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임우영 ( Woo Young Im ),안선희 ( Sun Hee Ah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 교사 41명의 학급을 각각 방문하여 자유선택활동 시간 동안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녹화하였고, 유아교사-부모협력에 관한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비디오로 녹화된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각 범주의 행동이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가를 알아보는 빈도사건표집법으로 기록되었다. 분석결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 중에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총 1,083회(41.0%)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은 부정적 상호작용이 총 966회(37.0%)로서 긍정적 상호작용의 빈도보다 약간 낮았다. 비 상호작용은 총 565회로, 전체 21.6%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부모와의 협력은 ``조금 한다`` 에 가까운 것으로 분석되었고, 하위요인별로는 정보공유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경력이 낮은 교사가 부정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였고, 학력이 높거나 경력이 높은 교사가 부모와 협력하는 수준이 높았다.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이 낮을 경우,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빈도가 높았다. 그리고 유아교사가 부모와 협력을 많이 할수록 유아와 부정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eacher-parent partnerships in preschools. The subjects were 41 early childhood teachers at preschools in Seoul.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reporting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eacher-parent partnerships. Interactions between teacher-child were obtained through observations during self-selected activities in the preschool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corre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teractions with children and they were relatively cooperative with children`s mot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eacher-parent partnerships in terms of teacher`s job experience, educational levels, and the number of teachers in the classroom. In additi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parent partnerships. Teachers who had more contacts with mothers were less likely to have negative interactions with children in the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s need to use teacher-parent partnerships in a preschool setting.

      • KCI등재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병렬다중매개효과

        탁정화(Jeonghwa Tak)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그릿,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릿이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유아교사 260명을 대상으로 그릿,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ayes(2013)의 PROCESS macro의 병렬다중매개모형 검증방법(Model 4번)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그릿,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4점 이상으로 높은 수준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 그릿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병렬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며, 그 중 언어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정서적 상호작용을 제외한 언어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그릿,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 증진을 위한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verified whether the effect of grit on teaching efficacy was mediated by various variable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Metho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namely Pearson’s correlations using SPSS 25.0. Furthermore,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effect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3.4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grit,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higher than the median points. Second, teachers’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teacher efficacy. Results from testing a parallel multiple mediator model indicated that linguistic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teacher efficacy; linguistic interaction had the largest indirect effect, while emotional interaction had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 Conclusion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present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백영숙,강병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reativity in the effect of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s peer pla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92 childcare teachers and 1168 5-year-old young child in charge of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Gwangju, and Jeollanam-do. The study schedule was 3 weeks for the preliminary survey, and 4 months for this survey, including the suspension of participation and the period of additional acquisition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of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 teaching creativity, and young child peer play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of the childcare teach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young child peer play interaction, and the teaching creativity was added to the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 of the childcare teacher, and thus a more meaningful effect on the young child peer play inte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 parameter affect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of a childcare teacher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explains the young child peer play interaction of infants, but the influence of the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 on the child’s peer-to-young child interaction when teaching creativity is added to the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 is better explaine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variable.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peer play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it is implied that teacher education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 as well as th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is necessary.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경기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지역에서 어린이집 만 5세 담당 보육교사 292명과 만 5세 유아 116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일정은 예비조사 3주, 본 조사는 코비드 19 상황으로 인한 참여 중단과 추가확보 기간을 포함하여 4개월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수창의성,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되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교수창의성이 더하여져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보다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지만,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교수창의성이 더해질 때 유아의 또래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잘 설명하는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 뿐 아니라 교사의 교수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위한 코칭접근

        도미향,이소희,강경자,김주아 한국코칭학회 2012 코칭연구 Vol.5 No.1

        최근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였다.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교육기관이라는 하나의 상황에서 이루어지게 되면서 보육교사나 유아의 특성 혹은 교육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일련의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보육교사의 언어적 관여수준과 보육교사의 민감한 반응은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빈도를 증가시킨다. 이처럼 보육교사는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개별 유아에 관한 많은 정보를 얻어 유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다. 이러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많은 연구결과들에 의해 알 수 있다.이러한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부분을 기존의 코칭관련 서적과 연구를 통해 어떻게 이론적으로 접근할 것인지와 교사-유아상호작용 코칭의 실천적 접근 방법 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바람직한 교사-유아 간 의사소통을 형성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 개선을 위한 교사교육, 교사-유아상호작용코칭이론 정립 및 교사-유아코칭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육에 관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At this moment that childcare is moving from family to daycare center for infants duento the entry of women in public affairs and free childcare services, it is urgent for us tonimprove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young children. Especially,n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Therefore, many programs are being developed forn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young children because the interaction takesnmuch parts in the indicators of childcare center’s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Althoughnthere is research showing that coaching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nchildcare teachers and children’s self-esteem, there isn’t interaction including coachingnprograms at all. For the improvements of quality of childcare and the inner developmentnof childcare teachers and young children through coaching program, the purpose of thisnstudy seeks to coaching approach in teacher-child interactions.

      • KCI등재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오현미(Hyunmi Oh),이유미(Youme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사회적 기술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7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유아 1,203명과 그들의 담임교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기술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을 제안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skill and aimed to lear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and their social skill. Methods: Materials of the 7th year Korean Children’s Panel (2014)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sed in the study. The subjects included 1,203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7th year survey and their homeroom teachers. Collected data underwen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23.0 and AMOS 22.0. Results: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ocial skill; (2)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3) teacher-child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ocial skill; and (4) teacher-child interaction partly mediated in the effect of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on their social skill. Conclusions: The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and their social skills. Therefore, the authors proposed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 유아기질에 따른 차이 검증

        심숙영 ( Shim Sook Young ),임선아 ( Lim Sun A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사효능감 그리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관계를 규명할 뿐 아니라, 유아의 기질의 정도에 따라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5차년도(2012) 데이터 중, 922명의 유아의 어머니와 담임교사가 답한 조사 문항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유아상호작용은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높으면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으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상호작용을 통해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유아의 기질(사회성, 정서성, 활동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한 결과, 유아의 기질(사회성, 정서성, 활동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기질에 상관없이 교사효능감이 높은 경우 교사와 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높아지고 교사와 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높으면 유아의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이 높아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ccording to child temperament.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922 samples` answer items which children`s mothers and their teachers responded on and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 efficacy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peer play interaction. Second, teacher efficacy did no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eer play interaction, but teacher efficacy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peer play interaction, mediating by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ly,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 efficacy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peer interaction via teacher-child interaction regardless of the levels of child`s temperament(sociality, emotionality, and activ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송민영 ( Song Minyoung ),류성연 ( Ryu Sungyeon ),이뿐새 ( Lee Bbeunsa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행복감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와 세 요인의 관계에서 교사의 상호작용이 매개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PSKC) 7차년도 데이터(2014)의 만5세 유아 1,203명과 해당 유아가 다니는 육아지원기관의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SPSS 23.0, SPSS macro,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행복감은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또한 교사 행복감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매개적인 역할을 하여 본 연구의 구조모형은 완전매개모형임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가 느끼는 행복이라는 감정은 교사의 상호작용이라는 교수활동의 질을 향상시키며, 이는 다시 유아의 사회적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 향상을 촉발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것과 그에 따른 상호작용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결론에서는 이를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child interactions, teachers` happiness, and child-peer play interaction. For this study, analyzed the seven wave(2014)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and the subjects were 1,203 children and their teacher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with SPSS 23.0, AMOS 21.0, SP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ppines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peer play interaction of children, however it had a 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teacher-child interactions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happiness and child-peer play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mprove the teachers`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order to boost social skills of children like interaction. Therefore, society should formulate support plan and policies for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happiness, and teachers` should also make efforts to promote happiness,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interaction.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문명화(Moon, Myunghwa)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Mplus 6.0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로분석이 이루어졌고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놀이상호작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유능감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놀이상호작용은 사회적 유능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결과, 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사회적 유능감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놀이상호작용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놀이상호작용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놀이상호작용과 같은 대인관계 변인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efficacy, teacher-children interaction, peer play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r this, data from the 7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were us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Mplus 6.0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First, a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efficacy has a direct effect on th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and has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competenc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directly affect social compet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using bootstrapping, it was found that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social compet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educational policy efforts are needed to maximize the expression of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by promoting the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간 다집단 분석

        민미희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peer play interaction, and social competence on the school readiness. The participants were 1,151 5-year-old preschoolers(595 boys, 556 girls) taken from the 7th year of the PSKC.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reated. In addition multi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child interaction, peer play interaction, and social competen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school readiness. Second, through social competence as a mediator,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influenced school readiness. Finally,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peer play interaction, and social competence to improve school readiness.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경로에 남녀 유아간 차이가 있는 지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데이터의 만 5세 유아 1,151명(남아 595명, 여아 55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SPSS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고 AMOS프로그램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은 학습준비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또래 놀이상호작용은 사회적 유능감을 매개하여 학습준비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상호작용,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경로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또래 놀이 상호작용이 학습준비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데 반해 여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분석 결과 남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반해 여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학습준비도에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의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학교전이 적응을 위한 부모교육 및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영경,최선녀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eaching efficacy on peer interaction and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Participants were 1,017 preschooler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Major ficings were as follows. First, Teaching efficacy showed direct effect on peer interaction. That was the more teachers have teaching efficacy, child showed the more positive play interaction, less play disconnection and disturbance. Second, Teaching efficacy showed 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at was the more teacher have teaching efficacy, teacher and child showed the more positive interaction. Thild, Teacher-child interaction showed direct effect on peer interaction. That was the more teacher and child showed positive interaction, child showed the more positive play interaction less play disconnection and disturbance. Forth, Teacher-child interaction showe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Peer interaction. This research suggest the importance of teaching efficacy and need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eaching efficacy. 본 연구는 유아교육·보육기관에 다니는 유아들이 증가함에 따라 중요성이 부각된 교사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적 역할을 통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PSKC) 5차년도(2012) 자료를 사용하였고, 연구를 위하여 SPSS 18.0과 Amos 16.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로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상호작용이 교사와 유아에게 의미 있는 행동임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