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도 ‘흑구슬’에서 1차지 및 2차지 착생 과실의 특성 및 품질 비교

        박서준(Seo Jun Park),손인창(In Chang Son),정성민(Sung Min Jung),노정호(Jung Ho Noh),김승희(Seung Hui Kim),최인명(In Myung Choi),박교선(Kyo Sun Park)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0 No.2

        본 실험은 포도 ‘흑구슬’ 품종의 l차지 및 2차지에 착생된 포도 품질을 경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2차지 착생 포도의 품질 특성 및 상품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꽃송이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신초당 화 수수는 1차지가 1.1개로 2차지의 0.6개에 비해 많았다. 화뢰수는 2차지가 169.5개로 1차지의 228.8개에 비해 적었던 반면, 착립률이 21.7%로 1차지의 17.4%보다 높았다. 수확기 과실특성을 조사한 결과, 과립중은 1차지 착생 포도가 12.1g으로 2차지의 8.9g에 비해 높았다. 과당과 포도당 함량은 변색기 동안 2차지 착생 포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민개 후 90일부터 감소하여 수확기에는 1차지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산함량은 만개 50일부터 1, 2차지 착생 포도 모두 빠르게 감소하였으나 2차지 착생 포도는 만개 후 70일부터 감소율이 완만해졌다. 과피착색도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2차지 착생 포도가 변색기 중 급속한 증가를 보여 단기간 내 높은 착색도를 보였으나, 1차지 착생 포도는 변색기 초기에 착색장해를 받아 수확기 착색도가 2차지 착생 포도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in order to define the characteristic and quality of the fruits set on primary and secondary shoots in ‘Heukgoosul’ grape. The numbers of flower clusters per shoot were 1.1 and 0.6 in primary shoots and secondary shoots, respectively. The fruits of primary shoot showed 12.1 g of higher berry weight than 8.9 g of the fruits set on secondary shoots.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ruits of secondary shoots during veraison, but the levels gradually decreased, reaching a similar level with those of primary shoot at the harvest stage. The acid content decreased rapidly from day 50 after full bloom in both primary and secondary shoots, but the rate of decrease slowed down from day 70 after full bloom in secondary shoots. Berries of secondary shoots showed rapid increase of skin coloration during veraison and reached a high degree of coloration within a short period when compared with those of primary shoots.

      • KCI등재

        방풍망 차광시설 및 미세살수 처리가 ‘홍로’ 및 ‘후지’ 사과나무의 생육환경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강경진,서정학,윤홍기,서정석,최택용,천종필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8 No.2

        In recent years, the deterioration of fruit quality caused by poor coloration and sunburn disorder has become serious problems in apple market, which is a result of the increase of surface temperature due to the abnormal temperature increase during summer seas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ind net shading and fine water spray using sprinkler on fruit coloration, sunburn damage and overall fruit quality of 'Fuji' and ‘Hongro’ apples. Fifteen sprinklers (7L/hr) were installed at the orchard of the Chungcheo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located in Sinam-myeon Chungcheongnam-do Korea, at a height of 3m above the apple tree of 1.5m x 3.5m north-south direction. Fine water spraying treatment was divided into day time spray (10:00 am to 6:00 pm) and all day spray (10:00 am to 10:00 pm) from early July to 10 days before harvest in 2017 and 2018 season, respectively.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apple fruit, characteristic of fruit, and degree of sunburn damage were investigated. In ‘Fuji’, the fruit surface temperature checked at 2 pm on August 10 was decreased considerably in the day time spray (35.6oC) and wind net (39.0oC) when compared with the untreated control (44.4oC). Similarly, the fruit surface temperature also decreased considerably in the all day spray (35.1oC) and wind net (36.9oC) treatments when compared with the untreated control (46.5oC) in ‘Hongro’ apples. The incidence of sunburn disorde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day time spray (5.0%), all day spray (5.8%) and wind net (7.0%)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23.4%) in 'Fuji' apples. As a results, the treatment of fine water spray and wind net consequently showed 26% and 34% increase of redness (a*) value in the skin color difference, respectively, in ‘Fuji’ apples. 사과 표면의 온도 측정 결과, ‘후지’ 품종에서 무처리구가 44oC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미세살수 처리구가35oC로 가장 낮아 사과의 표면온도를 직접적으로 낮추는데 가장 효과적이었고, ‘홍로’ 품종에서는 방풍망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약 9oC의 온도하강 효과를 나타내었다. 조도 및 광량은 방풍망 처리구가 53.263lx로 무처리구의 90.283lx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오후 시간의 햇볕은 파장이 긴 적색광으로 과실의 품온이 증가하고 광합성량이 증가되는 반면 과실의 호흡량이 증가하여 색소 발현 및 저장양분의 축적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방풍망을 이용한 차광으로 빛의 강도와 온도를 인위적으로 낮추어 광포화점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에서충분한 채광시간과 효율적인 광합성작용을 유도 하는것이 과실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후지’와 ‘홍로’의 최대양자수율 Fv/Fm 값이 다른 처리들보다 무처리구에서 0.74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미세살수, 방풍망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은 광합성 효율을 나타내고 있음을시사하였다. ‘후지’의 일소피해 조사결과 미세살수 처리구는 5%, 방풍망 처리구는 7%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일소발생이 약15% 경감되었고 ‘홍로’의 경우는 미세살수 처리구는22%, 방풍망 처리구는 25%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일소발생이 약 7% 감소하였다. ‘홍로’의 일소피해 발생이 ‘후지’ 에 비해서 높았던 이유는 ‘홍로’가 ‘후지’보다 비대 속도가 빠르며 광을 받는 과실 표면의 면적이 상대적으로컸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착색지수 중 적색도(a*)의 경우 ‘후지’ 품종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미세살수와 방풍망 처리구가 각각 26% 및 34%로 착색향상을 개선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종합하면, 사과 주요 품종에 대한 미세살수 및 방풍망처리는 추후 기후변화로 인인 사과생육기 고온증상으로발생할 수 있는 과실일소 및 착색불량 등 과실품질저해요인을 저감할 수 있는 현장적용이 가능한 기술로 판단되었고, 또한 이로 인한 상품성 증가로 농가 소득증대에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