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격성을 중심으로 읽는 설화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와 건강한 서사로의 길 내기를 위한 서사지도 구축

        김혜미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89 No.-

        This study is a basic work to design a media over-immersion VR literature therapy program. Among the media over-immersion factors, epics showing aggression were selected and discussed in literary therapeutics. In the fork tale "Betting With Strength and Worried About Brother," the younger brother was set as an agent of an epic. The younger brother's aggressive behavior was explored through the literary therapeutics concepts of "principle" and "desire." In "Betting with Strength and Worried About Brother," the younger brother is born strong, but his sister is stronger. The younger brother behaves aggressively by murdering his older sister. He expresses his aggression by principlizing his desire. The aggression revelation process eventually kills the older sister, an act that reflects the strongest from of the younger brother's aggression. In this study, the younger brother, who has aggressive tendencies, was set as an agent of an epic, and an aggression control method was explored. For this purpose, an epic map was constructed. First, we searched for an epic featuring an aggressive character like the younger brother. Next, the propose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ggression of an agent of an epic was explored. First, we explored and analyzed tales involving others' attempts to control the younger brother's aggression. Next, we explored and analyzed a story in which the younger brother controls his aggression through his own will. These are "Brother-In-Law's Treason Plan" and "Betting With Strength and the Sister Who Became Maitreya," respectively. However, the characters failed at principlizing their desires, and desire was put in the realm of desire. Aggression was controlled accordingly. In this study, three stories were compared and examined with a focus on aggression, and the branch point of the epic was explored. An epic map was then constructed that facilitated choosing different paths in the same problem situation. Changing the epic of the self begins with choosing a different path at the epic's branch point.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to help alleviate aggression through epic map guidance. 본 연구는 미디어 과몰입 VR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미디어 과몰입의 요인 중 공격성을 보여주는 설화를 선정하여 문학치료학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구비설화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에서 남동생을 서사의 주체로 보고, 남동생의 행동을 문학치료 서사이론의 ‘법칙’과 ‘소망’의 개념을 통해 공격성이 발현되는 원리를 탐색하였다.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는 공격성을 가진 인물인 남동생이 더 비범한 능력을 가진 누이와의 관계에서 공격성을 전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서사라고 할 수 있다. 남동생은 자기 소망을 법칙화시켜 소망이 법칙의 영역 안에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격성을 발현하게 된 것이다. 공격성을 발현하는 과정은 누이를 죽이는, 공격성이 가장 강력한 형태로 드러나게 되기도 하지만. 결국은 자기 자신까지 파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격적 성향을 가진 남동생을 서사의 주체로 보았을 때, 공격성을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서사로의 길 내기를 가능하게 할 서사지도를 구축하기 위하여 남동생과 같이 공격성을 가진 인물이 나타난 서사를 탐색하고 그 서사의 주체들이 공격성을 제어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먼저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의 남동생과 같이 공격성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 등장하지만, 타의에 의해 소망을 법칙화하지 못하고 소망을 소망으로 견지하고 있는 경우로 설화 <역적모의한 장사와 여자 겁탈한 장사>를 선정하였다. <역적모의한 장사와 여자 겁탈한 장사>는 공격성을 가진 인물인 의형제가 자신들보다 더 힘세고 비범한 인물을 만나 공격성을 제어하게 되는 서사이다. 의형제는 사람들에게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여 자기 소망의 법칙화가 될 수 있도록 조정하여 소망이 상대에게 절대성을 발휘하도록 만들었다. 하지만 의형제가 자신들보다 보다 더 힘 센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서사의 분기점에서, 소망을 그대로 소망으로 간직하게 되는 사건을 맞이하여 타의에 의해 공격성을 발현하지 않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의 남동생과 같이 공격성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 등장하지만, 자의에 의해 소망을 법칙화하지 않고 소망을 소망으로 견지하고 있는 경우로 설화 <오뉘 힘내기와 미륵이 된 누이>를 선정하였다. <오뉘 힘내기와 미륵이 된 누이>는 공격성을 가진 인물인 남동생이 더 비범한 능력을 가진 누이와의 관계에서 스스로 공격성을 제어하게 되는 서사라고 할 수 있다. 남동생은 자기 소망을 법칙화시키기 않고, 소망이 단지 소망의 영역 안에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격성을 발현하지 않게 된 것이다. 공격성을 스스로 제어하는 과정은 결국 새로운 생명의 창조행위까지 이어져 자의에 의해 공격성을 발현하지 않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격성을 중심으로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 <역적모의한 장사와 여자 겁탈한 장사>, <오뉘 힘내기와 미륵이 된 누이>를 비교하여 살펴보고, 서사의 분기점을 탐색하였다. 서사의 분기점을 통해 공격성향을 보이는 동일한 문제 상황에서 건강한 방향으로 가는 서사지도를 구안하였다. 자기서사의 변화는 서사의 분기점에서 이제와 다른 길을 선택함으로써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문학치료 프로그...

      • KCI등재

        유아의 공격성, 지배력과 또래관계와의 관련성: 성별을 중심으로

        이승하(Lee, Seung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는 유아들의 공격성, 지배력, 또래관계가 맺는 관계를 성별에 따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언어적, 관계적 공격성 및 지배력은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둘째, 신체적, 언어적, 관계적 공격성, 지배력, 또래관계와의 상관관계는 성별에 따라 어떠한가? 셋째, 신체적, 언어적, 관계적 공격성, 지배력은 성별에 따라 또래관계를 어떻게 예측하는가? 자료수집은 2015 년 12월 - 2016년 1월에 이루어졌으며, P시의 만4-5세 유아 139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11명이 참여하였다. 유아들의 공격성과 지배력은 교사용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고 또래관계(또래수용, 또래거부)는 유아와의 1:1 면담을 통해 측정하였다. 자료수집 이후, 분석은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또래관계는 각 유아가 받은 호명횟수를 각 학급별로 코딩한 후 표준화 하였으며, 공격성, 지배력은 원점수를 기록하였다. 각 연구문제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t검정, pearson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의 신체적 공격성은 남아에서, 관계적 공격성은 여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든 성별에서 신체적 공격성, 관계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고, 지배력과 또래수용, 또래선호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공격성과 또래관계는 남아에서만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또래수용과 또래선호를 예측하는 변인은 남아의 경우 신체적 공격성, 관계적 공격성, 지배력이었으며, 여아는 지배력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를 수용/거부하는데 있어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른 행동이 요구됨을 반영한다. 지배력과 공격성을 고려한 교사의 또래관계 지도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ssociations among young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s, dominance, and peer relationships by sex. It has three aims, 1) how do physical, verbal, relational aggression and dominance differ by gender? 2) how are physical, verbal, relational aggression and dominance correlated to peer relationships by gender? 3) how do physical, verbal, relational aggression and dominance predict peer relationships by gender?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5 to January 2016. One hundred and thirty - nine of 4-5 year 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participated. Aggressive behaviors and dominance were measured by their teachers using Teacher Checklist. Peer relationships were measur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using sociometric measure. The data was analysed by SPSS 23 program. Peer relationships were calculated by the number of nomination which an individual child was nominated by their classmates in peer acceptance and - rejection, and standardized by each class. The raw numbers were used to analyse for aggressive behavior and dominance. To examine each research question,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1) boys displayed more physical aggression than girls while girls displayed more relational aggression than boys, 2) physical, relational, and verbal aggression were correlated each other in both sexes. Domin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er acceptance and -preference in both sexes. Aggression was correlated with peer acceptance, - rejection, and - preference only in boys, 3) Peer acceptance and -preference were predicted by physical, relational aggression and dominance in boys, and by dominance in girls. The findings showed that different social behaviors required to obtain peer status between boys and girls.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 sex differences of behavioral correlates in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when guiding them.

      • KCI등재

        공격성 구성개념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 적응적이고 긍정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강선희(Gang Seon He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공격성의 구성개념 탐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공격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에서는 공격성을 나쁘고 해가 되는 것으로 인식하며, 공격성의 부정적인 결과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론적 및 임상적 측면에서는 공격성을 중립적인 시각에서 바라보면서, 역기능적이고 파괴적인 측면뿐 아니라 기능적이고 건설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함께 고찰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경험적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공격성의 긍정적이고 적응적인 측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먼저 일반인들의 공격성에 대한 인식을 탐색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대학(원)생 173명을 대상으로 공격성의 구성개념과 공격성의 필요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CQR-M(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격성의 구성개념에 대해 공격성의 ‘본질’, ‘기능’, ‘표현’, ‘관련된 심리적 특성’의 4개 영역, 11개 범주가 나타났고, 공격성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개인적 차원’, ‘관계적 차원’, ‘사회적 차원’의 3개 영역, 9개 범주가 나타났다. 대학(원)생들은 공격성의 부정적인 측면뿐 아니라 긍정적이고 적응에 기여하는 측면에 대해서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론가들이 제안한 공격성의 적응성에 대해 일반 대학생들도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struct of aggression. Aggression is often perceived as bad and harmful, and empirical studies are also universally focused on negative consequences of aggression. However, in theoretical and clinical aspects, aggression has been viewed from a neutral perspective, and not only dysfunctional and destructive aspects but also functional and constructive aspects have been considered. Therefore, this study wanted to look at the positive and adaptive aspects of aggression that have not been noticed in empirical studies, and to do so, it was necessary to first explore the public’s perception of aggress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73 university students on the constructive concept and the necessity of aggression, and the survey was analyzed through CQR-M(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4 domains and 11 categories of aggression’s constructive concepts: ‘essence’, ‘function’, ‘expression’, and ‘relat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for the necessity of aggression, 3 categories of ‘personal dimension’, ‘relational dimension’, and ‘social dimension’ were found. The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not only the negative aspects of aggression but also the positive and contributing aspects to adaptation, and the students also recognized the adaptability of aggression proposed by theoris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공격성 및 자존감과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에 나타난 스트레스 및 대처 간의 관계

        안은주,정성진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elf-esteem of upp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tress and coping shown in the ‘People In the Rain Test(PIRT).’ The participants were 293 elementary school children (149 males, 144 females) in grades 4, 5, and 6 from Seou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ggress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coping resource,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ping ability. Str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oping ability, whereas coping resour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ping ability. Second, coping resource and cop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 aggression group than in the high aggression group. In the ‘heavy rain’ and ‘multiple precipitation or snowfall’ items, the high aggress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low aggression group, and in the ‘wind’ item, the low aggression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high aggression group. In the items of ‘flawless protection’ and ‘missing body parts’, the high aggress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low aggression group, and in the ‘boots’ item, the low aggression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high aggression group.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coping resource, and coping ability between the high self-esteem group and the low self-esteem group. The low self-esteem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high self-esteem group in the ‘heavy rain’ item, and the high self-esteem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ow self-esteem group in the ‘cloud’ it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tems of coping resour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PIRT used for checking children's aggression and self-esteem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공격성 및 자존감이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에 나타난 스트레스 및 대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있는 한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293명(남:149명, 여:144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은 자존감 및 대처자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자존감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대처능력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스트레스는 대처능력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대처자원은 대처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공격성 하 집단이 공격성 상 집단에 비해서 대처자원과 대처능력이 유의하게 높았다. ‘많은 비’, ‘다중 강수나 강설’ 항목에서 공격성 상 집단이 공격성 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바람’ 항목에서는 공격성 하 집단이 공격성 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완전무결한 보호’, ‘몸의 일부가 빠짐’ 항목에서 공격성 상 집단이 공격성 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장화’ 항목에서는 공격성 하 집단이 공격성 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자존감 상 집단이 자존감 하 집단 사이에는 스트레스, 대처자원, 대처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많은 비’ 항목에서 자존감 하 집단이 자존감 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구름’ 항목에서는 자존감 상 집단이 자존감 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대처자원의 모든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가 아동의 공격성과 자존감을 점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과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과 스트레스의 관계성 연구

        김희정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7 No.3

        목적 :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들의 가정인 다문화가정의 아동들의 공격성과 스트레스를 통한 정신건강상태를 연구하고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개광역시, 4개 도에 거주하는 135명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과 스트레스는 t 검증, 일원배치분산 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요인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전체 공격성은 3.05점이었고 언어적 공격성이 3.69점으로 가장 높았다. 스트레스는 3.66 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은 연령에 따른 언어적 공격성(p=.031)과 분노표출(p=.043) 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전체공격성(p=.028)과 하위영역인 신체적 공격성(p=.049), 언어적 공격성(p=.000), 분노표출(p=.036), 적대감표출(p=.042), 스트레스(p=.01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 가정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유의성이 있었고(F=57.139, p<.001), 경제적 수준에서 나쁨(p<.01), 스트레스(p<.01), 연령에서 10세(p<.01), 연령에서 13세(p<.01)에서 공격성 정도에 71.4%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은 연령과 경제적 수준,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있어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This article was to study mental health status through aggression and stres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marriage immigrant and to use them as baseline data. Method : We used questionnaire and collected them from 135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live in 2 city and 4 do. Frequency Analysis was used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for aggression and stres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factors. Result : The first, the total score of aggression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3.05 and the most high score was verbal aggression, 3.69. Stress was 3.66. Th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gression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erbal aggression(p=.031) depending on age and anger(p=.01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tal aggression(p=.028) depending on economic level and physical aggression(p=.049), verbal aggression(p=.000), anger(p=.036), hostility(p=.042), and stress(p=.011). The third, we analysed the factors affecting aggress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resulting from stepwise regression analysis(F=57.139, p<.001), the results showed a strong explanation of aggression by bad in economic status(p<.01), stress(p<.01), 10 years in age(p<.01), and 13 years in age(p<.01). Conclusion : Aggression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caused by age, economic level, and stress.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정서조절 및 공격성간의 구조적 관계

        유신복(Shin Bok Yu),손원숙(Won Sook Soh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공격성을 이해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격성의 영향요인을 투입-과정이라는 유기적인 관계로 설명하고 있는 일반 공격성 모형(General Aggression Model: GAM)(Anderson & Bushman, 2002)을 적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공격성을 주도, 반응 및 관계적 유형 등 다차원으로 설정하였고, 공격성의 원인으로 주양육자에 해당하는 어머니의 정서적 특성과 자녀의 정서적·심리적 특성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초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정서조절 및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으로, 선행연구 및 관련이론 등을 참고하여서 이러한 변인들 간 관련성에 대한 3개의 연구모형을 비교ㆍ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D광역시와 K지역에 소재하는 총 8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72명이었다. 연구결과, 연구모형 중 지각된 어머니의 긍정 및 부정 정서표현성이 초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기능적ㆍ역기능적 정서조절을 통하여 공격성에 간접 영향을 주는 모형이 본 연구 자료에 가장 부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모형 내 포함된 어머니의 정서변인 및 자녀의 정서변인과 기본심리욕구는 주도적 공격성을 약 38.1%, 반응적 공격성을 약 21.0%, 관계적 공격성을 약 37.0% 정도로 설명하였다. 더불어 지각된 어머니의 긍정 정서표현성과 초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및 기능적 정서조절은 공격성의 보호요인으로, 어머니의 부정 정서표현성과 초등학생의 역기능적 정서조절은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보호요인보다는 위험요인이 공격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더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는 가정 및 교육적 장면에서 초등학생의 적응적 행동을 위한 부모뿐 아니라 자녀의 정서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초등학생의 공격성에 대한 교육적 개입을 위해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보다 종합적인 공격성 모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the multidimensional aggression model for 5-6th graders, which would focus on the effect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variables on aggression. Specifically, this study tes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basic psychological needs, emotion regulation and aggress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echniques. A sample of 372 students from eigh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 city and K province were us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aggression, three research models were tested, and the first model including all possible paths between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was chosen as the best model. In this model, the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aggression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s such a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emotional regulation. Also the positive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had less effects on aggression compared to negative ones. These results implied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should be effectively considered to lower or understand children`s aggression. Finally, the usefulness of GAM to explain cause and effects of aggre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한국판 관계적 공격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대학생을 대상으로

        배라영,최지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1

        Relational aggression is defined as behavior that causes relational harm.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Relational Aggression Scale developed by Morales & Crick (1998). To this aim, 31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examined for construct validity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Gender relate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using latent mean analysis. The relational aggression scale is comprised of 10 items, categorized into three subscales including three items on proactive relational aggression towards a goal-directed end, four items on 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displayed in response to a perceived threat, and three items on romantic relational aggression. The reliability was .55 to .74. The Relational Aggression Scale fulfilled concurrent validity criteria by show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on, anger and depression,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Female students demonstrated higher relational aggression than male students, especially with reactive and romantic relational agg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Morales와 Crick(1998)이 개발한 관계적 공격성을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 하는 것이다. 관계적 공격성은 관계손상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격성이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 313명(남: 113명, 여: 200명)을 대상으로 구인타당도 및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구인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공인타당도는 공격성, 분노,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관계적 공격성이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관계적 공격성 척도는 목표성취를 위한 주도적 관계적 공격성 3문항, 지각된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 4문항, 연인관계에서의 애정적 관계적 공격성 3문항의 총 10문항으로 원척도와 같은 3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신뢰도는 .55에서 .74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적 공격성 척도는 공격성, 분노, 우울과 유의한 정적상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여 공인타당도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적 공격성은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 보다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 애정적 관계적 공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연구논문 > : 세무보고 공격성이 감사인이 인지한 기대감사시간, 실제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박종일 ( Jong Il Park ),지승민(교신저자) ( Seungmin Chee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2

        본 연구는 피감사기업의 세무보고 공격성에 대해 감사인이 인지하는 기대감사시간, 실제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이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누적유효세율로 측정된 세무보고 공격성이 감사보수를 증가시킴을 보고하였다(Donohoe and Knechel 2014, 심충진 2009). 그런데 앞서의 선행연구들에서는 세무보고 공격성과 감사보수와의 관계만을 살펴보았기 때문에 감사인의 감사노력 측면에서의 논의와 실증적 증거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부족했던 연구를 보완하기 위하여 기업의 세무보고 공격성에 따른 감사위험이 감사인과 피감사인간의 감사보수 책정뿐 아니라 감사인이 인지한 사전적 또는 사후적 감사시간에는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5년간 누적유효세율인 GAAP ETR(전통적인 유효세율), CASH ETR(현금유효세율), 그리고 CFO ETR(영업현금흐름 기준 유효세율)의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고, 또한 세무보고 공격성이 높은 기업의 선정은 Donohoe and Knechel(2014)의 방법에 따라 각 세 가지 ETR을 기준으로 5분위수로 나누어 이중 가장 낮은 구간으로 정의한 후 감사인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세무보고 공격성이 감사위험을 증가시킨다면 감사보수뿐만 아니라 감사인의 기대감사시간이나 실제 감사시간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하였다. 분석기간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이고, 표본은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법인 중 상장기업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세 가지 누적유효세율로 측정된 세무보고 공격성이 높은 구간의 기업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감사인이 인지한 기대감사시간이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사인은 피감사기업의 세무보고 공격성을 감사위험의 결정요인 중 하나로 인지한다는 결과이다. 둘째, 세무보고 공격성이 높은 기업과 감사보수 간에 유의한 양(+)의 관계는 체계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표본을 나누어 분석한 경우 감사품질이 높은 Big 4 감사인만 세무보고 공격성에 대한 위험 프리미엄을 추가로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련연구와는 다른 실증적 증거였다(Donohoe and Knechel 2014; 심충진 2009). 셋째, 세무보고 공격성이 높은 기업이면 감사인의 실제 감사시간 역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세무보고 공격성이 높은 피감사기업들에 대해 감사인은 감사위험의 증가로 인지할 뿐 아니라 연계된 행동으로 실제 감사노력도 증가시킨다는 발견이다. 마지막으로, 추가분석에서 표본을 나누어 분석하면 앞서의 결과들은 주로 non-Big 4보다는 Big 4 감사인 표본에서, 또한 IFRS 이후보다는 도입 이전기간에서 더 뚜렷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연구결과는 국내 감사시장에서 누적유효세율로 파악된 세무보고 공격성이 높은 기업이 재무보고 위험이 높아 감사인의 감사위험도 증가될 수 있으므로 감사인은 사전적 기대감사시간뿐만 아니라 실제 감사투입시간 역시 증가시키고 있지만, 선진국보다 낮은 감사보수 수준과 가격경쟁이 보다 심화된 국내 감사시장의 경우 감사보수의 증가를 초래하지는 않음을 보여준다. 다만, 감사품질이 높은 Big 4 감사인의 경우만 세무보고 공격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도 감사보수를 할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세무보고 공격성을 감사보수 측면에서 다룬 관련연구에 대하여 연구범위를 보다 확장시켜 감사인이 인지하는 사전적 또는 사후적 감사시간 측면에서도 감사위험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발견은 관련연구에도 보완적이고 추가적인 실증적 증거를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재무보고의 질과 감사인과 관련한 재무제표의 신뢰성에 관심 있는 학계뿐 아니라 투자자, 실무계 및 규제당국에게도 세무보고 공격성이 높은 기업이 감사인의 감사보수 및 사전적/사후적 감사시간에는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관한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ax reporting aggressiveness on auditors` expected audit hours, actual audit hours, and audit fees. Earlier studies view corporate tax aggressiveness as increasing firm value since aggressive tax strategy saves tax payments and cash outflows. In contrast, recent papers focus on agency problem arising from tax aggressive activities. For example, aggressive tax positions can decrease firm value by increasing potential nontax costs. Managers need to invest resources to plan for tax strategy and to pay significant fees for accounting and legal services. Such costs can be significantly large in cases where aggressive tax positions are challenged by tax authorities (Slemrod 2004; Desai and Dharmapala 2006). Further, managers may engage in tax aggressive activities for opportunistic purposes rather than for maximizing firm value. In such cases, aggressive tax positions are likely to increase information risk as well because opportunistic managers have incentive to engage in complex transactions and opaque reporting to obscure their opportunism and to reduce risk of being caught by regulators. In line with this, recent studies argue that corporate tax aggressiveness decreases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and disclosures and thus increases information risk (Balakrishnan et al. 2012; Park 2012; Kang and Ko. 2014). Relatedly, corporate tax aggressiveness is likely to increase audit risk since auditor`s role is to decrease information risk by improving credibility of firm`s financial reporting and disclosures. Therefore we expect that auditors increase audit hours and audit fees for tax aggressive firms to control for their audit risk. Prior research documents that tax reporting aggressiveness measured as effective tax rate increases audit fees (Donohoe and Knechel 2014; Shim 2009). They argue that tax aggressive firms pay fee premium for external audit services because firm`s aggressive tax avoidance strategy increases audit risk and complexity. However, these studies do not examine whether the audit fee premium for tax aggressiveness is conditional on increases in audit efforts. We extend this line of research by examining whether firm`s aggressive tax reporting influences not only audit fees but also auditor`s expected audit hours and audit efforts measured as audit hours. We construct proxy for tax aggressiveness using GAAP ETR and CASH ETR introduced by Dyreng et al. (2008) and CFO (cash flow from operations) ETR introduced by Guenther et al. (2014). Following Donohoe and Knechel (2014), we classify firms as tax aggressive if they are in the lowest quintile of GAAP ETR, CASH ETR, or CFO ETR by year within the same industry. Our sample covers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in non-financial industries with fiscal year-end in December from 2008 to 2013. We document several findings. First, we find that auditor`s expected audit hours significantly increase for tax aggressive firms. The result suggests that auditors perceive corporate tax avoidance activities as increasing audit risk. Second, we do not find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ax aggressiveness and audit fees as documented by Donohoe and Knechel (2014) and Shim (2009). Whereas tax aggressiveness has no incremental effect on audit fees for our sample firms in general, audit risk for tax aggressive firms is compensated with additional audit fees only for Big 4 auditors. Third, we find that auditors increase audit hours for tax aggressive clients, suggesting that tax aggressiveness positively influence audit efforts. Lastly, when we partition the sample into pre- and post-IFRS adoption period, we find that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ax aggressiveness and audit hours is stronger during pre-IFRS adoption period and for Big 4 auditors.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corporate tax aggressiveness influences the level of audit efforts exerted by auditors measured as both expected and actual audit hours. However, auditors are not rewarded with audit fee premium for exerting incremental efforts for tax aggressive firms because of competitive nature of Korean audit market. Incremental audit efforts for tax aggressive firms are compensated only for Big 4 auditors. Our study makes several contributions. First, this study is the first to document the effect of corporate tax aggressiveness on audit efforts measured as expected and actual audit hours. Second, we contribute to the audit fee literature by showing that increased audit efforts for tax aggressiveness are not compensated for Korean auditors in general in contrast to prior finding of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ax aggressiveness and audit fees (Donohoe and Knechel 2014; Shim 2009). Our results manifest distinct nature of Korean audit market and thus provide implications to academicians, practitioners, and regulators.

      • KCI등재

        관계적 공격성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여성노인을 중심으로

        성윤아,김윤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ealousy and jealousy of elderly women on relational aggression in 382 elderly women over 60 years ol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eater the jealousy and jealousy of the elderly women, the higher the relationship aggress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impacts of elderly woman's jealousy and envy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based on which to suggest the mediating measures for relational aggression visualized in the elderly woman and the measures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The specific subjects of inquiry are;first, does the jealousy and the envy of elderly woman have impact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the relation between the jealousy and the envy of elderly woman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 To do that,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85. The major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eneral inclination of the relational aggression, jealousy, envy and anger in the elderly woman, the jealousy received 3.226 points showing the highest degree compared to other variables, the envy received and the trait anger scored 2.454 points in order. The score of the variables having internal inclination of individual similar to the jealousy and the envy was slightly higher or lower than the median value. In the anger toward other people or the relational aggression, since the trait anger was scored but other variables were scored low showing around 1 points, the anger and the aggression of the elderly woman can be considered to be low.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among the various variables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not much.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compared to other variables. That is,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ctive aggression, proactive aggression, state anger and trait anger was found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 and the anger in the elderly women having education level of middle school graduate or higher were lower compared to those in the elderly women who were not educated or graduated the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60세 이상 여성노인 382명을 대상으로 하여 여성노인의 질투,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여성노인의 질투와 시기심이 심할수록 관계적 공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의 질투,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여성노인의 가시화 되어지는 관계적 공격성의 조절 방안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여성노인의 질투 및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여성노인의 질투 및 시기심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분노는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이다. 주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질투, 시기심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결과, 질투는 다른 변인에 비해 그 정도가 가장 높으며, 시기심 순이다. 질투와 시기심과 같은 개인 내적인 성향이라 할 수 있는 변수의 점수는 중앙값보다 살짝 높거나 살짝 낮은 수준이다. 둘째, 여성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제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결과가 많지 않았다. 다른 변수에 비해 여성노인의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 한 경우가 많았다. 즉 교육수준에 따라 반응적 공격성, 주도적 공격 성의 차이가 유의했는데, 중졸이상의 교육수준을 가진 여성노인의 관계적 공격성과 분노가 무학 혹은 초졸인 여성노인에 비해 낮았다. 셋째, 여성노인의 질투와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회귀분 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노인의 질투가 심할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아지며, 시기심이 심할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투가 시기심에 비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노인의 시기심이 심할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아지지만 질투의 영향 력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 노인의 질투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지되었다.

      • KCI등재후보

        유아의 공격성이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윤소정,김민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유아의 공격성,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의 수준과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라 유아의 신체적·관계적 공격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신체적․관계적 공격성이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 250명과 담당 교사 5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공격성,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을 응답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른 유아의 공격성은 만 4세가 관계적, 신체적 공격성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에 따른 유아의 공격성은 남아가 관계적, 신체적 공격성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공격성과 교사-유아관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공격성이 높을수록 교사-유아관계에서 친밀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유아관계에서 갈등이 높고 의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공격성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관계적·신체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공격적·과잉활동적 행동이 더 높게 나타나며, 비사교적인 행동도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관계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 유아의 관계향상과 교사들에게는 유아의 발달에 도움이 되는 방향을 제시하고 유아의 또래유능성 개선과 어려움을 감소시키는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