contribution in the management of personnel and wage structure, the customer and marketing care, the business control, the office automation and informational resources, strategy and planning. Secondly,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 program in the management of business will be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The office program is highly emphasized in the present. However the program in the total enterprise resources will be focused in the future. Thirdly, the practice-oriented education is more helpful and useful in the interest of businesses instead of focusing on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in both the present and the future. Fourthly, in hiring the new workers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activeness and faithfulness are more importantly considered than one's speciality. In conclusion, e-business related sector holds the high percentage of industrial demand in Jecheon. When it comes to making up a curriculum for the school specialization, a field of e-business reinforced the total enterprise resources are strongly asked. It indicates more emphasis on practical business abil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other than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 KCI등재

        대안교육특성화고등학교의 선택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태와 시사점 탐색

        배지현(Bae Ji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본 연구는 대안교육특성화고등학교의 선택교육과정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고등학 교 선택교육과정 운영에의 시사를 탐색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2014년 현 재 24개에 달하는 대안교육특성화고의 편성된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일반적인 경향 을 도출하고 심층면담 등의 질적 연구를 통해 선택교육과정 운영상의 주요 쟁점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대안교육특성화고에서는 기초, 탐구, 체육·예술, 생활·교양 전 영역에서 ‘학교선택’과 ‘학생선택’을 골고루 운영하고 있었고, 다양한 특성화 과목의 개설과 학생의 과목(종류 및 개수) 선택권 부여를 통해 개방적인 선택교육과정을 편 성하고 있었다. 또 본 연구에서는 선택교육과정 운영과 관련해서 ‘학교선택’, ‘학생선 택’, ‘과목선택권’이라는 주제로 7개의 쟁점들이 도출되었다. 더불어 대안교육특성화 고의 선택교육과정 운영의 실제가 주는 시사로 ① 선택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단위 학교의 의지와 철학의 중요성, ② 선택의 주체와 목적, 대상에 있어 다각화의 전망, ③ 시기별 종합적인 지원 방안의 필요성, ④ 대안교육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보장 및 책무성 제고 등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uggestion to the elective curriculum of high school by analyzing the features of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elective curriculum in Specialized High School for Alternative Education, or SHSAE. For it, this study has abstracted main issues in the implementation of elective curriculum through case study and qualitative analyzation and explored general tendencies of elective curriculum which was organized for SHSAE which numbers up to 24, as of 2014. As for the result, in SHSAE, they had actively organized programs for elective curriculum, allowing the students to select their subjects ―kind and number― and opening various specialized subjects, by various operation of students selection and schools selection in all fields of subjects; basic, inquiry, PE & arts, and life living & liberal arts. And, related to student’s choice, school s choice and students’ rights to choose their subjects, seven main issues on the implementation of elective curriculum are analyzed. Finally, as for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elective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① the importance of philosophy and intention of individual schools, ② prospects on diversification on main agent, object and purpose of choice, ③ needs of generalized supporting for each period?short, medium and long term, and ④ assurance for autonomy on curriculum management of SHSAE.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공업 계열 특성화고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김대들,이병욱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sures to improve the curriculums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rough estimating whether they have satisfied the purpose of the aids and analyzing the related factors. Amo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49 technical high schools which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Among the 49 subjects, 57.1%(28 schools) are reported to be suitable, 36.7%(18 schools) so-so, and 6.2%(3 schools) unsuitable for the curriculums. The curriculum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were mostly associated with the local strategic business. However, many of them implemented the pre-existed curriculums because they didn't reflect the job analysis of the business properly. To establish more effective curriculums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most of all, guides for them should be prepared in its level. Also, mi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of school departments should be made to reorganize the current departments which hinder the specialization in curriculums by government or offices of education. Finally, a conference of government departments on the curriculum establishment should be organiz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가 중소기업청의 해당 소관 산업 분야 및 지원 목적에 부합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별하고, 관련 내용들을 분석하여, 중소기업청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관련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특성화고 전체 계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49개의 공업 계열 특성화고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질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인 자료 분석을 위한 결정표와 자료 분석 흐름도를 개발하였고, 자료 분석 위원에 의해 교육과정 편성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 육성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의 특성화 분야 및 학과 체제 구축 여부에 대하여, 대부분의 특성화고가 중소기업청이 요구하는 지역 전략 산업에 부합하도록 학교 특성화 분야를 선정하고 있었으나, 이와 연계된 학교 인력 양성 목표는 기존의 학교 인력 양성 목표를 그대로 제시하거나 일반 산업의 기능 인력 양성을 위한 목표로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의 일부 학과 및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은 해당 특성화 분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거나, 소수 특성화 관련 교과목만을 교육 내용에 포함시켜 교육과정으로 편성하고 있었다. 셋째, 내실 있는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개선 방안으로 ①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핵심 산업 분야와 특성화고의 중장기 발전 방안과 연계된 맞춤형 특성화 교육과정이 개발·편성되어야 한다. ② 산업 기술 변화에 따라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 실태에 대한 개선 및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③ 중장기적으로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는 학교가 스스로의 자생력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여야 한다.

      • KCI등재

        회계분야 특성화고-전문대학-대학 연계교육운영방안 :안산지역 소재 A전문대학과 B상업계 고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중,노희천,이유선 한국세무학회 2022 세무와 회계저널 Vol.23 No.5

        Since 2017, the government announced various educational policies such as the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Master Plan” and “College Innovation Plan”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such educational policies are limited to the promising field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xcluding vocational education in the accounting field. Although both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olleges are institutions aiming for vocational education, more than half of the graduate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which is 64%, enter Colleges or universities. Suppose education to train professionals through articulated curriculum cooperation with a four-year university course is provided. The employment age will decrease, and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vocational education will increase while satisfying the desire of the students to enter universities. In particular, recent government polici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regarding colleges allow the graduates to earn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for specific technical fields. Through the cooperation of advanced educational institutions, building an advanced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n the accounting field will be a foundation for training professional accounting officers. This study will present an articulated vocational education model in the accounting field to specialized high schools, colleges, and 4-year course universities. Such an articulated model enables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to simultaneously gain industrial work experience and improve workability through one learning process in which they work and study simultaneously.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expertise of the accounting industry in general by training human resources and enhance the expertise in the accounting industry itself.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on articulated curriculum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current state of the curriculums of commercially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ccounting-related certificates. The analysis is compared with the study made by Yoon Woo-young and Lee Tae-jung (2019) on a qualification-based curriculum to propose an articulated curriculum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train highly skilled professionals. The research aims to be the cause to establish articulated curriculums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hopes to spread not only to the accounting field but also to all fields of 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2017년부터 정부는 4차 산업혁명에 따라 [평생직업교육마스터플랜]과 [전문대학혁신방안] 등 직업교육 및 전문대학에 대한 다양한 교육정책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제시된 교육정책은 4차산업 유망분야에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어 회계분야 직업교육 정책은 부재한 상황이다. 특성화고등학교는 직업교육을 목표로 하는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졸업생 중 64%가 대학진학을선택하는 현실에서 특성화고등학교와 전문대학 그리고 4년제 대학까지의 직업교육의 연계를 통하여 내실 있는 직업인을 양성하는 교육을 제시한다면, 청년층의 입직연령을 낮추는 동시에 직업교육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면서 특성화 고교생의 대학진학 욕구를 동시에 해소 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특히 근래의 정부정책은 전문대학에서 특정 기술 분야에 대하여 학사학위와 석사학위과정까지 설치할 수 있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바, 현재 운영되는 고등교육기관의 협력을 통해 회계분야의 고등직업교육체계를 구축한다면, 회계분야에서 종사하는 전문 회계인력의 양성 및직무능력향상을 도모하여 회계산업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와 전문대학 그리고 4년제 대학으로 연계되는 회계분야 직업교육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계모형은 상업계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일과 학업을 동시에수행하는 일학습병행을 통하여 산업체 근무경력과 직무능력의 향상을 동시에 증진 시킬 수 있도록하는 동시에 회계분야의 고숙련인재를 양성하게 함으로서 회계 산업 전반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연계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특성화고등학교의상업계 학과 교육과정 및 회계 관련 자격증 현황을 분석한 후 윤우영과 이태정(2019)이 제시한 자격기반 교육과정 연구를 기반으로 고숙련 실무형 전문기술인재 육성을 위한 특성화고-전문대학- 대학의 연계체제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우리는 본 연구가 고교와 전문대학 및 대학 간 연계교육의 시발점이 되며, 회계분야 뿐만 아니라 직업교육 전반에 걸쳐 확산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특성화고 학생의 학교교육 만족도와 교육 요구 및 진로 계획에 대한 연구

        안재영 한국기술교육학회 201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9 No.3

        This study to analyze awareness,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VHS) students about SVHS education, and career planing for students in SVHS.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students in 151 SVHS, 752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main reason for students to enter a SVHS was that ‘it increased the chance of employmen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school life and subject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s were higher as their major suited their aptitude properly. Second, the students said that specialized subject class helped them to develop capability in their major area, general subject class helped them to improve their basic academic skills, and career education helped them to explore their career path. They preferred work-based class for specialized subject teaching method and project-type class for general subject teaching method the most. Third,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vocational guidance and career guidance. Among the students in SVHS, 66.9% (employment or employment and high education at the same time) desired for employment. However, students were unaware of the career path in the world of vocation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orm performance evaluation and promotion system of SVHS for improving the awareness of SVHS, reinforce social polic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by high school graduates, operate future-oriented vocational guidance, reinforce constructive teaching and learning, and reorganize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s.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재학생의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고 특성화고 교육에 대한 요구 및 진로 계획을 분석하여 특성화고 운영 방향 및 정책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특성화고 151개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752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특성화고 진학의 가장 주된 이유는 ‘취업에 유리해서’였다. 학생들은 대체로 학교생활과 학과에 만족하였고 전공과 적성․소질과의 부합 정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들은 전문교과 수업이 전공 분야 능력 함양에, 보통교과 수업이 기초 학력 향상에, 진로교육이 진로 탐색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전공과 적성․소질과의 부합 정도가 높을수록 높았다. 그리고 전문교과 수업 방법으로 현장기반형 수업을, 보통교과 수업 방법으로 프로젝트식 수업을 가장 선호하였다. 셋째, 특성화고 학생들은 취업지도와 진로지도에 대체로 만족하였으며 전공과 적성․소질과의 부합 정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특성화고 학생들의 66.9%(취업, 취업 및 진학 병행)가 취업을 희망하였고 전공과 적성․소질과의 부합 정도가 높을수록 취업 희망이 높았다. 그러나 고등학교 졸업 이후 직업세계에서의 성장 경로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었고 전공과 적성․소질과의 부합 정도가 높을수록 성장경로에 대한 인지 정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터한 제언으로 특성화고 인식 개선을 위한 특성화고 성과 평가 및 홍보 체계 개편, 고졸 취업의 질적 제고를 위한 사회 정책 강화, 미래 지향적인 취업지도 운영,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강화, 중학교 진로교육의 개편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특성화의 성격과 과제

        이규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특성화와 관련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실태를 검토하고 특성화의 성격, 학교 교육과정의 제도 안에서의 실시 가능영역과 과제들을 분석하였다. 학교 교육과정의 특성화는 학교 교육과정 결정권의 확대와 함께 학교에서 학생들의 능력과 적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설계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제7차 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지역 및 학교의 자율성 확대’라는 명시적 지침의 성격에서 다양화된 학교 교육과정의 모색을 통해 교육과정의 특성화가 추진되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의 특성화는 독특한 문화를 지닌 개별학교의 문화가 반영되어 학교마다 다양한 교육과정을 갖게되는 장점이 있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서 학교 교육과정의 특성화를 이룰 수 있는 영역은 교과외 교육과정 영역이다. 초‧중등학교에서는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특성화 교육과정을 편성할 수 있다. 교육과정의 특성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과 학교 교육과정간의 적절한 유지,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발, 교사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충분한 특별실의 확충, 다양한 학교 모델 개발, 재정적 지원의 확대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대두되었다. We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 about curriculum particularization and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applicable fields and problems in the education system through this study. Curriculum particularization is obtained by expanding the decisive power for curriculum and designing curriculum that considers students abilities and aptitudes. Curriculum is also forced by searching for diverse curriculum with the guide, expansion of region and schools autonomy for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7th curriculum. This specializ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has a such merit that each school, influenced by unique culture of its own, will equip with various and numerous curriculums, and areas outside of previous subjects are also feasible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Such specialized curriculums can be composed around cultural subjects from elementary school to junior high. In order to bring it to reality, diversity of curriculum, improvement on textbooks, a system of training instructors, expans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y rooms, development of various school models, possession of expertised instructors, financial support are today\ s homework for us. Also, such effort to balance between the government\ s and schools\ viewpoint are needed, and instructors\ meetings or research groups that study curriculums should be backed up to develope various specialized educational curriculums through active researches.

      • KCI등재

        대안교육 특성화중학생의 학교선택동기, 특성화수업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문소윤,엄우용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maine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justment on the relationships among motivations in school choice, satisfaction on specialized curriculu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alternative education specialized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04 students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specialized middle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14 students of the school to expand and deepen implications from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utonomous 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in school choice, and satisfaction on specialized curriculum had no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cond, autonomous motivation in school choice and satisfaction on specialized curriculum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of the students. Third, school adjustment of the students had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urth, the result showed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justment on the relationship not only between autonomous motivation in school choi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ut also between satisfaction on specialized curriculu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Results proved that there was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justment on relationships among the autonomous motivation in school choice, the satisfaction on specialized curriculum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specialized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also proved that school adjustment wa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school adjustment of specialized middle school students in alternative education. In addition, active support from school is needed to promot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본 연구의 목적은 대안교육 특성화중학생의 자율적 학교선택동기, 타율적 학교선택동기, 특성화수업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D광역시에 소재한 A특성화중학교 재학생 1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이 결과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14명의 대안교육 특성화중학생을 인터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교육 특성화중학생의 자율적 학교선택동기, 타율적 학교선택동기, 특성화수업만족도는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 둘째, 대안교육 특성화중학생의 자율적 학교선택동기와 특성화수업만족도는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안교육 특성화중학생의 학교적응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대안교육 특성화중학생의 자율적 학교선택동기와 특성화수업만족도가 학교적응을 매개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안교육 특성화중학생의 경우 자율적 학교선택동기, 특성화수업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가 있고, 학교적응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대안교육 특성화중학생의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학교의 적극적인 조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운영 현황 및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윤인경,장명희,이현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he Nursi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by researching on operation,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of the program of Nursing.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he Nursing-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is study has analyzed previous existing studies, Link of School info, Educational Statistics and data indicating establishment, operation and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which have been collected from web sites of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relevant to Nurse Educ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year 2016, out of a total of thirty eigh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in the country, 6.4% of the schools have nursing educational programs. These schools have established the programs under various names, such as Health Nursing, Dental Health Nursing, Nursing, Nursing and Medical Tourism, Accounting in Nursing and Nursing Management, etc. Since 2012, enrollment rates have increased while post-graduation employment rates have decreased, with the average employment rat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ving reached up to 46% by 2015. 2) The Nursing-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ims to create skilled Nurses Assistant such as Nurse Aide and Care giver. The program is successful in providing necessary courses to acquire required certification and proficient field experience but requires revisional changes in order to create a long-term program of sufficient qualification. The official requirement of 780 hours of field practice was completed during the three educational breaks from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to the second year, while the curriculum was conducted separately in the field hospitals. 3) An average of two laboratory classrooms were available based on the facility requirement standard of Cities and Provinces Educational Policies. In order to secure proficient instructors of Nursing education, establishment of specific indicated subjects, regional placement, in-service education, research and supervision are essential for establishing excellence and continual improv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는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육의 운영 현황과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육환경 등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간호과 교육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방법은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학교알리미, 교육통계연보 등 간호관련 학과 개설 및 운영 현황 자료, 학교 교육과정, 각 기관 및 협회의 홈페이지에 소개된 공시 자료 등을 수집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6년 1학기 현재 특성화고등학교 중에 간호과를 개설·운영하는 학교는 총 38개교로 전체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약 6.4% 정도이다. 이들 학교는 주로 보건간호과, 치의보건간호과, 간호과, 의료간호관광과. 간호회계 및 간호경영과 등의 명칭으로 개설하였다. 간호과 졸업생은 2012년 이후 취업률과 진학률간의 격차가 좁혀지고 있으며 2015년에는 특성화고등학교 전체 평균 취업률인 46% 수준이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는 인력양성 목표를 간호조무사 양성에 두고 관련 취득 자격으로 간호조무사, 요양보호사 등을 주로 제시하고 있었다. 간호과 교육과정은 자격 취득 요건, 현장 직무 수행에서 필요한 역량과 관련한 과목들을 편성하고 있었으나 간호과 교육과정의 충분성, 자격과 교육과정 편성과의 정합성 등을 검토해야 한다. 법적 요건인 780시간의 현장실습은 주로 1학년부터 2학년까지 3번의 방학을 통해 병의원 현장에서 별도의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셋째, 간호과 교육의 물적 환경은 전공별로 2개 정도의 실습실과 학생 규모를 고려한 시도교육청의 시설설비 기준을 적용하여 비교적 기본 환경을 구축 활용하고 있었다. 인적 환경인 교사 확보는 간호 표시과목이 없음에 따라 표시과목의 개설, 지역별 배치 기준의 검토, 전문성 함양을 위한 연수 및 연구, 장학의 지원을 위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