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조용(Yong Cho),김소영(So-Young Kim),박상현(Sang-Hyu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업무 담당 교사와 교과 담당 교사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중학교에 과정중심 평가가 도입되어 운영하면서 나타나는 성공 요인과 문제점을 찾고, 과정중심 평가가 중학교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내실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의 정책연구학교인 학생평가 선도학교 중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연속 지정된 학교 9개교를 우수사례로 선정하여 운영 사례보고서를 분석하였고, 2022년 10월 7일부터 20일까지 학생평가 선도학교 9개교 중 4개교를 선정하여 학교별 학생평가 담당교사와 학교당 2개 교과의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서울시교육청 학생평가 선도학교의 심층 면담을 통해 (1) 과정중심 평가 인식, (2) 학교의 과정중심 평가의 운영 수준 및 체계 현황, (3) 교과의 과정중심 평가의 운영 현황, (4) 학생평가 선도학교로 과정중심 평가 추진 성과의 한계 (5) 포스트 코로나 시대 내실화 방안 등 다섯 측면에서 이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였다. 또한, 과정중심 평가 운영 보고서를 통해 선도과목별 운영 학년⋅형태⋅학기, 실시 연도, 학기별⋅교과별 평가 영역, 운영 교과별 과정중심 평가의 장⋅단점, 수행평가 100% 운영시(혼합형 포함) 어려움, 과정중심 평가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점, 해당 교과의 성격과 특성에 적합한 과정중심 평가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과정중심 평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명시된 바와 같이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청의 명확한 지침을 바탕으로 학교의 전체적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교사들이 과정중심 평가 관련 연수와 교사 모임(교원학습공동체, 교과협의회 등)을 통해 평가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과정중심 평가의 비율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생과 학부모를 설득하기 위한 홍보가 적극 필요하다. 넷째, 교사의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ways to substantiate process-oriented assessment so that it can be widely used in middle schoo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of work and subjects while introducing and operating process-oriented assessment in middle schools. Methods To this end, among the student evaluation leading schools, which are policy research school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nine schools designated as excellent cases for three consecutive years from 2019 to 2021 were selected and operational case reports were analyzed. Four out of nine leading schools for student evaluation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 evaluation at each school and teachers in charge of two subjects per school. Resul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leading schools in student evaluation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1) recognition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2) current status of operation level and system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3) current status of operation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4) student Opinions on this were identified in five aspects, including the limitations of performance in promoting process-oriented evaluation as a leading school in evaluation (5) internalization plan in the post-COVID-19 era.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operation report, the operating grade/form/semester for each leading subject, the year of implementation, the evaluation area for each semester/subjec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for each subject operated, difficulties in operating 100% performance evaluation (including mixed type) In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rawn by diversifying the points required to vitalize process-oriented evaluation and process-oriented evaluation suitable for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Conclusions Firstly, as specifi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ocess-oriented assessment should be continuously expanded to cultivate students' core competencies. Secondly, if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school is created based on the clear guidelines of the Office of Education, teachers should enhance their evaluation expertise through process-oriented assessment-related training and teacher meetings (teacher learning community, subject council, etc.). Thirdly,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 continuously operate it, publicity to persuade students and parents is actively needed. Fourthly, institutional measures to reduce the workload of teachers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IPA 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지원 요소 탐색

        김은주 ( Kim¸ Eunju ),김은라 ( Kim¸ Eunra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IPA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과정중심평가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살펴보고, 과정중심평가 실행을 위해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요소를 탐색하여 각 과정별 지원 전략 수립 및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B지역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편의표집하여 최종 188부를 설문한 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과정중심평가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피드백 및 결과 기록’이 중요도의 인식 수준과 실행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중요도에서는 연령, 교육경력, 실행도에서는 연령, 교육경력, 연수경험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아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한 항목에는 ‘과정중심평가 실시 및 채점’,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피드백 및 결과 기록’ 영역이 분포,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가 낮아 집중적인 지원을 요구하는 영역으로는 ‘과정중심평가 과제 개발’,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가 낮은 영역은 ‘과정중심평가 채점 기준 개발’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정중심평가 운영의 내실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자료 개발 측면에서 학습자의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 과제로 활용할 수 있는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과정중심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이 확보된 평가 기준 및 방법·절차·도구의 개발· 보급과 더불어 과정중심평가를 드러낼 수 있는 다양한 평가 용어들을 개발해야 하고, 셋째,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연수 과정을 보다 촘촘히 설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degree of process-based assessment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e IPA technique to explore the factors that should be first supported for the execution of process-based evaluation and to establish support strategies for each evaluation process. To this end, 188 elementarcy school teach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importance and perception on the process-based evaluation, the level of ‘feedback and result recording for process-based evaluation' was hig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each variab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experience, training experienc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IPA matrix analysis, in the first quadrant where items that need to be supported continuously due to their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distributed, the areas of ‘execution and scoring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recording of feedback and results of process-based assessment' were distributed. However, the areas requiring intensive support due to their high importance but low level of performance were‘development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tasks', and areas with low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development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scoring criteria'. Based on the results, strategies to establish support for each assessment process such as the development of textbook that can evaluate the learner's process,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evaluation criteria focused on ensuring the objectivity and fairness of the process-based evaluation, development of various evaluation terms that can reveal the process-based evaluation, and the execution of training courses for process-based assessment were proposed.

      • KCI등재

        과정중심평가와 결과중심평가에 대한 예비교사 인식 조사 연구

        안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과정 중심 평가가 학교 현장에서 가장 강력한 평가의 방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상황에서 예비교사들이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해 얼마나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ㄱ교육대학교, ㄴ교육대학교, ㄷ교육대학교, ㄹ대학교의 초등교육과 학생 총 148명이며 이들은 모두 3학년에 재학 중이다. 이들은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설문조사를 구글시트를 통해 참여하였다. 설문은 총 19가지 문항이며 이 중 2개의 문항은 서술형으로 앞선문항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히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은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인식, 과정 중심평가의 목적에 대한 이해, 과정 중심 평가의 과정에 대한 이해, 과정 중심 평가 결과 통지(피드백)에 대한이해 등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및 이해 정도에 대한 조사 결과 대체로 많은 예비교사들이 과정 중심 평가를 결과 중심 평가와 비교하여 더 의미 있는 혹은 더 좋은 평가라고 생각하고 있으나이는 과정 중심 평가의 ‘과정’을 학습자의 노력 혹은 참여 정도로 해석하며 과정 중심 평가가 학습자의학습 성취 도달 여부와 관계없이 노력 정도 혹은 참여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라는 잘못된 인식을하였기 때문임을 밝혔다. 또한 이들이 과정 중심 평가가 다른 평가와 다른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이나교사의 교수학습 전략 수정 및 교체로 인해 현재의 학습자에게 이점을 제공하는 평가라는 점을 이해하지못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및 이해 정도가 낮음을 지적하며 교원양성기관에서 평가 및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교 교수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김진희(Kim ji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조사에 경남에 소재한 A대학의 교수 156명이 참여하였으며, 약 2주에 걸쳐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설문 내용은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운영 경험, 정착화 방안에 관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들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과정중심평가의 의미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정중심평가의 필요성에 크게 공감하고 있었다. 교수들의 과정중심평가의 실태는 전반적으로 과정중심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양보다는 전공과목에서, 1학년과 4학년보다는 2학년과 3학년 과목에서 실시하고 있었다. 반면 과정중심평가 교과목 경험이 전혀 없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 부족’이 가장 높았다. 과정중심평가 경험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의 수행 과정을 평가하고 있으며 상시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정중심평가 실시함에 있어, 교수의 과도한 평가 업무 부담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였으며 또한 교수들이 과정중심평가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수업과 평가에 전념할 수 있는 교수 업무 환경 조성을 꼽았다. This study targets university professors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awareness and actual conditions of process-based assessments and to derive implications. 156 professor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nam, participated in a survey that was conducted over two weeks for this study.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awareness, experiences, and establishment methods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awareness of professors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showed that they ha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meaning of process-based assessment and that they greatly agreed on the need for process-based assessment. The actual conditions of process-based assessment by professors were that process-based assessment was conducted across the board, and that it was conducted more in specialized major subjects than in liberal arts subjects, and more for second and third year classes than for first and fourth year classes. On the other hand, when professors that had no experience with process-based assessment subjects were asked why they do not have process-based assessments,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The results of analysis on process-based assessment experience showed that professors were assessing the overall performance process of students and that they were continuously making assessments. In addition,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excessive work burdens related to assessment by professors were perceived to be the greatest hurdle, and the cultivation of a work environment for professors that allows them to solely concentrate on classes and evaluation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 KCI등재

        과정중심평가 수행 방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전현욱(Hyun-Wook Jeon),이형연(Hyung-Yeo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도입한 과정중심평가가 실제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 살펴 그 수행 방식과 수행 과정에서 마주치는 난점, 그리고 수행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나는 약 6년 전부터 과정중심평가 를 도입, 실시하고 있는 경기도교육청 소재 초록초등학교를 연구 현장으로 삼아 2017년 5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약 10개월 간 참여관찰, 면담, 현지자료 수집을 활용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정중심평가는 교사가 설계한 교육 과정을 수업에서 다루면서 이를 평가까지 이어지게 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었으며, 평가의 맥락화, 다양한 평가도구 활용 및 이를 통한 종합적 판단, 평가계획 열어 놓기, 평가를 학습 기회로 만들기, 학습결과물을 자료로 활용하기, 학생 개개인에 주목 하기 등 7가지 방식으로 실천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과정중심평가에서 교사는 조력자로서 학습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며, 이를 통해 학생의 학습과정을 그려보고 기억해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과 태도로 과정중심평가를 수행하기에는 ‘명석-판명함’을 추구하는 학교 현장의 특성을 포함한 몇 가지 제도적 현실이 난점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끝으로 과정중심평가를 실천한다는 것은 ‘순환적 시간’을 체험하는 일임을, 과정중심평가가 오래된 학교의 관행과 상식에 균열을 낼 수 있는 ‘우발성’ 또는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is implemented at the field level and examine the obstacles encountered during the course of implementation as well as its significance. To this end, the author used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as a research subject. The author used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and local data colle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understood that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was structured to utilize the teacher-designed curriculum in the classroom and continue this process until the evaluation, which is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seven ways: context of evaluation, utilization of various evaluation tools, utilization of those tools to make a comprehensive evaluation, being open to evaluation, using the evaluation as a learning opportunity, using learning outcomes as data, and paying individual attention to students. In the process-based assessment, the teacher mus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cess as a helper and must visualize and remember the student s learning process. However, it was discovered that some institutional realitie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that emphasize clarity in evaluation is an obstacle to implementing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with this method. In conclusion, it was discussed that practicing the process-centered assessment is a cyclical time experience, and that the process-based evaluation can act as a contingency or a resistance to break the old school practices and tradition.

      • KCI등재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에 관한 사례 연구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 사례를 중심으로-

        김유정,이경건,홍훈기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6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 of a middleschool/high-school science teacher using Teacher’s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 (T-PEC) measurement tool. The case analysis shows that teacher A in a middle school represents high competency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planning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while the competency of utiliz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is low ow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on-standardized areas. Teacher B in a high school shows high level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y whereas low level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execution competency because the freedom given to students is not enough during the process of evaluation. The teacher also shows very low level of utiliz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due to the lack of time and the school culture not giving feedback to the students. According to cross-case analysis, teacher A and B both represent the highest level of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he lowest level of utilization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competency. And the lack of clear criteria for process-centered evaluation leads to different understanding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between the two teachers, and teacher B shows low the level of utiliz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affects results due to the students not being concerned on feedback, security problem, and the reality focusing o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high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oviding clear guidelines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to teachers, introducing an application in order to solve the time-lack problem pointed out as the biggest problem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ensuring objectivity and security about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and building the school culture such as the expanded application of standardized areas in order to implement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본 연구는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T-PEC)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각 1인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에 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within-case 분석결과, 중학교 A 교사는 높은 과정 중심 평가 계획 역량과 협력적 의사소통 역량을 보였으나, 비평준화 지역의 특성으로 인해 낮은 과정 중심 평가 결과 활용 역량을 나타 내었다. 고등학교 B 교사는 높은 협력적 의사소통 역량을 보였으나, 평가 과정에서 학생들의 자유도가 높지 않아 다소 낮은 과정 중심 평가 실행 역량을 나타내었고, 시간부족,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학교문화로 과정 중심 평가 결과 활용 역량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cross-case 분석결과, 중학교 A 교사와 고등학교 B 교사 모두 협력적 의사소통이 가장 높게, 시간부족으로 과정 중심 평가 결과 활용 역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과정 중심 평가에 관한 명확한 기준 부재로 인해 두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이해 양상이 다소 다르게 나타 났으며, B 교사는 평가 결과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의미부여, 보안 문제, 입시 위주의 고등학교의 현실로 인해 A 교사 대비 과정 중심 평가 결과 활용 역량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첫째, 교사들에게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제공 되어야 하고, 둘째, 과정 중심 평가 실행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시간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도입이 필요하며, 셋째, 과정 중심 평가 결과에 대한 객관성과 보안이 보장되어야 하고, 마지 막으로 평준화 확대 적용 등의 과정 중심 평가 실행을 위한 학교문화를 구축해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탐색

        김정민(Jungmi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초중등학교 교육의 학생평가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정중심 평가의 개념을 명료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정중심평가의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과정중심평가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된 배경으로서 수행평가 도입 과정을 살펴보았다. 현재 과정중심평가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자유학기제에서 정책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나 관련 연구물들에서 학교 교사들은 과정 중심평가의 개념과 실제에서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이에, 과정중심평가의 개념 명료화를 위해서 형성평가, 수행평가, 수업과 평가 통합의 개념과 비교하였다. 과정중심평가는 평가문제에 대해 학습자가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과 결론을 평가하되, 과정을 보다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유사용어와의 비교를 통하여 과정중심평가의 개념을 살펴본 결과, 각각의 용어들은 구분되는 개념이지만 과정중심평가와 지향점이 유사하거나 공통되거나 연결되는 부분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정중심평가는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모두 가능하며, 과정중심 수행평가로 실시할 수 있고, 수업과 평가의 통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정중심평가는 ‘결과 도출 과정 학습을 통한 학습 프로세스 교육’, ‘수행의 질 제고’, ‘수업과 평가의 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교육적 의의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향후 논의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process-focussed assessment. For this purpose, the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performance assessment were introduced. And now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has been more important becaus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free semester program in the middle school. But some researchers report that many teachers have a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the practi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order to clarify the concept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we compared the concept of formative assessment, performance assessment, and integra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e process-focussed assessment is that assessing the thinking process and conclusions of the learner about the assessment task.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similar terms, the concept of the process-focussed assessment was examin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ach of the terms is a concept to be distinguished, but they are similar or common or connected. Process-focussed assessment can be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can be carried out through process-focussed performance assessment, and can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And based on the results, I explor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 ‘educating learning process’, effective in enhancing the quality of performance and contributing to the integra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 Finally, I synthesi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suggested some points to be discussed in the future.

      • KCI등재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T-PEC)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유정,이경건,장원형,홍훈기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3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named T-PEC(Teacher’s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 which helps teachers understand and practice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earchers analyzed literatures related to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developed a draft version of a measurement tool that secured content validity after discussing with three researchers, one principle teacher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three teachers and three professors, and then execu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confirmative Factor Analysis(CFA) based on the survey result of 130 teachers, and finally developed a measurement tool which consists of 20 questions with securing model fit,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easurement tool may help process-centered evaluation become a reality by making the abstractness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more concrete and by increasing teacher’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In addition, it is expecting that teachers can diagnose and analyze the competency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by themselves, thus contributing to feedback of teacher’s evaluation abi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developed measurement tool can be used to check differences in the competency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by region, school-level, specific subject, teacher’s career, gender, and can be used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to help teachers improve their ability to conduct process-centered evaluation. 본 연구는 교사가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스스로의 이해와 실천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 중심 평가 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과정 중심 평가 관련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연구자 3인, 과정 중심 평가 수석 교사 1인, 교사 3인, 교수자 3인의 검토 과정을 거쳐 내용 타당도를 확보한 진단도구 초안을 개발한 후, 교사 130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모델 적합도, 판별타당도와 집중타당도, 신뢰도를 확보한 과정 중심 평가 역량 진단도구 20문항을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과정 중심 평가 진단도구는 과정 중심 평가의 추상성을 구체화하고,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와 적용력을 높여 과정 중심 평가가 현실화 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사 스스로 과정 중심 평가 역량을 진단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하여 학생 평가 역량을 환류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개발된 진단도구는 지역·학교 급·교과목·경력·성 별 과정 중심 평가 역량의 차이를 확인하는 연구,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연수 프로그램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

      • KCI등재

        CBAM을 활용한 가정과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인식조사

        배진희,유난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관심도, 실행도를 진단하여 학교현장에서의 내실 있는 과정중심 평가 실행에 필요한 알맞은 지원책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CBAM을 활용하여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관심도, 실행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과정중심평가가 결과중심평가에 비해 학생을 다면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과 가정과교사들이 과정의 교육적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과정중심 평가가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더 유익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피드백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가정과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의 실행 시기에 관해서는 혼란을 보였으나, 과정중심평가에 서의 피드백의 의미와 활용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이해수준을 보였다. 둘째,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관심도는 4단계(결과적 관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가정과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를 실행함으로써 개인의 전문성과 학생의 학습에 어떠한 결과나 나타날지에 가장 관심을 두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실행도 측면에서 대다수의 가정과교사들은 이미 한 학기 이상 현장에서 과정중심평가를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과정중심평가를 자신과 무관하다고 생각하거나, 실행에 관심을 두지 않는 교사는 보이지 않았으며, 미실행 중일지라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고 있는 1수준(입문) 상태이거나, 과정중심 평가 실시 시기를 계획하는 등 실행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2수준(준비)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Stages of Concern (SoC), and Levels of Use (LoU)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among Home Economics (HE) teachers to determine the necessary support for its implementation in schools. Data were gathered from a survey administered to HE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E teachers viewed process-based assessment favorably, valuing its multifaceted evaluation approach over result-based assessment. The feedback from process-based assessments was seen as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for both educators and students. While some teachers expressed uncertainty about the optimal timing of implementation, they generally demonstrated a sound understanding of the feedback concept within the assessment process. HE teachers were predominantly concerned with their own professional expertise and the learning outcomes of their students. The majority of HE teachers have utilized process-based assessments for at least one semester. None deemed it irrelevant to their practice or showed disinterest in its adoption. Those who had yet to implement it were either in the first(introduction) or the second(preparation) stages.

      • KCI등재

        과정중심평가 만들어 가기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 세종시 사과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전현욱(Hyun-Wook J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이 연구는 세종시교육청의 과정중심평가 도입 초기,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 실천 방향을 탐색해 가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다. 연구 참여자들이 직접 연구자가 되어 자신의 연구를 수행하는 참여적 실행연구의 방법으로 이 연구는 수행되었으며, 2017년 5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약 1년 동안 모두 세 명의 교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는 참여 교사 각자의 연구 과제 수행과 연구 모임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 실행 과목을 정해 매회 연구 모임을 통해 도출되는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생산된 다양한 산출물과 연구 모임에서 나눈 이야기들이 주요 자료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교사들의 연구는 대체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선이해 - 실행을 위한 고민 - 실행 - 실행 후 반성 및 확장, 그리고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 이어지는 계열 속에서 수행되었으나 그 내용은 참여 교사 세 명이 모두 달랐다. 이들의 실행을 분석한 결과 나는 과정중심평가가 ‘과정 중 평가’와 ‘과정에 대한 평가’,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음을 조심스레 논의하였다. 이어 평가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할 때 과정중심평가는 최소 24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process-based evaluation deeply and to investigate the way of practicing in it.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to perform this research and 3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for one year, from May, 2017 to April, 2018. This research was consisted of two parts, one was study performed by the participants themselves and the other was the seminar for this research.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ir own study subjects that were drawn in the each seminars, and all the materials that were produced through these processes and dialogues in the seminars were collected.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ir project in the series which were continued pre-understanding, deliberation for action, action, reflection and expansion, and renewing a process-based evaluation but the contents of these actions were different each other. After presenting these research results, I discussed that process-based evaluation could be classified in ‘evaluation in process’ and ‘evaluation on process’. Subsequently, I also suggested that when we consider various elements related this kind of evaluation, there would be 24 types of process-based evaluation, at le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