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성이 결혼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태연,안권순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7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for sex role stereotype and sex permission of migrants married women.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sets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difference of marital satisfaction for sex role stereotype and sex permission according to their country of origin? Second, how relationship of marital satisfaction for sex role stereotype and sex permission? Third, how intermediation of marital satisfaction for sex role stereotype and sex permission? This study investigates 143 migrants married women of multicultural family in S-city, T-gun. They are consist of 14 Korea races, 27 Chinese, 46 Vietnam, 29 Philippines and others peoples. For measurement, this study uses Sex Behavior Scale, Sex Role Stereotype, Marital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Data. Then the collected data are gone through t-test, Chi-squr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comes up with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 need multiple programme for the respect of peculiar culture and tradition rather than one community of migrants married women for their country of origin. Second, They need policy plan for cognition improvement and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 background or their country of origin. Third, We need reduce programme for the sex role stereotype of migrants married women for their country of origi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would be cognition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 background or their country of origin and cognition of stereotype and prejudice of migrants married women for their country of origin.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성이 결혼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출신국가에 따라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 정도 및 결혼생활만족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 정도 및 결혼생활만족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전통적인 성역할 고정관념과 결혼생활만족의 관계를 성 허용 정도가 매개하는가? 연구를 위하여 S시와 T군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의 외국인 아내 14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성 행동규범, 성 역할 고정관념, 결혼만족도, 사회인구학적 변수로 구성하였다. 본 설문지의 자료 처리는 t-검정, 차이검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논의는 첫째, 출신국가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 정도 및 결혼생활만족도에서의 차이에서는 출신국가에 따라 성역할 고정관념과 결혼생활만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결혼 전 성 허용 정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 정도 및 결혼생활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는 성역할 고정관념은 결혼 전 성 허용과 및 결혼생활만족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성 허용 정도는 결혼생활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을 나타났다. 셋째, 성역할 고정관념과 결혼생활만족도사이에서 성 역할 고정관념이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사회의 세계화와 다민족 사회로의 이행이 매우 바른 속도로 진정되는 가운데 결혼이주여성의 성공적인 결혼생활을 위해서 많은 정책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을 하나의 공동체로 보기보다는 출신국가마다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가족 친지 지역사회 모두가 출신국가 마다의 다른 문화배경을 이해하고 다름을 인정할 수 있도록 인식개선을 위한 정책수립이 요구된다. 셋째, 성역할 고정관념이 높을수록 낮은 결혼생활 만족도로 해석되기에 결혼이주여성들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결혼이주여성의 행복한 결혼 생활을 위해서는 출신국가의 다른 문화배경을 인정하여 선입견과 편견을 갖지 않고 다름을 인정하여 다문화 가정을 색안경을 끼지 않고 우리 사회에서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전 국민 의식개선이 중요하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혜경 ( Hye Kyung Lee ),전혜인 ( Hae In Jeon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4

        본 연구는 대전충청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만족도와 관련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 및 결혼생활의 안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밝히고 있다[31, 47]. 본 연구의 결과 역시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문화적응 스트레스 역시 결혼만족도에 부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Choi[9] 등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를 높이는 데 있어 사회적 지지와 문화 적응 스트레스 변수가 매우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재확인하였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에서 사회적 지지의 간접효과 값은 .096(-.486×-.197)이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원이 결혼생활안정을 예측할 수 있고, 문화적응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Park[49]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Park[49]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원은 결혼생활안정에 직접 효과를 가지고 문화적응태도를 매개하여 결혼생활안정에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사회적 지원이 결혼생활안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긍정적 문화적응태도를 수반하여 결혼생활이 더욱 안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원의 구체적 내용으로 친구와 가족, 의미있는 주변인의 지지를 중심으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고찰하였고, 특히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적 역할을 규명하였다. 이는 유사한 연구틀을 취하고 있으나 Park[49]의 연구에서 다루어진 변수들이 다소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인 반면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연구변수들은 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변수라 할 수 있다. 이에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적 지지의 개발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대처전략을 중심으로 한 실천적 전략을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재확인되었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망을 확대하고, 다양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다문화여성들의 사회적 연결망을 분석하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사회적 관계나 사회적 지지 뿐 아니라 이들의 유형과 관계를 보다 통합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20, 48, 51]. 결혼이주여성을 단순히 사회적 지원의 대상으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사회적 참여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보다 적극적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안정적인 사회적 지지를 유지하고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도를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생활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사회적 지지를 확충하는 것 뿐 아니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함께 모색되어야 함을 인식시키는 결과이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예방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2006년 개소한 이래 전국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결혼 생활 유지 및 적응 뿐 아니라 사회적 지지망을 확대하고, 사회적 통합을 위한 서비스를 다양하게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프로그램과 개입전략이 지역적 특성과 개별적 욕구를 충분한 정도로 충족시키고 있다고 볼 수는 없으나[24, 34], 점차 확대되고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네트워크 구축과 자조모임의 활성화, 가족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현실화를 통해 이주여성의 문화적 역량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망 확대에 있어 문화적 역량의 강화를 촉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노인복지관의 노인 세대와 결혼이주여성 간의 결연프로그램과 동일한 국가에서 이주해 온 결혼이주여성 간의 멘토 프로그램의 활성화 등이 현실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연구에 있어 새로운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는데 기존의 연구와 구별된다. 기존의 연구들이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정서적 특성,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단선적 연구모형에 집중한 반면, 본 연구는 매개변수인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효과를 밝힘으로써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관련된 연구에 있어 새로운 이론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대전, 충남 지역 일부의 표본을 선정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따른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구조와 기능에 따른 경로와 과정이 보다 면밀히 분석될 필요가 있음에도 이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후 후속연구를 통해 보다 일반화된 자료의 분석과 연구변인간의 다층적이고 구체적인 구조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생활만족도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사회통합을 가능케 할 실천적 토대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for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ir marital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70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living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mediation model established that acculturative stress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for and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was appropriate.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positively affected marital satisfaction. Secondly,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cculturative stress. Lastly,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showed that acculturative stress w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soci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s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 KCI등재

        결혼이민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경로연구

        김도희 ( Do Hee Kim ),이경은 ( Kyung Eun Lee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2

        본 연구는 경북에 거주하는 624명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우울에 이르는 경로를 연구하기 위하여 SPSS통계프로그램과 AMOS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이민여성의 우울에 관련 있는 변인들 가운데 무망감, 문화적응, 결혼만족, 사회적 지지의 연구모형으로 구성하여 이 연구모형의 경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무망감과 우울, 문화적응과 결혼만족, 결혼만족과 사회적 지지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무망감과 결혼만족, 무망감과 사회적 지지, 결혼만족과 우울 간은 부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둘째, 연구모형의 경로는 결혼만족도가 우울에 이르는 경로와 무망감이 결혼만족도에 가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그리고 문화적응과 우울의 경로, 무망감과 사회적 지지의 경로 그리고 무망감과 우울의 경로가 유의했다. 셋째 결혼이민여성의 무망감이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지만 우울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는다. 따라서 무망감은 사회적 지지에만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결혼이민여성의 무망감은 결혼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결혼만족 역시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무망감은 결혼만족에 경로하여 간접효과를 가지며 우울에 이르기도 하고 우울에 바로 직접적 효과를 가지기도 한다. 또한 결혼이민여성의 문화적응은 결혼이민여성의 우울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경로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결혼이민여성의 무망감은 결혼만족도와 문화적응을 매개하여 우울을 감소하는데 효과를 가지므로 이들의 결혼만족도와 문화적응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s aim is to examine the related factors for the depression of immigrant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2.0 Program and the Amos program.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correlation relationships among hopelessness, acculturation, marital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exist. Second, according to path analysis, hopelessness has a significant path with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lso, hopelessness has a significant path with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has a significant path with depression. It is suggested that a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immigrant women`s marital satisfaction be developed to help them cope with their depression.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성희 ( Lee Sung-hee ),김나연 ( Kim Na-yeon ),김현수 ( Kim Hyun-su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6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9 No.-

        본 연구는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 배우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생활만족도의 영향변인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가정내역할인식과 다문화수용성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관계만족도는 자신의 배우자, 자녀와의 관계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고, 생활만족도는 약간 높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연령이 낮고 결혼기간이 짧고, 교육수준과 소득이 높을 때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일반적 특성, 다문화수용성, 가족관계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기간이 짧을수록,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졌다. 또한, 결혼이주여성 배우자는 다문화수용성이 높을수록 가족관계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관계만족도는 다문화수용성 변인보다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생활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 배우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원방안은 기본적인 경제적인 요건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하고, 다문화가족 생애주기 별로 경험할 수 있는 가족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해 타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배우자나라를 존중할 수 있는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인식개선사업과 교육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life satisfaction targeting -marriage immigrant women’s husbands with children by using “2012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research data and presented support measures for them.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 of the role at home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arriage immigrant women’s husbands were found to be a normal level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relations with their spouses, children and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lightly higher. Second,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as marriage immigrant women ‘s husbands are younger, marriage period is shorter,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are higher. Third, the relative influence of demographic,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 women’s husbands on life satisfaction was examined and as a result,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a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re higher. That i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a variable that more affects marriage immigrant women’s husbands tha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variable. Therefore, support measures conducted targeting marriage immigrant women’s husbands should be able to improve the basic economic requirements and need to carry out family education that can be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family life cycle. Finally, in order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arriage immigrant women’s husbands,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s and education policy should be carried out to ensure that they can have the attitude to respect the spouse’s countr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 KCI등재

        국내결혼중개서비스 이용소비자의 가입단계별 이용 특성 및 소비자만족도

        김민정 ( Kim Min Jeung ),곽민주 ( Gwak Min Joo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결혼중개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비자문제와 만족도 수준을 파악하여 소비자가 질 높은 국내결혼중개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2년 이내에 국내 결혼중개서비스를 이용해 본 소비자 324명을 대상으로 이용 특성과 소비자만족도 수준을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결혼중개서비스의 이용 전 특성에서는 지인(가족, 친구, 직장동료 등)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소비자의 비율이 37.7%로 가장 높았으며, 이용하기 전 가장 우려하는 점은 ‘개인정보 노출’(23.8%)이었다. 이용 시 특성에서는 업체를 선택한 이유로 ‘잘 알려진 업체이기 때문에’(44.8%)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 많은 소비자가 조건이나 결혼 성공률보다는 브랜드의 명성을 보고 업체를 선택하고 있었다. 주요 상담방법으로 대면보다는 비대면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평균 가입비는 119만원이었다. 이용 후 특성에서는 결혼 성공률(10.8%)이 매우 낮았으며, 개선사항으로 가입비 인하(30.2%), 약정 만남 횟수 증가(24.1%), 등록된 회원에 대한 검증체계 보완(23.5%)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국내결혼중개서비스의 하위 영역별 소비자만족도는 서비스의 다양성(3.49점) > 서비스의 신뢰성(3.37점)> 부가혜택 서비스(3.29점) > 서비스의 가격(3.25점)의 순으로 나타나 가격 만족도 수준이 가장 낮았다. 특히, 소비자만족도를 측정하는 15개 문항 중에서 ‘업체에서 제시하고 있는 가입비는 제공하는 서비스에 비해 적절하다’라는 문항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어 소비자들은 가입비 대비 제공되는 서비스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셋째, 이용 특성에 따른 소비자만족도 수준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가격이나 이상형 매칭 등과 같은 업체의 본질적인 서비스를 보고 업체를 선택한 소비자는 대체적으로 만족도 수준이 높은 반면, 브랜드의 명성이나 이미지 등을 이유로 업체를 선택하는 소비자는 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상담방법에서는 대면상담을 이용한 소비자의 만족도 수준이 비대면상담을 이용한 소비자의 만족도 수준보다 높았다. 또한, 평균 가입비보다 낮은 비용을 지불한 소비자, 이성과 3회 이상 만난 경험이 있는 소비자, 결혼에 성공한 소비자의 만족도 수준이 그렇지 않은 소비자의 만족도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내결혼중개서비스의 하위 영역별 소비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4개의 하위 영역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성과 3회 이상 만난 경험 여부이었으며, 이성과 3회 이상 만난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모든 하위 영역의 소비자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국내결혼중개서비스업체들은 소비자가 원하는 이상형을 소개받아 지속적인 만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다 정교한 매칭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consumer issues and satisfaction with marriage brokerage service in the nation and propose their improvement measures to provide consumers with quality marriage brokerage service.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324 consumers that used marriage brokerage service in the nation within the last two years to figure out their usag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level.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before using marriage brokerage service in the nation and found that the highest percentage(37.7%) of consumers obtained information from their acquaintances(family, friends, and colleagues) and that their biggest concern was “exposure of private information”(23.8%). As for their characteristics during the use of the service, the highest proportion(44.8%) of them chose an agency for “broad recognition,” which indicates that many consumers chose an agency for its brand reputation rather than conditions or marriage success rates. They received counseling mainly in non-face to face method instead of face to face one. The average membership fee was 1,190,000 won. The study also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after using marriage brokerage service and found that their marriage success rate was very low(10.8%). They said that there should be improvements including lower membership fees(30.2%), more meetings under contract(24.1%), and reinforced verification system for the registered members(23.5%).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consumer satisfaction with marriage brokerage service in the nation by the subarea and found that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the highest in service diversity(3.49 points), which was followed by service reliability(3.37), add-on service(3.29), and service fees(3.25) in the order.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the lowest in prices. Of 15 items to measure consumer satisfaction, “The membership fees are proper for the service provided by the agency” scored the lowest points, which means that consum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ervice for its fees. Third,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consumer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ir usage characteristics and found that consumer satisfaction was overall high when consumers chose an agency for its essential services such as prices and matching of ideal types. When they chose an agency for its brand reputation or image,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low. The consumer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with face to face counseling methods than non-face to face ones.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when consumers paid less than the average membership fees, met with three spouse candidate or more, or succeeded in marriage. Finally, the stud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satisfaction with the subareas of marriage brokerage service in the nation. The results show that meeting with three spouse candidates or mor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of the four subareas. Those who met with three spouse candidates or more recorded a high satisfaction level across all the subareas. These findings raise a need for marriage brokerage service providers in the nation to develop a more sophisticated matching program so that consumers can have their ideal types introduced to them and maintain meetings with them.

      • KCI등재

        부모의 결혼만족도,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최효식(Hyosik Choi),연은모(Eun M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나아가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 948 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차 자료는 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시점이다. 분석을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APIM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항 꾸러미(item parceling), 최대우도법(ML)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부 애착,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모 애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 배우자의 결혼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자녀가 지각한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나아가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 948 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차 자료는 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시점이다. 분석을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APIM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항 꾸러미(item parceling), 최대우도법(ML)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부 애착,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모 애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 배우자의 결혼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자녀가 지각한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al attachment of children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of parents and parental attachment, ego-resiliency, ego-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Methods The study used a sample of 948 pair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who become a 5th grader in 12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2019), and they were analyzed based on the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mother’s and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actor effect to parental attachment of their children. However, both mother’s and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ner effect to parental attachment of their children to each. Second, the actor effect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were appeared. Thir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through their attachment to fathers and ego-resiliency. In addition, children's ego-identity was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school adjustment with their attachment to fathers. Moreover, the same patter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n's ego-resiliency, ego-identity,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양육기 결혼만족도 연구 분석

        이도경(Lee, Do Kyung),김형빈(Kim, Hyung B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한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청소년, 자녀, 양육, 유아, 부모 역할, 취업모, 출생 등의 키워드가 같이 포함되어 있는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들의 주제어를 추출하여 분석하고 양육기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여러 키워드를 도출하여 양육기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키워드의 빈도 분석과 TF-IDF를 통해 어떤 주제가 많이 연구되었는지를 분석하고 키워드의 연결중심성을 확인하여 다른 주제어와 많이 연결되어 있는 키워드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에서 출판된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양육과 관련된 결혼만족도’를 주제어로 하는 논문 132편을 수집하고 270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후 NOTEPAD++를 사용하여 키워드를 1차 정제한 후 텍스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어 재정제하였다. 이후 정제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빈도분석과 Textom 프로그램의 TF, TF-IDF, N-gram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였다. 결과 첫째, 2000년대 이후 매년 이루어져 오던 연구가 2010년 이후부터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양육과 관련된 결혼만족도 연구는 52개의 학술지에 총 132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한국가족복지학회지, 대한가정학회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아동학회지,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등 가족관계 및 아동, 영유아를 연구하는 학술지에서 주로 활발하게 연구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양육과 관련된 결혼만족도의 주요 키워드의 출현 빈도는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 ‘아버지’, ‘어머니’, ‘양육참여’, ‘자녀’, ‘부부갈등’, ‘양육효능감’, ‘문제행동’, ‘우울’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TF-IDF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는 출현 빈도 순위와 거의 유사하나 ‘결혼만족도’는 상위 키워드 안에 들지 못한 것이 확인되었다. 가중치가 높은 키워드는 ‘어머니’, ‘아버지’, ‘양육스트레스’, ‘양육참여’, ‘자녀’, ‘부부갈등’, ‘문제행동’ 등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N-gram 분석에서는 주요 키워드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결혼만족도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 순으로 나열하면 ‘자녀’, ‘우울’, ‘아버지’, ‘양육태도’ 등이 각각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가중치가 높은 키워드는 ‘아버지’와 ‘양육참여’로 ‘결혼만족도’에는 ‘아버지’와 ‘양육참여’가 같이 많이 연관되어 언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네트워크로 표현한 연결정도 중심성은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결론 양육과 관련된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더욱 정교히 하여 다양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Objectives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hrough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we extracted and analyzed the keywords of studies on marital satisfaction that contain keywords such as youth, children, parenting, infants, parental roles, working mothers, and births. By deriving several keywords 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major keywords and TF-IDF, which topics were studied the most, and by confirming the centrality of the keywords to identify keywords that are highly connected to other keywords. Methods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132 papers with the theme of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parenting’ were collected and 270 keywords were derived. After that, the main word was first refined using NOTEPAD++, and then the word was re-refined using the textom program. Afterwards, based on the refined keywords, frequency analysis and TF, TF-IDF, and N-gram of the Textom program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Results First,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every year since the 2000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10 onwards. Second, a total of 132 papers were published in 52 academic journals regarding the study of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child rear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in academic journals that study family relationships, children, and infants, such a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amily Welfare, the Journal of the Korean Family Socie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mily Relations, the Journal of the Children s Society,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ant Car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major keywords of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child rearing, ‘marriage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father’, ‘mother’, ‘parenting participation’, ‘children’, ‘marital conflict’, ‘Parenting efficacy’, ‘problematic behavior’, and ‘depression’ appeared in the order. Fourth, as a result of TF-IDF weight analysis, it was found that it was derived almost similar to the order of appearance frequency, but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enter the top keywords. Keywords with high weight were identified as ‘mother’, ‘father’, ‘parenting stress’, ‘parenting participation’, ‘child’, ‘marital conflict’, and ‘problematic behavior’. fifth, the association between major keywords was confirmed in the N-gram analysis. When the keywords that are high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re listed in order,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depression’, ‘father’, and ‘parenting attitude’ appeared respectively.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weight were ‘father’ and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father’ and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were mentioned a lot in ‘marital satisfaction’. Sixth, the centrality of the degree of connection expressed through the network was connected centered on ‘marriage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Conclusions It can be confirmed that studies on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child rearing are increa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further elaborated and suggestions for various follow-up studies were made.

      • KCI등재

        결혼 이주여성의 한식에 대한 가치인식이 음식만족, 생활만족 및 국가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최은숙 ( Eun Suk Choi ),이연정 ( Yeon Jung Lee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결혼 이주여성의 한식에 대한 가치인식이 음식만족, 생활만족 및 한국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결혼 이주여성들이 보다 생활에 만족할 수 있으며 한국에 대한 좋은 결혼의 가치인식을 증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 이주여성의 한식에 대한 가치인식은 음식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건강.영양가치 요인, 유형가치 요인이 음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 이주여성의 한식에 대한 가치인식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건강.영양가치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한식에 대한 가치인식은 국가애호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건강·영양가치, 조리가치, 유형가치, 기호가치 등 모든 한식의 가치인식요인이 국가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 이주여성의 한식에 대한 음식만족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음식만족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결혼이주여성의 음식만족은 국가애호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검증한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음식만족이 높을수록 국가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은 국가애호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검증한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이 높을수록 국가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에게 한식의 건강·영양가치 등을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는 관련 교육과정 개설과 정책 수립을 진행한다면 향후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 음식 만족이나 생활만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한국 정착율을 보다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mmigrant women`s value perception of Korean food, which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their value perception of Korean food on their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 satisfaction with life, and loyalty of Korea to help them be more satisfied with life in Korea and have a better image of Korea. Among the 350 survey forms, 160 copies were collected and 151 copi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excluding nine copies that were not answered properly. First, Among the value perception factors of Korean food, health·nutrition value and type value had the most influence on immigrant women`s satisfaction with food. Second, Among the value perception factors of Korean cuisine, health·nutrition value had the most influence on immigrant women`s satisfaction with life. Immigrant women`s greater satisfaction with foo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Summariz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greater value perception of immigrant women on Korean food contributed to greater satisfaction with food, greater satisfaction with life, and greater preference of Korea. Therefore, education and policies that emphasize the culinary value, taste value, and health/nutritional value of Korean food to immigrant women would influence immigrant women``s loyalty of Korea and increase their settlement in Korea.

      • KCI등재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김미령 ( Meer Young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26 No.-

        본 연구는 여성정책연구원의 제1차 여성가족패널자료를 사용한 연구로 30, 40, 50, 60대의 연령대 별 여성의 결혼만족도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 및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크게 부부관계 외적 요소와 부부관계 요소의 둘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대상자는 30대여성 1200명, 40대 989명, 50대 368명, 60대 64명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30대 여성의 경우 다른 연령대보다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40대도 50대나 60대보다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연령대 별로 남편과의 관계 및 인식은 모두 결혼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나지만 그 외의 영향요인은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30대의 경우 부부관계요소인 활동공유, 가사분담만족, 남편의 육아 및 가사시간 등이 모두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40대의 경우 가사부담만족과 영화관람 등의 활동공유는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본인의 직장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었다. 남편의 가사분담 만족은 30대와 40대 여성들에게는 중요한 결혼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50대 여성들에게는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지 않다. 50대의 경우 시부모와의 갈등은 결혼 만족도를 낮추었으며 시댁가족과의 만남은 결혼만족도를 높였다. 50대의 경우 남편과의 관계 및 인식을 제외하고는 부부관계요소는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시부모갈등이나 시댁가족만남 등의 부부관계 외적요인들은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본 연구의 60대 이상 연구대상이 많지 않아 60대 이상의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uses the first year women`s panel data of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is study compares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fa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by age cohort such as 30s, 40s, 50s and 60s. As two subsets of marital satisfaction, the outer factors and factors of couple relations are use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30s(1,200), 40s(989), 50s(368) and 60s(64).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marital satisfaction of 30s is the highest. Also, the marital satisfaction of 40s is higher than those of 50s and 60s. The relation and recognition about a husband is a significant factor of affecting on marital satisfaction for all ages. However,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vary by age cohort. For 30s and 40s, the satisfaction of the division of labor is an important factor but for 50s it is not. For 50s, the conflict with the parent-in-law reduces the marital satisfaction but getting together with the in-laws increases the marital satisfaction.

      • KCI등재

        남자노인의 은퇴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김효정,고선규,권정혜 한국건강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relationship that retirement stress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among the retree.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220 retired older men. For the study,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retirement stress scale, the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scale,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e mediating effect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 of Higginbottom, Barling, & Kelloway(1993)'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relation to retirement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demographical variables, retirement variables, retirement stress, marital satisfaction on depression, hierarchical regression revealed that retirement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explained 27% of total variables in the retired older men. Second, The partial mediational model of marital satisfaction showed better fit indices than alternative models. Third, the paths of partial mediational model indicated that career dissatisfaction of pre-retirement, plan of retirement preparation, living expenses' sufficiency of post-retirement were significant variables among retirement variables that explained retirement stress. And retirement stress was significant which explained depression. Moreover, marital 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stress and depression. Therefor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was examined on relationship that retirement stress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은퇴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와 함께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은퇴한 남자 노인 220명이었으며 은퇴 스트레스 척도, 노인 우울 척도(GDSSF), 결혼만족도 척도(K-MSI)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은퇴만족도가 우울증상을 매개로 결혼만족도로 이어지는 경로를 검증한 Higginbottom, Barling과 Kelloway(1993)의 모형검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은퇴 스트레스, 우울,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 노인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인, 은퇴 변인, 은퇴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은퇴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는 우울을 2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결혼만족도의 무효과모형, 완전매개모형, 부분매개모형을 비교해본 결과, 부분매개모형이 다른 모형에 비해 더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셋째, 결혼만족도의 부분매개모형의 경로를 살펴본 결과, 은퇴 전 직업불만족도, 은퇴대비 계획수립 정도, 은퇴 후 생활비 충분성의 은퇴 변인은 직접적인 경로로 은퇴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은퇴 스트레스는 직접적인 경로로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은퇴 스트레스는 결혼만족도를 매개로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은퇴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결혼만족도는 이들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