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술세션Ⅰ : 지식경영과 소셜미디어 ; SNS 사용자의 습관과 감정적 요인 관점에서 기업 SNS 계정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함주연,유현선,지성훈,이재남 한국지식경영학회 2014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움 Vol.2014 No.-

        전세계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면서 기업에서의 SNS 활용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제품 및 서비스 홍보나 고객관리를 위한 기업 SNS 계정의 경우 개인 SNS와 달리 그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활용하는 사용자는 많지 않다. 이는 기업 SNS 계정의 경우 이벤트 정보나 필요에 의한 일회성/단기적 팔로잉이거나, 또는 너무 상업적 내용들로 팔로워들이 결국 기업계정을 유지하지 못하고 떠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온라인 상에서 사적인 관계형성 및 소통과 같이 팔로워들의 개별적 심리나 감정에 밀접한 SNS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SNS에 대한 유용성, 이용 용이성 등의 요인만으로 기업 SNS 계정에 대한 지속적 사용 의도를 해석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또한 최근 다수의 정보시스템 연구들은 사용자의 이용습관과 같은 잠재의식적 행동이 IS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 SNS 계정에 대한 사용자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써 SNS 사용자의 이용습관과 감정적 요인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지-감정-행위 모델을 기반으로, SNS 사용자의 이용습관에 따라 형성된 SNS 사용경험은 감정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감정요인은 궁극적으로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감정요인은 Mehrabian-Russell 모델을 기반으로 긍정적, 부정적, 각성/환기 요인, 그리고 지배 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감정적 요인들이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SNS 사용습관은 감정적 요인 별로 다르게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감정적 요인들은 기업 SNS 계정의 지속적 사용의도에도 다르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지배 요인에 의해 다른 감정적 요인들의 영향 정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페이스북 사용자와 트위터 사용자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템플스테이 만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감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병길,김민자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템플스테이 체험과정의 주요 속성인 체험요인, 인적서비스요인, 그리고 시설환경요인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러한 이차원적인 감정 구조가 참가자들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템플스테이 지정 운영사찰을 대상으로 총 768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템플스테이 체험요인은 참가자의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체험요인은 부정적 감정에 비해 긍정적 감정에 대한 영향력이 다소 크게 나타나 만족요인에 가깝다고 판단된다. 인적요인과 시설환경요인 또한 참가자의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긍정적 감정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감정은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체험, 인적서비스, 그리고 시설환경에 대한 지각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을 매개로 하여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mple-stay satisfaction and it's antece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More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how temple-stay experience factors, human factors and facility factors influence participant's emotions (comprising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and temple-stay satisfaction formation. The authors propo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comprising six constructs. Data were collected from 768 temple-stay participants in designated temple-stay operating temples, and analyzed by AMOS 7.0.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mple-stay experience factors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 and a negative effect on negative emotion. Moreover, the effect of experience factors on positive emotion appeared to be comparatively stronger than on negative emotion Second, human factors and facility factors had effects on temple-stay participants' both of emotion. Third, the effect of temple-stay participants' positive emotion on satisfaction formation was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 on satisfaction formation was negat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temple-stay experience, human and facility factors on satisfaction formation were mediated by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 KCI등재

        콜센터 직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과 감정노동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상원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이 강한 콜센터 상담원의 이직관리를 위해 이직률을 낮추고 직무유지를 위해 직무만족 결정요인과 감정노동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관계와 대처방안의 요인으로 회복탄력성이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의 서울 및 수도권에 사업장을 두고 있는 콜센터 직원을 대상으로 총 38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요인 중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임금만족 요인과 직무자체 요인이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임금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고, 직무자체에 대한 평가가 만족스러울수록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 중 이직의도 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표면행동 요인이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표면행동에 대한 요구나 지각이 강할수록 이직의도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콜센터 차원에서도 감정노동으로 인한 감정부조화의 대응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회복탄력성이 표면행동 요인 및 내면행동 요인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표면행동과 회복탄력성과의 상호작용항, 그리고 내면행동과 회 복탄력성의 상호작용항이 투입된 3단계에서 감정노동의 표면행동과 회복탄력성 요인의 상호작용항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넷째, 감정노동의 내면행동과 회복탄력성 요인의 상호작용항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내 면행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는 회복탄력성이 높은 경우 이직의도를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기존 마케팅관점에서 고객이 지각하는 품질요인을 중심의 연구에서 직무만족 결정요인만을 제시하거나 심리적 특성 요 인만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콜센터의 열악한 유무형의 업무환경과 보상체계 외에도 감정노동과 같이 심리적․정서적 특성요인을 동 시에 고려하여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wer the turnover rate for the call center counselor with strong emotional labor and tomaintain their job, To do end, a total of 388 employees with workplaces in Seoul and the Gyeonggi-do area in Korea, and it analyzed to find out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se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he impact relationship on turnover intention among job factors, wage satisfaction factors and job itself factors have a nega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wages, and themore satisfactory the assessment of the job itself,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Second,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n turnover intention during emotional labor, surface behavior factor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stronger the demand or perception of surface behavior, the more turnover intention has been shown. Therefore, at the call center level, the optimumsolutions should be taken to respond to emotional dissonance caused by emotional labor. Third, resilience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s surface behavior and resilience in step 3 of interaction between surface behavior and resilience in relation to internal behavior and turnover.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has been shown to ease turnover intention in cases of high resilience.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the poor tangible and intangible work environment and compensation system of the call cente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emotional labor we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confirming the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s. And, above all, it means that turnover intention is determined by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labor factor, and resilience plays a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factor and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in order to lower turnover intention, it’s necessary to arrange rational compensation systemand to support employees’mindset.

      • KCI등재

        감정평가 가격형성요인의 기타요인에 관한 연구

        오영선,유선종 한국부동산연구원 2009 부동산연구 Vol.19 No.1

        The gap between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s and appraisal values has rarely been close, and the gap is being corrected by practical other factors. The effects of other factors on the calculation of appraisal values are increasing but there are few analyses on the other factors. Based on th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other factors, select appraisal cases in some areas, analyze the effects of the other factors on calculation of appraisal values, and present object database on the other factors in appraisal of individual lands. For doing this, 677 of the appraisal cases of the Seoul Metropolis in 2008 out of the Land Information of the Korea Association of Property Appraisers (Kapa DB) were selected to be statistically analyze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other factors and appraisal values,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pecific use areas, land categories, appraisal purposes, and district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other factors and appraisal values. The results of those analyse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appraisal values were affected by officially assessed referenced land price, the other factors, individual factors, and time adjustment, in order, and the other factor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value determination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in this study conducted moderating effect analysis to identify whether the effects of the other factors on appraisal valu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land characteristics and appraisal purposes. According to the results, green zone and residential zone out of specific use areas, forest and field out of land categories, auction appraisal, compensation appraisal, and mortgage appraisal out of appraisal purposes, and the northwest and the southeast out of districts were shown to have control on the effects on appraisal values. Despite the regional, temporal, substantial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re are some profitable suggestions as follows. In calculation of appraisal values, the other factors when compared to the others are proved to have greater influence on and have significant weight in appraisal values. Also, in the relation between the other factors and appraisal values, differentiated effects are positively shown according to l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results present that the use of the other factors should be careful according to specific use areas, land categories, and districts. 본 연구는 토지의 특성 및 감정평가 목적에 따라 기타요인이 감정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기타요인에 대한 이론적 검토 및 일부 지역의 평가사례를 선정하여 기타요인이 감정가격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문적 또는 실무적으로 유익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감정평가제도 속에서의 기타요인의 적용에 대한 고찰을 통해 연구의 틀을 마련한다. 둘째, 기타요인에 대한 기초분석을 위하여 SPSS를 이용하였으며, 평가사례의 평가목적별, 용도지역별, 지목별, 권역별에 따른 기초통계량을 살펴본다. 셋째, 헤도닉모형을 이용한 회귀식을 도출하여 기타요인이 감정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다. 종속변수는 감정가격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를 표준지공시지가, 시점수정, 지역요인, 개별요인, 기타요인으로 하여 다중회귀모형으로 설정하였고 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다. 넷째, 기타요인이 용도지역, 지목, 평가목적, 권역별에 따라 감정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다. 조절효과분석을 이용하며 조절변수는 용도지역, 지목, 평가목적, 권역으로 설정하고 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지역적, 시간적, 내용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아래와 같은 유익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감정가격 산정시 기타요인은 다른 요인들에 비하여 감정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고 중요한 비중을 차지함을 입증하고 있다. 또한, 기타요인과 감정가격과의 관계에서 토지의 특성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치어 작용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용도지역, 지목, 지역에 따라 기타요인의 사용에 신중하여야함을 암시하고 있다.

      • KCI등재

        이미지 감정색인을 위한 시각적 요인 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선영,정은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No.1

        Given that emotion-based computing environment has grown recentl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motional access and use of multimedia resources including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visual cues for emotion in images. In order to achieve it, this study selected five basic emotions such as love, happiness, sadness, fear, and anger and interviewed twenty participants to demonstrate the visual cues for emotions. A total of 620 visual cues mentioned by participants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view results and coded according to five categories and 18 sub-categories for visual cues.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facial expressions, actions/behaviors, and syntactic featur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perceiving a specific emotion of the image. An individual emotion from visual cues demonstrat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e emotion of love showed a higher relation with visual cues such as actions and behaviors, and the happy emotion is substantially related to facial expressions. In addition, the sad emotion was found to be perceived primarily through actions and behaviors and the fear emotion is perceived considerably through facial expressions. The anger emotion is highly related to syntactic features such as lines, shapes, and sizes.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ed that emotional indexing could be effective when content-based features were considered in combination with concept-based features. 감정기반 컴퓨팅 환경의 발전에 따라서 이미지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 자원의 감정 접근과 이용은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본 연구는 이미지의 감정색인을 위한 시각적인 요인의 탐색적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사랑, 행복, 슬픔, 공포, 분노의 5가지 기본감정으로 색인된 15건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20명의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총 620건의 감정 시각적 요인을 추출하였다. 감정을 촉발하는 시각적 요인(5가지)과 하위 요인(18가지)의 분포와 5가지 감정별 시각적 요인 분포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미지의 감정을 인지하는 주요한 시각적 요인으로는 얼굴표정, 인물의 동작이나 행위, 선, 형태, 크기 등의 조형적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감정과 시각적인 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사랑 감정은 인물의 동작이나 행위와 밀접하게 나타났으며, 행복 감정은 인물의 얼굴 표정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슬픔 감정 역시 인물의 동작이나 행위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공포 감정은 얼굴의 표정과 깊은 관계가 있다. 분노 감정은 조형적인 요소인 선, 형태, 크기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미지가 지니는 내용기반 요소와 개념기반 요소의 복합적인 접근이 효과적인 감정색인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 KCI등재

        [어학 · 언어교육] 감정 형용사 ‘HAPPY’ 개념에 대한 어휘적 접근

        정유진(Jung, Eu-Gene)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2

        이 논문은 감정 형용사 ‘HAPPY’의 개념을 어휘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으로 정의된다.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과 그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요인, 즉 맥락에 대한 정보를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Goddard & Wierzbicka(2014)가 제시한 의미 원초소와 프레임넷 데이터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를 관찰한다. 먼저, 감정어 ‘HAPPY’가 나타나는 문맥을 살펴보고 필수 구성 요소인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stimulus)과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감정의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을 알아본다. 감정의 정도는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되어 전체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준다. Goddard & Wierzbicka(2014)가 ‘HAPPY’의 개념에 대한 의미로 제시한 원초소들이 실제로 어떤 단어로 실현이 되는지 알아보고 그 의미영역(Moe 2003, 정유진•강범모 2015)을 기술한다. 이 연구는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이 어휘를 통해 그 의미를 표상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cept of the word ‘HAPPY’ by examining lexical usages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 emotion is defined as a feel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situation that you are in or the people you are with. Emotions are one of the popular topics in psychological fields. They are the words that conceptualize the emotion, ‘happy’. In order to explicate the concept of the word ‘happy’ through lexical usages, this study adopts semantic primitives by Goddard & Wierzbicka (2014) and Feature Elements in the FrameNet II (2016). First, we extract a group of co-occurring words that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in the COCA corpus. Second, we divide the words into the Stimulus as a Core Feature Element (FE) and the Degree as a non-Core Feature Element. We also classify the stimulus based on the sematic domain (Moe 200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peaker’s mind. The domain can be served as generalizing the stimuli of the emotion ‘happy’. We exp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to be represented via words, which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이 논문은 감정 형용사 ‘HAPPY’의 개념을 어휘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으로 정의된다.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과 그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요인, 즉 맥락에 대한 정보를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Goddard & Wierzbicka(2014)가 제시한 의미 원초소와 프레임넷 데이터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를 관찰한다. 먼저, 감정어 ‘HAPPY’가 나타나는 문맥을 살펴보고 필수 구성 요소인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stimulus)과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감정의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을 알아본다. 감정의 정도는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되어 전체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준다. Goddard & Wierzbicka(2014)가 ‘HAPPY’의 개념에 대한 의미로 제시한 원초소들이 실제로 어떤 단어로 실현이 되는지 알아보고 그 의미영역(Moe 2003, 정유진•강범모 2015)을 기술한다. 이 연구는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이 어휘를 통해 그 의미를 표상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cept of the word ‘HAPPY’ by examining lexical usages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 emotion is defined as a feel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situation that you are in or the people you are with. Emotions are one of the popular topics in psychological fields. They are the words that conceptualize the emotion, ‘happy’. In order to explicate the concept of the word ‘happy’ through lexical usages, this study adopts semantic primitives by Goddard & Wierzbicka (2014) and Feature Elements in the FrameNet II (2016). First, we extract a group of co-occurring words that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in the COCA corpus. Second, we divide the words into the Stimulus as a Core Feature Element (FE) and the Degree as a non-Core Feature Element. We also classify the stimulus based on the sematic domain (Moe 200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peaker’s mind. The domain can be served as generalizing the stimuli of the emotion ‘happy’. We exp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to be represented via words, which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 KCI등재

        한국판 감정양식 질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하정민,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5 인지행동치료 Vol.15 No.2

        본 연구는 조정, 감추기 및 감내라는 세 가지 감정양식을 간편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20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Hofmann과 Kashdan(2010)의 감정양식 질문지(Affective Style Questionnaire: ASQ)를 우리나라 말로 번역한 다음, 그 요인구조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389명의 대학생 표본들이 한국판 ASQ에 반응한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조정양식’, ‘감추기양식’ 및 ‘수용/개선양식’으로 각각 이름 붙여진 3개의 요인이 산출되었다. 이 요인구조와, 상관 2요인모형, 외국에서 보고된 두 가지의 3요인모형과, 한 가지의 4요인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7개의 문항의 상관 3요인모형에다 오차항들 간의 3개의 상관을 추가한 수정된 상관 3요인모형이 수집된 자료에 가장 적합하였다. 조정양식과 감추기양식 하위척도 두 가지는 내적 일치도가 양호하였으나, 수용/개선양식 하위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연구 2에서는 437명의 새로운 대학생표본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밝혀진 한국판 ASQ의 요인구조가 교차 타당화되는 지를 검토해 보았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여러 대안모형들 중에서 수정된 상관 3요인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조정양식과 감추기양식 하위척도 두 가지는 내적 일치도가 양호하고, 2주간 검사-재검사 신뢰도, 수렴 및 변별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가 수용할만하였다. 증분타당도의 경우, 조정양식 하위척도는 지지되었으나, 감추기양식 하위척도는 미흡한 편이었다. 수용/개선양식 하위척도의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원판에 비해 약간 낮은 편이었으나, 수렴 및 변별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는 비교적 수용할만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들은 한국판 ASQ가 3요인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정양식과 감추기양식 하위척도는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하지만, 수용/개선양식 하위척도의 경우, 추후 한국 문화의 맥락에서 해당 개념을 잘 반영하는 문항들을 더 보충한 후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Affective Style Questionnaire(ASQ) developed by Hofmann and Kashdan(2010), is a 20-item self-report inventory to simply measure three affective style: adjusting, concealing, tolerating. The present study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SQ(K-ASQ). In Study 1, We translated ASQ into Korean and then assess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ASQ with exploratory factor analyses on the data of 389 undergraduate samples. As a result, three factor solution was revealed - labeled ‘adjusting’, ‘concealing’, and ‘accepting and improving’.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e compare a goodness of fit of different factor models: correlated three-factor and correlated 2-factor models, and a correlated 3-factor model with three correlated error-terms, as well as two different 3-factor models and correlated 4-factor model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CFA indicated that the revised correlated 3-factor model provided the best fit to the first sample.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acceptable for adjusting and concealing subscales. but was relatively lower for accepting and improving subscale. The aim of Study 2 was to cross-validate the factor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ASQ using a new sample of 437 university students. The CFA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vised correlated 3-factor model had a better fit than the other models. Adjusting and Concealing subscales show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acceptable test-retest reliability over two-week period, good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In terms of incremental validity, adjusting subscale was acceptable, whereas concealing subscale was weak. For accepting and improving subscal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low, the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ies were relatively acceptabl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support for the 3 factor structure of the K-ASQ, as well a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djusting and concealing subscales.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re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ccepting and improving subscale after adding other items tapping the construct under Asian culture.

      • KCI등재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험요인의 매개효과 연구

        고재욱(Ko, Jea U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보육시설의 위험관리 근무 환경을 안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보육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감정노동과 직무만족간의 부(-)의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었으며, 감정노동과 위험요인은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었다. 그리고 직무만족과 위험요인 간에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 전체는 직무만족 전체에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6.667, p<0.001). 즉 감정노동이 높아지면 직무만족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험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1단계에서 감정노동은 위험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는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에서는 매개변수인 위험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독립변수인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2단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위험요인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교사들의 감정노동해소 방안을 정책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보육서비스의 질이 담보가 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is viewing at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purpose a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has got to find ways to also improve the risk management of care facilities as a stable working environment. The subjects were enrolled in a day care teacher 221 people. As a result of emotional labor and wealth between job satisfaction (-)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nce and emotional labor and the risk factors were correlated to the presence of the positive (+). A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risk factors section - it was seen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 The whole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entire sub-appeared to affect the (t=6.667, p <0.001) (+). That emotional labor is higher, the lower job satisfaction can see that. The emotional labor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risk factors on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results from the first phase showed that emotional labor is positive (+) effects on risk factors. In the second phase, part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 appeared to influence the (-). In the third step was the parameter of the risk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emotional labor is the independent variable impact on job satisfaction had declined by more than two steps. Emotional labor is a risk factor for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exhibit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r childcare services of high quality in order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to provide the emotional labor resolving measures of teacher policy that childcare services deemed to be a guarantee of quality.

      • KCI등재

        GIS를 이용한 감정평가의 개별요인 객관화 방안

        김태우(Kim, Tae Woo),강인준(Kang, In Joon),박동현(Park, Dong Hyun),황대영(Hwang Dae Yo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4

        감정평가방법에는 수익방식, 원가방식, 비교방식이 있다. 본 연구는 감정평가방법 중 토지의 가격을 평가할 때 주로 사용하는 비교방식을 수치화하여 감정평가 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비교방식은 부동산의 가치를 거래사례부동산과 평가대상 부동산의 시간적 격차, 공간적 격차, 시공간적 격차를 비교·조정함으로써 사례 부동산 가격으로부터 대상 부동산 가격을 산정하는 것이다. 감정평가 실무에서는 대체적으로 토지의 경우에 비교방식을 사용한다. 사례를 기준으로 할 때 사례가격, 시점수정, 지역수정, 개별요인으로 가치를 평가하며 공시지가 기준의 경우 공시지가, 시점수정, 지역수정, 개별요인으로 평가한다. 이 중 개별요인은 개별적 특성을 비교하는 중요한 과정으로서 감정평가사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 할 수 있는 요소이다. 전문가인 감정평가사의 판단이 대체적으로 정확하지만 주관적인 판단이기 때문에 감정평가사에 따라 의견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감정평가 분쟁이 일어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요인의 구성요소인 가로조건, 접근조건, 획지조건을 GIS분석을 통하여 감정평가의 주관적 판단을 수치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Real estate appraisal methods include profit-based, cost-based and comparison-based meas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ientifically quantify the comparison-based method mostly utilized in valuating real estate property among the appraisal methods. The comparison method is to estimate the value of target property from other previously-traded property cases by comparing and adjusting their temporal gap, spatial gap and space-time gap. In appraisal practices, this comparison method is used generally for land property. If based on previous transactions; prices, time point of transaction, region and individual factors were analyzed to valuate. If based on official land values; official value, time point, region and individual factors are analyzed. Of these, the individual factors are an important process of compa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ere real estate appraisers’ subjective assessment could intervene. Though appraisers, as experts make generally precise assessment, still, it is a subjective judgment open to difference between appraisers themselves, causing disputes from time to time. In this recognition, the study seeks to quantify such a subjective assessment of appraisers by running GIS analysis on individual factor components including street condition, access condition, and plotting condition.

      • KCI등재

        고객의 불량행동 응대상황이 감정노동결과에 미치는 영향 - 개인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진희,허무열,이철훈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5

        정부는 2018년 10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을 통해 감정노동자 보호를 위한 일부조항을 신설하여 민간 및 공공부문에서 감정노동자 보호체계를 구축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폭언, 성희롱 등 고객의 불량행동 때문에 감정노동자가 스트레스를 받아 구토증상을 호소하는 등 적응장애가 발생하고 이것이 산업재해로 인정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객의 불량행동으로 인해 일반적인 응대가 어려운 고객응대 과부하상황과 서비스품질관리를 위해 마련된 조직의 모니터링이 작동되는 상황이 감정노동자의 감정노동조절과정과 감정노동결과에 미치는 영향 및 동일상황에서 성별, 근속형태, 직무유형 등 개인적 요인이 감정조절과정에서 감정노동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여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에 의한 실증연구를 전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고객의 불량행동, 조직모니터링체계, 감정노동과 감정노동결과, 개인요인 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를 위해 감정노동자 801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감정노동평가도구 설문지’를 활용한 설문을 진행했다. 수집된 설문자료를 통계프로그램인 SPSS for Win 22.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증분석을 전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각 요인의 Cronbach's α값을 구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고객응대 과부하 상황은 감정노동자의 감정조절 과정 및 감정노동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의 불량행동 상황이 감정노동자의 감정조절 및 감정노동 결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불량행동을 하는 고객에 대해 조직차원에서의 대응방안을 수립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편 여성이 남성보다 감정적 부조화, 감정손상 등 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차원에서 감정노동을 통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감정노동자의 힐링프로그램을 운영 할 때 성별 차이를 고려하여 방안을 계획하고 실행해 볼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