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광폭 플랜지 PSC 거더 단부 프리캐스트 블록을 활용한 반일체식교대교량의 구조성능 평가

        가훈,최진우,김영호,박종면 대한토목학회 202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2 No.1

        반일체식교대교량은 일체식 교대교량의 한 형식이다. 이 교량은 상부구조에서 신축조인트를 제거한 것으로 완전일체식 교대교량이 적용하지 못한 상황에 사용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 성능이 우수하고, 하부구조를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교대벽체의 일부를 PSC 거더의 단부 벽체형 블록 형태로 제작한 반일체식교대교량에 대한 것으로, 온도신축에 따라 종방향 이동에 저항 역할을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활용한 PSC 거더이다.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는 거더 단부에 프리캐스트 블록을 일체 타설하여 제작하며, 교대벽체 위에 단순거치한 후 무수축 콘크리트와 합성하는 방식으로 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하실험을 통해 구조계산한 결과에 비교하고자 하며, 나아가 실제 시공된 반일체식 교대교량의 토압 및 상부구조 변위 계측하여 이를 분석을 통한 구조성능 평가하였다

      • KCI등재

        교대근무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 및 수면의 매개효과

        정희주,공지숙,김미경,김석현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1 정신신체의학 Vol.29 No.2

        Objectives:Shift work has been known to cause various health problems by making it difficult for humans to adapt to their natural circadian rhythms. In particular, shift workers tend to complain of sleep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work schedules, and sometimes use alcohol as a self-medication to induce sleep. To date, no clear mechanism has been identified regarding the link between shift work and sleep, between shift work and drinking.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sleep, and to analyze whether the change in sleep caused by shift work causes drinking. Methods:This study included 11360 people (5704 men and 5656 women) amo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in 2014, 2016 and 2018. The work type between 6am-6pm was defined as day work, and other work types were defined as shift work.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sleep quality, shift work and high risk drinking, drinking amount at 1 time, drinking frequency were analyzed. In addition, we analyzed whether sleep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drinking using mediated analysis. Results:Shift work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leep quality in men and women (male OR=1.37, 95% CI 1.11-1.70, female OR=1.26, 95% CI=1.05-1.50).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alcohol in the case of men, but in the case of wome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the number of alcohol consumption (OR=1.34, 95% CI=1.04-1.72). When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t was found that women's sleep qua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the frequency of drinking. Conclusions: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hift work causes sleep difficulties, and in the case of women, drinking can be induced through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leep. Considering that women are more likely to choose drinking as a coping method for sleep problems, more active interventions for female shift workers are needed. 연구목적: 이전 연구에 따르면 교대근무는 인간의 자연적인 일주기 리듬에 적응하기 어렵게 만들어 각종 건강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교대근무자는 근무 일정과 연관된 수면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알코올을 수면유도를위한 자가약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까지 교대근무와 수면 및 음주와의 관련성에 관한 명확한 기전이밝혀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대근무와 수면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교대근무로 인한 수면의 변화가 음주를 유발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이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제7기 자료 중 2014, 2016, 2018년도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1360명(남성 5704명, 여성 5656명)을 연구대상인원으로 포함시켰다. 6 am-6 pm사이의 근무형태를 주간근무, 이외의근무형태를 교대근무로 정의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교대근무와 수면의 질, 교대근무와 고위험음주, 음주량 및 음주 횟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매개분석을 통하여 수면이 교대근무와 음주의 관계를매개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 과: 교대근무는 남성과 여성에서 수면 질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남성 OR=1.37, 95% CI=1.11-1.70, 여성OR=1.26, 95% CI=1.05-1.50). 교대근무와 음주와의 관계에서는 남성의 경우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성의 경우 교대근무와 음주횟수에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OR=1.34, 95% CI=1.04-1.72). 매개분석시행 시 여성의 수면 질은 교대근무와 음주횟수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는 교대근무가 수면의 어려움을 유발하며, 여성의 경우에서는 수면의 부분매개효과를 통해음주를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여성이 수면장애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음주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점을고려할 때, 여성 교대근무자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중재방안이 마련된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액티비티 트래커를 활용한 교대근무자와 비교대근무자의 신체활동과 수면 분석

        권영문(KwonYoungmoon),오수학(OhSuhak)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자의 건강 문제 개선을 위해 교대근무자의 신체활동과 수면의 특성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교대근무자(간호사, 경찰관), 비교대근무자(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타당성이 검증된 액티비티 트래커를 활용하여 7일 동안의 신체활동과 수면을 세밀하게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동일한 기간에 대한 다양한 신체활동과 수면 설문 결과와 비교 및 관계 분석을 했으며, 일반적인 근무환경에서 근무하는 비교대근무자의 결과와 비교를 통해 교대근무자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교대근무자는 근무 일정으로 인해 심각한 신체활동과 수면의 불균형을 이루고 있었으며, 액티비티 트래커로 측정한 수면 시간은 교대근무자의 신체활동과 관련성이 가장 높았다. 대표적인 수면 변인인 평균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은 교대근무자와 비교대근무자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면규칙성점수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교대근무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신체활동과 수면의 불균형을 줄일 수 있는 교대근무 일정의 수정과 교대근무자에게 적합한 신체활동과 수면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며 다양한 교대근무 직업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activities and sleep characteristics of shift workers in detail to improve their health problems. Seven days of physical activity and sleep were measured using a validated activity tracker for shift workers (nurses, police officers) and non-shift workers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measurements we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various physical activities and sleep survey results for the same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ift worker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the non-shift workers working in a general working environment. Shift workers were showing severe imbalance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sleep due to their working schedule, and the sleep duration of the shift workers measured by the activity tracker showed that it is highly related to the workers’ physical activities. The typical sleeping factors, the average sleeping time and quality of sleep, didn’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shift workers and non-shift workers, but the sleep regularity score showed distinguished difference. In order to solve the health problems of shift workers, it is necessary to modify schedule of shift-workers to reduce the imbalance between their physical activities and sleeps, develop an evaluation instrument to come up with proper physical activity and sleep for shift workers, and do constant research on various shift-work jobs.

      • KCI우수등재

        교대근무 간호사의 식행동 변화: 종단연구

        김소연,최스미,기지선,류재금,백지현,김경숙 간호행정학회 2022 간호행정학회지 Vol.28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대근무 기간에 따른 교대근무 간호사의 식행동 변화를 조사하고 식행동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간호사의 건강과 이직(Shift Work Nurses’ Health and Turnover, SWNHT) 코호트 연구를 원자료로 한 2차 자료 분석연구(secondary data analysis)로, 연구대상은 세 시점[교대근무 전(T0), 교대근무 6개월 뒤(T1), 교대근무 18개월 뒤(T2)]에서 추적 조사된 교대근무 간호사 165명이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식행동, 스트레스, 피로, 우울, 신체활동량이 조사되었으며, SPSS 2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반복측정분산분석 및 일반화추정방정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대근무 간호사의 식행동은 T0에 비해 T1과 T2에서 부적절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추정방정식 회귀분석 결과, 교대근무 기간, 스트레스, 피로, 우울이 교대근무 간호사의 식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대근무의 시작과 함께 간호사들의 식행동이 부적절해지며, 근무기간이 경과함에도 부적절한 식행동이 지속됨을 의미한다. 교대근무 기간, 스트레스, 피로, 우울은 교대근무 간호사의 식행동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식행동 개선을 위해 간호사들의 스트레스, 피로 및 우울을 완화하기 위한 개인적, 그리고 조직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야간전담간호사와 3교대간호사의 표준 교대근무 지표(Standard Shiftwork Index) 차이

        김정희,김명숙,김연희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working status and Standard Shiftwork Index (SSI) between night shift-fixed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367 nurses working as registered nurses at 7 different medical institu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8, 2016 to September 30, 2016. Results: Night shift fixed nurses were more satisfied with work schedule than rotating shift nurses. Rotating shift nurses reported higher SSI scores, such as chronic fatigue, musculoskeletal problems, than night shift fixed nurses. In SSI‘s sub-items, rotating shift nurses reported higher scores, such as the amount of sleep, feeling well after sleep, heartburn or stomach-ache and heartbeat irregularities, than night shift fixed nurs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night shift fixed system might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nurses’ work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any suitable night shift fixed syst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ursing organization. The SSImight be an useful tool tomeasure the nurses’ satisfaction in reference to their work shift. 목적: 본 연구는 야간전담간호사와 3교대근무간호사의 근무 현황을 파악하고, 표준교대근무지표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방법: 2016년 8월 8일부터 9월 30일까지 야간전담제도가 있는 7개 의료기관의 36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결과: 야간전담간호사가 3교대간호사보다 근무만족도가 높았다. 야간전담간호사와 3교대간호사의 표준교대근무지표의 비교에서 만성피로와 근골격계 문제가 3교대간호사가 더 높게 나타났다. SSI의 세부 항목 중 수면 양, 수면 후 잘 쉰 느낌, 속쓰림, 심장박동이 불규칙 증상이 3교대간호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 야간전담간호제도는 교대근무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야간전담근무제도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교대근무와 야간근무의 단점을 보완한 조직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표준교대근무지표(SSI)는 3교대간호사와 야간전담간호사의 차이를 비교하기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측방유동지반상 말뚝기초교대의 측방이동 평가

        홍원표(Hong Won Pyo),이광우(Lee Kwang Wu),조삼덕(Cho Sam Deok),이재호(Lee Jae Ho)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27 No.5

        국내현장에서 수집된 43개 교대의 측방이동 실측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말뚝기초교대의 측방이동을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실측된 교대측방변위를 고려하여 연약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와 교대배면에 작용하는 상재압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대 배변의 뒤채움으로 인한 상재압이 연약지반 비배수전단강도의 3배보다 작은 경우에는 실측된 교대변위가 국내 교대의 측방이동 허용치인 15㎜ 이내인 것으로 나타나, 교대 유지관리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상재압이 연약지반 비배수전단강도의 3배~8.3배인 경우는, 교대변위가 15㎜~50㎜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경우 교대의 측방이동을 고려한 설계를 수행함으로써, 교대 측방변위를 허용치인 15㎜ 이하로 감소시켜야 한다. 특히 상재압이 비배수전단강도의 8.3배 이상이면, 50㎜ 이상의 심각한 교대변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교대 측방이동 대책공법이 강구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재압과 비배수전단강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사면지반의 안정수를 이용하면 측방유동지반상 말뚝기초교대의 측방이동 가능성을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측방유동지수와 측방이동판정지수는 교대 실측변위 및 사면안전율과 상관성이 높지 않았다. 이는 경험지수만으로 교대의 측방이동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대를 포함한 사면의 안정수가 3보다 크면, 교대기초말뚝의 사면안정 기여효과와 교대의 허용측방변위를 반영한 사면안정해석을 통해 교대 측방이동 여부를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Field monitoring data for forty three piled bridge-abutments were investigated to suggest an evaluation method on lateral movement of the abutments. A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f the surcharge pressure by backfills behind the piled-bridge abutment is less than 3 times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the soft grounds,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abutments was within 15 ㎜. Therefore, the abutment can be maintained without any problems because the abutment will move laterally within an allowable movement range. However, if the surcharge pressure is between 3 times and 8.3 times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the soft grounds, the abutments moved laterally between 15 ㎜ and 50 ㎜. In this case,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abutment should be considered on the design because the displacement may be considerable. Moreover, if the surcharge pressure behind the abutments is greater than 8.3 times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the soft grounds,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abutments could be more than 50 ㎜. In this case, a reasonable countermeasure should be applied to prevent excessiv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abutment, or the design of the abutment should be changed because the lateral movement is severe enough to severely damage the abutment. In tum, the stability number, which is the ratio of the surcharge pressure to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can be used as the simplified empirical index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lateral movement of abutments. However, both the lateral flow index and the lateral movement judgement index do not always show good relationship with not only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abutments but also the safety factor of slopes. Therefore, It is not always suitable to predict the lateral movement of abutments by using only conventional empirical indexes. These empirical indexes should be used together with the safety factor of slope with consideration of the allowable limit of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abutment.

      • KCI등재

        일체식 교대 교량의 파일-교대 연결부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상효(Kim Sang-Hyo),윤지현(Yoon Ji-Hyun),안진희(Ahn Jin-Hee),이상우(Lee Sang-Woo)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9 No.6A

        본 연구는 일체식 교대 교량의 파일-교대 연결부의 거동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체식 교대 교량 연결부의 강체거동을 위하여 교대에 매입된 파일(H형강)에 관통철근을 배치한 형태, 스터드 전단연결재를 설치한 형태의 두 가지의 파일­교대 연결부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파일-교대 연결부의 거동 평가를 위하여 제안된 연결부가 설치된 파일-교대 축소모형 시험체와 일체식 교량 설계지침에서 제시한 연결부가 설치된 파일-교대 축소모형 시험체를 제작하여 하중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하중재하시험 결과, 모든 시험체에서 탄성영역 내의 초기강성은 일반적인 일체식 교대 교량에 적용이 가능할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항복 이후 강성과 하중저항 성능, 균열진전양상, 회전 강성 및 지압강도 측면에서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파일-교대 연결부 방식이 일체식 교대교량의 파일 연결부의 강체거동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dealt with the behavior of pile-abutment joints in integral abutment bridges. Two types of pile-abutment joints were proposed to strengthen its rigid action. One was fabricated with transverse rebars which penetrated the H-pile in the abutment. The other was composed of stud shear connectors on the flanges of the H-pile. Three half scaled pile-abutment joint specimens were fabricated and loading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behavior of proposed joi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itial stiffness in elastic region of all specimens was sufficient to be applied for the integral abutment bridges. However, the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joints were shown to be more effective in rigid action compared to the joints types suggested by the integral Bridge Design Guideline. The results from stiffness, strength, rotation and crack propagation tests supported this matter.

      • KCI등재

        PSC 일체식 교대 교량의 거동특성 평가

        안진희(Ahn Jin-Hee),윤지현(Yoon Ji-Hyun),김상효(Kim Sang-Hyo),김준환(Kim Jun-Hwan)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30 No.4A

        일체식 교대 교량은 신축이음장치 및 교좌장치가 없이 하부구조와 상부구조를 일체화한 구조형식으로, 상부구조의 온도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을 교대하부에 배치한 파일의 휨 변형을 통하여 해소하는 교량형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파일 상호관계 모형화 방법에 따른 일체식 교대 교량의 거동비교를 통하여 합리적인 모형화 방법을 제시하고, 매개변수 해석을 통하여 일체식 교대 교량의 상부구조 및 파일의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매개변수 해석을 위해 파일 관입부 지반조건, 교대 높이, 파일 길이를 매개변수로 선정하였고, 지반-파일 및 온도변화-교대배면토압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지반-파일 상호관계 모형화에 따른 일체식 교대 교량의 거동을 비교한 결과 탄성지반스프링 방법이 일체식 교대 교량의 거동을 평가하는데 보다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일체식 교대 교량의 매개변수 해석 결과 파일 관입부 지반강성이 증가할수록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증가하고 파일의 변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교대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교대배면토압이 증가하고 이것이 상부구조 및 파일의 거동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으며, 파일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일체식 교대 교량이 유연한 거동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Bridges constructed without any expansion joint or bridge bearing are called integral abutment bridges. They integrate the substructure and the superstructure. Possible deformation of the superstructure,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for example, is prevented by the bending of the piles placed at the lower part of the abutment. This study examines the behavior of integral abutment bridges through soil-pile interaction modeling method and proposes an appropriate modeling method. Also, it assesses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superstructure and piles of integral abutment bridges through parametric study. Soil condition around the pile, abutment height, and pile length were selected as parameters to be analyzed.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while considering the interactions of soil-pile and temperature change-earth pressure on the abutment. Comparative behavior analysis through soil-pile interaction modeling showed that elastic soil spring method is more appropriate in evaluating the behavior of integral abutment bridges. The parametric study showed the tendency that as the soil stiffness around the pile increases, the moment imposed on the superstructure increases, and the displacement of the piles decrease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as the bridge height increases, the earth pressure on the abutment increases and that in tum affects the behavior of the superstructure and piles. Also, as the length of the pile increased, the integral bridge showed more flexible behavior.

      • KCI등재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현장인력의 교대근무제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남도기(Do-Gi Nam),김종태(Jong-Tae Kim),신용존(Yong-John Shin) 한국항만경제학회 2010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항만의 경쟁력 확보와 컨테이너 터미널의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교대근무제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교대근무제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종업원에 영향을 미치는 교대제의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컨테이너 터미널에 도입되고 있는 교대근무제 형태의 유형과 일반기업에 비해 터미널 운영사만이 가지는 교대근무제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제 부산항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대근무제 형태를 살펴보고,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교대근무 형태와 생산성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현재의 부산항 각 터미널의 교대근무제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항만의 특성상 고려해야 할 변수가 너무 많고, 처리물량, 선석 수, 종업원 수 등의 변수와 교대근무제의 연관성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산항의 각 터미널은 자가 터미널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교대근무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많은 환경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탄력적인 근무 제도를 추구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현재 컨테이너 터미널들은 교대근무제에서 최대 서비스 제공 수준의 인력을 근무교대조로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지만, 모든 선석에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비율이 10% 미만으로 과다한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입출항 선박의 스케쥴이 변동으로 대기시간이 불규칙하여 근무시간에 적정 노동을 제공하지 못하고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교대근무에 투입되는 종업원의 만성피로 무기력증 등의 안전사고 유발요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터미널 인력의 연장근무 및 초과근무시간을 활용하여 인력을 탄력적으로 활용하여 유휴인력을 감소하고, 터미널간 인력 교류를 활성화하여 인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아웃소싱 인력을 활용하여 인건비를 줄이면서 터미널 이용자의 서비스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체력단련실 제공, 서클활동 지원, 가족참여 이벤트 활성화 등과 같은 교대근무제의 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competitive power in the Busan container terminal. To achieve this, we analyzed the present of the shift pattern in the container terminal, and identified the problems in the pattern. This study shows the issues of shift pattern for field employee in Busan container terminal and also improvement plan to solve them. We suggested two approaches as an effective approach; the flexible use of employees through overtime, use of workers pool among terminals, and outsourcing; the promotion of welfare by leisure, fitness, and community service.

      • KCI등재

        교대근무 간호사의 정신신체사회적 문제에 대한 연구

        강범모,양창국,Kang, Beom-Mo,Yang, Chang-Kook 대한수면의학회 1999 수면·정신생리 Vol.6 No.1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의 심인적, 신체적 그리고 사회적 적응에 대한 교대근무의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방 법 : 299명(교대근무 179, 비교대근무 120)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알맞게 고안된 56항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교대근무는 간호사들의 심인적, 신체적, 사회적 그리고 수면관련 요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대 근무 간호사들의 심인적, 신체적 건강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이 비교대 근무자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부정적이었다. 교대근무 간호사들은 비교대근무 간호사들에 비하여 교대근무와 관련된 사회생활의 장애 및 사회활동의 제한을 호소하고 있었고, 수면과 관련된 장애들을 유의하게 더 많이 호소하고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결과는 교대근무가 정신생리적 기능의 일주기 리듬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교대근무자들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뒷받침 한다. 또한 교대 근무자들은 가족 및 일반적인 사회관계에서 여러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은 교대근무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hift work on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adjustment in nurses. Methods: Two hundred ninety-nine female nurses(179 shift worker, 120 non-shift worker) filled out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fifty-six item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bjective ratings of psychological, physical, social and sleeprelated distresses were assessed with a visual analogue scale(100mm). Results: Shift work exerted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s on all psychological, physical, social and sleep-related variables of the shift work nurses. The subjective perception about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of shift work nurses was significantly negative as compared to that of non-shift work nurses. Shift work nurses complained of more shift work related social dysfunction and limited social activity. Shift work nurses were also suffering from significant sleep difficulties as compared to non-shift work nurs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shift work can exert a negative impact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of nurses as it can cause disturbances of the normal circadian rhythms of the psychophysiological functions, beginning with the sleep-wake cycle. Shift work can also cause difficulties in maintaining the usual relationships both at family and social levels.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we need appropriate coping strategies to overcome adverse effects of shift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