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갑상샘종 및 부갑상샘 암에 대비되는 비정형 부갑상샘종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오은미 ( Eun Mee Oh ),이규언 ( Kyu Eun Lee ),김수진 ( Su Jin Kim ),윤여규 ( Yeo Kyu Youn ),박귀원 ( Kwi Won Park ),오승근 ( Seung Keun Oh ),정경천 ( Kyeong Cheon Jung ),김영태 ( Young Tae Kim ),김광현 ( Kwang Hyun Kim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6 No.2

        목적: 일차성 부갑상샘항진증을 일으키는 질환인 부갑상샘종, 비정형 부갑상샘종, 부갑상샘 암 에 대하여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후향적으로 분석해보고 특히 비정형 부갑상샘종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일차성 부갑상샘항진증으로 부갑상샘 절제술을 시행한 88명의 부갑상샘종 환자와 10명의 비정형 부갑상샘종 환자, 2명의 부갑상샘 암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비정형 부갑상샘종 군은 남녀 비율이 동일한데에 비하여 부갑상샘종은 여성에서, 부갑상샘 암은 남성에서 호발하였다. 비전형 부갑상생종 군과 부갑상샘종 군의 평균연령은 비슷하였으나 부갑상샘 암 환자는 두 군에 비하여 낮았다 (PA: 50.18±15.07yrs, AA: 49.1±13.76yrs, PC: 44.0±18.39yrs, p= 0.832.) 술전 시행한 혈청 칼슘 (PA: 11.90±1.46mg/dl, AA: 11.96±1.48mg/dl, PC: 14.25±2.76mg/dl, p= 0.091), 이온화 칼슘 (PA: 1.57±0.21mg/dl, AA: 1.54±0.34mg/dl, PC: 2.27mg/dl, p= 0.008)에서는 비전형 부갑상샘종 군과 부갑상샘종 군이 비슷하고 부갑상샘암 환자 군은 더 높았다. 술전 부갑상샘호르몬은 부갑상샘 암 환자에서 가장 높았고 비전형 부갑생종, 부갑상샘종 환자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335.30±465.40pg/ml, AA: 992.88±612.30pg/ml, PC: 1221.00±227.69pg/ml, p< 0.001) 부갑상샘 암 군은 술전 임상증상이 모두 나타났으며 비전형 부갑상샘종 군과 부갑상샘종 환자 군은 증상이 없이 발견된 경우가 많았다. 병변의 크기와 무게는 부갑상샘 암 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비전형 부갑상샘종, 부갑상샘종군이 뒤를 이었다. 결론: 비정형 부갑상샘종은 임상병리학적 특성 상 부갑상샘종과 부갑상샘 암의 중간단계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수술 후 면밀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The causes of primary hyperparathyroidism include parathyroid adenoma(PA), atypical parathyroid adenoma(AA) and parathyroid carcinoma(PC). This retrospective study aimed to find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mong these three diseases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AA. Patients and Methods: One hundred patients who underwent parathyroidectomy due to primary hyperparathyroidism from January 1993 to December 2008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enrolle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88 patients of PA, 10 patients of AA and 2 patients of PC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Male to female ratio was same in AA group but female predominance was found in PA group and male predominance in PC group. The mean age of AA group was similar to PA group but PC group was younger than other groups (PA: 50.18±15.07yrs, AA: 49.1±13.76yrs, PC: 44.0±18.39yrs, p= 0.832). The patients with PC showed higher preoperative serum calcium (PA: 11.90±1.46mg/dl, AA: 11.96±1.48mg/dl, PC: 14.25±2.76mg/dl, p= 0.091), ionized calcium (PA: 1.57±0.21mg/dl, AA: 1.54±0.34mg/dl, PC: 2.27mg/dl, p= 0.008) than other two groups and PA and AA showed similar results. PC group showed high parathyroid hormone levels than those of AA and PA (PA: 335.30±465.40pg/ml, AA: 992.88±612.30pg/ml, PC: 1221.00±227.69pg/ml, p< 0.001). Clinical symptoms were found more in PC group and majority of other two groups were found asymptomatic. PC group measured heavier and larger than AA and PA. Conclusion: AA might be an intermediate stage between PA and PC. Close follow up might be needed after operation for AA.

      • KCI등재후보

        크기 1.5 cm 이하의 작은 갑상선 유두암의 예후를 고려한 조직학적 고찰

        신선혜 ( Sun Hye Shin ),나민아 ( Min Ah Na ),강양호 ( Yang Ho Kang ),손석만 ( Seok Man Son ),김인주 ( In Ju Kim ),김용기 ( Yong Ki Kim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1

        목적: 예후와 연관되어 있는 갑상선 유두암의 병리조직학적 특징을 종양의 크기 1.5 cm을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보고 크기가 1.5 cm 이하의 작은 갑상선 유두암의 치료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부산대학병원에서 갑상선 유두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 받은 1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의 병력 기록지를 조사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병리조직학적 검체는 수술을 통해 얻어졌고 병리학자에 의해 기술되었다. 예후와 연관하여 중점적으로 조사한 병리 조직학적 특징은 진단 당시의 림프절 전이, 다발성, 갑상선외 침범, 양 엽의 침범이었다. 결과: 갑상선 유두암으로 수술한 환자는 총 178명으로 이 중 여자는 150명으로 84.3%이었으며 1.5 cm 이하의 작은 갑상선 유두암은 총 48명(27%)이었다. 병리조직학적 특징을 1.5 cm 이하의 종양군과 1.5 cm 보다 큰 종양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림프절 전이는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043) 다발성, 갑상선외 침범, 양 엽의 침범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1.5 cm 이하의 작은 갑상선 유두암도 진단 당시 1/3에서 림프절 전이를 보이며 1.5 cm 보다 큰 갑상선 유두암과 비교하여 유사한 정도로 다발성, 양 엽의 침범, 갑상선외 침범이 발견되므로 일반적인 갑상선 유두암의 표준치료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papillary microcarcinomas have a more favorable prognosis than do the larger tumors. However, some microcarcinomas may have a negative outcome. So, we investigated the histological features of small (≤1.5 cm)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and we compared them with the larger (>1.5 cm) tumors. Methods: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2000, 178 patients were diagnosed and operated on for their differentiat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 reviewed the charts and pathologic records of these patients and we analyzed them retrospectively. According to the tumor size 1.5cm, we divided the tumors into two groups and then compared the histological features. Results: Small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have a favorable outcome in most cases. However, small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present with signs of aggressiveness at presentation, including lymph node metastases (33.3%), multifocality (12.5%), bilateral involvement (12.5%) and extrathyroidal extension (16.7%). Compared with larger tumors, the frequency of theses signs was similar, except for lymph node metastases, in the small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Conclusions: Approximately one third of the small papillary thyroid cancer 1.5 cm and less in size had neck lymph node metastases at presentation and the signs of aggressiveness were similarly present as compared with the larger tumors. We suggested that the standard treatment is desirable as a therapeutic strategy of small papillary thyroid carcinoma.(Korean J Med 73:44-49, 2007)

      • KCI등재후보

        유두상 갑상선암 발생에 대한 내인성 스테로이드의 영향

        정웅윤,서진학,정봉철<SUP>1<.SUP>,박정수,Woung Youn Chung,Jin Hak Suh,Bong Chul Chung<SUP>1 <.SUP>and Cheong Soo Park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01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1 No.2

        목적: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다양한 종양의 성장에 기여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여러 보고에서 외인성 안드로겐이 갑상선 호르몬과 갑상선 세포의 성장에 기여한다는 사실이 증명되었으나, 갑상선 암에서의 안드로겐의 역할은 아직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최근의 연구에서는 갑상선 조직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존재에 관하여, 갑상선암의 에스트로겐 의존성의 가능성을 제안해왔으나,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율과 종양의 생물학적 양상과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얻지는 못하였다. 이에 연구자들은 갑상선 암에서의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두상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전과 수술후의 소변 견본과 정상여성의 소변 견본에서 안드로겐, 코티코이드(corticoid), 에스트로겐 호르몬 프로파일의 변화를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elected ion-monitoring (GC/ MS/SIM) system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호르몬의 불균형 이나 산화대사가 갑상선 암과의 연관성이 있는지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관계 있는 호르몬 농도비를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전 측정된 11-DOKS/17-OHCS비가 17-OHCS 양의 감소로 인하여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Catechol 과 2-OH E1을 포함한 에스트로젠의 측정량이 다른 에스트로겐의 대사산물에 큰 변화 없이 수술전 유두상 갑상선암 환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수술전 16-OH E1/2-OH E1 비는 수술후 측정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부신피질 홀몬 결핍에 의한 안드로겐의 체내 변화는 유두상 갑상선암의 발생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에스트로겐 대사과정 중에 2-hydroxylation 과정의 증가는 유두상 갑상선암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orean J Endocrine Surg 2001;1:259-266)

      • KCI등재후보

        예후결정인자를 고려한 갑상선 미소암(微小癌)의 임상상

        이준호 ( Jun Ho Lee ),이시훈 ( Si Hoon Lee ),이유미 ( Yu Mie Rhee ),안철우 ( Chul Woo Ahn ),차봉수 ( Bong Soo Cha ),김경래 ( Kyung Rae Kim ),이현철 ( Hyun Chul Lee ),김승일 ( Seung Il Kim ),박정수 ( Cheong Soo Park ),임승길 ( Sung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5

        목적 : 갑상선 초음파 검사와 미세침흡인세포검사가 널리 시행되면서 갑상선 미소암의 빈도가 많이 증가하였다. 갑상선암의 예후를 결정하는 인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환자의 성별, 진단 당시의 연령, 종양의 다발성이나 양측성, 주위 조직으로의 침범 유무, 임파선 침범 유무, 원격전이 유무가 중요한 것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한편 최근 TNM 병기 기준이 갱신되면서 임파선의 전이 정도가 강조되었다. 이에 갑상선 미소암의 경우 이런 예후인자들이 나타나는 양상과 새로운 병기 기준을 적용해 보았을 때의 병기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갑상선 미소암으로 수술을 한 30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 기록을 포함한 임상 기록을 조사하여 보았다. 특히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갑상선암의 예후결정인자가 나타나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미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와 수술 후 조직병리검사 결과를 포함시켜 조사하였다. 결과 : 갑상선암으로 수술한 환자 601명 중 미소암은 302명(50.2%)이었고, 그 중 여자가 275명(91.1%)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종양의 수가 2개 이상인 다발성으로 보인 경우는 80명(26.5%)이었고, 양측성인 경우는 50명(16.6%)이었다. 조직 형태는 300건이 유두암으로 거의 전부를 차지하였고, 여포암과 수질암은 각각 1건 뿐이었다. 주위 조직으로 침입을 한 경우가 85명(28.1%)이었고, 임파선을 침범한 경우가 91명(30.1%)이었지만,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는 없었다. 새로운 병기 기준의 적용으로 제 3 병기에서 제 IVA 병기로 바뀐 경우가 7명(2.3%), 제 3 병기 그대로인 경우가 65명(21.5%)이었다. 결론 : 갑상선암은 미소암이라도 불량한 예후인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 높은 병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많으므로 수술요법, 방사성요오드 치료 및 갑상선호르몬 억제요법 등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The incidence of thyroid microcarcinoma is increasing due to the more frequent use and improvement of ultrasonography and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There are several prognostic factors for thyroid carcinomas. The patient`s sex, age at diagnosis, muliplicity or bilaterality of tumor masses, extrathyroidal extensions, lymph node metastasis, and presence of distant metastases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Since the recent update of the TNM (Tumor, Node, Metastasis) staging system, the importance of lymph node metastasis is increased. There are, however, a paucity of studies on thyroid microcarcinomas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cords of 302 patients diagnosed with, and treated for, thyroid microcarcinomas from January through December 2004. Results : 302 (50.2%) out of the 601 cases of thyroid cancers were microcarcinomas. Women comprised 275 (91.1%) of these cases. Eighty cases (26.5%) contained multiple tumor masses (>2), and 50 (16.6%) cases exhibited bilaterality. Evaluation of the histology revealed that nearly all of the cases (300 of 302) were of the papillary type. There was only one case each of the follicular and medullary histological type. There were 85 (28.1%) cases of extrathyroidal extensions, and 91 cases (30.1%) of lymph node metastasis, but no cases of distant metastases. Conclusions : Thyroid microcarcinomas have bad prognostic factors and appear to exist at relatively higher cancer stag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treat them as early and as vigorously as possible with extensive surgery, radioactive iodine therapy, and thyroxine suppression.(Korean J Med 69:503-509, 2005)

      • KCI등재

        암보험 관련 대표 분쟁사례에 대한 약관해석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고찰

        조규성 한국금융법학회 2018 金融法硏究 Vol.15 No.1

        According to the commercial law and the cancer insurance policy, if, at the time of making an insurance contract, a policyholder or the insured failed to disclose or misrepresented material facts, the insurer may terminate the contract: Provided, that where the occurrence of the peril insured is proven to have not been affected by breach of duty of disclosure, the insurer is liable to pay the amount of insurance coverage. When the insurance contract is terminated due to breach of duty of disclosure unrelated to the occurrence of cancer after cancer diagnosis in the case of cancer insurance, there is a lot of arguing about whether or not the insurer should pay insurance amount about the reasons for payment of additional insurance money that occurred after the contract was canceled. But the commercial law and the insurance policy don't have any clear rules about this. So this study reviews on the scope of liability of the insurer and the extension of insured accident without causation with breach of duty of disclosure, also I proposed ways to improve the problem in this paper. Also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cancer insurance cancer, thyroid cancer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low-paid cancer. But if thyroid cancer has transferred to the lymph nodes, the insurer faces a dispute as to whether it should be pay to low-paid cancer insurance money or normal cancer insurance money. The decision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nd the court rulings are different, a confusion has occurred in the claim adjuster's affairs. I think the court's decision is valid, so I think that it is time that we try to resolve these disputes by correctly interpreting the terms and conditions in the future. 현행 암보험약관상 그 내용이 불명확해서 약관해석과 관련해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 결정과 법원의 판결례가 달라 다툼이 많은 대표적인 두 가지 사례가 있는데, 그 첫 번째가 암과 인과관계 없는 고지의무 위반시 보험자의 책임범위와 관련된 것이고, 두 번째가 림프절에 전이된 갑상선암에 대해 소액암이 아닌 일반암으로 암 진단비를 지급할 것인지 여부와 관련된 것이다. 전자는 암이라는 질병의 특성상 암으로 진단된 후 입원하고 수술(기타 치료 포함)하는 과정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연속되어 발생하는 것이 의료경험칙상 일반적이라 할 수 있는데, 만약 암과 인과관계가 없는 고지의무 위반으로 인하여 보험계약이 해지될 경우 해지당시 청구되었던 암진단 급여금이나 암 입원일당 급여금을 제외한 나머지 추가적인 암수술급여금이나 암사망 보험금을 지급할 것인지 여부의 형태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해지 이후 청구된 암보험금도‘암 진단 확정’이라는 1개의 보험사고가 연장된 경우로서 진단, 입원, 수술 더 나아가 사망까지도 단일한 보험사고로 해석해 해지로 인한 계약관계 종료 이후의‘치료’및‘사망’에 대해서까지도 전부 보상해야 한다는 주장(전부보상설)과 암진단, 입원, 수술, 사망 등을 각각의 보험사고로 봐서 계약관계 종료시까지 확정된 보험금까지만 지급해야 한다는 주장(일부보상설)이 대립하고 있는데‘전부보상설’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향후 이러한 해석상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약관의 개정을 통해 보험자의 책임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후자인 갑상선암과 관련된 분쟁은 2011. 4. 개정 전 약관(2007. 4.∼2011. 3. 사이에 판매된 암보험상품)의 문언에는‘소액암 이외의 암’에 대해서는 일반암으로 분류하면서 보험금을 100% 지급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었는데, 문제는‘이외의 암’이라는 문구가 애매모호해 논란이 된 것이다. 즉 해당 약관에는 통상의 갑상선암은 소액암으로 분류해 일반암의 20% 수준으로 보험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었지만, 림프절에 전이된 갑상선암의 경우에는 일반암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아무런 규정이 없어 문제가 된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림프절에 전이된 갑상선암에 대해 소액암으로 지급하도록 결정한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결정은 잘못되었다고 판단되고, 오히려 최근 항소심 법원의 판결과 같이 작성자불이익 원칙에 입각해 소액암이 아닌 일반암 보험금을 지급하는 것이 약관해석에 있어 타당하다고 본다. 향후 불명확한 약관의 규정으로 인해 선의의 보험소비자 피해를 보지 않도록 금융감독당국은 강력한 행정지도를 통해 보험자가 부당하게 보험금을 미지급하거나 감액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을 경주하고, 나아가 모호한 약관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사후약방문식의 제도 개선을 통한 대처방안보다는 보험자가 처음부터 제대로 된 약관으로 보험 상품을 잘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지도하고 검사하는 선행적 감독역할을 잘 수행해야만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갑상선 암의 경부 절개와 내시경 갑상선절제술의 비교

        정현석 ( Hyeon Seok Jeoung ),곽금희 ( Geum Hee Gwak ),한세환 ( Se Hwan Han ),김영덕 ( Young Duk Kim ),김홍주 ( Hong Ju Kim ),김기환 ( Ki Whan Kim ),배병노 ( Byung Noe Bae ),양근호 ( Keun Ho Yang ),김홍용 ( Hong Yong Kim ),박성진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6 No.2

        목적: 내시경적 갑상선 수술은 양성 갑상선 질환뿐만 아니라 갑상선 암에서도 널리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자들은 갑상선 암의 내시경적 수술이 기존의 경부절개를 통한 갑상선 수술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 6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유두상 갑상선 암으로 갑상선 전 절제술, 아전절제술, 혹은 엽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경부 절개 갑상선 절제술과 내시경 갑상선 절제술의 단기 임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내시경 갑상선 절제 군은 22예, 경부절개 갑상선 절제 군은 79 예였다. 내시경적 갑상선 수술을 받았던 환자 군에서 나이가 40.1±09.1세 (25-57세)로 경부 절개 군의 51.1 ± 9.9세 (33-73세) 보다 적었고(p<0.00001) 종양의 크기도 0.64 ± 0.28 cm로 1.06±0.72 cm 보다 더 적었다(p<0.009). 수술시간은 내시경 군에서 231.8분으로 경부절개 군의 147.9보다 80분 정도 더 걸렸다(p<0.0001). 하지만 수술 후 입원기간이나 장액종, 제거 술이 필요할 정도로 증상을 야기한 혈종, 일시적인 저칼슘혈증, 영구적인 저칼슘혈증, 회귀 후두신경 손상, 식도 손상, 기도 손상 등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률은 경부 절개 군이나 내시경적 수술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 결론: 내시경 갑상선 절제술은 최소한의 수술적 위험도로 크기가 적은 유두상 갑상선 암에서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수술법이었다.

      • KCI등재후보

        인공폐경이 여성의 다빈도암 진단에 미치는 영향: 갑상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을 중심으로

        박지경,정현정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2024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Vol.25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폐경이 갑상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여성의암 예방과 조기진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2011년-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011년-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조사대상자 79,262명 중 남성, 18세 이하, 80세 이상, 건강설문 미참여자, 결측치, 폐경 상태가 아닌 자를 제외하고 10,207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중 갑상선암 진단자 248명(2.7%), 유방암 진단자225명(2.2%), 자궁경부암 진단자 143명(1.5%)으로 나타났다. 결과: 첫째, 갑상선암 진단군과 비진단군 간에 교육수준, 출산경험, 폐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유방암 진단군과 비진단군 간에 교육수준, 폐경 연령, 임신경험, 출산경험, 주관적 건강상태, 폐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궁경부암 진단군과 비진단군 간에 폐경 연령, 주관적건강상태, 폐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연폐경에 비해서 인공폐경의 경우 여성의진단 확률은 갑상선암이 2.010배, 유방암이 3.872배, 자궁경부암이 14.90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갑상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모두에서 자연폐경에 비해서 인공폐경의 경우에 암 진단 확률이 증가하므로 암의 예방을 위하여 인공폐경을 경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artificial menopause on the diagnosis of thyroid cancer, breast cancer, and cervical cance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cancer prevention and early diagnosis in women. Method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aw data from the 2011-202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ong the 79,262 people surveyed in the 2011-202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0,207 people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subjects, excluding men, those under 18 years old, those over 80 years old,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health survey, those with missing data, and those who were not in menopause. Among them, 248 people were diagnosed with thyroid cancer (2.7%), 225 people were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2.5%), and 143 people were diagnosed with cervical cancer (21.5%). Results: First,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between the thyroid cancer diagnosed group and the non-diagnosed group depending on educational level, childbirth experience, and menopause type. Second,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between the breast cancer diagnosis group and the non-diagnosis group depending on educational level, menopause age, pregnancy experience, childbirth experienc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menopause type. Third,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between the cervical cancer diagnosis group and the non-diagnosis group depending on menopause ag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menopause type. Fourth, compared to natural menopause, in the case of artificial menopause, the diagnosis probability of women increased by 2.010 times for thyroid cancer, 3.872 times for breast cancer, and 14.902 times for cervical cancer. Conclusion: For thyroid cancer, breast cancer, and cervical cancer, the probability of cancer diagnosis increases in the case of artificial menopause compared to natural menopause, so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avoid experiencing artificial menopause to prevent cancer.

      • KCI등재

        18F-FDG PET상 관찰되는 미만성 갑상선섭취의 임상적 의의

        김희경,윤지희,김수정,강호철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1 No.5

        Background/Aims:Thyroid abnormalities are frequently detected in patients undergoing 18_F-flu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DG-PET). The clinical importance of diffuse thyroid FDG uptake (DU) has been controversial, although focal thyroid FDG uptake (FU) indicates a high probability for thyroid cancer. Methods:In total, 3,303 subjects underwent PET for cancer staging (n = 1,744) or a health screening (n = 1,559) between August 2004 and March 2006. Fifty-six (1.7%) subjects showed FU (n = 34) or DU (n = 22). Serum thyroid simulating hormone (TSH) and thyroid autoantibodies were measured with high-resolution thyroid ultrasonography (US). US-guided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was performed when a nodular lesion was found. Results:Twelve of 34 (35.3%) patients with FU and 3 of 22 (13.6%) patients with DU had a malignancy. This difference in malignancy frequency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p = 0.07). The US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chronic thyroiditis in 17 of 22 (77.3%) patients with DU. Three cases of DU had an apparently normal thyroid gland. In the three patients diagnosed with a malignancy in the DU group, the tumors included one papillary thyroid cancer, one primary thyroid lymphoma, and one metastatic squamous cell carcinoma from lung cancer. No correlation between TSH and SUV_max (p = 0.086) was observed in the DU group, and the SUV_max in patients with a malignancy was not different from that in the benign group. Conclusions:Most patients with DU had chronic autoimmune thyroiditis, but the frequency of malignancy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FU group. Further clinical examinations, including thyroid function tests, thyroid autoantibodies, and thyroid US are needed to diagnose chronic autoimmune thyroiditis and possible thyroid malignancy in subjects with DU. (Korean J Med 2011;81:595-601) 목적:다양한 암의 진단 및 병기 결정을 위해 _18F-FDG PET/CT (FDG PET)의 이용이 급증하면서 우연히 갑상선에 FDG 섭취 증가가 발견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갑상선의 국소적 FDG 섭취 증가는 갑상선암의 위험이 높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나 미만성 FDG 섭취 증가의 임상적 의미는 불분명하다. 방법:2004년 8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암에 대한 병기 평가(1,744예) 및 건강 검진(1,559예)을 목적으로 FDG PET을 시행한 총 3,303예 중 갑상선에 비정상적인 섭취 증가를 보인 56예(1.7%, 남 13, 여 53; 나이 55.9 ± 10.1)를 대상으로 하였다. FDG 섭취 정도는 SUVmax로 평가하였다. 대상 환자에서 혈청 TSH, anti-TPO Ab와 갑상선초음파검사를 시행했으며 결절이 보이는 경우 미세침흡인세포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FDG PET에서 갑상선 FDG 섭취 증가는 국소 섭취가 더 흔했으며(34 vs. 22) 악성의 빈도는 국소 섭취군에서 더 흔했으나 미만 섭취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12예[35.3%] vs. 3예[13.6%], p = 0.07). 미만 섭취군 22명 중 17예(77.3%)에서 자가면역갑상선질환이 있었고(원발성갑상선림프종 1명 포함), 3명은 정상 갑상선, 그리고 갑상선유두암과 전이성폐암이 각각 1예씩 확인되었다. 미만 섭취 군에서 TSH 증가 정도 및 anti-TPO Ab 역가와 SUV_max 간에 상관관계는 없었으며(p = 0.086, p = 0.057) 악성소견을 보인 3예의 SUV_max는 높았으나 양성군에 비교하여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FDG PET에서 미만성 갑상선 섭취는 대부분 자가면역성갑상선질환을 시사했으나 암의 빈도에 있어 국소섭취와 차이가 없었고 FDG PET만으로는 암을 감별할 수 없었다. 갑상선에 미만성 FDG 섭취를 보이는 환자에서는 자가면역갑상선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혈액검사뿐만 아니라 암을 배제하기 위한 갑상선초음파검사 및 미세침흡인세포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직장암과 동반된 갑상선의 CASTLE 1예

        이준현,이도상,백종민,손보성,박일영,성기영,Jun Hyun Lee,M,D,Do Sang Lee,M,D,Jong Min Baek,M,D,Bo Sung Son,M,D,Il Young Park,M,D,and Ki Young Sung,M,D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08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8 No.4

        CASTLE은 갑상선에서 발생하는 드문 종양이다. 이 종양은 이소성 갑상선 조직이나 갑상선 주위 또는 갑상선에서 가슴샘 발생과 관련된 잔류물에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갑상선 하부 2/3부위에 위치한다. 환자는 66세 남자환자로 직장암 수술을 위해 입원하였다. 과거력에서 35년 전에 폐결핵으로 우상부 폐엽절제술을 받았다. 수술 전 시행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갑상선 결절이 우연히 발견되었다. 결절 흡인세포검사에서 역형성암종이 의심되었다. 원발성 종양에 대해 저위전방절제술과 갑상선 일엽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최종 병리진단에서 CASTLE로 진단되어 잔여 갑상선 절제술, 중심구획 임파선 곽청술 및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15개월간 재발은 없었다. (Korean J Endocrine Surg 2008;8:266-268) Carcinoma showing thymus-like elements (CASTLE) is a rare neoplasm arising from the thyroid gland. This tumor is thought to originate from ectopic thymic tissue or remnants related to thymic development in or adjacent to the thyroid gland and usually located in the lower two-thirds of the thyroid gland. The patient was a 66-year-old man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rectal carcinoma for surgery. He had undergone a right upper lobectomy of the lung for the pulmonary tuberculosis 35 years previously. He underwent a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pre-operatively, and an incidental nodule of the thyroid gland was detected. Based on aspiration cytology of the nodule, the lesion was suspected to be an anaplastic carcinoma. He underwent a low anterior resection and thyroid lobectomy for a double primary neoplasm. On the final pathologic examination, the thyroid lesion was shown to be CASTLE. Therefore, completion thyroid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 of the central compartment and radiotherapy were performed,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recurrence 15 months post- operatively. (Korean J Endocrine Surg 2008;8:266-268)

      • KCI등재후보

        거대석회화를 동반한 갑상선 결절에서 갑상선암의 빈도

        윤지희 ( Jee Hee Yoon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수정 ( Soo Jeong Kim ),조진성 ( Jin Seong Cho ),강호철 ( Ho Cheol Kang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3 No.3

        목적: 갑상선 결절은 흔하게 발견되며 약 5%에서 갑상선 암으로 진단되므로 악성 결절과 양성 결절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고해상도 갑상선 초음파의 발달로 악성을 시사하는 초음파 소견을 예측하고자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미세석회화와 악성화의 연관성이 확립된 반면, 거대석회화와 갑상선암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 있어 다수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5년 동안 갑상선 결절로 인하여 화순전남대병원을 방문하여 갑상선 초음파를 시행하였던 환자들 중에서 갑상선적출술을 받았거나, 갑상선암의 위험인자로 잘 알려진 미세석회화를 동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거대석회화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구분하여 갑상선 초음파, 미세침흡인세포 검사 결과 및 수술을 통한 병리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거대석회화를 동반하는 군에서 악성의 빈도는 22.7% (37/163)로 석회화가 불분명하거나 없는 군의 악성 결절의 빈도가 13.4% (271/2,021)인 것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 < 0.01), 비정형 및 악성의심 결절의 빈도도 유의하게 높았다(p < 0.01). 거친석회화 군에서 변연부석회 화군에 비해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지만 악성의 빈도가 높았다(30.1% vs. 16.2%). 결론: 거대석회화를 동반한 갑상선 결절은 악성의 빈도가 높으며, 부적절한 검체를 얻을 확률이 높으므로 주의 깊은 미세침흡인세포검사 및 추적검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High-resolution ultrasonography has made it possible to predict thyroid cancers without invasive procedures. Densely calcified nodules are difficult to image on ultrasound, and considering them to be high risk features for thyroid cancers has been controversi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malignancy in patients with densely calcified nodules using an analysis of clinical paramete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yroid cancer.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thyroid sonographic finding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who attende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sun Hospital during a 5-year period (2,387 cases). Dense calcifications included coarse dense calcification and peripheral calcification (163 cases). Nodules with microcalcification (< 2 mm) were excluded from this analysis (154 cases). Ultrasonography-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FNA) was performed for all nodules with dense calcification. Results: Among the densely calcified nodules, 37 (22.7%) were malignant. The prevalence of malignancy in patients with densely calcified thyroid nodules was higher than that in patients without calcification (p < 0.01). The incidence of malignancy was greater in coarse calcified thyroid nodules than in nodules with peripheral (egg-shell) calcification,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0.1% vs. 16.2%, p = 0.101). Conclusions: Nodules with dense calcification carry a higher risk for malignancy than non-calcified nodules. Further, it is more difficult to obtain an adequate or diagnostic sample for nodules with dense calcification. Therefore, careful evaluation is necessary to diagnose malignancy in densely calcified nodu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