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부친밀감 매개효과 -

        전동혁(Dong hyuk Jeon),이수진(Su jin Lee)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21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18 No.1

        본 연구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런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도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 222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서 사회적 편견과 적대감은 부부친밀감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의사소통문제와 문화적 충격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친밀감은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서 사회적 편견, 적대감은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의사소통문제와 문화적 충격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사회적 편견은 부부친밀감을 매개한 매개효과는 유의한 부(-)적인 완전매개영향, 적대감은 부부친밀감을 매개한 매개효과는 유의한 부(-)적인 완전매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의사소통문제와 문화적 충격은 부부친밀감을 매개하여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marriage immigrant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i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of analyzing 222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prejudice and hostility negatively affected marital intimacy on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communication problems and cultural shocks did no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arital intimac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d a positive (+) effect on marriage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prejudice and hostility had a negative (-) effect on marriage satisfaction in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communication problems and cultural shocks did not affect marriage satisfaction. Fourth, social prejudice against the cultural response str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and complete mediating effect, while hostility had a negative and complete mediating effect, communication problems and cultural shocks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 및 결혼만족과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나동석(Ra Dong-Seok),박종인(Park Jong-In)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4

        본 연구는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자녀양육에서 사회적 지지 및 결혼만족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에 거주하고 자녀를 양육한 경험이 있는 174명의 여성결혼이민자(중국, 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은 3.45/5점으로 보통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행동은 배우자 지지, 배우자 외 지지, 그리고 결혼만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배우자 지지는 결혼만족과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난 반면 배우자 외 지지는 결혼만족과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은 사회적 지지와 양육행동 간에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의 여성결혼이민자가 긍정적 양육행동을 더 많이 제공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on parenting behavior. The subjects were the 174 female marriage immigrants(China, Japan, Philippine, Vietnam, etc.) who have children living in Chungcheongbuk-do.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mean score of marital satisfaction is 3.45(s.d=0.85) from 5 points Likert scale. This is higher than the medium level of the scales. Second, parenting behavior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usband support, those who from family other members and marital satisfaction. Third, husband support have influence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s significantly, but other family member support have no influence on the parenting behavior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do not intervene between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about the parenting behavior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재와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

        최권진,송경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3

        최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결혼이민자는 15만 명이 넘어 매년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결혼이민자의 조기 정착을 위해 한국어 교육, 다문화가족통합 교육, 다문화가족취업연계 및 교육지원 등 많은 정책을 실행해 오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어 교육은 전국 212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 한 집합교육, 방문교육, 온라인 교육, 방송교육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온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의 실제를 다룬다. 먼저 다문화가족지원 센터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대상으로 한국어를 교육할 때 사용되는 교재와 교사 지침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실시되는 한국어 쓰기 교육의실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능력을향상하기 위해 여러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 고 있다. 먼저 한국어를 배우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다양한 목적이 교재에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사회 활동과 관련된 주제와 내용이 교재에 더욱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현 교재는 언어의 네 기능이 통합되어 교육되 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초급 단계에서는 말하기와 듣기가 강 조되지만 한국어 수준이 높아지면서는점차 읽기와 쓰기가 더욱 중요시되어야 한다. International marriages in Koreaare not any more unfamiliar.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ImmigrationOffice of Korea, as of April 2014 the numbers of international marriagesare 152,020 and every year it is increasing. 85.3% of them are women and14.7% are men.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has been makingplenty of efforts for their early settlements in Korea. The efforts are suchas Korea language teaching, education for integration of multiculturalfamilies into the Korean society, education and support for employment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has beenfulfilled via various media such as 2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centers nation-wide, on-line internet services and education broadcastingservice, etc. This paper studies the teaching of Korean to female immigrants who havecome into Korea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It examines the currentsituation of teaching Korean writing which is currently being conducted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makes analyses on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used at the centers. This research is performedwith the intention of increasing the competence of the Korean languageuse of female immigrant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the following points must be taken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writing competence of femaleimmigrants. The Korean textbooks must include various purposes forwhich the female immigrants learn Korean. Especially subjects andcontents concerned the social activities have to be reflected more activelyin the textbooks. Currently the four language skills are taught integrated,but differentiated emphasis must be given according to the levels;Speaking and listening is given more attention at the beginner’s level, andgradually reading and writing must get more attention at the upper levels. In addition, the teachers’ manuals must be composed in more specificdetails so that even teachers with no previous experience can lead moresystematic classroom activities for writing.

      • KCI등재후보

        제주도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양상

        염미경 ( Mi Gyeung Yeu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1 탐라문화 Vol.0 No.39

        이 글에서는 제주도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양상을 부부관계와 고부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2007년과 2009년의 여성결혼이민자가족 실태조사와 여성결혼이민자들과의 심층인터뷰조사 결과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이 확인되었다. 먼저 여성결혼이민자들은 문화적인 차이중에서도 남녀불평등이나 가부장적 문화에 가장 큰 혼란을 겪고 있고 가정주부가 되었지만 가정경제 관리에서 주도권을 갖지 못했다. 다음으로 연애결혼이 아닌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대체로 시부모가 함께 거주하면서 시집살이로 결혼생활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고, 남편과 시어머니가 밀착되어 있어 아내로서 소외감을 느끼고 있으며, 열악한 주거공간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기도 해 가족 내에서 자신의 위치에 회의를 갖고 있었다. 여성결혼이민자가족의 고부관계는 한국의 일반 가족과 비슷하지만 고부 갈등 요인이 주로 의사소통의 어려움, 관심이나 문화 차이로 인한 상호이해 부족, 그리고 각자가 지닌 상대방에 대한 기대감 차이 등에서 기인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제주도의 일반 가족에서는 한국의 전통가족에 비해 고부 간 불만 강도가 낮고 가정사를 부부간 의사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비율이 높은데, 그렇다고 제주도의 여성결혼 이민자가족에서 이러한 제주도의 일반 가족과 비슷한 특징이 나타날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을 이 글의 사례에서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 이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제주도와 다른 지역의 여성결혼이 민자의 가족관계 양상을 비교해봄으로써 한국 여성결혼이민자 가족관계의 보편 성과 특수성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In this article, I pay attention to whether the feature of the typical family relation of Jeju Island appeared with the familie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live in Jeju Island.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have been selected from a number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operated by Jeju Island Migrant Workers` Center and Social Welfare Center of Seogwipo Cit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typical family figuration of Jeju Island has pointed out a marital relationship-centered family, and decision making between the married couple has high ratio decided in self-controlled way, and one nuclear family in the change in the Korean family who appears recently by a branch family custom`s existing is typical family figuration from the past. But the family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as found out that there is fixed distance with a typical family relation of ``Jeju Island family``. It`s rather put in the patriarchal family-like family culture and the unfair marital relationship more than the general family like the Korean female marriage immigrants` family. I find out nationwide universalism is stronger than the regional particularity of Jeju Island in case of multi-cultural family like Jeju island female marriage immigrants` family.

      • KCI등재

        결혼이민자의 체류권 보장을 위한 입법과제

        김두년(Kim, Doo-nyeon)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49 No.-

        본고는 주요국가의 결혼이민자 정착관계 법제에 대한 비교법적인 연구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결혼이민자들의 안정적인 체류권 보장을 위한 입법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결혼이민자들의 안정적인 체류권보장을 위한 입법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민사증 발급 시 예비심사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결혼이민예정자에 대한 사전인터뷰를 통한 예비심사를 통과한 결혼이민자에 한하여 정식으로 결혼이민(F-6)사증을 발급하는 것이다. 둘째, 결혼이민예정자에 대한 「약혼자비자」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결혼이민예정자가 약혼자 자격으로 국내에서 단기간 체류할 수 있는 약혼자비자를 발급하고 약혼자비자의 체류기간 내에 혼인하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결혼이민자의 체류조건을 완화해야 한다. 결혼이민자의 가출 등으로 피해를 입는 국민인 배우자가 늘어나면서 체류관리가 엄격해지고 있다. 정상적인 결혼이민자의 체류권 보장을 위해서는 결혼이민자의 체류관리는 강화하되 체류조건은 완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결혼이민자의 조건부 영주자격을 부여해야 한다. 2012년에 법무부에서는 영주자격전치주의를 도입하기 위한 국적법과 출입국관리법의 일부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영주자격 전치주의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혼인조건부 영주(F-5)자격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derive the legislative issues for ensuring a stable residence rights of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through a comparative legal study by studying relevant legislation for stable residence of legal marriage immigrants in developed countries. To guarantee stable rights of residence for marriage immigrants, legislative issues which this paper suggests as conclusion are as follows : Firs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preliminary screening system to issue immigrant visas. Formal marriage immigration visa would be issued only to those who have passed the preliminary screening through pre-marriage immigration interview.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fiance visa” system for scheduled immigrants. Fiance visas would be issued to foreign fiances to make them stay in short-term for the marriage in Korea. Third,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conditions of marriage immigrant residence. In order to ensure the rights of a legal marriage immigrants stay, the management of stay should be strengthen , but residence conditions should be mitigated. Third, There is a need to alleviate the conditions of marriage immigrants stay. In order to ensure the rights of a normal marriage immigrants stay, Stay strengthen the management, but Residence conditions need to be mitigated. Fourth, conditional permanent resident status should be granted to marriage immigrants. Department of Justice is pursuing a law reform to make that only those who have permanent resident status can apply to acquisition of nationality. In this case, even married immigrants should be granted conditional permanent resident visas.

      • KCI등재후보

        제주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결혼이주, 딜레마와 적응

        염미경,김규리 지역사회학회 2008 지역사회학 Vol.9 No.2

        이 글은 결혼이주를 선택한 ‘외국인’ 여성, 특히 제주사회에 살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과의 심층연접자료를 중심으로 하여 그들의 결혼이주 선택과정과 딜레마, 그리고 적응과정을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2007년 7월부터 10월까지 이루어졌다. 제주외국인근로자센터(제주이주민센터)와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이 운영하는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중심으로 해 눈덩이표집방법에 의해 조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가정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 가운데 가장 큰 문제로는 언어소통, 문화갈등, 법적, 제도적 문제, 경제적 사정, 자녀교육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언어차이로 인해 가정에서 일상적인 의사소통문제가 있는 것은 물론, 시댁과의 갈등이나 제사나 예절 등 한국 혹은 제주문화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들의 의사소통문제는 다시 자녀교육에서의 어려움으로 연결된다. 앞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지원프로그램의 확대와 내실화도 중요하지만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가족, 즉 시댁과 지역사회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활동도 중요하지만 문화적 다양성과 상대 문화에 대한 존중차원에서 남편과 시부모 등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가족이 그들의 가족성원이 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나 사업들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때 지역사회의 각 장(場)을 중심으로 한 다문화교육이나 인권교육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In this article, we pay attention to this particular issue. We try to express the thought of the transition and life story of the 'foreign' women who opted for migration by marriage, in particula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chose to live in Jeju society as well as their dilemma, discord and adjustments from their point of view. In this paper, we attempt to recor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of these 'foreign women' and some statements on their motive for moving and living in Jeju. In this article, we assume that the migratio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is the best choice of 'foreign women' in their desire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that their choice is an independent act. This includes their identity discord and the adjustments as well as cultural conflicts in their life as 'foreign women' who are adjusting themselves upon marrying into a culture new to them. This paper is an illumination of the liv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Asia by retelling the story of their lives. Collection of oral data from July to October in 2007.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have been selected from a number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operated by Jeju Migrant Workers' Center and Social Welfare Center of Seogwipo City. The sampling method used is snowball sampling. In select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for oral data collection, we gathered those who were considering their migration course, their residency period, their hometown, and their possible Korean nationality acquisition, as well as presence of a child and a divorce experience. The paper shows how their interpretation of life has changed, the circumstances they dealt with, and their recognition of this situation.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가 다문화시민권리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이소영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4 다문화교육연구 Vol.7 No.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hat marriage immigrant women do not receive discrimination and not excluded from enjoyment in any sense and rights as multicultural citize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of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network of marriage immigrant women that affects on the relation to multicultural citizenship. Thus,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 left their home country for social and economic reasons to find new settlements while their family members live in their country and they live as citize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their ethnic cultural identity. The role of their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is also examin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network and multicultural citizenship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their relationship based on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of Kymlicka's viewpoint of ‘liberal multiculturalism.’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marriage immigrant women's network and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was reviewed. A number of personal and institutions were conducted for survey to acquire data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from September 19, 2012 to November 28, 2012. Available samples of 268 were investigated affect on relationship.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nalysis the affect on the relationship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s networks and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shows that the marriage process, home country, current residenc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lso affects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social network and the national cultural network significantly. However, marriage immigrant women's age, education, marital age, marital education, duration of marriage, family networks do not affect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network of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 positive influence on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need a suggestion to establish practical strategies for enabling the network of marriage immigrant women.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사회에서 차별받고 배제되는 타자의 존재가 아닌 다문화시민으로서 어떠한 의식과 권리를 향유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초국가시대에 사회적・경제적 동기로 모국을 떠나 새로운 정착지를 찾아 이주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거주국에 가정을 꾸리며 생활하면서도 그들의 민족적・문화적 정체성을 통해 다문화사회의 시민으로서 살아가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Kymlicka가 주장한 다문화주의 시민권을 토대로 한국에서 다문화시민으로 살아가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네트워크(가족네트워크, 사회네트워크, 민족문화네트워크)와 그들의 다문화시민권리(정치적 공간 필요성, 문화적 권리, 특별대표권리)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전라남도지역의 다수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2년 9월 19일부터 2012년 11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68부의 표본을 활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와 다문화시민권리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네트워크와 민족문화네트워크가 다문화시민권리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과정, 출신국, 현재거주지도 다문화시민권리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연령, 학력, 배우자 연령, 배우자 학력, 결혼기간은 다문화시민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사회네트워크, 민족문화네트워크와 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가 다문화시민권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시대의 여성결혼이민자 가정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방안: 강원도를 중심으로

        박기관 경인행정학회 2011 한국정책연구 Vol.11 No.1

        본 논문은 본격적인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에 즈음하여 결혼이민자 가족에 대한 사회문제성의 인식하에 강원도 다문화가정의 현상과 함께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한 후,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강원도는 동남아 출신의 여성결혼이민자 비중이 크고, 최근 농촌지역에서 도시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일부 자치단체에서는 다문화가정을 위한 시설여건이 미흡하고, 도시와 농촌의 차별성이 없는 한정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가정생활의 실태를 분석해 본 결과, 주로 결혼중개업체 소개를 통해 결혼한 가운데 언어와 의사소통의 문제, 자녀양육, 취업을 비롯한 기타 복지서비스에 관련된 문제까지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과 함께 결혼이민자가정의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여성결혼이민자 가정의 법?제도적 지원과제와 통합지원 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전자는 결혼중개업체에 관련된 법적인 고려 사항과 외국인 지원부서 및 결혼이민자 전담기구 설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결혼이민자 가정의 차별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후자는 결혼이민자가족의 한국어 교육 및 프로그램개발, 자녀양육지원 및 상담서비스 강화, 취업프로그램 개발 및 결혼이민자 전문인력 양성, 다문화 이해 교육 및 문화감성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역거버넌스 구축 등을 제시해 보았다.

      • KCI등재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여성결혼이민자의 타자성 -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를 중심으로 -

        김미정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3 No.-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 increases sharply, migrated female emerged as a staple part of our society. Therefore, the difficulty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ve about sociocultural adaptation became remarkable social issue, and necessities for social unification and foreigner protection are arising. In this situation, Korean language has an equal effectiveness with their mother language as a language of life rather than just second language. So, this leads to a focal focu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specially on the role of its base-material, the textbook. However, reminding the textbook not only has function of language acquisition but also includes indigenous culture, ideological connotation and more of the country, text for foreigner needs ti be approached discreetly on its range of leverage because it embedded implicitly with one group's indigenous culture and social operational mechanism at the bottom. Textbook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d been generally reedited from 2010, and made positive changes from skill-integrated text to skill-separated text and from uni-culture to inter-culture, but there was no change on marginalization of migrant women in the aspect of sociocultural area and gender in both texts before reediting and after. This paper, hence, looked into “Korean language with the marriage immigrant”, which was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analyzed ‘othern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which is implied in textbook. First, I could figure out migrant women's social status and self-identity through their activity space and interlocutor while analyzing their otherness. Since their activity space is narrow-ranged such as countryside and neighbor area and even worse to house mostly, I found out that they, indeed, was being socially and economically othered in Korean society. Moreover, I witnessed they were left as gendered others as being forced to take patriarchal system repeatedly by their mother-in-law, who is a bearer of Korean culture, and other surroundings.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changing perception of the neighbors and surroundings about female married immigrants would be the first and foremost task in the aspect of social safety net. Therefore, if possible, the textbook and continuous program which their husbands, kids, and parents-in-law can participate together and/or their neighbors can associate, need to be developed. In addition, the textbook has to be composed in a way deviating from compelling them to assimilate into unreciprocated Korean culture, but respecting culture and history of other nations, and simultaneously expanding intercultural exchang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pread the non- dichotomy gender conception of occupation along with various textbook which enables them to get vocational education for feeling settled, improving their self-esteem, and having stable economic life in Korea. When immigrants of our society secure their economic power through labor and find their social identity with recognition of people nearby by strengthening these practical alternatives, multicultural social integration would be made, and these immigrants' competence would be exhibited its new social power as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assets. 국제결혼이 급증하면서 이주여성이 우리 사회의 주요한 일원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기에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겪는 사회·문화적 적응의 어려움이 문제화 되면서 외국인의 보호와 사회통합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중에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어는 제 2의 언어라기보다 생존의 언어로서 모국어와 등가의 효용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한국어 교육이 중요시되고 그 기본기재인 한국어 교재가 담당하는 역할은 어느 것보다도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한국어 교재는 단순히 언어학습의 기능만을 갖는 것이 아니고 그 나라의 문화 및 사상 등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기저에 한 집단의 고유문화와 사회의 작동 기제가 암암리에 투영되어 있어서 파급 효과가 크므로 조심스럽게 접근해야한다.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재는 2010년을 기점으로 전면적 개편이 이뤄져 통합적 텍스트에서 영역 강화적 텍스트로, 동일문화에서 상호문화로의 비교적 긍정적인 변화가 파악되었지만 개편 이전이나 이후 모두 사회·문화적, 젠더적인 면에서 이주민여성을 주변화하는 내용에는 커다란 변화가 없었다. 이에 본고는 국립국어원에서 출간한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를 살펴보면서 교재에 함의되어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타자성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여성결혼이민자가 활동하는 공간 및 대화 상대자를 통해서 그들의 사회적 위상 및 정체성을 가늠할 수 있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행동반경은 농촌 및 그 주변지역이고 더 나아가 집안을 위주로 한 제한적 공간으로서 그들이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소외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가하면 한국 문화의 담지자 및 전수자의 역할을 맡고 있는 시어머니 및 주위 환경에 의해 한국식 가부장적 문화가 반복적으로 주입되면서 여성결혼이민자가 젠더적으로 타자화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혼여성이민자에 대한 주변 및 이웃의 인식을 전환하는 것이 사회안전망 차원에서도 중요한 과제이므로 가능하다면 남편과 아이, 시부모가 공동으로 참여하거나 이웃과의 연계활동도 할 수 있는 교재와 지속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교재는 한국의 일방적인 문화에 동화를 강요하는 방식을 벗어나 상대국가의 문화와 역사를 존중하면서 상호 문화교류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여성결혼이주민들이 정착감과 자존감을 높일 수 있고 한국에서의 안정된 경제생활을 위해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교재와 더불어 젠더 분업적이지 않은 직업 관념의 확산도 필수적이다. 이러한 실천적 대안이 강화됨으로써 우리 사회의 이주민들이 노동을 통해 경제력을 확보하고 주변 사람들의 인정을 통해 사회적 정체성을 확보할 때 다문화적 사회통합은 가까워질 것이고 이민자의 역량은 국가경쟁력이자 자산으로 새로운 사회적 힘을 발휘할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