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국본풀이로 본 시조왕의 ‘해’ 상징과 정치적 이상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3

        본풀이 자료를 본풀이사관으로 읽으면 역사 이해의 새로운 길이 열린다. 건국본풀이는 민족문화유산으로서 동질성을 지니고 있는 문화적인 창조물인데, 사학계에서는 식민사관에 따라 제각기 주목하고 북방의 여러 유목민족들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해석하는 데 머물고 말았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모든 건국본풀이들은 민족문화 유산으로서 같은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아래, 건국시조들의 동질성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지도자상을 추론해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천지개벽본풀이에는 하늘을 한울, 또는 한알이라 하여 우주적 한울과 생명개체로서 한알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런데 건국본풀이에서 시조왕들은 한결같이 천제의 아들로서 하늘에서 지상으로 강림하거나 큰 알의 형태로 출현한다. 큰 알은 모두 밝은 해를 상징한다. 따라서 건국시조는 천제이자 하느님인 우주알로서 ‘한울’의 대우주 해와, 인간생명의 모태이자 태반의 수정란으로서 ‘한알’의 소우주 아해가 대립적이면서 통일을 이루는 변증법적 존재라 할 수 있다. 실제로 건국시조들은 한결같이 ‘해’를 상징하고 있다. 고조선본풀이의 환인과 환웅, 단군은 모두 해의 밝음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아사달과 조선이라는 도읍지 또는 국호까지 동녘이나 양달을 나타낸다. 홍익인간 이념도 인간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 해의 온생명(global life) 기능을 드러낸다. 천제의 아들로서 아침에 내려왔다가 저녁에 하늘로 올라가는 부여의 시조 해모수, 햇빛을 받아 잉태되고 큰 알로 출산된 고구려의 시조 주몽, 붉고 큰 알로 출현한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모두 해를 상징한다. 박혁거세의 이름도 불구내(弗矩內)와 더불어 세상을 널리 밝히는 뜻을 지녔다. 홍익인간의 이상과 혁거세 사상은 세상을 널리 밝혀서 이롭게 한다는 해의 생태학적 기능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홍익인간의 이상이 혁거세 사상으로까지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해 사상은 가락국의 시조까지 이어진다. 수로왕은 금합 안에서 황금알로 나타나는데 해처럼 둥글었다고 한다. 해처럼 둥근 알의 모양이나 황금빛은 모두 해를 상징한다. 해와 같은 인물이 건국시조가 되었다는 태양시조 사상으로 귀결된다. 세상을 밝히고 뭇생명을 살리는 해의 섭리와 변화 양상에 대한 천문학적 지식을 잘 알기 때문에 태양시조 사상을 확립했을 것이다. ‘해’에 대한 세계관적 인식과 과학적 이해 때문에 상고시대 한국인은 ‘해[太陽]’의 공전주기를 기준으로 ‘한 해[年]’를 설정하는 태양력의 역법도 일찍 깨우쳤을 것이다. 건국시조는 우리 민족이 이상적으로 여기는 지도자상이다. 진정한 지도자는 해와 같이 모든 생명을 다 살리는 존재이다. ‘다스리는 것’ 곧 ‘다 살리는 것’이 해의 생명성이자 민주적인 지도자상며 혁거세의 ‘불구내 사상’이자 환웅의 홍익인간 이념이다. 따라서 건국 시조왕들처럼 세상의 빛이 되어 모든 생명을 다 살리는 지도자가 가장 훌륭한 현실의 지도자이자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지도자상이다. 그러므로 본풀이에서 노래하는 시조왕은 건국시조로 추대된 태초의 지도자상이자, 지금 여기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지도자상, 곧 미래의 생태학적 이상을 실현하는 지도자상으로 재인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신라의 건국신화와 閼英

        김선주(Kim, Sun-joo)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3

        알영은 신라의 건국신화에서 시조비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신라의 건국신화에서 알영은 혁거세 못지않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알영은 독자적인 탄생담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혁거세와 함께 二聖으로 칭해졌다. 나아가 건국시조를 시조모가 낳았다고 하는 다른 계통의 전승에서는 오히려 알영이 혁거세 보다 더 부각되어 있다. 이는 신라의 건국과정에서 알영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건국신화에 실려 있는 독자적인 탄생담이 실려 있는 경우 시조 전승과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알영 역시 신라 형성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 유력 집단의 시조 전승으로 이해하였다. 지금까지 알영은 閼智를 시조로 하는 김씨와 관련된 것으로 이해해 왔다. 그러나 여기서는 신라사 초기에 왕위를 점유했던 소위 ‘박씨(朴氏)’로 표현되어 왔던 세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나아가 이들 ‘박씨’로 표현되었던 세력은 신라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6村(部)가운데 하나인 高墟村(沙梁部)과 관련이 있으며, 《三國志》 진한조에 거론된 사로국의 실체가 바로 고허촌(사량부)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신라사에서 초기 왕계에 등장하는 소위 ‘박씨’로 표현되었던 집단은 경주를 기반으로 한 사로국의 지배세력이었다. 알영은 이 사로국 단계에서, 당시 지배 세력이었던 소위 ‘박씨’ 세력이 시조로 인식했던 존재였다. 그러나 사로국과 인근 주변 소국들이 흡수 통합되고 고대국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집단의 시조 전승은 건국신화에 포괄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혁거세’를 시조로 하는 신라의 건국신화가 형성되었고, 신라의 모체인 사로국의 시조였던 알영은 신라의 건국신화 속에 포용되면서 시조비로 편제된 것으로 이해했다. In the founding myth of silla, Aryeong is hailed as the queen of Hyeokkeose(赫居世, founding king of Silla), but is of great importance. She has her own birth myth and with Hyeokkeose had called one of the two sage of Silla. In other founding myth in which dynastic founder was born by his mother, Aryeong is more magnified than Hyeokkeose is. This demonstrates that Aryeong was an important figure in the early stage of the Kingdom’s founding. From the fact that each birth myth in the founding myth is related to progenitor transmission, I interpreted Aryeong as a progenitor of a powerhouse that played significant roles during foundation of Silla. The earlier studies understood Alyeong in relation with the Kim clan whose progenitor is Alji(閼智). However this resar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her relation with the group of the Park(朴) clan who monopolized the throne in early Silla. And also I examined that the park clan was closely connected with Goheochon which was one of the six villages in founding myth of Silla and was the substance of Saroguk, the leading chiefdom in Gyeongju area before the power leaded by Hyeokgeose was gathering strength. This paper will argue that Areong was the progenitor of Saroguk, but since Saroguk and other little chiefdoms were integrated and developed to ancient kingdom, in the founding myth of Silla, Hyeokgeose who represents progenitor transmission of each tribe was portrayed as the founding king of Silla and Aryeong who was the progenitor of Saroguk as his queen.

      • KCI등재

        신라의 건국신화와 국가제의

        채미하(Chai, Mi-ha)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5

        본 논문은 신라의 건국신화가 국가제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변화되었음을 살펴본 것이다. 남해왕 3년에 설치된 시조묘에는 박씨집단의 族祖인 혁거세를 모셨다. 하지만 아달라왕대 신라연맹체의 祭天이 사로국의 시조묘를 중심으로 통합되면서 혁거세는 국조가 되었고, 신라 상고기 내내 시조묘의 主神이 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혁거세의 위상 변화는 혁거세신화에도 반영되었는데, 혁거세의 죽음과 五陵전승에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혁거세의 배타성은 뱀의 방해로 알영이 혁거세와 합장하지 못하였다는데서 생각해 보았다. 소지왕 9년에 설치된 신궁의 주신은 혁거세로, 혁거세는 全국가적 시조왕의 성격을 지녔다. 이것은 신라의 건국신화에서 혁거세?알지?탈해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에서 알 수 있었다. 특히 김씨왕실은 자신들의 시조인 알지를 혁거세신화에 부회하였다. 그리고 혁거세가 계정에서 태어났다든가, 알영이 혁거세와 같은 해에 태어났다는 전승을 통해 신궁단계에서 알영이 혁거세신화에 포용되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혁거세의 포용성은 신궁이 설치된 장소인 시조가 初生(誕降)한 장소, 즉 양산과 나을의 성격에서도 알 수 있었다. 신라 중대 김씨왕실은 중국 상고 전승에 나오는 소호금천씨에서 김성 칭성 이유를 찾았다. 그리고 오묘의 수위에는 그의 후손인 성한을 태조로 모셨고, 혜공왕대에는 미추왕을 김성 시조로 하고 오묘에 모셨다. 이러한 변화는 기왕의 혁거세?알영?탈해신화의 내용과는 달리, 혁거세와 알영을 서술성모가 낳았으며 탈해를 동악대왕으로 불렸다는데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건국신화를 보면 계정, 계림, 백마가 서쪽과 관련있다고 하면서 알영, 알지, 혁거세 탄생의 유사성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혈연적 계보를 중시하는 오묘제가 신라의 건국신화에 큰 변화를 주었음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This thesis is study about that the birth myth of Silla was changed having close relationship with national ceremony for ancestral rite. Sijomyo set up at king Namhae 3 years enshrined Hyeokgeose who had been Sijo of Park"s family group. However Jaecheon of Silla Allied Communities was united into Sijomyo of Saro community at King Adalra period and Hyokgeose became not only Gookjo but also the main god of Sijomyo through ancient time of Silla.This change in Hyeokgeose"s status was reflected in Hyokgeose myth which could be seen in transmission about Hyeokgeose"s death and Oryeung. And the exclusiveness of Hyeokgeose was thought from that Alyoung had not buried with Hyeokgeose interrupted by a snake. The main god of the palace for gods establised atking Soji 9 years was Hyekgeose, who had characteristic of national king Sijo. This was understood given that Hyeokgeose. Alji.Talhae had been connected in birth myth of Silla. Especially Kim"s royal family made their Sijo, Alji took advantage of Hyeokgeose myth. They said that Alyoung was embraced in Hyeokgeose myth at the stage of palace for gods transmitting that Hyeokgeose had been borne in Gyejeong or Alyoung had been borne in the same year with Hyeokgeose. This characteristic of Hyeokgeose"s embracement was shown in the place as well where Sijo was first borne, that is, Yangsan and Naheol. Kim"s royal family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found the reason of designating Kim for their surname from Sohokumcheon family among transmission of Chinese ancient time. And his descendant, Seonghan was enshrined as Taejo in Omyo and at king Hyegong period, King Michu was enshrined in Omyo as Sijo of Kim"s surname. This change was also shown in that Hyeokgeose and Alyoung had been borne by Seosoolseongmo and Talhae had been called Dongakdaewang, which were different from previous myths on Hyeokgeose, Alyoung.Talhae. Also In birth myth, Gyejeong, Gyerim and Baekma were identified the same as Alyoung, Alji and Hyeokgeose were. This showed Omyoje which considered blood relation importantly effected a big change in the birth mith of Silla.

      • KCI등재

        고구려 前期 신성관념의 성립과 정착과정

        윤상열(YUNE Simon) 고구려발해학회 2014 고구려발해연구 Vol.48 No.-

        현존 사료상 고구려 전기 신성관념의 구성요소는 건국설화와 廟祠儀禮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건국설화를 통해 고구려 신성관념의 기원을 추적해 본 결과, 고씨와 해씨 왕계의 연속성은 보장되었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대무신왕 치세에 주몽시조의식이 성립되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고구려의 건국설화의 기본 골격 역시 대무신왕 대에 형성되었을 여지가 크다. 묘사의례는 시조묘, 기타 여러 묘사제도, 그리고 10월 제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고구려 전기의 시조묘 친사기사를 분석해 보면 모두 다 정권이나 나라의 신성성 내지 정통성을 고양하여 민심수습을 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다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신묘’는 유화, ‘태후묘’는 태조왕의 母后인 부여태후가 그 주인공이다. 고구려에 각 태후마다 사당이 건립되었는지의 여부는 알 수 없으나 신격화된 시조묘나 신묘와는 달리 태후묘는 그러한 혼적이 없으므로 격이 상대적으로 낮았다고 볼 수 있다. 시조묘 자체는 종묘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다분하고, 고구려에서의 영성과 사직의 구체적인 대상은 始祖母 ‘유화’를 가리키는 것이다. 종묘와 더불어 ‘영성사직’은 王母 유화를 치제하는 신묘의 형태로 王都에 설치되었고, 고구려 건국설화가 정립된 대무신왕 대에 그 제도가 완비되었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 10월 제전은 동맹제와 수신제로 大別되는데, ‘東盟祭’는 ‘東明祭’가 올바른 표현이고 ‘동명=주몽’ 인식은 이미 『삼국지』 단계의 고구려인들에게 존재했으며 공식적인 칭호가 아닌 제전에 적합한 신화적인 칭호였음을 확인했다. 수신제 역시 동명제와 마찬가지로 대무신왕 대에 건국설화의 정립과 아울러 여러 祀典이 정비되면서 국가적으로 제도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신제에서 "하백’보다 ‘유화’가 主神으로 숭앙되었던 이유는 전통적인 모계신앙의 강세와 시조와의 보다 직접적 관련성을 바탕으로 보다 포괄적인 성격을 갖추고 있는 始祖母가 더 적합했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여러 국가적 神聖化 정책이 제도적으로 확립됨에 따라 왕실은 하늘과 일체화되는 의식을 획득하게 되었고, 제천의례에도 반영되었다. 서기 3세기 당시 고구려왕의 위상은 중국 사서에 나타나는 ‘단우’라는 칭호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게다가 서기 3세기 중후반 王土에 직접적으로 귀속된 公民은 國土의 구성원으로서 당연히 ‘하늘과 동일시되는 天孫이 세운 나라’라는 왕실의 신성관념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었다. 그 결과, 4세기 중후반 유교와 불교라는 외래사상이 고구려에 전래되어 공인될 무렵에는 이미 일개 왕실에 범위를 둔 ‘天孫族 의식’을 초월한 ‘天孫國 의식’이 정착되었을 것이다. To trace the origin and components of sanctity ideology in early Koguryo period, we need to focus on the foundation tale and various royal rituals. While undertaking the study, it has been revealed that even though the early succession line has been divided between the ‘Ko’ and ‘Hae’ clans, they all shared homogeneous nature, so that king Daemushin found little problem establishing Jumong as the legitimate founder of Koguryo, which event subsequently led to the formation of the foundation tale itself during the reign of the same king. When analyzing the accounts of the early Koguryo kings’ visit to the founder’s shrine, main purpose of the visit seems to have been political, to gather people’s support by stressing on the legitimacy or sanctity of the royal family. Yuhwa, founder’s legendary mother, was placed as the prime deity in the ‘holy shrine’, which was different from ‘empress dowager shrine’, the latter dedicated to the mother of king Taejo. Yuhwa also acted as the guardian deity of the State. Such sacred shrines enhancing royal sanctity were all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times of king Daemushin as well. The October national festival of Koguryo consisted of ‘heaven rite’, or Dongmyeong festival, the term taken from the posthumous title of the founder, and ‘water divinity rite’. These rituals are also thought to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state system during king Daemushin era. The reason why the main spirit of the ‘water divinity rite’ was Yuhwa and not Haabaek, god of water, could be attributed to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matrilineal faith and the fact that Yuhwa had a more comprehensive nature to accommodate both Haabaek and Jumong. With state-organized sanctity system in position, Koguryo royal family was able to ultimately integrate itself with the Heaven, which idea was clearly reflected in its rituals. The status of the Koguryo king could also be inferred from the 3rd-century A.D. Chinese texts addressing him with the title of ‘Danu’. When the people of Koguryo were redefined as ‘state subjects’ in the later part of the 3rd century A.D., people automatically assumed the new identity previously enjoyed only by a royal few, which change brought about the new definition of the country itself : from the ‘kin of the Heavenly descendants’ to the ‘land of the Heavenly descendants.

      • KCI등재

        신라 娑蘇(仙桃聖母) 神話의 변화와 國家祭祀

        이장웅(Lee, Jang-woong)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8

        신라 상고기 始祖廟 제사 시기에는 여러 계통의 시조신화들이 발생하였는데, 특히 6촌장 天降 신화에 혁거세, 알영 신화가 연결된 모습의 건국신화가 중심이 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 시기 신라는 辰韓의 6개 집단이 결집하여 왕을 共立하여 건국되었다는 사실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다. 이때 娑蘇는 여러 시조신화들 중의 한 주인공이면서 織羅와 관련된 신성성을 지닌 존재로, 牟梁지역에 위치한 西述(仙桃山)을 그 근거지로 하고 있었다. 그 신화의 내용은 儒理王代 6部 王女들이 麻布를 짜던 행위, 阿達羅王代 迎日縣 지방의 都祈野에서 細烏女가 짠 細綃를 天祭의 제물로 사용한 점으로 보아, 이와 비슷한 여성신화로 존재했을 것이다. 신라 상고기 말에는 始祖母 娑蘇가 初生했다는 혁거세 신화의 현장인 奈乙에 神宮이 설치되어, 이를 중심으로 지방 제사권을 통합하였다. 이에 따라 이전에 6촌장 天降 신화에 혁거세, 알영 신화가 연결되었던 모습의 건국신화가 娑蘇(仙桃聖母) 신화를 매개로 하여 始祖母가 始祖를 낳았다는 건국신화로 재편된 것으로 보았다. 이는 신라가 6부 연합 체제에 의한 국가에서 중앙집권 국가로 이행된 면모가 반영된 것이다. 三祀(大 · 中 · 小祀)의 위에 있는 최고의 국가제사로 天地神을 모신 신궁 제사에서 사소는 혁거세, 알영과 함께 配位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사소의 거처인 仙桃山의 위상도 中祀 五岳 중 西岳의 위상을 가졌다. 하지만 중고기 말 眞平王代 이후로는 불교의 융성으로 인해 娑蘇(仙桃聖母)가 불교와 융화되어 佛殿을 만드는데 財力을 제공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그 위상이 점차 약화되기 시작한다. 신라 중대에는 중국식 宗廟制인 五廟制가 시행되면서 그 太祖로 少昊金天氏에서 연원한 金姓始祖인 星漢이 설정되어, 박혁거세 중심 건국신화의 위상이 약화되었다. 이에 따라 사소(선도성모)의 출자도 중국 帝室의 딸로 변형되었으며, 그 제사에서의 위상도 小祀에 속한 山神으로 약화되었다. 도교와 융화되는 모습도 이 시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文武王을 낳은 文明皇后 文姬의 오줌 설화가 일어난 배경으로 仙桃山이 등장하고, 경명왕 때에는 선도산 神母가 西岳大王에 책봉되며, 고려 왕실의 신화에도 오줌 설화 요소가 차용되는 등 그 신화적인 신성성은 후대에까지 면면히 이어지고 있었다.

      • KCI등재

        한국 고대 신모(神母)와 국가제의(國家祭儀)

        채미하(Chai Miha) 동북아역사재단 2016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2

        이 글은 건국신화와 국가제의를 통해 한국 고대 신모의 역사성과 그 추숭을 살펴보았으며 그것의 변이는 고려시대 동신성모를 통해서 생각해 보았다. 우선 신모는 시조모와 시조비로 대별되는데, 이 중 시조모는 시조를 낳고 양육하고는 건국 이후 사라진다. 하지만 신모가 지닌 시조모로서의 역할은 한국 고대 건국신화가 시기에 따라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한국 고대 신모의 역사성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한국 고대 신모 중 유화는 국가제사의 대상으로 고구려 내내 추숭받았고 신라의 선도산 신모 역시 그러하였다. 하지만 선도산 신모는 유화와는 달리 그 격에 변화가 있었다. 이것은 고구려가 주몽신화를 중심으로 건국신화가 완성되었다고 한다면 신라는 3성의 시조신화가 있었고 정치적 · 사회적 상황에 따라 시조제사의 격에 변화가 있었다. 선도산 신모 역시 마찬가지였다. 다음으로 선도산 신모는 고려시대에 유화와 함께 동신성모로 인식되었는데, 김부식은 동신성모를 선도산 신모로 파악하였다. 한편, 한국 고대 신모의 왕권생성원리는 고려시대 이후에도 여전하였는데, 선도산 신모의 경우 고려 태조의 어머니인 위숙왕후와 연결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 고대 신모의 변이를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Sinmo as shown in Korea’s ancient birth myth, and on understanding the status of ancient Sinmo focused on Yuhwa and Seondosan Sinmo as related to state religious ceremoni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s ancient Sinmo by the Dongsin Seongmo, of the Goryeo dynasty, also is treated. First, Sinmo is largely differentiated in to Sijomo and Sijobi. Sijomo married Cheonsin, or the existence that gave birth to a son without a spouse. Sijobi was represented by Alyeong and Heo wanghu, and Soseono was both Sijomo and Sijobi. However, the earthly-mother-goddess of Sijomo was reflected in the ever changing Korean ancient birth myth. Given from above, the historical feature of Korea’s ancient Sinmo was well understood. Yuhwa of Korea’ s ancient Sinmo had been chosen to be worshipped as Taehu, Susin, and Buyeoshin in each of Taehumyo, Susinje, and Sinmyo as the subject of state ancestral rites during the Goguryeo period. Seondosan Sinmo also had been the most important subject of the state ancestral rite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and remained so until late Silla, though there was a status change following the unification of Silla. While the origin myth of Goguryeo focused on the myth of Jumong, Silla’s origin myth included the myth of the progenitors of the three surnames. And the state ancestral rites related to the progenitors of the three surnames were later chang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Further, the three goddesses protecting the country represented three mountains which were the subjects of important rites from Unified Silla. Dongshin Seongmo in Goryeo was generally named for the ancient Sinmo, and Yuhwa and Seondosan Sinmo both were chosen in early Goryeo, while only Seondosan Sinmo was chosen after Goryeo’ s middle period. This was because the Seondosan Sinmo myth differed from the myth of the three progenitors. Another reason was that the shrine of Jumong, who mated with Yuhwa, was located in Seogyeong. Meanwhile, the origin of the regal power of Seondosan Sinmo was related to Queen Wisuk, who was the mother of the first king of Goryeo, and we found the meaning of ancient Shinmo in the Goryeo dynasty. These meanings may be compared with that for each progenitor, and were considered important as a state ancestral rite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한국 건국신화 연구의 동향과 그 전망

        李志暎 동아시아고대학회 2004 동아시아고대학 Vol.9 No.-

        In this paper I review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Keonkuk myths(建國神話) during the period covering from Japanese occupation in 1920s up until now. Based on the review, I propose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is research area. Although my review is grounded on the research tradition in Keonkuk myths, I do not simply enumerate and describe past studies in historical sequence but instead critically review them according to major points of debate or issues. In this way, one can understand the issues that have been emphasized in research tradition and the resulting problems to be resolved. A careful study of books dealing with Keonkuk myths reveals that it is only the recent time when all Keonkuk myths are completely documented in one single book. I classify the research trends into four categories and examine each of the four categories : 1) research focusing on contents or typology, 2) research dealing with structural features, formation and reformation, meaning and symbols of Keonkuk myths, 3) research comparing with myths of other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or Manchu, or showing the correlation with Korean 'musok myth(巫俗神話), 4) research dealing with individual Keonkuk myths of different times such as 'Tangun Myth', 'Zumong Myth'. Finally, I present the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on Keonkuk myths. I assert 1) more materials need to be collected and compiled, 2) mo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exerted regarding the process of reformation and transmission to the next generation, 3) our own theory on Korean Keonkuk myths should be established, and 4) general and unique feature of korean Keonkuk myths need to be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 of ours with those of other East Asian people.

      • KCI등재

        동아시아 건국시조신화의 비교연구 -주몽ㆍ유리신화를 중심으로

        李志暎 동아시아고대학회 2005 동아시아고대학 Vol.12 No.-

        This paper is written to provide a comparative analysis of Myths of national founding fathers in East Asian countries. First. I extract the narrative features common to both Jumong and Yuri myths. Then I investigate how these two are similar to and different from such myths from other East Asian countries. The myths I consider additionally in the present study include Vietnam's <Hongbangsi-Jeon>. Thailand's <Prarueng>, Japan's <Ohokuninushi>, and <Theseus> from Europe. Also studied are oral materials such as Korea's <Jesuk Bonpuri> and <Chogong Bonpuri> and Japan's <Omoimatzugane>. Since the myths of national founding fathers are of the hero type, I propose to analyze the myths using the six stages of the life cycle : birth, childhood, separation from their family, foundation of the nation, enthronement and achievement, and death and shrine. First, I find that Jumong and Yuri myths both are typical of the Sky father-Earth mother type and, at the same time, possess distinctive features that separate one from the other. This is because they exhibit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each of the six stages. Next. I examine how the narrative features common to the two myth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myths from other neighboring countries. All of the six stages can be found in East Asian myths, except for the last 'death and shrine' stage. As such, Jumong and Yuri myths which are composed of the six stages are considered to mo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