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계열별 글쓰기 수업의 교육 방안

        김지혜 이화어문학회 2014 이화어문논집 Vol.32 No.-

        본 연구에서는 가천대학교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의 계열별 글쓰기의 특징 및 목표를 고찰해 보았다. 대학의 글쓰기 교육은 현실적인 제반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중등교육의 작문 교육처럼 체계화ㆍ표준화하기는 어렵다. 대학 글쓰기는 각 대학의 교과과정에 따라, 교양교육의 목표에 따라 특성화될 수밖에 없는 실정인 것이다. 가천대의 경우 2011년부터 기존 대학 국어 형식의 수업을 실용적인 계열별 글쓰기 수업으로 개편했으며, 2014년 현재 과학기술글쓰기, 예술체육글쓰기, 인문사회글쓰기, 의료보건글쓰기 4개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 가천대 글쓰기 수업은 글쓰기의 기초 부분은 공통으로 두고, 실용문 글쓰기 부분을 각 계열에 맞게 특성화하여 진행하고 있다. 특히 과학기술글쓰기에서는 기술문서, 과학서평, 과학에세이를, 예술체육글쓰기에서는 작업노트, 서평, 예술비평문을 다루고 있으며, 인문사회글쓰기에서는 서평, 칼럼, 영화평, 이야기 새로 쓰기 등을 선택하여 실습하고 있다. 이처럼 실용문 글쓰기를 계열별로 특성화시킴으로써 기존에 제기되었던 여러 계열별 글쓰기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전공별로 필요한 글쓰기 부분을 보강함으로써 전문적인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공 분야를 미리 탐색하고 진로를 성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공 분야가 다양화되고 전문화됨에 따라 ‘소통’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다. 계열별 글쓰기는 단순히 취업을 위한 글쓰기 연습이 되어서는 안 되며, 여러 분야와의 효과적인 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해야 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goal of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y by department through focusing on the example of Gachon University's writing education by department.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y has different condition on the whole reality, so that it is difficult to systematizeㆍstandardize as that of secondary education. Writing of university is apt to be specializ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each college and the goal of liberal education in reality. In case of Gachon University, it reorganized the existing language form class of the college into practical writing class by department since 2011, and presently in 2014, it divides into four areas, i.e. scientific technology writing,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rit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riting, and medical health writing. Writing education in Gachon University is proceeded by specializing practical sentence writing part to be proper for each department, by putting the basic part of writing commonly. Particularly in scientific technology writing, technical document, science book review, science essay are treated, and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riting, work note, book review, art criticism are treated, and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riting, book review, column, film review, writing stories newly, etc. are selected and practised. This way, it intended to minimize the problems of writing by department, which were raised previously, by specializing practical sentence writing by department. Also, by reinforcing necessary writing part by major, it enabled exploration of major field beforehand and introspection of career, at the same time improvement of specialized writing ability. As the major field is diversified and specialized, 'communication' is the most highly regarded. Writing by department should not be the writing practice for mere finding employment, but it should take an objective to improve effective communication ability with various fields.

      • KCI등재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재고 -E여대 교재 및 수업 개편 사례를 중심으로

        전지니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3

        This thesis aims to exa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writing education by academic track by investigating a case of a university that was located in Seoul and started to offer different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academic track. Meanwhile, writing courses focused on common writing competencies in this university, and the learners seemed to be dissatisfied with this type of education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cademic tracks were overlooked. So the university attempted to develop different textbooks by academic track and to reorganize the existing courses. In this study, the professors who were responsible for writing education were interview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arners who took writing cour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Every professor who offered writing education didn't require the new students to do advanced writing related to the unique features of their majors. Instead, they asked them to strengthen basic competencies such as thinking faculty and expressive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ent survey on textbook reorganiz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Thus, the position of the receivers wasn'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lecturers irrespective of major. Under the circumstances,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university put stress on fostering basic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thinking faculty and expressiveness in the first half of the textbooks, namely in the first half of instruction, and it provided opportunities to practice diverse sorts of writing in the latter half of the textbooks, namely in the latter half of instruction, in order to play up the intent of major-based differentiated instruction. However, there were marked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in their choice of themes for term paper that replaced finals. The themes chosen by the natural sciences students were a far cry from their major, and the music students mostly discussed overall popular culture instead of choosing particular themes related to their major. The themes chosen by the nursing students were fairly well linked to their major, but it's needed to consider if an emphasis of relationship with major rather might result in limiting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because many of the themes of the nursing students were the same as what they dealt with in their major courses, Given thes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track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writing education is provided in the future, and it's required to pursue "conversational" lectures that could satisfy the needs of learners at the same time. If lecturers keep listening to the voices of learners and reflect them in class, that will make it possible to play up the intent of "specialization" and to give more satisfaction to learners. 본고는 2016년부터 계열별 글쓰기 교육을 실시한 서울 소재 한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재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대학의 경우 그간 글쓰기의 공통 역량을 중시한 수업이 계열별 특성을 간과하여 학습자의 불만족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판단하에, 계열별 교재를 개발하고 수업 개편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당 전공교수와의 면담 및 학습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상의 조사 결과 모든 계열의 전공교수가 신입생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 전공 특성과 관련된 심화된 글쓰기를 요구하지 않았고, 공통적으로 사고력, 표현력과 관련한 기초 역량의 강화를 요청했다. 또한 교재 개편과 관련한 학생 설문조사에서도 전공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처럼 전공별로 수용자, 교수자의 입장이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대학 교재 편찬위원회는 교재 전반부, 곧 수업 전반부는 사고력과 표현력의 확장을 위한 기초 역량 강화를 강조했으며, 동시에 계열별 수업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교재 후반부, 곧 수업 후반부는 전공과 관련한 다양한 글쓰기 실습을 진행할 계기를 마련했다. 그런데 계열별 교재를 발간하고 전공별로 구분되는 글쓰기 실습을 진행했지만, 기말고사를 대체하는 학술비평문의 주제 선택과 관련해 전공별로 두드러지는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자연대 분반의 경우 주제 선택 면에서 전공 부합도가 현저히 낮았으며, 음대 분반은 전공과 일치하는 주제보다는 대중문화 전반에 대해 논의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간호대 분반의 경우 주제의 전공 부합도가 월등히 높았지만, 이는 전공 수업에서 다룬 주제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오히려 전공과의 관련성을 강조하는 것이 학생의 창의력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지 고민해 볼 수 있다. 이를 감안한다면 향후 글쓰기 교육은 계열별 특성을 감안하되, 해당 분반 학습자의 요구 역시 수렴할 수 있는 ‘대화적’ 강의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교수자가 수차례 학습자의 목소리를 수렴할 수 있는 단계적 창구를 마련하고 논의 결과를 수업에 반영한다면, ‘특성화’의 취지를 살리는 동시에 수업에 대한 만족도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곧 전공별로 요구되는 역량 외에 해당 집단의 고민과 관심사를 함께 아우를 수 있다면, 계열별 수업의 애초 취지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계열별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와 발전 방향 연구-경북대학교의 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이상옥(Lee, Sang ok),안미애(Ahn, Mi 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1

        The writing education of college has the specialized purpose and course by colleges but also has a problem that its phase is instable as it is liberal arts. This study started with awareness of crisis that for the writing education of college to settle its phase as a compulsory subject, our purpose should not focus on only “writing” for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transition” would be adopted. To secure the necess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writing education, the acquisition of writing ability should be able to apply for another area such as their majors. This study is about the discussion the writing education of college which is based on the premise as mentioned above. First,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cussion, the writing education of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which has experienced lots of changes on its phase was chosen as a subject of study. In the writing education of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its phase has changed from an elective subject to a compulsory subject, again to a main elective subject for a short time. During the changing time, they experienced the change from integrated writing education to the writing education which is merged into writing education by department. With this change, the writing book’s content and form as the medium of the realization also changed. However, as a result of discussion, in spite of the effort for the change, the writing education was reorganized from a compulsory subject to an elective subject and its phase in liberal arts has reduced. To Strengthen its phase in liberal arts,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the writing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Therefore, the writing education of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should be adopted the concept of transition and the integrated writing education course of common and systematic should be divided. Also, to promote effective transition to study area or practical area, sufficient training time is needed. As above discussed, to secur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the writing education in college, planning and operating with consideration of transition are needed. 대학 글쓰기 교육은 대학별로 특성화된 교육 목표와 교육과정이란 특수성과 함께 교양 교육 내에서 위상의 불안정성이란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이 대학 내에서 확고한 위상의 필수 교양 교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대학 글쓰기의 목표를 ‘쓰기’라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만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두어서는 안 된다는 위기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전이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쓰기 능력의 습득이 전공 영역 등의 다른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어야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계열별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와 발전 방향을 논의해 보았다. 먼저 그 논의의 출발점으로 최근 글쓰기 교과의 위상에서 잦은 변화를 경험한 경북대학교 글쓰기 교육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경북대학교의 글쓰기 교과는 교양 선택 과목에서 교양 필수 과목으로, 여기서 다시 핵심 교양 선택 과목으로 교양 과목 내 글쓰기 교과의 위상이 짧은 시간 동안에 변화된 경우에 해당한다. 교양 선택에서 교양 필수, 교양 필수에서 핵심 선택 교양으로 위상이 변화되는 동안 경북대학교의 글쓰기 교육은 내용적으로는 통합적 글쓰기 교육에서 통합과 계열별 글쓰기 교육을 융합한 글쓰기 교육으로의 교육과정상의 변화도 경험하였다. 교육과정의 변화와 함께 글쓰기 교육과정의 실현 매개체인 글쓰기 교재도 내용과 형식면에서 변화하였다. 그러나 논의 결과, 이러한 변화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북대학교 글쓰기 교과의 교양 교육 내에서의 위상은 필수에서 선택으로 재편성되면서 점점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양 교육 내에서 확고한 위상 수립을 위해서는 글쓰기 교육의 실효성과 필요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경북대학교 글쓰기 교육과정은 전이성 개념을 도입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통과 계열의 융합적 글쓰기 교육과정을 분화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습 영역, 실용 영역 등으로 쓰기 능력의 실질적인 전이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통적 글쓰기 능력의 교육과 함께 이를 전이할 수 있는, 충분한 실습 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논의에서처럼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이성을 고려한 교육 과정의 설계와 운영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국어교육,한국어교육 : 대학 글쓰기의 교육 현황 검토와 교육 방향의 설정

        이희영 ( Hee Young Lee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3 漢城語文學 Vol.32 No.-

        이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논의되는 여러 가지 개념들을 논의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의 특성과 현황을 살펴본 후, 대학 글쓰기 교육이나아갈 방향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 대한 관심과 논의는 2000년대부터 증가하여 현재는 90퍼센트 이상의 대학에서 신입생 글쓰기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행하고 있고, 많은 대학들이 글쓰기 교재를 계열별로 발행하고 있으며, 일부 대학에서는 계열별 글쓰기 심화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현재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은 계열별 교육을 지향하고 있는데, 본격적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이 계열별로 분화되기 이전에 몇 가지 검토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우선, 대학생들의 글쓰기 수준을 점검해야 한다는 점이다. 대학 글쓰기는 대학 이전과 대학 이후의 글쓰기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둘째로는 ‘계열별’이라는 기준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학제적인 계열 분류보다도 각 학술적 글쓰기의 특성에 맞는 분류 기준의 재설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공 유형별로 글쓰기의 특성을 파악하고 조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하여 대학에서의 단계별 글쓰기 교육이 가능하며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general overview of current college writing and its features including several issues about college writing. Studies and discussions about college writing has been widespread since 2000. FYC(First Year College) writing course is mandatory to all of freshmen in 90% of Universities, and some Universities started to manage writing courses which are related with specific majors such as science and engineering, social science, humanities.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by division of departments. However, that division is based on school system not on features of majors. Some majors has their differences although they belong to the same department. In order to educate students write for their academic needs in their majors, writing styles and features of each majors should be researched. Basic writing classes for freshmen and advanced writing classes for groups of majors could be planned, and specific writing systems could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writing features and styles of majors.

      • KCI등재후보

        예체능 계열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디자인학과를 중심으로

        이미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6

        In major related writing, the independent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department becomes viable through 'practical writing.' The majority of 'practical writing' possesses the purpose it is required for advancing into society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a major. Conventionally, arts major related writing had its limitation as it focused primarily on the enhancement of creativity based on its curricular objective or on art observation. Observing and appreciating already existing work of art is meaningful in its own aspect considering that it can be linked to creativity, but it also gave way to the problem that it diluted the quintessence of a writing lecture which was clearly the course objective. Thus, there was an attempt to seek a lecture aimed at integrating a writing class with an art major class focused on 'persuasive writing and speaking.' This measure was designed to emphasize that cultivating basic writing skills is the very core of the curricular objective of writing in all academic departments. Based on this, we have attempted to help our students perceive the concept of persuasive writing, speaking and acquaint them the importance of persuading the marketability of design to the reader and by doing so seeking a correlation with their majors. With regards to practical writing, two lectures have been carried out: persuasive writing and speaking. In the first lecture we had our students do rhetorical writing as a part of the basic form of persuasion. In the second lecture, we carried out practical drills through design presentation as a part of learning about persuasive speaking. The more feedback the students received the more they understood the structure of rhetorical writing as well as presented logical evidence to their statement thereby trying to convey a clear message. Similarly in presentations, the best they managed in the beginning was to explain their design and emphasize the virtue of their works, whereas after a number of feedbacks, they began to realize the persuasiveness required for a design concept and to emphasize the originality and ingenuity to create a market value of their works. As a conclusion they began to understand through individual presentations that the purpose of launching a design was itself a process of persuasion, and to do so they needed grounds to convince others of the advantages of their design. This process has paved way to their enlighten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예·체능 계열의 글쓰기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학과적 특성에 부합되는 교과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계열별 글쓰기에서 학과의 독립적인 특성은 '실용적 글쓰기'를 통해 가능해진다. 대부분 '실용적 글쓰기'는 전공의 특수성과 사회 진출 시 소요되는 목적을 갖고 있다. 기존의 미술 계열 글쓰기는 주로 창의력 증진이라는 교과 목표에 맞춰지거나, 미술 감상 등으로 한정되었다. 이는 미술 작품 감상이창의성과 연관된다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는 수업 방법이지만, 글쓰기 수업이라는 본질적 교과목표를 희석시켰다. 따라서 의사소통 중심의 글쓰기 수업과 미술계열의 전공 특성을 통섭하는 수업 목표로 '설득적 글쓰기와 말하기'의 수업 내용을 모색해보았다. 이는 글쓰기의 기본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계열별 글쓰기 교과목표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과정임을 강조하기 위해 고안된 방안이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설득적 글쓰기 개념, 말하기 등을 인지시키고 디자인의 상품성을 독자에게 설득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숙지시켜 전공 학문과의 연계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실용적 글쓰기의 실습 차원에서 설득적 글쓰기와 말하기는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읽기, 쓰기, 말하기의 종합적인 차원을 통해 설득의 과정을 연습하게 했다. 이를 토대로 네 차례에 걸쳐 피드백을 진행했고 최종 원고가 완성되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과정 중심의 글쓰기를 인지시켰다. 산업디자인 학생의 경우 글쓰기 수업에 익숙하지 않으며 글쓰기의 기본적인 요건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따라서 글쓰기의 기본 요소들에 대한 숙지가 필수적이었다. 계열별 글쓰기 특성에 맞는 본래의 교과 목표도 중요하지만, 글쓰기의 기본 자질들에 대한 학습이 선행되는 것은 글쓰기 수업의 근본적인 목적이라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특히 산업디자인학과의 경우 디자인의 상품성을 독자에게 설득하는 과정은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설득의 과정을 인지하는 과정은 디자인학과의 실용적 글쓰기 교육 방안의 중요한 단초를 마련해 줄 것이다. 더 나아가 전공간의 상관관계를 중시하고, 종합적 사고와 논리적 학습능력을 지향하는 계열별 글쓰기의 교과 목표에 부합하는 사례를 마련해 줄 것이다.

      • KCI등재

        사범대 학생을 위한 계열별 글쓰기의 필요성 - 이화여자대학교 <우리말과 글쓰기> 교과목을 중심으로 -

        김소륜 이화어문학회 2017 이화어문논집 Vol.41 No.-

        최근 대학 교양 글쓰기의 변화된 특징으로는 계열별 글쓰기의 심화를 들 수 있다. 전공별로 필요한 기초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제기된 까닭이다. 그러나 실제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강좌를 계열별로 구분하고 있을 뿐, 내용면에서는 기존의 글쓰기 수업과 별다른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다. 이에 각 대학은 해당 문제를 극복하고자 계열별 글쓰기 교재 개발에 주목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재 대부분이 인문과 사회를 하나의 영역으로, 공학과 예체능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음이 한계로 지적된다. 이는 인문과 사회의 특수성은 물론, 공학과 예체능의 차이를 배제한 접근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사범대의 경우 더욱 심각하게 다가온다. 사범대는 동일한 단대 내에서도 국어와 영어 교육으로 구분되는 ‘인문’, 사회과・교육학과・유아교육으로 구분되는 ‘사회’, 수학과 과학 교육으로 구분되는 ‘자연’ 영역으로 세분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범대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글쓰기 프로그램은 거의 찾아보기가 어렵다. 예비 교사인 사범대 학생들에게 말하기와 글쓰기 능력은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해야 할 현실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사범대 학생을 대상으로, 교사로서의 인성과 자질은 물론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具案)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Current trends in writing pedagogy are to specify academic writing education based on required writing methodologies in each department. The present state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however, has no substantial distinctiveness in comparison with its former curriculum inasmuch as schools merely split writing classes according to students’ majors. The text books are also problematic in that they are merely categorized into two areas: 1) social-human sciences and 2) natural science,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s. In a college of education, a text book for writing education should be specified in that the college consists of several categorized departments such as humanitie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nglish language education), social science (social studies education,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natural science (mathematics education and physics education). Since 2009, furthermore, the curricula of a college of education and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ve included academic writing courses as requirement. This change of writing education is a conditio sine qua non and needs to be more specified when considering the demand of teachers for logical writings in public education, and when considering the growth of a private education market in which tutoring students in logical writings is being executed. Not only pedagogical variance but also specified curricula to train students in a college of education by its departments as teachers who can practically perform their expertise in an educational field are required.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재 분석과 개선 방안

        정선희 이화어문학회 2008 이화어문논집 Vol.26 No.-

        최근 대학에서는 글쓰기 관련 과목이 교양 필수 과목으로 유지, 강화되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재들을 네 가지의 경향으로 분류하여 특성을 추출하고 문제점을 짚어본 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대학 글쓰기 교재들은 과정 중심적 교재, 계열별 글쓰기 교재, 주제 중심적 교재, 논증적 추론 능력 계발 중심의 교재 등으로 나뉘는데, 각각 장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들을 보완하고 개선하려면, 첫째, 학생과 교수가 활발히 소통할 수 있는 수업을 위한 교재가 되어야 한다. 강의식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에 어울리는 교재에서 벗어나 수업 시간에 상호 소통하면서 글쓰기의 실제를 경험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교재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의 요구와 능력에 맞는 교재를 만들어야 한다. 최근의 교재들에서는 다양한 예문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대학 1학년생에게는 지나치게 어렵거나 생소한 글들이 많다. 따라서 그들의 눈높이에 맞는 예문으로 적절히 구성해야 하며, 학생들이 요구하는 방식인 실습 수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로는 언어 구사력과 논리력을 조화롭게 향상시킬 수 있는 교재를 만들어야 한다. 최근 몇몇 교재들은 주제 중심적 접근, 논증적 추론 교육의 비중을 늘림으로써 언어 구사력 교육의 면을 축소하고 있는데, 특히 자연계열이나 예체능계열의 학생들은 언어 구사력이 낮아 글쓰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그 비중을 축소해서는 안 된다. 넷째, 통합적인 사고와 글쓰기를 훈련할 수 있는 교재를 만들어야 한다. 글쓰기가 학생들에게 실용적인 측면에서 요구되기는 하지만 여기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통합적이고 깊이 있는 사고가 가능할 수 있도록 전계열을 망라한 교양교육의 일환으로 자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계열별로 분리된 교재보다는 모든 계열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교재가 바람직하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writing courses has been greatly emphasized as many four-year universities maintain or reinforce their related courses as a required general education class. In this regard, the present paper analyzed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by classifying them into four categories and summariz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n it made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detected problems. According to their general tendencies, the textbook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each of which is centered on: 1)the curriculum 2)the fields of studies, 3)the themes and 4)the development of logical reasoning skills. It was found that each category of books had both merits and demerits. To improve the quality of writing textbooks by making up for the found defects, this paper stresses that textbooks for writing courses should be written in a way that: encourages active interactions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s; fits to the needs and levels of students; promotes balanced improvement of both reasoning and language skills; and trains integrated thinking and writing skills.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학의 전공 연계 글쓰기 교육에 관한 고찰

        이희영 ( Hee Young Le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인문학연구 Vol.0 No.25

        이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중요한 논점이 되고 있는 전공 연계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검토하여,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대학 글쓰기 교육이 지향할 방향에 맞춘 전공 연계 글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제반 상황을 살펴보고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현재 중점을 두고 있는 학술적 글쓰기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학술적 글쓰기가 학문적 담화 공동체의 글쓰기 규약에 기반을 둔 글쓰기라고 할 때 전공과목과의 연계성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 문제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대학의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과도 연관을 맺는다. 글쓰기의 계열별 교육 시도는 유의미하나 계열 내의 세부 전공들의 담론을 모두 포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현실적인 전공 글쓰기 교육을 위해서 크게 세 가지의 전공 연계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공 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한 전공 연계 교육이다. MIT대학이나 하버드대학의 예를 참고하여 전공과 관련된 글쓰기 주제를 다루는 과목을 개설할 수 있다. 둘째는 특정 전공과목의 심화 글쓰기 교육 방안으로, 현실적 요구를 바탕으로 한 실용적 글쓰기 교육을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융합 학문으로 관심을 돌린 대학의 교육 방향에 맞춘 통합적 전공 연계 글쓰기 수업의 시도이다. 이 세 가지 교육 방안은 각 대학의 학제별 전공 구성을 고려하여 글쓰기 교수자, 전공교수들과의 협의를 통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세 가지 방안은 대학별 학제 구성과 세부 전공에서 필요로 하는 글쓰기 유형에 대한 조사, 전공교수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llege writing systems, and suggests the three alternatives for WAC based on the new trends of college education and knowledge convergence age. For this study, the overall writing systems and writing situations of college has been considered, and the feature of the ``academic writing`` has been examined. If academic writing is based on regulations and styles of its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it is also related with major course writing. The field writing education which is ongoing in colleges, has several problems including its ambiguities in terms of academic character. To solve those problems, three kinds of methods in writing classes are suggested. First, in WAC writing classes, various topics that relat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can be discussed instead of practicing just a couple of types of academic writings. Second, writing intensive classes for intrinsic writings can be carried on. Third, major convergence writing classes can be carried on for students who are asked to be multi-players in their work after graduations. For detailed class settings, collaborative work with professors in each majors is essential.

      • KCI등재

        대학 글쓰기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의 분석과 시사점 -2005-2017년 대학 글쓰기교육 관련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김정숙 ( Kim Jeong-sook ),백윤경 ( Baek Yun-ky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3

        본 논문에서는 대학 글쓰기교육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시점을 2005년 전후로 보고, 2005년부터 2017년까지 산출된 학술논문 669편을 대상으로 대학 글쓰기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의 분석과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주제어를 검색한 결과, 1) 글쓰기교육의 개념과 현황, 2) 글쓰기교육의 일반적 목표와 교육유형, 3) 글쓰기교육의 구체적 목표와 지도방안, 4) 교수·학습방법(모형)의 개발과 매체 활용교육, 5) 계열별 글쓰기의 분화, 6) 글쓰기교육 관련 전담 기구, 7) 학습자의 글쓰기능력을 강조한 과정중심의 교육 등 7개의 범주로 나누어졌다. 이 외에(담화)공동체, 스토리텔링, 연구윤리, 매체, 교재, 교육과정, 다양한 글쓰기, 문식성·리터러시, 수업모형·모델, 교수자·학습자, 독서·서평, 대학국어·국어교육 등이 대학 글쓰기교육 관련 논문 주제어로 제시되었다. 대학 글쓰기교육의 연구 동향과 특징은 1) 글쓰기교육으로의 전환과 목표 설정 모색: 2005-2007년, 2) 계열별 글쓰기의 확대와 자기서사적 글쓰기의 확충: 2008-2011년, 3) 융합교육의 강조와 교수법의 다양화: 2012-2016년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의 경향은 크게 1) 4-5년을 주기로 편수와 주제의 집중, 2) 학습자의 글쓰기능력을 강조한 과정중심의 교육, 3) 교육제도와 사회적 요청-교양교육의 개편, ACE 사업, 공학능력인증제도, 튜터와 튜터링 교육, 인문교육의 강화 등과의 밀접한 영향 관계를 보였다. 향후 우선적으로 검토될 사안으로, 1) 주제어의 정리와 학문 분류표 지정, 2) 선행 연구 및 본 논문에서 제기한 범주들에 대한 세부적 검토, 3) 중고등학교 작문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연속성 및 강화 방안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접근 등을 제시하였다. Assuming that the beginning of a full-scale study over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s about 2005, this study analyzed 669 academic articles from 2005 to 2017, and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As a result of searching theme words, It was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including 1) concept and status of writing education, 2) general goal of writing education, and type of education, 3) specific goals and guidance plans for writing education, 4)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model), and media utilization education, 5) differentiation of writing by division, 6) authorities for writing education, and 7) processoriented education emphasizing learner`s writing ability, etc. And, the theme words of articles related to college writing education additionally presented are (communicative) community, storytelling, research ethics, media, textbooks, curriculum, diverse writing, literacy, class model, teacher-learner, reading-book review, college Korean language-Korean language education, etc. The tendency of research largely showed a close relationship with 1) concentration of the number and theme in a cycle of 4-5 years 2005-2007: conversion to writing education and goal setting, 2008-2011: differentiation of writing by division and expansion of self-narrative writing, 20012-2016: emphasis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eaching methods, 2) processoriented education emphasizing learner`s writing ability, 3) educational system and social demand reorganization of liberal education, ACE projects, engineering ability certification system, tutor and tutoring education, enhancement of human education, etc. As a matter of priority review in the future, this study presented 1) theorem of the main themes and designation of the classification table, 2)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categories proposed in this study, a detailed and pract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continuity and strengthening of secondary school writing curriculum.

      • KCI등재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의 위상과 정체성

        박상태 ( Sang Tae Park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9

        이 논문의 목적은 이공계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화된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의 현재 위상을 설명하고, 그 정체성을 규명함으로써,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현행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이 대학교육 개혁 과정에서 결과한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일환이자, 공학교육인증제의 영향 하에서 특화된 공학 관련 실무적 글쓰기 교육으로 출현하였음을 설명한다. 그래서 전자의 경우 기초 글쓰기 와 전공 글쓰기 교육의 중간 단계로서 전공-연계성을 지향하지만 교양교육의 위상을 지니며, 후자의 경우 공학 실무를 국내외적으로 담당할 전문직 공학자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교양교육으로서의 위상을 가진다. 이처럼 두 가지 다른 맥락에서 형성된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은 한편으로 학문 지향적이고 다른 한편으로 직업 지향적인, 그래서 그 정체성이 분열된 글쓰기 교육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공계 계열별 글쓰기로서의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은 일상 언어적 문식력을 함양하는 기초 글쓰기 교육과 구분되고, 접목 접근 방식의 전공 글쓰기 교육을 지원 및 강화할 수 있는 “과학기술적 문식력”을 함양하고자 하는 명확한 교육 목표와 내용을 구비하였다는 점에서 분명한 정체성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에 공학 관련 실무적 글쓰기 교육은 아직 기초 글쓰기 교육으로부터 독립적이지 않고 교양교육으로서의 영역 전이성을 확보하지 못했지만, 공학교육인증제의 <프로그램 학습 성과 및 평가>의 <전공기반> 및 <공학실무>에 속한 학습 성과들을 지원하고 강화할 수 있는 방향, 즉 계열별 글쓰기 교육과의 내용적 결합을 통해 그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의 정체성을 고려할 때 이는 전형적인 문ㆍ이과 융합의 학제적 교육의 성격을 드러낸다. 따라서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문ㆍ이과 출신 교수자들의 협동 작업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고, 그들의 협동 작업을 통한 문제 해결만이 현재의 산학 협동 작업과 미래의 이공계 전공 글쓰기 교육을 위한 토대로서 기여할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present status of the "scientific & technical writing education", to establish its identity,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 explain the overall history of the scientific & technical writing education in Korea, which is a specified writing program for the students who will major in science & engineering studies. According to it, the scientific & technical writing program appeared as a part of major-related writing programs from the result of the reform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 2000s, or it appeared as an engineering-related practical writing program under the influence of 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So, the present status of the scientific & technical writing education is divided two ways, that is, the one is a major-related mediatory writing program between the basic writing program and the major writing program in the general education, and the other is a practical writing program in the general education for the professional engineers` effective communicating competence. For the reason of this, it is seemed that the scientific & technical writing education has an obscure and fractured identity. But the scientific & technical writing education as one part of major-related mediatory writing programs is distinguished from the basic writing program in that the one intends to achieve the "scientific & technical literacy" while the other ordinary language literacy, and this writing program is distinguished from the major writing program in that the one intends to achieve the "scientific & technical literacy" across the curriculum while the other scientific & technical literacy in the particular discipline. Therefore, the scientific & technical writing education as one part of major-related mediatory writing programs shows an clear and distinct identity in the relations to the basic writing program and the major writing program. However, the scientific & technical writing education as an engineering-related practical writing program depends on the basic writing program, so this writing program doesn`t have an independent identity and literacy across the curriculum, too. But if it is related with "scientific & technical literacy" across the curriculum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related mediatory writing program, the scientific & technical writing education as an engineering-related practical writing program will have also an clear and distinct identity. Considering the above-mentioned identity of the scientific & technical writing education, it is certain that the scientific & technical writing program lies in the field of the typical confused education courses which need to be collaborated by the writing faculty and science & engineering faculties. As a result, to achieve the excellence of the writing competence for the students who will major in science & engineering studies, they all have to try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scientific & technical writ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