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조직의 성과와 지속가능경영

        금명기,윤수영,오재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1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

        최근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많은 기업들은 지속가능경영을 기반으로 성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 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생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도 올바른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무적 관점과 더불어 비재무적인 관점 즉 운영활동 관점의 고객 만족도, 업무관리 효 율성, 변화하고 개선하려는 능력을 고려한 1992년 Kaplan과 Norton에 의해 소개된 성과관리인 BSC 관점의 기업성과를 활용하여 지속가능경영 노력을 수행하고 있는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요인 및 세부변수(독립변수)로는 경제적 노력(효율성 제고, 윤리 확대, 공정성), 환경적 노력 (환경경영, 에너지 관리), 사회적 노력(소비자 보호, 종업원, 지역사회 기여도)으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 수인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한 가설 검정 결과 6개의 가설 중 5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효율성 제고, 윤리경영, 에너지 관리, 소비자 보호, 지역사회 기여도의 노력 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 중에서 가장 높은 영 향력을 주는 것은 윤리경영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으로 지역사회 기여도, 소비자 보호, 효율성 제고, 에너지 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성과의 영 향 요인에 있어 기존 연구들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 는 것으로 기업의 이해관계자와의 관계에 윤리경영 의 중요성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사회적 노력 요인에서의 지역사회 기여도와 소비 자 보호 노력은 사회적 책임경영과 가치창출을 추구 하여 곧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고 결과적으로 사회 활동 및 사회공헌 등은 지속가능한 기업성과를 결정 하는 주요한 요소가 된다.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의 강화를 통하여 사회적 책임경영 실현과 소비자 및 지역사회 공헌활동을 추구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 여 알 수 있듯이 지역사회 기여도와 소비자 보호 노 력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의 원동력이 된다. 경제적 노력 요인의 효율성 제고 노력은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 하며 이는 생산성 및 수익성 등의 지 속가능한 기업성과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경영 분석을 통하여 지속적인 성장 기회를 발견하고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강화하여 지속적인 기업성과 를 추구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환경적 노력 요인의 에너지 관리 노력은 실질적인 구축과 운영을 활성화함으로써 자연과의 조화, 협력 을 통하여 환경에 대한 가치창출이 지속가능한 기업 의 성과로 나타내어지는 요인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지속가능경영 노력은 글로벌 경쟁 시대에 기업성과의 필수적인 요인으로 인식하여 경제적, 환 경적, 사회적 노력의 기본 틀을 중심으로 적절하게 균형과 조화를 이루면서 국제적 기준에 부합되고 자 신의 기업에 맞는 지속가능경영 노력을 수립하여 지 속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 중소제조기업의 경영전략과 전략적 성과관리시스템의 연계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종환,윤상한,이정호,김상정,변민석,권문수,장세인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4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춘계

        본 연구는 대구경북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략유형과 성과관리시스템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에 적합한 전략유형을 알아보고 그에 맞는 성과관리시스템의 설계를 통해 기업의 경영성과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전략유형 중에서 기술혁신형과 생산중점형은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과관리시스템은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략유형과 성과관리시스템의 상호작용은 기술혁신형 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소기업들이 전략유형에 맞는 성과관리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경영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지지하고, 이를 통해 기업들은 자원의 제약과 무한 경쟁을 이겨내고 지속적인 성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whether management strategy types are archived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re make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other objective is to identify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management strategy types and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make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iversity performance measures(strategy types) are effect partially presented on the firm's performances. And, firms which have the higher using diversity performance measures(strategy types) are achieve the higher firm's performances than lower using firm's(strategy types). And, the interaction of Management strategy types and diversity performance measures are effect partially presented on the firm's performances.

      • KCI등재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자 리더십, 조직문화와 경영성과

        박기석,홍영은,신찬휴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제조기업을 표본으로 한정하여 어떠한 조직문화와 경영자 리더십이 경영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술혁신형이라고 응답한 기업을 표본으로 조직문화와 경영자 리더십이 재무․비재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모형과 기업의 기술혁신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변수에 포함하여 조직문화와 경영자 리더십이 재무․비재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모형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경영자 리더십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서번트리더십은 두 모형에서 재무․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영자의 서번트리더십이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서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술혁 신형 중소기업에서는 경영자의 목표 제시 및 지원, 배려와 격려, 의견수렴, 노력과 희생 등의 서번트리더십 특성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기술혁신 정도는 재무․비재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나타내었으며,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서 혁신적문화, 관료적문화는 재무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으며, 혁신적문 화, 지원적문화, 관료적문화는 비재무성과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는 서번트리더십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지속가능 한 발전을 위해서는 기술혁신 기업으로의 전환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가 기술혁신 중소기업에 적합한 조직문화와 경영자 리더십을 찾아보고자 하였으며, 실무적인 측면에서 보면 서번트리더십과 기술혁 신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표본과 설문연구로 인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 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업종과 규모를 통제한 표본과 객관적인 실제 기업경영성과 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reviously studies are insist that leadership typ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re important role in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leadership types,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managerial performance in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s . So, Achieve the this purposewe executed cross-sectional analysis using the variables were evaluated by using questionnaires. Leadership types are classified transformational, transactional,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re classified bureaucratic, innovative, supportive culture types according to their respons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rvant leadership type is effected on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managerial performance in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s. This means that SMEs are need change to the technology innovation types. And, bureaucratic organizational culture is effected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managerial performance in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s.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are effected on non-financial managerial performance in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s. Finally, We find that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 ’s financial and non-financial managerial performance was effected on leadership typ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Eventuall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in the practical aspect by empirically verifying that managerial performance has improved by leadership type an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in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s.

      • 방산기업의 성과공유 활동이 공급망 품질경영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석구,송광석,유한주 한국품질경영학회 2019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공급망 운영이 기본적으로 참여 기업 간 체계적인 관리와 운영을 핵심요인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공급망에서 기업 간 협력은 가장 기본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품질경영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으로 공급망의 체계적인 품질관리체계는 공급망 전반의 질적 개선을 유도하는 선순환적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기업간 거래에서 성과공유를 기반으로 한 협력적 거래관계 구축의 사회적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성과공유를 기반으로 한 기업간 협력관계의 모색은 새로운 공급망 운영의 핵심적 화두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산중소기업의 성과공유 활동이 방산 공급망에서 나타나는 협력적 품질경영활동과 경영성과간의 인과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공급망의 협력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업간 성과공유 활동을 기반으로 공급망 품질경영활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더 나아가 공급망의 품질경영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방산공급망에서 나타나는 성과공유 활동은 크게 표준계약 준수, 기술지원, 인적교류, 이익배분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공급망 품질경영활동은 경영관리인프라, 공정관리, 지속적 개선, 인적자원관리, 커뮤니케이션으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성과공유 활동 중 표준계약준수는 경영관리와 커뮤니케이션, 기술지원은 공정관리와 인적자원관리, 이익배분은 경영관리와 공정관리, 지속적 개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급망 품질경영 활동 중 재무적 성과에는 경영관리, 공정관리, 지속적 개선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재무적 성과에는 인적 자원관리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업가정신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및 경영자/근로자 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형,임진혁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7

        This research was implemented to check whether entrepreneurship among managers & workers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 job performance. In addition, by comparing &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n samples separated by workers & managers, the differences in positions & views between workers & managers, which are valid tasks in the field of personnel organization, were identified &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ought. The surve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400 surveys (200 cases of management, 200 cases of workers) of high Seoul br& companies through research companies. In relation to the results of the study, entrepreneu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 it was shown that it mediated between entrepreneurship & job performance. In addition, managers/worker status was shown to have an effect as a control variable between entrepreneurship & job satisfaction. With regard to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on job performance may differ in job performance due to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This is because it is easier for managers to demonstrate entrepreneurship than workers, rather than interpreting that management is superior to workers. Us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personnel management strategy of small businesses, a personnel policy that grants more authority to managers who are more likely to exercise entrepreneurship in the short term to enhance their job performance &, in the long term, enables workers to become managers in a shorperiod of time through apprenticeship with managers as role models may be effective in enhancing future job performance. Next, members with a high level of entrepreneurship in relation to entrepreneurship & task satisfaction are expected to be highly task-satisfied in their work processes. I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pplied to the personnel organization strategy of small businesses, the personnel policy of SME may be effective in the future, such as making them aware of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individuals with various challenges that can enhance entrepreneurship rather than the compensation strategy for workers. In addition, since task satisfaction involves entrepreneurship & job performance, various policie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required to enhance entrepreneurship are needed. Finally, all members of the management & workers who are highly task-satisfied in relation to job-satisfaction & job performance are expected to be highly task-satisfied in h&ling their work. Therefore, continuous improvement of personnel organizational strategies for job satisfaction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자와 근로자의 기업가정신이 직무만족, 직무성과와 같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변수간의 관계를 근로자와 경영자로 구분된 표본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인사조직 분야에서 유효한 과제인 근로자-경영자간 입장과 관점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실무적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 설문조사는 하이서울브랜드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리서치 전문기업을 통해 하이서울브랜드기업을 대상으로 400건(경영자 200건, 근로자 200건)의 설문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기업가정신은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직무만족은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기업가정신과 직무성과 사이를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영자/근로자여부는 기업가정신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조절변수로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실무적 시사점과 관련하여, 먼저, 기업가정신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면, 경영자와 근로자는 기업가정신의 차이로 직무성과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경영자가 근로자보다 우월하다고보기보다 경영자가 근로자에 비해 기업가정신을 발휘하기 수월한 위치이기 때문이다. 연구결과를 중소기업인사조직 전략에 활용하면, 단기적으로 기업가정신을 발휘하기 수월한 경영자에 보다 많은 권한을 부여하여직무성과를 제고하고, 장기적으로 근로자가 경영자를 역할모델로 한 견습을 통해 단기간에 경영자가 될 수있도록 하는 인사정책이 향후 직무성과 제고에 유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업가정신과 직무만족와의 관계에서기업가정신이 높은 구성원은 업무처리에 있어 직무만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결과를 통해 중소기업은근로자 대상 보상전략보다 기업가정신을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도전과제로 개인의 발전 가능성 인지하도록하는 등의 인사정책이 향후 유효할 수 있다. 또한 직무만족이 기업가정신과 직무성과를 매개하므로, 기업가정신제고에 필요한 직무만족 관련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높은 경영자와 근로자 모든 구성원은 자신의 업무를 처리함에 있어 직무만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직무만족을 위한 인사조직 전략의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 성과중심경영시스템

        이민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4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 접근방법 경영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접근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이론은 일반 시스템이론, 상황이론, 그리고 관리통제 개념임. □ 일반시스템 이론 □ 상황이론 □ 관리통제 □ 통합적 접근 모형 선진국의 성과중심관리제도 현황 □ 성과중심관리의 등장배경 가. 미국의 성과중심관리제도 □ 성과중심의 예산관리제도 □ 연방연구기관의 성과중심관리 □ 연방연구기관의 성과중심관리에 대한 평가 나. 일본의 성과중심관리제도 □ 정책평가제도 □ 연구개발에 대한 정책평가 □ 독립행정법인 연구기관에 대한 평가 □ 선진국 제도의 시사점 정부출연연구기관 경영환경 및 경영관리시스템 분석 □ 분석모형 가. 정부출연연구기관 경영환경 분석 □ 성과중심예산관리제도 □ PBS제도 □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체제 □ 연구회 체제와 기관평가 □ 경영환경 분석 요약 나. 경영관리구조 분석 □ 출연연구기관 경영지배구조 □ 출연연구기관 내부운영통제구조 □ 출연연구기관 기관평가구조 다. 경영관리프로세스 분석 라. 분석결과 요약 정부출연연구기관 성과중심경영시스템 모형 개발 가. 성과중심경영의 주요 개념들 □ 책무성(accountability) □ 성과중심경영 □ 성과, 성과측정, 성과중심관리 나. 정부출연연구기관 성과중심경영시스템의 목적과 기본 방향 □ 정부출연연구기관 성과중심경영시스템의 목적 □ 정부출연연구기관 성과중심경영시스템의 기본 요소 □ 정부출연연구기관 성과중심경영시스템의 도입 방향 다. 정부출연연구기관 성과중심경영시스템 구조와 프로세스 □ 성과중심경영시스템의 기본 모형 □ 성과중심경영시스템의 경영관리구조 □ 성과중심경영관리 프로세스 □ 전략,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개발 라. 정부출연연구기관 성과중심경영관리체계 □ 정부출연연구기관 성과목표관리체계 □ 정부연구개발 성과중심관리 종합체계 □ 정부출연연구기관 성과중심경영시스템 기대효과 결 론 ○출연연구기관의 경영시스템은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제도적인 학습을 통해 발전해 왔음. 최근에는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국가 R&D의 투자가 급격히 증가되면서 효율성 중심의 경영시스템이 중요하게 대두되었으나 기술경쟁력, 성과가 강조되면서 점차 효과성에 대한 주제가 경영시스템의 중심과제로 나타나고 있음. ○최근 국가 R&D체제의 급속한 양적 성장 의존에 따른 문제점이 인식되면서 질적인 성장에 대한 요청과 함께 출연연구기관의 경영관리체제의 중심 주제도 성과가치 중심으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음. ○출연연구기관의 감독기관인 연구회도 이러한 성과중심의 경영패러다임의 전환에 부응하여 질적 성장과 가치경영을 지향한 경영관리로 나아가고자 노력하고 있음. 그러나 아직 국가 R&D체제는 국가 경제사회 니드 해결을 위한 목표성과의 설계가 안 되어 있는 상태이고 출연연구기관도 추상적인 임무와 역할에 준거한 경영목표 설계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황임. ○따라서 출연연구기관의 성과중심경영시스템이 제대로 활착되기 위해서는 국가 R&D 전략목표와 연계된 출연기관의 임무와 구체적인 사업구조에 대한 위임과 책임관계가 명확하게 설정되어야 함. 국가 R&D체제의 상위혁신주체에서 성과목표 실패 상태가 지속되면 수행주체인 출연기관의 경영에서는 성과중심의 관리책임과 책무성 이행임무는 계속 모호해 질 수 밖에 없음. ○성과중심경영의 핵심원리는 자율과 책임의 균형임. 책무성은 정부 및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달성해야 할 궁극적인 목적이고, 자율과 책임은 책무성을 이행하기 위한 원리임. 책무성과 책임을 혼돈하여 책임만을 부여하고 자율을 주지 않는다면 성과중심경영시스템은 정부의 새로운 규제에 불과할 것임. 정부는 불필요한 규제를 없애 출연연구기관이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출연연구기관은 자체의 자생적 경영역량의 육성을 통해 신뢰기반을 구축해야 함. ○새로운 시스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시스템의 운영을 점검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해 나가는 것이 필요함. 초기에는 시스템 운영 관련자들이 학습이 부족한 상태에서 참여를 하기 때문에 당초에 의도한 목표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음. 따라서 시간을 두고 참여자들이 학습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해야 함. ○정부출연연구기관 성과중심경영시스템은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 이러한 수단의 적절한 활용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존재의 가치를 높이고 나아가 연구개발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적 개선에 직접적이고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

      • KCI등재

        최고경영자 교체가 기업의 장단기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준우(Park Joon Woo) 한국산업경영학회 2007 경영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 교체기업 주가의 장단기성과와 기업성과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표본은 1999년부터 2003년 사이에 최고경영자 교체가 이루어진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첫째, 최고경영자 교체공시에 따른 주식시장에서의 단기적인 주가성과는 부(-)의 초과수익률을 보였다. 그리고 과거성과가 저조한 기업이 성과가 좋은 기업보다 교체공시로 인한 단기성과가 더 좋았다.<BR>  둘째, Fama-French의 3요인모형을 이용하여 최고경영자 교체에 따른 주가의 장기성과를 측정한 결과, 교체 후 36개월 동안 정(+)의 장기성과를 확인하였다. 동일가중방법에 의하면, 교체된 최고경영자의 재임기간이 가장 긴 표본의 경우에 가장 높은 장기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강압적인 교체가 자발적인 교체보다, 과거성과가 좋지 않은 기업들이 과거성과가 좋은 기업들보다, 기업규모가 작은 기업이 큰 기업보다 장기성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BR>  셋째, 최고경영자 교체 전후 재무성과를 비교해 보면, 교체-1년도에 재무성과가 가장 좋지 않았으며, 최고경영자 교체 후 재무성과가 향상되었으나, 교체 후 2년까지만 지속되었다. 강압적 교체의 경우에는 교체로 인한 재무성과가 교체 전보다 좋아졌으나, 자발적 교체의 경우에는 교체 전보다 재무성과가 정체 또는 나쁘게 나타났다.<BR>  끝으로, 최고경영자 교체로 인한 총자산경상이익률(OROA)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소유경영자 더미변수와 경기상황 더미변수는 총자산경상이익률(OROA)의 변화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관계를, log(총자산)과는 기업성과의 변화와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hort-run and long-run performance change following CEO turnover in Korea. In this study, 202 firms are used as our sample from 1999 to 2003. The estimate of announcement effect is based on the market model, and the estimate of the long-run performance is based on the three-factor model developed by Fama-French(1993). We examine firms" financial performance, including OROA and ROS, from year -3 to year +3 around CEO turnover.<B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insignificantly negative abnormal returns on the announcement day of CEO turnover and significant negative CARs surrounding the event day. This suggests that investors view CEO turnover announcements as bad news. Second, post-CEO turnover, long-run performance is positive for three years. Thir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is the worst in year -1(pre-turnover), but post-turnover financial performance improves up to year +2. Last, OWN(Owner CEO dummy) has a negative effect and ECON(Economy Situation dummy) has a negative effect on OROA. log-ASSET is a positively associated with OROA.

      • KCI등재후보

        경영자 성과보상과 조세회피의 관련성 (공공기관 기관장의 경영평가 성과급을 중심으로)

        신상훈,김현구,차승민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6 세무와 회계 연구 Vol.5 No.2

        This study is to analysis about relationship between CEO compensation and tax avoidance. Much of the public company CEO have similar incentives as these of private company, but there are much difference characteristics of how they get the compensation from business performance. The CEO compensation is decided by the results of yearly management assessment, unlikely fixed bonuses. And cash compensation based on management assessment for public company CEO is only compensation method, various methods such as stock-option compensation which are widely used in the private company are not used. Public company CEO, unlikely private, are expected to have different incentives for tax avoidance. So we focused on the difference characteristics to the private company and analys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CEO’s real compensation and tax avoidance. To empirically analyse, we use a sample of public company’s compensation during 2010~2013.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we find statistically reliable evidence of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CEO compensation and tax avoidance which measured by BTD. And this result matched with the result which is measured with ETR. This results suggest that even thought the behavior of tax avoidance may be different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public CEO and private CEO in the mode of compensation payment, etc, the tax avoidance factor in the larger perspective agents acting in the same way as private companies to public company CEO.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also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tax avoidance being used for opportunistic behavior and the pursuit of private benefits of public company CEO. Contribu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which management evaluation bonus paid to a public company CEO act as incentives to pursue private benefits increase the level of tax avoidance, is presented in a meaningful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Second, it is determined that this study can indirectly know the suitability of the public organization management evaluation that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each year. Third, the present study wa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carried out by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bonus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has been disclosed objectively. 본 연구는 공공기관 기관장의 성과보상과 조세회피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공공기관 기관장은 여러 경영의사 결정에 있어서 일반적인 사기업의 경영자와 상당부분 유사한 유인을 가지고 있으나, 경영성과에 대한 보상을 받는 방식 등에서 있어서는 상당히 차별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공공기관 기관장의 경영평가 성과급은 고정 상여금 형태와는 달리 매년 실시되는 공공기관의 경영평가 결과를 근거로 결정된다. 공공기관의 기관장에게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근거한 현금보상이 유일한 보상방법이며, 공공기관의 경영평가 지표에는 여러 가지 재무지표가 포함된다. 그러므로 실질적인 현금유출을 수반하는 조세회피를 통한 재무지표의 향상은 공공기관 기관장의 성과급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기관장이 실제로 지급받은 경영평가 성과급과 기업의 조세회피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경영평가 성과급이 지급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공기관의 경영평가 성과급 수준은 재무보고이익-세무보고이익의 차이(BTD)로 측정한 조세회피 수준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조세회피 대용치로 유효법인세율(ETR) 및 현금유효법인세율(Cash ETR)을 사용한 결과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공공기관 기관장의 경우 성과급의 지급방식 등에서 일반적인 사기업의 경영자와 다르기 때문에 조세회피에 대한 유인이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사기업의 경영자와 동일하게 대리인 관점에서의 조세회피 유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공공기관 기관장은 현금보상으로 주어지는 경영평가 성과급을 높이기 위하여 기회주의적 행동 및 사적편익 추구를 할 유인이 존재하며 이를 위하여 조세회피가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공공기관 기관장에게 지급되는 경영평가 성과급이 기관장의 사적편익 추구 유인으로 작용하여 해당 기관의 조세회피 수준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정책입안자들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현재 매년 수행되고 있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대한 적정성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조세회피와 관련된 지표의 추가도 하나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객관적으로 공시되고 있는 공공기관 기관장의 성과급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연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었다.

      • 소공인의 심리적 특성, 환경불확실성, 산업클러스터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네트워크와 협력의 매개효과

        최태환,윤병섭 한국산업경영학회 2016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소공인의 심리적 특성, 환경불확실성, 산업클러스터 특성이 네트워크, 협력의 매개변수로 인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조사는 2015년 소공인특화지원센터 운영기관 25개에 소속된 소공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한 5점 등간척도를 사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5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회수한 표본 중 통계처리가 가능한 유효표본 418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공인의 환경불확실성과 산업클러스터 특성이 네트워크와 협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소공인이 새로운 경쟁우위를 요구하는 환경의 변화에 네트워크와 협력 등을 통해 자원의 새로운 조합과 창조를 이루고 경쟁상황에 준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소공인의 산업클러스터 조성이 네트워크와 협력을 가져와 혁신성 향상을 통한 성장률, 생산성, 경쟁력 및 고용 증대 효과가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환경불확실성 → 네트워크 → 경영성과’, ‘산업클러스터 특성 → 네트워크 → 경영성과’의 경로계수는 유의한 양(+)의 성과를 나타내었으며, ‘산업클러스터 특성 → 협력 → 경영성과’의 경로계수는 유의한 양(+)의 성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소공인 구성원들이 개인보다는 우리를 중요시 여기며, 구성원들 상호 간의 의존관계가 증가되고, 그 결과 구성원들 상호간에 원활하고도 신속한 정보의 흐름 등과 같은 협력이 경영성과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환경불확실성 → 경영성과’, ‘산업클러스터 특성 → 경영성과’는 경로계수가 유의한 양(+)의 성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네트워크와 협력의 매개를 통해 나타나는 성과를 분석한 결과 ‘환경불확실성 → 네트워크 → 협력 → 경영성과’, ‘산업클러스터 특성 → 네트워크 → 협력 → 경영성과’의 경로계수가 유의한 양(+)의 성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네트워크와 협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소공인의 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소공인과 소공인 내의 구성원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기업수준으로 변환하여 분석하였으나 초기 연구인 점을 고려하여 향후에는 보다 다양하고 다각적인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