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정육묘장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 종 및 관리현황

        강택준,조명래,김형환,안승준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최근 국내 공정육묘(플러그묘) 보급 확산으로 전용 육묘시설 면적의 급속 증가하고 있어, 기존 자가로 유묘를 생산하던 농가에서는 공정육묘장에서 생산된 플러그묘를 활용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맞추어 육묘산업 보호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관리적 기반 구축이 필연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종자에서부터 육묘단계까지 병해충 관리체계의 기반 구축을 위한 공정육묘장의 품질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병해충 관리 종합 매뉴얼 개발 필요하다. 이번 조사는 공정육묘장 관리를 위한 병해충 분야 법적체계 기반 조성 및 관련 자료 제공을 위한 기초 조사와 공정육묘 산업 활성을 위한 육묘장의 병해충의 진단 및 방제기술의 개발을 위해서 수행되었다. 2011년 논산, 안성, 평택, 밀양 등에 위치한 주요 공정육묘장을 대상으로 육묘장내 해충 발생 및 피해 현황을 조사하였다. 육묘장내 발생하는 주요 해충으로는 목화진딧물, 총채벌레, 복숭아혹진딧물, 가루이 등으로 육묘장내 재배 작물, 주변 식생 및 관리 형태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 공정육묘장 환경별 발생 주요 해충 종 및 발생생태

        강택준,김동환,김형환,양창열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최근 국내 공정육묘(플러그묘) 보급 확산으로 전용 육묘시설 면적의 급속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재배 면적 및 환경이 다양하여지고 있다. 종자에서부터 육묘 단계까지 병해충 관리체계의 기반 구축을 위한 공정육묘장의 품질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병해충 관리 종합 매뉴얼 개발 필요하다. 이번 조사는 공정육묘장 관리를 위한 병해충 분야 법적체계 기반 조성 및 관련 자료 제공을 위한 기초 조사와 공정육묘 산업 활성을 위한 육묘장의 병해충의 진단 및 방제기술의 개발을 위해서 수행되었다. 2012년부터 논산, 안성, 평택, 밀양 등에 위치한 주요 공정육묘장을 대상으로 육묘장내 재배 환경 및 해충 종류 및 발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육묘장내 발생하는 주요 해충으로는 가루이류, 진딧물류, 총채벌레류, 나방류 등이 주요 해충으로 육묘장내 재배 작물, 주변 식생 및 관리 형태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 공정육묘장 주변 해충 발생 조사 및 오염원 분석

        강택준,김동환,김형환,양창열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최근 국내 공정육묘(플러그묘) 보급 확산으로 전용 육묘시설 면적의 급속 증가 하고 있고, 이에 따라 재배 면적 및 환경이 다양하여지고 있다. 이번 조사는 공정육 묘장 관리를 위한 병해충 분야 법적체계 기반 조성 및 관련 자료 제공을 위한 기초 조사와 공정육묘 산업 활성을 위한 육묘장 발생 병해충의 진단 및 방제기술 개발을 위해서 수행되었다. 2014년 논산, 안성, 평택, 제주에 위치한 주요 공정육묘장을 선 정 주기적으로 육안조사와 끈끈이트랩조사를 수행하여 육묘장 내부와 외부에 발 생하는 해충종류와 초기 발생시기 및 온실 내외부에서 이동 경로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온실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작은뿌리파리는 온실 내 바닥 배수관리 불량 한 경우 발생이 특히 심하여 온실내 배수관리 등 환경관리 요소가 발생에 큰 요인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온실 외부, 내부, 측창에 설치한 끈끈이트랩에 유인된 해 충들의 유살수를 이용하여 해충들의 초기 발생 지점 및 침입 경로 등을 추정한 결과 진딧물, 총채벌레, 가루이류의 경우 육묘장 내부에서 발생하기보다는 온실 주변 외 부로부터 유입되어 오염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육묘 장내 해충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온실내부에서는 해충들 오염원의 주기 적인 제거를 통한 관리와 온실 외부 해충들의 중간기주 제거 등 온실 주변 해충 관 리도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파프리카 육묘기간 및 육묘블록의 크기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최경이(Gyeong Lee Choi),조명환(Myeung Whan Cho),정재완(Jae Woan Cheong),노미영(Mi Young Roh),이한철(Han Cheol Rhee),강윤임(Yun im K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0 No.4

        파프리카 공정육묘시 육묘일수와 적정 육묘소요면적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육묘블록의 크기를 5 × 5㎝, 7.5 × 7.5㎝, 10 × 10㎝로 달리 하여 25, 30, 35, 40, 45, 50일간 육묘하는 시험처리를 하였다. 묘소질은 25일 육묘시에는 육묘블록의 크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육묘기간이 길어지면 5 × 5㎝ 블록처리에서 나빠졌다. 7.5 × 7.5㎝와 10 × 10㎝간에는 엽수와 엽면적을 제외한 생육은 차이가 없었다. 정식이후 생육은 정식 후 35일까지는 육묘기간이나 블록크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육묘기간이 길어지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나빠졌다. 개화시기도 35일 육묘처리까지는 처리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이후 육묘기기간이 길어지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개화가 지연되었다. 수량은 30일과 35일 육묘구가 가장 많았고, 40일 이상 육묘할 경우 육묘기간이 길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rsery period and block size on seedling quality and fruit yield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Cupra’). Seeds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Cupra) were sown in rockwool plugs. Seedlings were transferred and grown to the rockwool block different sizes: 5 × 5, 7.5 × 7.5 and 10 × 10 ㎝ at sowing after 15 days. The plants were transplanted by 25, 30, 35, 40, 45 and 50 days we planted the seeds to the rockwool slabs. Seedling growth was not influenced by block size in the 25 day old plant, since then growed poorly with increasing nursery period in the 5 × 5 cm block size, plant height, stem diameter, fresh weight, dry weight have no difference from 10 × 10 cm and 7.5 × 7.5 ㎝, but leaves and leaf area were higher 10 × 10 ㎝ than the 7.5 × 7.5 ㎝ block size. Growth of the paprika in field 80 days after sawing did not differ from nursery period and block size below 35 days old,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nursery period and decreasing block size beyond 40 days old. Flowering did not differ from nursery period and block size below 35 days, but delayed with increasing nursery period and decreasing block size beyond 40 days old.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from 30 and 35 days old,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nursery period and decreasing block size beyond 40 days old.

      • KCI등재

        플러그 셀 크기, 셀 당 파종 립 수, 관수 간격, 양액의 EC 수준에 따른 황기의 육묘기 생육

        정현우,김혜민,이혜리,김현민,황승재 한국원예학회 2020 원예과학기술지 Vol.38 No.2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seedling quality of Astragalus membranaceus as affected bydifferent plug tray cell size, number of seeds per cell, irrigation interval, and EC (electricalconductivity) level of nutrient solution to establish the optimal plug seedling method of A. membranaceus. For plug cell size and the number of seeds per cell treatments, 128, 200, and288-cell plug trays were used, and 1, 2, and 3 seeds were sown in each cell in a 128-cell plug tray. Irrigation time and interval were set at 1, 2, and 3 minutes and 1 day interval, 2 days interval, and 3days interval, respectively. The EC level of nutrient solution was set at 6 levels of 1.0, 1.5, 2.0, 2.5,3.0, and 3.5 dS∙m-1. The seedling growth of A. membranaceus was the greatest in the 128-cell plugtray with one seed sown per cell. As concerns the irrigation interval and time, leaf area and freshweights of shoot and root were significantly the highest in the irrigation at the interval of once a dayfor two minutes. The EC level of nutrient solution was the greatest in 2.0 dS∙m-1, and the seedlinggrowth decreased when the EC level of nutrient solution was higher than 2.5 dS∙m-1. These resultssuggest that the optimal plug seedling method of A. membranaceus is sowing two seeds per cellusing a 128-cell plug tray and supplementary planting after germination, with the irrigation atone-day interval for 2 minutes with the EC level of 2.0 dS∙m-1. 본 연구는 황기의 공정육묘 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플러그 트레이 셀 크기, 셀 당 파종 립 수, 관수 간격, 그리고 양액의 EC 수준에 따른 영향을 조사 하였다. 플러그 트레이 셀 크기 구명을 위해 128구, 200구, 288구 플러그 트레이를 사용하였으며, 셀 당파종 립 수 구명을 위해 128구 플러그 트레이에 1, 2, 3립씩의 종자를 파종 하였다. 관수시간과 간격은 각각 1, 2, 3분 그리고 1일 1회, 2일 1회, 3일 1회를 설정하여 저면관수 하였다. 양액의 EC 수준은 1.0, 1.5, 2.0, 2.5, 3.0 그리고 3.5dS·m-1으로 6수준으로 설정하였다. 황기의 생육은 128구 트레이에서 우수하였으며, 파종 립 수에 따른 황기의 생육은 셀 당 1립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관수 간격과 관수 시간에 따른 황기의 생육은 관수간격 1일 1회, 관수시간 2분 처리에서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배양액의 EC 수준에 따른 황기의 생육은 EC 2.0dS·m-1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EC2.5dS·m-1이상 처리에서 생육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황기의 공정육묘 시 128구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하여 셀 당 2립씩 파종 후 보식을 실시하고, 육묘기간 동안 양액은 1일 1회, 2분, 그리고 EC 수준은 2.0dS·m-1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토마토 묘의 수분스트레스 측정

        강정균 ( Jeong-gyune Kang ),홍순중 ( Soon-jung Hong ),우영회 ( Young-hoe Woo ),이종원 ( Jong-won Lee ),배광수 ( Kwang-soo Bae ),김동억 ( Dong-eok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작물에 수분이 부족하게 되면 생육이 어려워지고, 착과 불량, 낙과, 과실 발육저하 등의 생육장해가 나타날 수 있어 수분공급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토마토묘의 열영상을 획득하고 기온을 분석하여 수분스트레스 추정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토마토묘의 4일 동안 엽온 변화를 열화상 영상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관수, 미관수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엽온과 기온의 차를 통해 수분스트레스를 비교하였다. 열영상은 열화상카메라(A325sc, FLIR systems USA)이용하여 토마토 육묘트레이 상단에 설치하여 매일 12시에 14개의 육묘트레이를 촬영하였고 영상은 노트북에 자동되도록 하였다. 토마토의 잎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온도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기온은 데이터로거(U12-011, Hobo, USA)로 측정하였다. 촬영 후에는 근권부를 제외한 묘 전체를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1일차에서는 두 그룹의 온도차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각 샘플의 수분함량 역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차부터 두 그룹간의 온도차가 생기기 시작하였으며 3일차에 미관수한 토마토 묘의 엽온은 기온에 비해 평균 1°C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수한 토마토 묘의 엽온은 23.5°C로 기온에 비해 1.7°C 낮았고 수분함량은 미관수한 토마토 묘가 관수한 토마토 묘에 비해 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차에는 미관수한 토마토 묘가 기온에 비해 3.2°C 높았으며 수분함량은 관수한 토마토 묘에 비해 28.7% 낮게 나타나 큰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되었다. 토양수분함량에 따라 엽온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 수분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열영상만으로 스트레스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기는 다소 어려우나 수분스트레스 여부는 판단이 가능해 향후 육묘온실 두상관수시스템과 연계하여 수분공급 제어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열영상을 이용한 토마토묘의 수분스트레스 측정 기초연구

        김동억 ( Dong-eok Kim ),배광수 ( Kwang-soo Bae ),신윤아 ( Youn-ah Shin ),한신희 ( Shin-hee Han ),강동현 ( Dong-hyeon Kang ),우영회 ( Young-hoe Wo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적외선을 이용한 열영상은 작물의 환경스트레스 탐색, 기공활력에 따른 생육반응 연구 등을 위한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열영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토마토묘의 열영상을 획득하고 체온을 분석하여 수분스트레스 추정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열영상 기술을 적용하여 토마토묘의 일중 엽온 변화를 연속적으로 관찰하였다. 수분스트레스 여부는 엽온과 기온의 차를 통해 비교하였다. 열영상은 열화상카메라(A325sc, FLIR systems USA)이용하여 토마토 육묘트레이 상부에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촬영하였으며, 촬영한 영상은 1분 간격으로 노트북에 저장되도록 하였다. 토마토의 잎에 관심영역을 12군데 설정하고 온도변화를 관찰하였다. 기온은 데이터로거(U12-011, Hobo, USA)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야간에 기온이 엽온 보다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며, 오전에 엽온이 기온보다 높은 지점이 일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오후 1시경부터 측정지점의 엽온 평균이 기온 보다 낮았다 높아지기를 반복하다 4시경부터 엽온평균이 기온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시각별 지점별 기온과 엽온 간의 차는 최소 0.08°C에서 최대 3.6°C의 표준편차를 보였고, 최대 10°C의 온도차이를 보여 접촉 방식에 의한 단순히 몇 지점 만의 온도측정으로는 정확한 스트레스 여부를 판단하기는 다소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작물체의 엽온은 수분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일사, 기온, 습도, 풍속, 기공개도 등 여러 요인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엽온 측정 만으로 수분스트레스를 정확히 진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른 요소도 함께 포함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보광 광원 종류에 따른 약광기 품종별 오이 접목묘의 생육과 묘소질 및 정식 후 초기 과실 수량

        최형은,황소영,윤지혜,유진,황정훈,박은원,구정길,황희성,황승재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2 No.4

        상품성 있는 오이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묘를 사용해야 한다. 약광기 온실에서 묘를 생산하는 것은 묘의 생육에필요한 광이 불충분하여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광질이 다른 인공광을 사용한 보광을 통해 약광 조건을 해결하여고품질의 묘를 생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약광기에 오이 접목묘의 생육과 묘소질에 적절한 보광 광원을 구명하고자 진행되었다. 오이는 ‘낙원성청장’, ‘신세대’, ‘굿모닝백다다기’ 3가지 품종을 접수로 사용하였다. ‘흑종’ 호박을 대목으로 사용하였다. 종자는 2023년 1월 26일 파종하였고, 2023년 2월 9일에접목하였다. 접목 활착 후 오이묘를 RB LED(red and blue LED, red:blue = 8:2), W LED(white LED, R:G:B = 5:3:2), 그리고 HPS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무처리구를대조구로 사용하였다. 보광은 일출 전 2시간, 일몰 후 2시간 동안 19일간 처리하였다. 경경과 지하부의 생체중과 지하부는보광 광원 처리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W LED에서 초장과 하배축장이 짧아졌다. 하지만, 엽장, 엽폭, 엽면적 그리고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RB LED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충실도, 순동화율, 그리고 작물생장률과 같은 묘소질은 RB LED와 W LED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식 후, 대부분의 생장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초기 과실 수량은 전체적으로 대조구보다 실험구에서 많았고, RB LED와 W LED에서 과실 수량이 가장 많았다. 결론적으로 약광기 오이접목묘에 RB LED와 W LED를 보광 광원으로 사용하는 것은 묘의 생육, 묘소질, 그리고 초기 과실 수량을 증가시킬 수있다. To harvest marketable cucumbers, high quality seedlings must be used. Producing seedlings in the greenhouse during the low radiation period decreases marketability due to insufficient light for growth. Supplemental lighting with artificial light of different quality can be used to improve low light conditions and produce high quality seedling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appropriate supplemental light sources on the growth and seedling quality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during the low radiation period. Three cultivars of cucumber were used as scions for grafting; ‘NakWonSeongcheongjang’, ‘Sinsedae’, and ‘Goodmorning baekdadagi’. Figleaf gourd (Cucurbita ficifolia) ‘Heukjong’ was used as the rootstock. The seeds were sown on January 26, 2023, and grafted on February 9, 2023. After graft-taking, cucumbers in plug trays were treated with RB light-emitting diodes (LED, red and blue LED, red:blue = 8:2), W LED (white LED, R:G:B = 5:3:2), and HPS (high-pressure sodium lamp), respectively. Non-treatment was used as the control. Supplemental lighting was applied 2 hours before sunrise and 2 hours after sunset for 19 days. The stem diameter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roo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y supplemental light sources. The plant height and hypocotyl length were decreased in W LED. However, the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s were the highest in the RB LED. Seedling qualities such as crop growth rate, net assimilation rate, and compactness were also increased in RB LED and W LED. After transplanting, most of the growth was not significant, but early yield of cucumber was higher in LED than non-treatment. In conclusion, using RB LED, W LED for supplemental light source during low radiation period in grafted cucumber seedlings improved growth, seedling quality, and early yield of cucumber. Additional key words: compactness, leaf area, light quality, net assimilation rate, plug seed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