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건설교과 교사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및 개정에 대한 인식

        송낙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등학교 건설교과 교사가 교육과정의 편성과 체제, 교육과정 개정 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업계고 건설교과 교사 698명을 모집단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71명이 응답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의 양적 분석은 SPSS 26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를 적용하였고,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등을 통해 집단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건설교과 교사는 교육과정의 편성에서 목표, 학습자 중심 수업, 기초학력, 직무수행 역량, 교육과정 편성의 자율성과 연계성모두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교육주체 중 건설교과 협의회의 요구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현행 건설교과 교육과정의 건설산업 인력양성 유형 설정이 부적합하다고 인식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건설교과(군) 재구조화 이유로 건축과 토목 산업분야가 달라 학생의 진로 및 취업 경로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셋째, 건설교과 교육과정에서 기초과목 수가 부족하고, 실무인재 양성을 위한 실무과목은 학생 수준에 비해 학습 내용의 수준이 높다는 등의 이유로 부적정한 것으로 인식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넷째, 건설교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실무과목을 학교에서 교육이 가능한 수준으로 조정하고 건축 토목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 함양을 위한 과목, 지능형 도시(스마트시티)의 건설 및 유지 관리 인력양성을 위한 과목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연구 결과에 터한 제언으로 국가교육위원회 등에 중등 직업교육 교육과정의 전문 인력 배치, 전문기관에 전담부서 설치, 직업교육 교육과정의 체계적 연구, 건설교과교사의 교육과정 등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장기연수 등이 필요하다.

      • 건설 기술인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 Ⅰ : 건설 교육제도에 대하여

        김창덕,김예상,서상욱,이용일 광운대학교 신기술연구소 1997 신기술연구소논문집 Vol.26 No.-

        본 논문에서는 건설시장개방으로 인한 치열한 경쟁, 그린 라운드를 통한 강화된 환경제약조건, 복합적이며 다기화된 건설업역 등 급변하는 상황에 처해 있는 우리 건설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건설기술 교육제도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기술교육 중 대학에서의 건설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일본 등 건설선진국의 건설교육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 건설 교육제도를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ies face challenging situations such as extreme competition in construction markets, high demand in construction performance, stringent constraints in environmental requirement, diverse types in construction projects, etc. In order for Korean construction industires not only to survive in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s but to defend the domestic market, the cultivative development of quality construction engineers is the key. The key role to develop quality construction engineers has been perform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primarily universities and technical colleges. This study focuses on universities as a prime educational institution to develop competent construction engineers working for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ies to compete with the worldwide top ranked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mpanies. This study begins with the survey and the analysis of curriculums of Korean universities offering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programs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five foreign universities’ curriculums including U. S. A., Germany, France, Japan, and U. K. After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s and foreign ones, this study concludes with the suggestions to improve the univerities’ educational and the relevant systems to foster quality construction engineers.

      • 건설안전교육 실태분석과 체험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이재붕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최근 건설현장 안전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와 현장 사용 기계, 기구 등의 작업시설 기계화, 안전장치, 시설 등의 발전 에도 불구하고, 건설현장의 재해율은 크게 변화하지 않고 있다. 이는 건설현장의 재해는 시설적요인보다 인적요인이 재해 주요 원인이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형태 및 원인, 법정 안전보건교육의 내용과 재해예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H건설 현장의 관리감독자와 근로자 대상으로 건설안전교육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건설현장의 안전교육은 법정 안전교육시간 미준수, 교육내용의 전문성 부족 등으로 법적 안전교육 기준 준수를 위한 형식적 안전교육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요 개선방안으로 현장 규모에 맞는 실질적 체험교육, 영상교육 및 VR(가상현실) 등의 입체 적 사례교육이 필요하고 지속적 연구와 교육자료 제작 필요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안전교육 개선방향

        김은정,김경래,신동우,Kim, Eun-Jeung,Kim, Kyung-Rai,Shin, Dong-W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9 No.3

        안전교육은 작업장 위험에 대해 자기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법이라고 안전교육 전문가들이 언급한 것처럼 안전교육은 재해예방에 별다른 제한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안전대책이다. 그러나 건설현장에서의 안전교육은 매우 형식에 치우쳐 교육을 위한 교육일 뿐이며 근로자들에게 안전교육 시간은 지루하고 따분한 시간일 뿐이다. 이러한 이유는 자기와 상관없는 교육내용과 개인적 특성을 무시한 일괄교육에서 기인하며 이는 더 이상 근로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지 못한다. 따라서 건설근로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다양한 안전교육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 모델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면담조사를 통해 건설근로자들의 대표적인 개인적 특성 요소와 안전교육 요소를 도출하여 각각의 분류체계를 구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건설현장의 근로자에 대한 사례적용을 통해 건설 안전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As defined by the experts, safety education is the basic method through which people can protect themselves from the dangers in workplace. Therefore, safety education is an important safety measure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disaster prevention without any certain limit. The current practice of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sites, however, is all formal and has no substance. Safety education became a mere boring time to workers since the material is not related to them, and does not reflect the individual personalities, which cannot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workers. Thus, it is vital to develop various safety education models suitable for individual personalities of construction worker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establish safety education models according to individual personalities of construction worke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eliminary stuff and interviews, the typical individual personalities of construction workers and safety education factors were examined, and the frameworks for each were established. Based on results of applying them to actual cases, directions to improve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sites are presented.

      • KCI등재

        건설근로자의 안전교육 참여 실태 및 요구도 조사

        김은정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6

        2013년 한해 건설업의 재해자가 23,600명이며 사망자가 657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재해의 80%정도는 근로자의 불안전작업행동에 관련하여 일어난다고 말한다. 모든 불안전요인으로부터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통해서만이 효과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러나 건설현장의 안전교육과 실제작업 뿐만 아니라 근로자들이 받는 교육과 원하는 교육 간에는 커다란 괴리가 발생한다. 이런 괴리는 안전교육의 대상자인 건설근로자를 위한 현재 교육 상태와 근로자들이 요구하는 교육 간의 차이이며 현재 상태의 문제 또는 미래에 대한 기회의 형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안전교육을 위해서는 안전교육 대상자인 건설근로자들이 원하는 교육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하며 파악된 내용들이 실제 안전교육에 적용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현장에서 효과적인 안전교육 실시에 도움이 되고자 건설근로자의 안전교육 참여 실태 및 요구도를 조사·분석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number of construction victims in 2013 was 23,600 and the number of deaths was 658% of such disasters occur due to the unsafe work behavior of workers. Only through education can safety be effectively maintained from all unsafe factors. However, there are large gaps, not only between the safety education of construction sites and actual work, but also between education received by workers and desired education. Such gaps form between the state of current education for construction workers, who are the subject of safety education, and between education which is demanded of workers and they signify problems of the current state or the form of future opportunity. Thus, for practical and effective safety education, the kind of education that is desired by construction workers, who are the subject of safety education, should be figured out and applied to actual safety education. At thi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articipation status and demands of construction workers regarding safety education to provide baseline data and to aid in the effective enforcement of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sites.

      • KCI등재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적합한 안전교육 방법

        김은정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4

        2009년 건설재해자중 입사근속 개월 6개월 이하의 근로자가 88.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 재해자 대부분이 작업미숙과 안전의식이 부족한데서 비롯되므로 건설재해를 줄이는데 안전교육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말해주고 있다. 그러나 현재 건설근로자를 위한 안전교육이 대부분 매우 형식에 치우쳐 교육을 위한 교육일 뿐이며 근로자들에게 안전교육 시간은 여전히 지루하고 따분한 시간일 뿐이다. 이러한 이유는 작업과 상관없는 교육내용과 계층별·직종별 등 개인적 특성을 무시한 일괄교육, 강의식 위주의 교육방법에서 기인하며 이는 더 이상 근로자의 적극적인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근로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안전교육 참여를 유도하여 건설재해의 효과적 저감에 기여하며, 또한 효과적인 안전교육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 콘텐츠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statistics for the year 2009 showing that 88.8% of construction accidents were incurred by workers in less than 6 months after employment are a vital evidence indicating that most accidents are likely to happen due to inexperience and lack of safety sense and that safety education is essential to reduce construction accidents. In most cases, however, safety education for construction workers, has been simply operated formally and, thus, regarded as boring and tedious by trainees, since it has been conducted for education’s sake only. Laborers can not find interest in the education that is given mostly in classroom and is not related to their practical work, without considering their individual needs, characteristic, level and type of work, resulting in no more laborers’ voluntary participation in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afety education method in compliance with individual character of construction workers as a means to promote effective safety education, and, by so doing, to reduce ultimately occurrence of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fields.

      • KCI등재

        건설안전보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윤종만,박수용,이동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8

        In recent years, industrial accidents have been declining, but construction accidents are increasing. The construction fields have diverse causes of accidents which directly effect on significant disasters on human. But almost of the disasters are human-caused disasters. The most major causes of this are educational reasons such as safety consciousness and lack of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constructi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 for reducing the construction disasters. To do this, we conduct literature research on the types and causes of disasters, contents of leg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conduct survey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constructi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supervisors and workers at G construction sites. As a result, the major improvement measures of constructi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ere drawn as below. First, to strength the capacity of supervisors to educate safety manual to the workers efficiently. Second, to strength the special customized safety and health eduction for the workers in dangerous field and new recruits. Third, to strength the attitude improvement education of workers through the training courses centered on actual accident cases. Fourth, to modify the contents of statutory health and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asks. Fifth, to strength experience case training and TB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sized construction fields. 최근 몇 년 동안 산업재해는 감소되어 가는 추세이나 건설재해만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건설업이 다른 산업에 비하여 다양한 사고 발생요인을 가지고 있고 사고의 대부분이 인적재해와 직결된다는 점을 반영한다. 그러나 건설재해를 조사 분석해 보면 인재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작업자의 안전불감증으로 인해 기본적인 안전수칙마저 지키지 않아 발생한 경우도 많다. 이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안전의식 및 지식 부족 등 교육적 원인을 들 수 있다[1].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의 재해감소를 위해 건설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건설안전보건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발생하고 있는 재해형태 및 원인, 법정안전보건교육의 내용 등과 관련된 문헌연구를 수행하고 G건설 현장의 관리감독자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건설안전보건교육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설안전보건교육의 주요 개선방안으로 첫째, 관리감독자의 안전보건교육 능력 강화, 둘째, 위험공종에 대한 특별안전보건교육 및 신규 채용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강화, 셋째, 실제 사고사례중심의 교육과정을 통한 근로자의 태도개선교육 강화, 넷째, 소속공정 근로자에 적합한 법정안전보건교육내용의 개편, 다섯째, 중소규모 현장의 특성에 맞는 경험사례교육 및 TBM 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現代新儒家梁漱溟鄉村教育實驗的理論建構探析

        吳洪成(Wu, Hong-cheng),金容徹(Kim, Yong-chel)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4 No.-

        중국의 현대 향촌 건설 운동의 대표 인물인 양수명(梁漱溟)의 향촌 교육 실험 이론에 관한 내용들은 매우 다양하며 풍부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풍부하게 형성된 그의 향촌 이론의 내용들은 산동 조주판학(曹州辦學) 과정과 광주향치(廣州鄉治) 교육활동 그리고 하남촌치학원(河南村治學院)의 실천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양수명의 향촌 건설에 대한 동기, 내면 및 방향 선택에 있어서의 그의 사고는, 향촌 교육개혁 실험이 향규민약(鄉規民約)의 체결을 통해 첫째는 새로운 예속을 건설하고 민중의 단결의식을 배양하여 사회의 하부계층을 조직하는 것이고, 둘째는 서양의 문화 과학 지식을 받아들여 향촌사회를 전통에서 현대로 적절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양수명은 향촌 건설이라는 목표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큰 교육의 광범위한 틀 안에서 비 제도화 교육을 포함한 학교 교육을 개조함과 동시에 사회교육, 성인교육, 민중교육 등 다양한 형식의 교육 그리고 교육 유형의 범주 안에 속한 독특한 기능을 갖춘 특수한 교육 등이 충분히 발휘되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서로 규합하여 향촌의 이상 사회 건설에 협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향촌교육 실험이론의 구성은 양수명의 신유학 교육의 활로를 탐색하는 핵심 내용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양수명으로 하여금 산동 추평(鄒平)을 중심으로 한 향촌교육 실천 활동이론을 직접 지도하며 실천하도록 만들었다. Rural education experiment theory of China modern rural construction movement on behalf of Liang Shuming is rich. The sequence of the 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Shandong Caozhou school process, Guangzhou Township education and the practice of Henan Village Autonomy College. Liang Shuming based on the the origin, the connotation and the road choice of rural construction, advocated a rural education reform experimental ,on the one hand ,by the conclusion of the village rules to cultivate the public group consciousness and realize social organization at the basic level. on the other hand, he thought we should be appropriate to introduce western cultural and scientific knowledge and means, to promote rural social transformation from traditional to modern. He thought the main way to achieve the goal of rural construction included the Education Society of non-institutionalized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of the reform of school education, we should give full play to the unique function of social education, adult education, public education and other various forms of education to gather together the construction of rural social ideal. Undoubtedly, the construction of rural education experiment theory had not only become the core of Liang Shuming explorating educational way, but also the theoretical orientation of his engaging rural education practice in Zouping.

      • KCI등재

        산업안전보건법상 건설업 기초안전 · 보건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검토

        최병준(Choi, Byeong Jun)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19 사회보장법학 Vol.8 No.1

        최근 28년만에 산업안전보건법의 전부개정이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산업안전보건법 제31조의2(건설업 기초안전 · 보건교육)에 대한 내용은 본질적인 변화가 없어 아쉬움을 남긴다. 건설업은 타업종 대비 사고사망만인율이 월등히 높은 업종으로 건설업 일용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기초안전 · 보건교육은 인적 요인으로 인한 재해 예방을 위해 가장 근본적인 수단이다. 사회보장법 측면에서 교육으로 인한 재해감소는 건설업 사업주에게는 보험료 인하와 근로자에게는 안전한 사업장 조성이라는 연대적 혜택을 가져올 것이다. 그러나 부실한 관련 규정으로 제도운영에 다양한 허점이 노출되면서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 및 실무상 제기되어 온 문제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산업안전보건법상 개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비용의 주체는 교육의무의 주체인 사업주에게 있으나 실질적으로 단서규정에 따라 근로자 본인이 부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채용 또한 현장 여건상 사전교육이수자가 우선시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관련 규정의 단서조항을 삭제하고 본문의 표현을 ‘채용하기 전’으로 수정할 것과 교육비용의 주체를 고용노동부장관으로 하되 단계적으로 비용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둘째, 현행 기초안전 · 보건교육 제도는 재교육 규정이 없어 교육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교육효과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교육효과의 소멸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규정에 재교육에 관한 내용이 포함될 것을 제안한다. 셋째, 현행 기초안전 · 보건교육 제도는 건설업 재해의 비중이나 국외제도와 비교하여 4시간이라는 짧은 교육시간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방향적 교육 및 평가 시스템의 부재와 외국어 서비스의 미비로 교육생의 집중력이 저하되고 교육효과를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관련 규정에 공정별 위험성평가 및 교육생평가와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교육내용을 포함하고 교육시간을 6시간으로 늘리는 방안을 제안한다. 넷째, 기초안전 · 보건교육의 법제화가 2012년도에 이루어졌으나 여전히 기초교육의무를 위반한 사업장이 다수 존재하고 있어 제도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의무 준수를 강화하기 위해 위반에 따른 과태료 금액을 상향조정하고 사업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산재보험료율 인하 방안을 제안한다. Recently, Although the revision of The Occupation safety and health acts was made after 28 years, the contents of the Basic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be addressed in this study leave no substantial changes. Since Construction Industry has a high proportion of accident death rate than other industry, the Basic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for temporary construction workers will be the most fundamental means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caused by human factor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system has been questioned as poor related regulations. In this study, the improvement of The Occupation safety and health acts is required to solve the issues that have been raised in existing research and practice. First, although employer has an obligation to pay for training, in most cases, the employee himself or herself is responsible because of proviso claus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pre-training candidates receive the priority due to the conditions at the site. Therefore, it would be advisable to remove proviso clause of the relevant regulations and amend the wording “before hiring”. It also is proposed that the government, including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pay for training. Second, since the training system does not have any regulations for re-training, the effects of training cannot continue after a intial training.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re-training is included on the relevant regulations in order to minimize the extinction of educational effects. Third, the current training system is operated in a short training time compared to the portion of the construction accident or the foreign system. Also one-way education, absence of evaluation system and foreign language service reduce the educational effects.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the relevant regulations include discussions on process-specific risk assessment and assessment of trainees, foreign language service and increase the training time to six hours. Lastly, although the legislation of the training system took place in 2012, many businesses are still violating basic training obligations. Thus, in order to enhance the mandatory, it is proposed to increase the amount of fines for violation. And also to promote voluntary participation by employers, it is suggested to reduce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rate at duty-compliant workplace.

      • KCI등재

        ‘통식교육’을 통한 문명대국 중국 만들기

        임상범 ( Lim Sangbum ) 대구사학회 2016 대구사학 Vol.124 No.-

        본고는 현재 중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련의 대학교육개혁 가운데에 ‘통식교육(general education)’에 주목하였다. 중국은 최근 공공교육의 균형 발전, 산학협력, 창의인재 배양 능력 제고, 학습형 사회 건설, 세계 일류대학 건설 등을 그 내용으로 한 대학교육의 개혁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十三五’ 규획의 고등교육개혁 방안은 우리나라의 대학교육 개혁안과 상당히 흡사하다. 그러나 필자는 한국의 개혁안에 없는 하나의 중요한 화두가 중국의 개혁 방안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시진핑 체제에서 본격적으로 내세우고 있는 ‘중국몽’과 ‘문명의 건설’과 관련된다. 중국정부는 최근 대학 당국들에게 중국이 주도하는 세계를 이끌 새로운 중국적이면서도 세계적인 인문적 가치 혹은 이론을 정립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중국 지도층은 그러한 인문학적 가치 혹은 이론이 새로운 시대정신이 되고, 그 정신의 영향 아래에서 사회과학ㆍ자연과학ㆍ응용과학 등 각종 학문이 새로운 발전 방향을 제시하면, 중국이 전세계의 문명을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어갈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때 중국에서는 ‘통식교육’을 바탕으로 한 세계일류대학 양성이 ‘문명’ 건설의 핵심을 담당할 고등교육개혁의 핵심 방안의 하나로 부각되었다. 통식교육론자들은 ‘통식교육’의 핵심적인 목표로 중국문화의 주체성 의식을 수립하며 중국문명의 맥락인 ‘군자’를 양성하는 것이며,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중국적 방법의 하나로 ‘기숙형 서원’을 제시하고 있다. 그들의 이러한 노력은 최근 중국에서 강력히 제시하고 있는 ‘중국모델’을 교육에 적용하는 것처럼 보여 흥미롭다. This article focuses on ``general education,`` which is one of many college education reform methods currently promoted in China. China``s 13th Five-Year planning includes a plan to reform higher education, which is quite similar to the reform of college education in Republic of Korea, except that the Chinese plan has one important discourse lacking in the Korean plan. This discourse is closely related to ``China Dream`` and Civilization construction which are promoted by the Xi Jinping system. The Chinese government is demanding a formation of humanistic theory or value system that is not only Chinese in nature but also can be applied worldwide. The social leaders in China think that, if such humanistic value system settles down as the new zeitgeist, China will be able to lead the civilizations all over the world in a new direction. A specific method for this is the aforementioned ``general education,`` which aims to install identity of the Chinese culture within society and train modern Confucian "gentlemen" who are traditional backbones of Chinese civilization. The plan proposes ``dormitory-style academies 書院`` as a Chinese way to realize its goals. These attempts are interesting because it appears that the government is attempting to apply the recently promoted ``Chinese model`` to its education system. (Sungshin University / limsb1919@gmail.c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