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디지털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점 식별의 오차 및 재현성에 관한 비교 연구

        이양구,양원식,장영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2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점 식별의 오차를 구하여 각각의 영상에서 오차의 특징을 살펴보고 재현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한 교정 환자 중 18세에서 29세 사이의 성인 환자 중에서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과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 각각 15명씩 30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녀의 구별이나 두개 안면 구조의 형태는 고려하지 않았다. 계측점은 동일인이 시간차를 두고 식별 하였다. 식별 후 각 계측점은 좌표 (x, y)로 표시하였으며, 처음 계측점을 식별한 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을 T1으로, 1 주 후 동일 계측점을 재식별한 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을 T2로, 1 달 후 동일 계측점을 재식별한 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을 T3로 분류하였다. 오차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x좌표, y좌표로 구분하여 계산하였다. 초기 식별 1주 후 재식별시 오차는 T2-T1(x), T2-T1(y)로, 초기 측정 1달 후 재식별시 오차는 T3-T1(x), T3-T1(y)로 표시하였으며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으로 각각 나누었다. 재현성의 평가를 위한 오차간의 통계학적인 검정은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이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보다 일반적으로 오차의 평균 및 표준편차가 작았다. 2.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오차와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오차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은 드물었다. 3. 상의 향상을 통한 오차의 개선은 한계가 있었으며 상이 향상되더라도 각 계측점의 오차의 경향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and errors in landmark identification of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digi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Fifteen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fifteen digi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selected in adults with no considerations on sex and craniofacial forms. Each landmark was identified and expressed as the coordinate (x, y). The landmark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The landmarks of the first identification was T1, identification after one week was T2, and identification after one month was T3.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identification errors between replicat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x and y coordinates. The errors between first identification and second identification were expressed as T2-T1(x), T2-T1(y) and those between first identification and third identification were expressed as T3-T1(x), T2-T1(y). Each wa divided into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digi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The independent t-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identification errors for the evaluation of reproduc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Generall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in digi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was small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2. Only a few landmark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dentification error between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digi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3. The enhancement of image quality didn't guarantee decrease in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 and didn't affect tendency of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

      • KCI등재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과 측모 사진 분석의 비교

        김광원,임성훈,조주영,최갑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1

        오래 전부터 교정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시 골격 및 치열 관계와 안모를 분석하기 위한 필수적인 진단 자료로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심미적인 측면이 강조되면서 좀 더 정량화된 연조직 분석법이 필요하게 되었고 좀 더 사실적인 연조직 측모를 얻기 위해서는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보다는 측모 사진이 더 유용할 것이다. 아직까지 측모 사진을 계측, 분석하는 경우는 드물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측모 사진의 계측 분석을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과 비교해 봄으로써 연조직과 경조직 분석이 서로 상관관계를 갖는지를 알아보고 그 대체 가능성을 시험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치인 ANB를 기준으로 Ⅰ급 부정교합(0˚~4°) 32명, Ⅱ급 부정교합(4°≤) 32명, Ⅲ급 부정교합(5°~0°) 31명을 선정하였다. 각 피험자들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측모 사진을 각각 촬영하여 수평적, 수직적 계측 항목을 설정한 후 각 계측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표준화 변수 Z를 이용한 t-test와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에서 세 그룹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계측치들이 측모 사진에서도 유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측모사진은 Sn-N'-Pg'은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에서 상,하악골의 전후방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ANB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측모 사진의 N'-Sn/Sn-Pg'은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NA/APg (ficial convexity)을, 그리고 측모 사진의 N'-Tra-Me'는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FH-MP (mandibular plane)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lalysis of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cephalogram) has been used routinely to evaluate skeletal and dental relationships, but alalysis of the lateral facial photograph has not been used frequently for evaluation of skeletal relationships. As concerns about harm of X-ray irradiation increases, this study was plann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analysis of the lateral cephalogram with analysis of the lateral facial photograph by comparing these two analysis. According to the ANB values from cephalometric analysi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ClassⅠmalocclusion group (n = 32). Class Ⅱ malocclusion group (n = 32), and Class Ⅲ malocclusion group (n = 31). After measurements of angles indicating horizontal and vertical relationships of the maxilla and mandible on the lateral cephalograms and photographs, differences between ClassⅠ,Ⅱ and Ⅲ groups were evaluated. To evaluate the similarity between two similar values in the cephalograms and photographs, t-test using standardized variable Z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the Class Ⅰmalocclusion group. The results show that 1) SnN'Pg' on the photograph can be used to evaluate the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the maxilla and mandible (ANB), 2) N'-Sn/Sn-Pg' on the photograph can be used to evaluate facial convexity (NA/APg), 3) Sn-Tra-Me' on the photograph can be used as a measurement similar to FMA, In conclusion, partly substituting lateral cephalogram analysis with lateral facial photograph analysis was possible in the evaluation of the maxilla and mandible.

      • 건설현장 인접 시설물 실시간 계측관리를 위한 모바일 시스템 구축

        정민구,김경곤,김상용,김광희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최근 도심지 건축공사에서는 주변건물이나 시설물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기존 계측관리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안전성을 파악하여 위험요소로부터 신속히 대처하기 위한 실시간 계측 시스템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특히 건설현장에 인접한 지하철 시설은 가장 주요한 계측관리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며, 진동과 균열, 기울기의 실시간 계측을 통한 현장 안전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접 시설물의 안전성을 계측관리하기 위한 실시간 계측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최근 보편화 된 스마트폰과 연동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접 지하철 시설물의 계측관리에 모바일 기술 적용한 실시간 자동계측시스템을 구축하여 주변시설물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확인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시스템에 이용되는 계측장비는 진동 측정기, EL-BEAM, 균열계, 자동계측기로 구성하였으며, 계측 결과값의 장거리 송수신을 위한 CDMA모뎀, 서버 PC, 모니터링 PC, 스마트폰으로 구성하였다. 실시간 자동계측 시스템과 기존 수동적 계측관리 시스템 대비 효과를 분석할 뿐만 아니라 현장 관리자의 신속한 의사결정 수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토대로 최근 산업 전반에 걸쳐 활성화되고 있는 모바일 기술을 현장계측에 적용함으로서 건설기술과 모바일 기술의 융합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계측 단위의 전통지식으로의 가치

        홍태한(Hong Teahan) 한국민속학회 2020 韓國民俗學 Vol.72 No.-

        이 글은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전통지식 중에서 계측 단위의 양상과 의미를 살핀 글이다. 길이, 무게, 부피, 넓이 등의 계측 단위는 우리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양상을 보여준다. 특히 사물을 세는 단위는 사물의 생태나 상태를 고려하여 붙인 것이 많아 전통지식으로의 가치가 있다, 그런 점에서 계측 단위는 누적된 경험의 전승이고 기호로 된 질서라 할 수 있다. 아울러 계측 단위는 신체, 사물의 생태와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존재 단위이고, 사물의 획득과 가공과 연계되어 인간의 활동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보여준다. 계측 단위는 인간과 생태의 연결, 획득과 가공이라는 활동의 표현이라는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전통지식으로서 계측단위는 다음과 같이 개념화된다. 계측 단위는 경험을 기반으로 한 전통의 체계로 존재하면서 존재에 대한 인식의 기준이 되고, 인간과 생태의 연결, 획득과 가공의 인간 활동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계측 단위를 전국적으로 수집할 필요가 있고 생태, 생업과 연계하여 의미망을 다각도로 도출할 필요가 있다. 계측 단위에 대한 연구는 산업 구조, 생업 주기, 농경 어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심화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계측 단위에 대한 조사는 단독으로 이뤄질 것이 아니라 생업과 농경 어로 조사와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계측 단위가 사용된 다양한 구비전승, 속담이나 수수께끼, 관용어 등도 함께 살펴야 할 것이다. 전통 지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그것이 무형문화재 지정 범주의 하나로 자리잡고는 있지만, 계측 단위에 대한 지식이 무형문화재가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만 이를 통해 가치를 부여하고 제도권에서 의미를 부여한 무형문화재의 기저에는 우리 생활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현상으로의 민속이 있다는 인식은 확산될 수 있다. 무형문화재 제도는 민속 활용의 한 사례이다. 국가에서 설정한 제도로 가치 부여 정도로 의미를 단순화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가치를 부여하기 위해서 다양한 민속에 관심을 갖고 조사를 진행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계측 단위의 의미를 살펴야 하는 이유이다. This article observed the aspects and meanings of measurement units in traditional knowledge, which is recently receiving a lot of interest. Measurement units such as length, weight, volume, and area show us diverse aspects as they can easily be accessed in our lives. In particular, many units that count objects are attached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y or conditions of objects, thus having value as traditional knowledge. From this point, measurement units can be considered the transmission of accumulated experiences and order in the form of symbols. In addition, measurement units are units of existence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ecology of the body and objects and they are connected to the acquisition and processing of objects, forming close associations with human activity. Measurement units have a system that connect humans and ecology and they are the expression of the activities of acquisition and processing. Therefore, measurement units as traditional knowledge can be conceptualized in the following manner. Measurement units exist as systems of tradition based on experience, become standards for perceptions on existence, and are a means of expressing the connection of humans and ecology and the human activities of acquisition and processing. Such measurement units must be collected on a national scale and semantic networks should be deduced from multiple angles in connection with ecology and vocations. Research on measurement units can be intensified through studies on industrial structures, occupational cycles, and agriculture and fishery. From this aspect, surveys on measurement units should not be conducted independently but together with surveys on trade, agriculture, and fishery. Further, observations should also be made on various forms of oral transmissions, proverbs and riddles, and idioms in which measurement units are used. Interest in traditional knowledge is growing and while it is solidifying its place as a part of a category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t will be difficult for knowledge on measurement units to become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However, through this, perceptions can spread that folklore exists as a phenomenon that is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at the bas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at have granted meaning and value to formal sectors. The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s a case of folklore utilization. Meanings can be simplified as value is granted by state-established system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research must be conducted with interest in diverse folklore for such value to be granted. This is why the meanings of measurement units must be observed.

      • KCI등재후보

        방사선상 enhancement 정도에 따른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계측점 설정의 재현도

        유황석(Hwang-Sog Ryu),황현식(Hyeon-Shik Hwang) 대한치과교정학회 2002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의 디지털 영상을 enhancement하였을 때 계측점 설정의 재현도를 비교 평가하여 두부방사선사진 계측점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10명의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촬영하여 컴퓨터에 입력하고 Quick Ceph Image Pro<sup>TM</sup>에서 gray-scale equali zation number를 50으로, detail enhancement numbe를 50으로 설정하여 방사선상을 4단계까지 enhancement하였다. 5명의 조사자가 모니터 상에서 32개의 계측점을 설정하고 방사선상의 각 enhancement 단계에서 각 계측점에 대하여 5명의 조사자가 설정한 점과 이 점들의 중심점간의 거리인 편위량으로 조사자간 계측점 설정의 재현도를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nhancement를 하지 않은 방사선상에서 조사자간 재현도는 계측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2. 방사선상 enhancement에 따른 계측점의 편위량을 비교한 결과, 5개의 계측점에서 방사선상의 enhancement 단계간에 조사자간 계측점 설정의 재현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계측점 pterygomaxillary fissure는 enhancement 단계 1과 2의 방사선상에서, 계측점 posterior nasal spine은 enhancement 단계 1의 방사선상에서, 계측점 menton은 enhancement 단계 2,3과 4의 방사선상에서 조사자간 계측점 설정의 재현도가 enhancement하지 않은 영상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모니터 상에서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의 계측점 설정시 디지텅 방사선상의 enhancement를 통하여 일부 계측점에서 재현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lateral cephalometric landmarks according to radiographic image enhancement, and to contribute to the identification of cephalometric landmarks. Lateral cephalograms of ten individuals were taken and stored into computer. The images were then enhanced up to four grades by Quick Ceph Image Pro TM on condition that the gray-scale equalization number was 50 and the detail enhancement number was 50. After thirty two landmarks were identified on monitor images by five observers, the deviations from the mean, the distances estimated between identified points and the mean point of five identified points, were evaluated for each landmark at each enhancement grade.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case of unenhanced radiographic images, the inter-observer reproducibility of the landmarks showed a large variation. 2. The comparison of deviation from the mean according to the degree of radiographic image enhancement for each landmark showed that the inter-observer reproduci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andmarks. 3. The landmark of pterygomaxillary fissure showed higher reproducibility at enhancement grade 1 and 2 images than at unenhanced images. So did the landmark of posterior nasal spine at enhancement grade 1 images, and the landmark of menton at enhancement grade 2, 3 and 4 images respectively.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reproducibility of some landmarks can be increased by radiographic image enhancement during the identification of the lateral cephalometric landmarks on the monitor.

      • SCOPUSSCIEKCI등재

        두부방사선사진의 계측오류에 관한 연구

        나광천,윤영주,김광원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는 교정 치료를 위한 진단과 치료 계획의 수립에 널리 이용되는 진단 수단의 하나인 두부 방사선 사진을 계측하는 연구에서 볼 수 있는 오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반복 계측의 방법으로 체계적 오차(systematic error)를 찾아내고 임의적오차(random error)의 범위를 산출하는 과정을 통해 기준점의 식별에 보다 주의가 기울여져야 할 해부학적 기준점들을 찾아보고자 시행되었는데, 통법에 의해 촬영된 100장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산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61개의 기준점과 130개의 계측항목을 선정하였고 반복계측을 위해 25개의 표본을 무작위로 선정, 계측오차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반복계측에 따른 계측치의 비교에서 130개 전체 계측항목의 18.4%인 24개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2. 반복계측에서 기준점 식별에 차이를 보이는 빈도는 상악 전치의 치근단점(as), 상악골의 최후방벽(tu), 연조직 nasion과 전두정(ft) 그리고 기도의 ad3점에서 매우 높았다. 3. 5%이하의 유의도를 보이는 수준까지 기준점 마킹을 수정한 후, 임의적 오차의 범위는 0.67-1.71mm 또는 도를 보였다. 4. 가장 임의적 오차를 보인 계측항목은 상, 하악 전치가 이루는 각(interincisal angle; ILs-ILi)이었다. 5. 계측오차의 문제는 주로 해부학적 정의에 대한 정확성의 부족과 불분명한 방사선사진상에 기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두부 방사선 사진의 계측에는 많은 오류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두부 방사선 계측에서 뿐 아니라 계측이 이루어지는 모든 연구에서는 항상 계측오류에 대한 분석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조사자로서 뿐만 아니라 다른 연구자의 연구결과를 올바르게 인식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오류에 대한 인식은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on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rrors in measurements of cephalometric rediograph and to find the anatomical structures those need special care to select as a reference points through the detection of the systematic errors and estimation of random errors. For this purpose, 100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prepared by usual manner and 61 reference points, and 130 measurement variables were established. Measurement errors were detected and estimated by the comparison of the 25 randomly-selected samples for repeated measurements with the main sampl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comparison of the repeated measurements,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24 variables which were 18.4% of 130 total variable. 2. The frequency of the difference in identification of the reference points between the repeated measurements was very high in the root apex of upper incisor(as), the most posterior wall of maxilla(tu), soft tissue nasion(n'), soft tissue frontal eminence(ft), and ad3 in airway. 3. After correction of reference points marking until the level of below 5% significance, the range of random errors were from 0.67 to 1.71 degree or mm. 4. The variable shown the largest random error was the interincisal angle(ILs-ILi). 5. Measurement errors were mainly caused by the lack of precision in anatomic definitions and obscure radiographic image. From the above results, the author could find the high possibility of errors in cephalometric measurements and form this point, we should include error analysis in all the studies concerning measurements. In is essential to have a concept of error analysis not only for the investigator but also for a reader of other articles.

      • KCI등재

        건설 계측 및 계측업의 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우종태(Woo Jong-Tae)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0 No.2D

        건설 계측 및 계측업은 IT산업 및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빠르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건설 계측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한 제도적 및 법적 뒷받침은 현실적으로 아주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건설계측분야의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발전 빙안을 검토하였다. 건설 계측 및 계측업이 발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건설계측협회 및 학회 설립 검토, 건설계측업 지정을 위한 관련법 검토, 건설계측품셈 제 · 개정 검토, 건설계측관련 설계기준 및 시방기준 제 · 개정 검토, 건설계측 전문인력 실무교육기관 지정 검토, 계측기기의 성능검사전문기관 지정 검토, 계측기기의 하자담보책임기간 검토, 계측기기의 손망실 비율 반영 검토 등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Construction monitoring and monitoring industry have been rapidly developed with advance of IT industry and telecommunication. However institutional, legal supports that need to settle the construction monitoring are practically inadequate. So development plans that are reflected enqu?te results about the present state of construction monitoring are considered. A way that consider establishment Korea construction monitoring association and society, deal with relevant law appointing monitoring industry, consider enactment and revision of construction monitoring design standard and specifications, appoint practical construction monitoring educational institution, appoint an efficiency test specialty institution of monitoring equipment, consider the term of guarantee of monitoring equipment consider enactment and revision of estimating cost of construction measurement, consider ratio of monitoring equipment loss for developing construction monitoring and monitoring industry are proposed.

      • 토목구조물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기준 개선방안

        임기환,박기종,박병철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0 No.-

        2008년 3월에 지진재해대책법이 제정되었고, 지진가속도계측기의 배치를 계획하고 성능과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표준안이 될 수 있는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및 운영기준’ 이 2010년에 고시되었다. 하지만 지난 1년여 간의 지진가속도계측시스템 운영 결과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및 운영기준’ 에 대한 현실적·기술적 부분에 대한 문제점이 발견되었고 지진가속도 계측이 체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및 운영기준’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토목구조물에 대한 지진가속도계측기의 효율적인 설치, 운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행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및 운영기준’의 제3장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대상 시설 중 제8조(설치대상 시설)의 4항에 ‘「건설기술관리법」 제34조에 따른 현수교 및 사장교’ 의 고시 내용 중 민자로 건설된 현수교 및 사장교를 설치의무대상으로 지정하고, 제8조(설치대상 시설)의 11항을 신설하여 항만시설을 계측대상에 포함시켰다. 또한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및 운영기준’의 제4장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설치 위치 중 제5절 현수교 및 사장교, 제7절 고속철도 교량의 경우 동적 해석을 통하여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와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동적 해석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현행 고시가 정한 위치와 개수에 따라 지진가속도계측기를 설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학적 검토를 통해 동적 해석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와 개수에 대하여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 국내 이미 설치 완료된 지진가속도계측시스템을 통해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및 운영기준’의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개선사항을 도출하였으며, 2.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개선사항을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센서의 배치와 계측을 통해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지진가속도데이터를 축적할 것으로 판단된다.

      • 샅높이 항목의 자동계측시스템개발

        강인형,민병찬,김재은,성은정,심부자,김철중 대한인간공학회 2002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마틴식 계측기등을 사용하는 직접측정방법의 이용은 계측자가 직접 인체에 접촉하여 계측점을 위주로 길이, 둘레, 너비/두께 등 2차원 자료를 계측하기 때문에 간접측정방법에 비해 정확성이 높고 간편하다. 그러나 계측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계측자의 숙련도에 따라 오차를 수반하는 경우가 있으며, 자료의 재연성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바닥에서 회음점까지로 정의되는 샅높이 항목의 계측은 피험자뿐만 아니라 실험자에게도 어려움이 많은 항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샅높이 항목 계측 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고 계측시간 절감을 위해 샅높이의 자동계측시스템과 실시간 입력 프로그램에 대한 효율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피험자 50명을 대상으로 새롭게 개발한 샅높이 항목 자동계측시스템을 사용하여 계측을 실시한 결과 기존 Martin식 계측법과 비교하여 유의한 시간절감과 거부감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비부착, 비접촉 방식의 계측기를 이용한 반구대암각화 암반 절리면의 계측

        김재현,이상옥,정광용,한민수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6

        울주군 대곡리 일대의 대곡천은 가지산 도립공원에서 양산단층을 가로질러 태화강 합류지점 에 이르는 계곡과 암반이 발달된 지역이다. 계측할 반구대 암각화 암반은 광물학적 풍화, 절리, 하부 의 세굴이나 공동이 확인되었다. 본 계측은 반구대 암각화가 세겨진 암반의 절리면을 대상으로 단기 간 계측을 수행하였다. 기존 광섬유를 이용한 계측값(Ch4 150 μm)과 비교하여 비부착, 비접촉식 계측기는 300μm의 변위값이 계측되었다. 향후, 시간대별 조도값에 적합한 HSV값의 적용과 다양한 계측경험이 누적될 경우, 본 계측기는 다양한 문화재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Daegokcheon Stream in Daegok-ri, Ulju-gun, is an area with a developed valley and bedrock from Gajisan Provincial Park to the confluence of the Taehwa River across the Yangsan Fault. To measure the rock of Bangudae petroglyphs, the mineralogical weathering, joints, and scours or cavities at the bottom were confirmed.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for a short period of time on the joint of the bedrock on which the Bangudae petroglyphs were engraved. Compared to the measured value obtained using existing optical fiber (Ch4 150 μm), a displacement value of 300 μm was obtained using the non-attached, non-contact type of measuring instrument. In the future, it is inferred that this instrument could be used for various cultural properties if the HSV-value suitable for illuminance and various measurement experiences are sto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