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측정 연구 경향 분석

        김세훈(Kim, Seh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3

        그동안 문화예술분야의 효과와 관련한 연구는 주로 개인의 정서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적, 정서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차원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적지 않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경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측정에 사용된 방법이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1990년대 중반 전후하여 나타나기 시작한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대한 연구가 시기별로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며, 이러한 경제적 가치 측정을 위한 노력들이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관심을 가진 부분은 기본의 문화예술분야 경제적 가치 측정 관련 연구가 문화예술분야의 비경제적 가치. 혹은 본원적 가치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고 있으며, 경제적 가치 측정이 이러한 본원적 가치 부분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동안의 연구들은 크게 세 가지 유형, 곧, 경제적 효과 측정에 대한 방법론 모색과 관련한 연구 유형, 문화예술행사나 시설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는 연구 유형, 문화예술의 경제적 효과측정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연결된 연구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특징 또한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1995년 지방자치제가 전면 시작되고 난 후 자치단체장들의 대규모 지역문화행사 개최와 관련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정치적 관심’에 기반 하여 추동되었다는 점과 둘째, 이론적, 방법론적 연구들이 선행된 것이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들이 먼저 이루어졌다는 점 셋째, 문화예술의 경제적 가치 측정은 문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본원적 가치에 대한 계량적 측정이 아니라, 문화예술과 관련된 행사나 시설을 ‘산업’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가치를 여타 행사나 시설과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측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문화예술의 고유가치와 효용가치에 대한 분석이 심도 깊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될 때 문화예술의 가치가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다 적절하게 드러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research trends of economic value of culture and arts. For a long time, influences of culture and arts are mainly explored in the area of education and psychology. Often, it is underlined that culture and arts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learning and emotional stability. Thesedays, however, the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s and its economic impact has been rapidly increased. The study analyses the change of research trends which explore the culture and arts" economic value. The research trend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type focuses on exploring methodology which is adequate to the analysis of culture and arts" economic value. Second type is related to the real analysis on the specific culture and arts festivals and venues. Last one has interest in the theoretical approach to the culture and arts area. In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es" emergence, there is a political motive. After the introduction of local self-governing system in 1995, local governments increased a various type of local and regional festivals and tried to seek rationale for public funding into the area. The research trends also show that the analysis of economic value was conducted without sufficient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the analysis,methodological approacheswhich are adequate to the culture and arts area are not seriously considered.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analyse economic value, proper research methodology should be explored before applying the existing tools to culture and arts area, which are used to the other areas, and intrinsic value and non-use value of culture and arts area should be significantly taken into account in the exploration. 그동안 문화예술분야의 효과와 관련한 연구는 주로 개인의 정서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적, 정서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차원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적지 않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경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측정에 사용된 방법이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1990년대 중반 전후하여 나타나기 시작한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대한 연구가 시기별로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며, 이러한 경제적 가치 측정을 위한 노력들이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관심을 가진 부분은 기본의 문화예술분야 경제적 가치 측정 관련 연구가 문화예술분야의 비경제적 가치. 혹은 본원적 가치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고 있으며, 경제적 가치 측정이 이러한 본원적 가치 부분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동안의 연구들은 크게 세 가지 유형, 곧, 경제적 효과 측정에 대한 방법론 모색과 관련한 연구 유형, 문화예술행사나 시설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는 연구 유형, 문화예술의 경제적 효과측정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연결된 연구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특징 또한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1995년 지방자치제가 전면 시작되고 난 후 자치단체장들의 대규모 지역문화행사 개최와 관련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정치적 관심’에 기반 하여 추동되었다는 점과 둘째, 이론적, 방법론적 연구들이 선행된 것이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들이 먼저 이루어졌다는 점 셋째, 문화예술의 경제적 가치 측정은 문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본원적 가치에 대한 계량적 측정이 아니라, 문화예술과 관련된 행사나 시설을 ‘산업’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가치를 여타 행사나 시설과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측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문화예술의 고유가치와 효용가치에 대한 분석이 심도 깊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될 때 문화예술의 가치가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다 적절하게 드러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research trends of economic value of culture and arts. For a long time, influences of culture and arts are mainly explored in the area of education and psychology. Often, it is underlined that culture and arts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learning and emotional stability. Thesedays, however, the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s and its economic impact has been rapidly increased. The study analyses the change of research trends which explore the culture and arts" economic value. The research trend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type focuses on exploring methodology which is adequate to the analysis of culture and arts" economic value. Second type is related to the real analysis on the specific culture and arts festivals and venues. Last one has interest in the theoretical approach to the culture and arts area. In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es" emergence, there is a political motive. After the introduction of local self-governing system in 1995, local governments increased a various type of local and regional festivals and tried to seek rationale for public funding into the area. The research trends also show that the analysis of economic value was conducted without sufficient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the analysis,methodological approacheswhich are adequate to the culture and arts area are not seriously considered.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analyse economic value, proper research methodology should be explored before applying the existing tools to culture and arts area, which are used to the other areas, and intrinsic value and non-use value of culture and arts area should be significantly taken into account in the exploration.

      • KCI등재

        경제적 불확실성 상황에서 기업의 연구개발투자는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는가?

        홍희정 ( Hee-jung Hong ) 한국회계학회 2024 회계저널 Vol.33 No.1

        최근 국내·외적으로 예기치 못한 경제적 불확실성 상황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기업의 전략적인 경영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제적 불확실성 지수에 대한 문헌의 확장 및 검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불확실성의 대표적 측정치인 Baker et al.(2016)의 EPU index와 최근 이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 및 보완된 Cho and Kim(2023)의 New EPU index를 동시에 활용하여 경제적 불확실성이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 및 경제적 불확실성과 연구개발투자의 복합적인 관계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지표를 활용한 대부분의 분석결과에서 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은 연구개발투자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의 가치는 하락하고, 연구개발투자는 기업가치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적 불확실성과 연구개발투자가 기업가치에 상반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고/낮은 경우와 연구개발투자의 상호작용항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은(낮은) 경우는 낮은(높은) 경우에 비해 기업이 연구개발투자를 할수록 기업가치에 각각 유의한 양(+)과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편적으로 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투자를 감소시키지만 역설적으로 기업이 연구개발투자를 증가시킨다면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추가분석에서 선도기업과 비(非)선도 기업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선도기업과 달리 비(非)선도기업의 경우 경제적 불확실성 상황에서 연구개발투자를 증가시킬수록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은 경우 시장의 경쟁강도가 낮아지므로 비(非)선도기업의 연구개발투자 증가는 선점우위/경쟁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전략적인 의사결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특정 산업(하이테크산업, 제약·바이오산업) 및 다양한 대용치(자산화/비용화된 연구개발비, 연구개발집약도, 연구개발비증감율, KEPU), Fixed-effects model, Heckman’s two-stage 등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연구의 강건성이 확보되어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기업이 경제적 불확실성 상황에서 전략적으로 연구개발에 투자한다면 다른 기업에 비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기업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증거를 제공한다. 또한 기업과 투자자에게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에 따른 연구개발투자전략 및 가치투자에 대한 유용성을 제공하고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으며, 경제정책 당국자에게는 전략적인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정책수립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R&D investment and how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R&D investment affects firm valu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firms decrease R&D investment. Second, 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creases, firm value decreases, and as R&D investment increases, firm value increases. This means that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R&D investment have opposite effects on firm value. Third, as a result of an investigation using interaction variables between variables classified as high/low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R&D investment, R&D investment has a positive(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high(low). This means that, in general, R&D investment decreases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high, but paradoxically, the firm value rises when R&D investment increases strategically in a situation where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high. Therefore, the investment effect of R&D has a differential effect on firm value according to the high/low level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provides new evidence that firms can secure competitiveness compared to other firms and increase the firm value if they strategically invest in R&D, even under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t also provides companies and investors with the usefulness of R&D strategies and value investm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 KCI등재

        절도죄의 보호법익 -한국과 일본의 논의 중심으로-

        배미란 ( Mi Lan Ba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1 No.2

        본 논문에서는 절도죄에 있어서 행위객체로서의 재물·과 보호법익에 관해 종래의 학설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있다. 또한 이에 관한 일본의 논의사항도 참고하고 있다. 지금까지 재물의 재산적 가치는 행위객체로서의 재물을 판단함에 있어서 논의되어 온 문제이다. 이에 대하여 한국과 일본의 통설은 재물의 재산적 가치 유무를 경제적 가치와 주관적 가치, 그리고 소극적 가치라는 세 가지의 기준을 가지고 판단하며, 그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치라도 인정되는 재물에 대해서는 재산적 가치를 인정한다. 따라서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재물은 당연 히 절도죄 내지 재물죄의 행위객체로서의 재물에 해당하고, 만약 경제적 가치를 가지지 않는 재 물이라고 하더라도 소유자에게 있어 주관적 가치가 인정되거나. 타인에 의하여 악용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행위객체로서의 재물로 인정된다. 결국 통설은 재산범죄에 있어서 재물이 경제적 가치 내지 금전적 교환가치를 지녀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이를 부인하고 있는 것이다. 생각하건대 경제적 가치를 가지지 않는 재물이 절도죄의 행위객체가 있다는 점은 일단 타당 하다고 여겨진다. 다시 말해서 재물은 점유의 이전 가능성과 타인성만 갖추고 있어도 절도죄의 행위객체로 인정될 수 있다. 그러나 경제적 가치를 가지지 않는 재물이 절도죄를 봉하여 보호되어야 하는지에 관해서는 의문이 있다. 따라서 재물의 경제적 가치 내지 교환가치는 절도죄의 보호법익의 판단 단계에서 검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절도죄의 보호법익에 관한 종래의 한국과 일본의 논의를 살펴보면, 먼저 한국의 경우에는 소유권설, 점유권설, 소유권 및 점유권설로 나뉘어져 주장되어 왔다. 한편 일본의 경우에는 본권설, 점유설, 중간설로 나뉘어 주장되어 왔다. 양국의 학설과 형법 체계를 비교해 볼 때 절도죄의 보호법익에 대한 논의는 소유권설이 가장 타당하다. 그러나 문제는 절도죄의 보호법익을 소유권 이라고 할 때에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소유 또는 점유라고 하는 관념적 지위를 중심으로 전개되어온 절도죄의 보호법익에 관한 논의를 조금 다른 방. 향어서 검토해 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한다. 생각하건대 재물 그 자체가 가지는 본성이나 영득범죄로서의 절도죄의 특성, 영득죄와 손괴죄의 명확한 구별. 나아가 형법의 최후수단성 내지 보충성에 비추어 보아 절도죄의 보호 법익은 소유권에 기한 재물의 경제적 가치 내지 교환 가치라고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In this paper, I examine property as an object of the action of larceny and legal interests to be protected. In particular, I examine legal interests to be protected based on existing theories. In addition, I consider the matters discussed in Japan in terms of such legal interests to be protected by laws regarding larceny. Firstly, property value has been discussed for consideration of the property as one as an object of action. In this regard, a theory which has been commonly accepted in both Korea and Japan is that the existence of property is determined based on three criteria of economic value, subjective value and passive value and, if one of those values is recognized, the property value can be recognized. Accordingly, the property having economic value evidently belongs to property as an object of action of larceny. In the instances where a property does not have economic value but either it is deemed to have subjective value to the owner or there is concern about abuse of the property by others, the property can be considered as property as an object of action of the larceny. In consequence, the existing theory commonly recognized denies the opinion that the property subject to larceny must have economic value or monetary exchange value. I think it is basically reasonable that a property not having economic value may become a property as an object of the action of larceny. In other words, a property can be recognized as an object of the action of larceny once it`s possession is transferable and otherness. However, it is not certain that a property not having economic value should be protected through punishment for larceny. Therefore, I think that the economic value or exchange value of property has to be examined at the stage of considering legal interest to be protected by the law of larceny. Existing discussions in Korea and Japan with respect to legal interest to be protected by the law of larceny are: firstly, in Korea, there have been ownership right theory, possession right theory and theory of ownership right and possession right. On the other hands, in Japan, there have been legal right theory, possession theory and theory in between those theories. In comparison of those theories and criminal law systems in both countries, the ownership right theory is the most reasonable. However, what is the matter is there remains still some problems which cannot be resolved even we consider the legal interest to be protected by the law of larceny is the ownership right. In order to resolve those problems, it is proper for us to consider that the legal interest to be protected by the law of larceny is the economic value of property based on the ownership right. Until now, the legal interest to be protected by the law of larceny has been discussed only based on the determination whether such legal interest is ownership right or possession right on the premise that a larceny is a sort of crime regarding ownership right and the punishment for larceny crime is intended to protect a conceptual status of control over a property. However, in light of the nature of the property or the characteristics of larceny crime as a crime of taking of possession, it should be deemed that the economic value of property based on ownership right is the legal interest to be protected by the law of larceny.

      • KCI등재

        사회적기업 근로자의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에 대한 태도

        김은희(Eun-Hee Kim),이용재(Yong-Ja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이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에 대한 근로자들의 인식을 확인하여 사회적기업 종사자 교육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 근로자들의 절반 이상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모두 동일하게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가치의 실현의 책임에 대해서는 종사자 보다는 경영자 책임을 다소 높게 보고 있었으며, 사회적기업 외부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기업 내부와 구성원을 위한 가치 보다 우선적으로 추구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목표설정 노력은 부족하였다. 둘째, 사회적기업 근로자들은 대체로 경제적 가치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경제적 가치의 실현을 위해서는 종사자 보다 경영자의 책임과 노력이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근로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경제적 가치 보다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경영자 책임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근로자의 근무경력이 적을수록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고 경영자의 책임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영리기업 근로자들이 상대적으로 경제적 가치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반면에 비영리기업 근로자들은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향후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근로자들이 균형있게 인식할 수 있는 교육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가치측정을 위한 표준화된 척도를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mployees perception of social and economic values that social enterprises pursu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training of social enterprise worke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social enterprise workers recognized that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were equally important. In addition, the responsibilities of realizing corporate social values were somewhat higher than those of employees. The social value of the social enterprise should be pursued in preference to the value for the company and its members. However, efforts to set goals for the social value of social enterprises were lacking. Second, social enterprise workers generally had a high perception of economic value and recognized that the responsibility and effort of management was more important than the employees in order to realize economic value. Third, the higher the age of workers, the higher the importance of social value than economic value, emphasized the responsibility of the manager, and the less the work experience, the more important is the social value and the managers responsibility. While commercial enterprise workers a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economic value, non-profit enterprise workers a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ocial valu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an educational support program that allows workers to recognize the social and economic value of social enterprises in a balanced manner.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monitor and monitor standardized measures for measuring the value of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사회적가치와 정부지원금이 경제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최아름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ocial values and the economic effects of government subsidi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4 social enterprises selected three times in a row from 2015 to 2017 were selected in the good social enterprise award of the Economic Justice Institut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thical value of social enterprises has been shown to affect their economic performance. Social enterprises have profitable and non-profitable nature and have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public value, ethical value and economic value. In particular, diversity of stakeholders to realize ethical value,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 and ethical management practice are important factors, and efforts to create ethical values will also be important factors in securing social enterprise sustainability. Second, government subsidie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effect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As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support projects are shown to affect economic performa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clarify the criteria for government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and to develop practical support policies for economic and social achievement.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가치와 정부지원금이 경제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사)경제정의연구소의 좋은 사회적기업상에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번 연속 선정된 24개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윤리적가치가 경제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기업은 영리와 비영리 두 가지 성격을 지니며 공익적가치와 윤리적가치, 경제적가치 실현에 대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윤리적가치 실현이 경제적성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사회적기업의 윤리적가치 창출을 위한 윤리경영실천 노력, 이해관계자의 다양성과 민주적인 의사결정구조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은 향후 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차원에서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적으로 판단된다. 둘째, 정부보조금이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성과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지원금 중 전문인력지원사업이 경제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지원금 기준을 명확히 하고 경제적ㆍ사회적성과 창출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동차원이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호혜성 지각과 진정성 지각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박종철(Park, Jong Chul),홍성준(Hong, Sung Jun)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6

        본 연구는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동이 기업의 관계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공유가치창출의 차원을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 그리고 협력적 가치가 기업의 관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호혜성 지각과 진정성 지각의 매개효과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그리고 협력적 가치는 모두 기업의 관계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호혜성 지각의 매개효과와 관련해서는 ‘사회적 가치 → 호혜성 지각 → 관계성과’ 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협력적 가치 → 호혜성 지각 → 관계성과’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진정성 지각의 매개효과와 관련해서는 ‘경제적 가치 → 진정성 지각 → 관계성과’의 경로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사회적 가치 → 진정성 지각 → 관계성과’ 와 ‘협력적 가치 → 진정성 지각 → 관계성과’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공유가치창출 전략을 추구할 때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그리고 협력적 가치 중에서 자사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이 경제적 가치라는 사실을 제시하였으며, 그다음으로 협력적 가치, 사회적 가치 순서라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 관계자들로 하여금 가치활동에 대한 우선순위 전략을 구사하는데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effects of creating shared value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 performance of the corporation. In particular, in this study, the three dimensions of creating shared value we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economic value, social value, and cooperative value, which looked at the mediated effects of reciprocity and authenticity perception in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the corporation. The analysis shows that the economic value, social value, and cooperative value of the entity a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performance. In addition, regarding the mediated effect of reciprocity perception, the full-mediation effect of social value → reciprocity perception → relational performance was confirmed and the partial-mediation effect of cooperative value → reciprocity perception → relational performance was confirmed.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mediated effects of perceived authenticity, the partial-mediation effect of the path economic value → sincerity perception → relationship performance was confirmed, and the full-mediation effect of social value → sincerity perception → relationship performance and cooperative value → sincerity perception → relationship performance was confirmed.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ed that economic value is the biggest factor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performance of an entity among economic value, social value and cooperative value when it pursues a creating shared value strategy, followed by collaborative value and social value order. These results will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use of priority strategies for value activities by business stakeholders.

      • KCI등재

        산불의 경제적 비용 추정에 관한 연구 : 제주 서우봉을 대상으로

        고태호,신유림,오민정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8 No.3

        산은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산이 산불에 의해 훼손될 경우 산이 제공하는 편익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산불로 인해 발생하는 직·간접적 손실 비용을 구체적으로 추정하고, 이를 산불 예방 정책의 타당성 분석, 손해배상 금액 산정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 연구된 산불에 의한 손실 비용 분석은 입목(산림) 규모에 입각한 회계적 비용을 중심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산불로 인한 손실은 입목 손실 외에도 산림이 제공하는 대기정화, 토사유출 방지, 휴양기능 등 공익적 기능에 대한 손실이 있으며, 만약 산이 원상회복되더라도 회복기간까지 손실액이 발생한다. 산과 같은 자연자산의 가치는 화폐가치로 나타내기가 쉽지 않으나, 본 연구에서는 환경재 등 비시장재화에 대한 경제적 가치 측정 방법인 조건부 가치 측정법(CVM)을 이용하여 제주 서우봉에 대한 산불의 경제적 비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주 서우봉이 산불로 인해 훼손되었을 때의 경제적 비용은 연 1,256.21백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산의 경제적 가치를 이해하는데 있어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된 산의 가치는 매년 발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산불로 인해 산이 훼손될 경우, 산이 복구되는 기간까지 매해 경제적가치가 손실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산의 가치 측정에 이용되는 지불의사금액(WTP)은 응답자들의 산에 대한 관심, 인지도 등 산에 대한 태도, 소득수준 등의 경제적 상황, 그리고 개인의 특성이나 선호에 의해 달라지는 바, 측정된 가치 또한 이러한 영향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산에 대한 인지도 및 소득 수준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난 바, 향후 이러한 변수의 영향에 의해 산의 경제적 가치는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설문조사에 있어 현실적인 한계로 인해 산불이 발생하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산불 피해가 발생할 것을 가정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즉 산불이 일어날 것을 가정하고, 응답자를 대상으로 산 복구 비용이 아닌 산불예방 기금에 대한 WTP를 도출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는 산의 지역적 가치만을 측정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산의 가치는 산 이용 경험자 및 잠재 이용자 범위에 따라 세계적 가치, 국가적 가치, 지역적 가치로 분류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NOAA 보고서의 권고사항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나, 조사원의 설문과정 등 여러 과정에서 편의를 완전히 없앴다고는 할 수 없다. 조건부 가치 측정법을 이용하여 자연자산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응답자의 전략적 편의를 줄여야 한다. Mountains are important natural resources with various values including recreational, historical, ecological, and scenic values. To analyze both the accounting cost and potential cost incurred by wildfire, this study deduced the economic cost of mountains. It is difficult to denote the value of natural resources such as mountains in monetary terms but due to the recent active research in measuring the economic value of non-commodities such as environmental goods, this study provided a methodology that enabled the measurement of economic values of mountains using CVM as the analysis methodology. This study measured the value of Seowoo-bong, Jeju, which is mainly visited by the local residents as a case study using CVM. The estimated economic cost incurred from a wildfire at Seowoo-bong was 1,256.21 million KRW per yea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selected a location where wildfire did not occur and conducted analysis assuming that wildfire damage occurred in the location due to practical limitations. In other words, this study assumed that a wildfire occurred and deduced the WTP for wildfire prevention fund from respondents, not the recovery cost of the wildfire. Furthermore, even if this study accommodated the guideline of the NOAA report, in several points of the study such as when taking a survey, the bias of respondents were not fully eliminated. When using CVM to measure the economic value of a natural capital, eliminating the bias of respondents is crucial.

      • KCI등재

        영업비밀 성립요건 중 경제적 유용성

        김동준(Kim, Dongju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7 江原法學 Vol.52 No.-

        “공공연히 알려져 있지 아니하고 ‘독립된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서, 합리적인 노력에 의하여 비밀로 유지된 생산방법, 판매방법, 그 밖에 ‘영업활동에 유용한’ 기술상 또는 경영상의 정보”라는 영업비밀의 정의규정에서 ‘유용한’이라는 용어와, ‘독립된 경제적 가치’라는 용어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1991년 부정경쟁방지법 개정 당시 국회 심사보고서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특별한 설명을 찾을 수 없어 그 입법 취지를 정확히 알기는 어렵지만, 영업비밀보호법제 마련의 계기가 된 TRIPs의 관련규정과 주요국의 입법례 및 그 해석론을 참고하면 ‘독립된 경제적 가치성’과 ‘유용성’을 별도의 의미를 갖는 영업비밀 성립요건으로 보기는 어렵고 ‘독립된 경제적 가치’와 ‘유용한’이라는 용어가 함께 하나의 영업비밀 성립요건(경제적 유용성)이 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또한, ‘독립된 경제적 가치를 가진다’는 것의 의미에 대한 대법원의 판시 즉, “그 정보의 보유자가 그 정보의 사용을 통해 경쟁자에 대하여 경쟁상의 이익을 얻을 수 있거나(요건 ①) 또는 그 정보의 취득이나 개발을 위해 상당한 비용이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요건 ②)”의 의미에 대해서는, (i) 직접적 증거를 통한 입증방법 또는 (ii) 정황증거를 통한 입증방법을 통해 경제적 가치를 입증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그 정보의 취득이나 개발을 위해 상당한 비용이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외에 다른 정황증거도 함께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볼 때 해당 정보의 경제적 가치를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According to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hereinafter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rade secret’ is defined as technical or business information‘useful for business activities,’ including a production method, sale method, that is not known publicly, is the subject of reasonable efforts to maintain its secrecy, and has ‘independent economic value.’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ful for business activities’requirement and the ‘independent economic value’requirement. Because the national assembly committee report on the 1991 bill amending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does not provide any explanation on this issue, the legislative intent is not certain. However, the ‘useful for business activities’requirement and the ‘independent economic value’requiremen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separate and independent requirements for trade secret subject matter eligibility for the following reasons. The‘commercial value’ limitation in Article 39 of TRIPs to protection for undisclosed information is similarly reflected in diverse domestic trade secret regimes, such as ‘independent economic value’ in the United States, ‘justifiable commercial interest’ in Germany and ‘useful in commercial activity’in Japan. All these requirements mean that, without such commercial value, the information at question cannot be protected, regardless of its secret content. The Supreme Court held that in order for any information to have ‘independent economic value.’, (1) the holder of the information gains competitive advantage by using the information (requirement (1)), or (2) substantial resources should be invested to acquire or produce the information (requirement (2)). It would be reasonable to understand this holding as follows: Evidence of independent economic value may be presented in two ways, either by providing direct evidence of economic value ((requirement (1)) or by providing circumstantial evidence (requirement (2)). The first method focuses on the actual competitive advantage that the trade secret holder gains from its information. The second method focuses on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economic value based upon circumstantial evidence, including not only the resources invested in acquiring or producing the information but also other factors.

      • KCI등재

        문화예술 활동의 가치 생산성에 대한 인문학적 근거

        홍병선(Hong, Byung-Su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3 No.-

        이 글의 목적은 문화예술 활동이 갖는 본질적 가치에 대한 해명과 아울러 경제적 가치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일련의 문화예술 활동이 경제적 가치 창출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문화예술의 가치 생산성에 대한 인문학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경제적 가치로서의 재화는 그 자체로 생존과 결부된 형태로 그 가치가 측정된다는 점에서 고유 가치와는 차별성을 지닌다. 경제적 가치의 축적에 의해 지배되는 시스템에서 재화의 많고 적음에 따라 상호 분열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극단적인 상황에 의해 지배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고유 가치를 인식하고 사회적 합의에 의거하여 경제소비자가 고유 가치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적극 계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따라서 고유 가치를 향유하면서 유효가치가 창출되는 올바른 사회시스템의 확립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고유가치의 생산과 향유를 위한 일련의 경제활동을 전제로 한 창조적 문화예술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 활동에 따른 고유 가치의 확보는 본질적으로 개개인의 자발성을 기초로 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자율적인 창조 활동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문화예술 활동에 있어 제약이 뒤따르는 경우 또한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이른바 고유 가치를 지니는 창작활동이 경제 활동과 무관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시장 원리에 지배를 받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문화예술 활동이 때로는 시장 원리에 따른 교환과 소비를 거쳐 예술에 대한 향유로 이어지게 된다. 물론 이러한 사실이 예술 창조활동 자체에 따른 고유가치가 제한되거나 훼손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문화예술 관련 콘텐츠가 그 자체로 고유한 가치를 지니지만, 사회 전체의 맥락에서는 문화의 창조, 전달, 교류 등을 통한 경제적 가치가 문화예술 활동에 또 다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tended to clarify the intrinsic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For this reason, here insists that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rough the elucid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rinsic value and the economic value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what effects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 and more of the culture and arts in presenting the literary basis of value productivity. We know that it is essentially carried out by each person of spontaneity to the original to ensure the intrinsic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In that regard, it is clear that what it is autonomous creative activity. However, there are constraints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from the socio-economic aspects at any cost. For creative activities with the so-called intrinsic value can not be independent of the economic activity, they are dominated in the market principle. So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sometimes through the consumption and exchange based on market principles, will be leading to the enjoyment of art. In order to follow market principles, it is not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intrinsic value associated with artistic creation activity that is damaged or limited. This is because the economic value such as through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and exchange of culture in the whole context of society gives again impact on th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Because the goods as economic value evaluates the value in the form associated with survival in itself, the intrinsic value has its differentiation. So that it is in the system dominated by the accumulation of economic value is divided depending on whether we owns the goods (large or small), and is generated by extreme circumstances eventually in any case. To get out of this situation, we recognize the intrinsic value based on a social consensus and the principal economy of a system capable of actively to enlighten our ability and to enjoy the intrinsic value construction is required. Therefore, while enjoying the intrinsic value,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social system is essential to have the effective value. These systems asserted here assume economic activity for the creation and the enjoyment of intrinsic value.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무적 제언 : 통합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이진용(Lee, Jinyong)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6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통합적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논의를 수행하고 실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통합적 관점은 기업이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면서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이익과 연결되어야 한다는 수단적 관점과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방적인 자선 활동과도 대비되는 접근방식이다. 이론적인 논의를 1) 통합적 관점과 수단적 관점의 비교, 2) 사회적 가치의 측정, 3)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관계, 4)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효율적 경계선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통합적 관점은 경제적 가치를 포기하지 않지만 사회적 가치와 긴장 관계를 신중하게 고려하여 분리와 통합 과정을 통하여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에 의미가 있기 때문에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것이 통합적 관점에서 더욱 중요한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것은 결코 용이한 과업이 아니다. 사회적 가치를 추구할 때에 기업의 이익과 연결되어 경제적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을까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통합적 관점에서는 특히 최근 들어 경제적, 사회적 가치의 긴장 관계를 중시하고 있다. 양자의 갈등이 자연스레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힘든 해결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적절한 해결과정을 거쳐서 몇 개의 대안적 프로그램이 남아 있을 때에는 효율적 경계선을 이용하여 경제적, 사회적 가치에 대하여 각각 일부를 양보해야 하는 적절한 선택을 수행해야 한다. 실무적 제언으로 1) 통합적 관점을 취하면서, 2) 의미가 있고 효과성 높으면서, 3) 기업의 전문성과 일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를 선별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4) 지속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고 목표를 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5) 체계적이면서 신중한 기업평판 관리를 통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관계를 호의적으로 유지하고 강화해야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takes an integrative perspective and analyz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theoretically. We also suggest some practical guidelines for CSR activities. The integrative perspective proposes that CSR programs need to seek social and economic values simultaneously. This approach distinguish itself from an instrumental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that social contributions ne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value (e.g., firm’s financial performance) and from philanthropic donations without clear objectives. We analyze theoretically 1) comparisons between integrative and instrumental perspectives, 2) measurement of social value, 3)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4) efficient frontiers on social and economic values. The measurement of social value is a prerequisites to the integrative perspective since this approach emphasizes ‘tensions’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and resolutions through separation and synthesis of values, although it is very difficult to measure social value. Many different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Recently, scholars in the integrative perspective believe there exist tensions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After resolution processes, there may remain some programs in trade-off relations of social and economic values. Relying on efficient frontiers, we may have to make a decision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by giving up some values in each dimension. As practical suggestions, 1) taking the integrative perspectives, 2) effectively selecting CSR program areas, 3) choosing areas well matched with firm’s expertise, 4) continuous measurements and objective set-ups of social value, and 5) systematic management of corporate reputation as a final output of CSR activities are recomm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