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율곡의 감응론(感應論) 연구

        장승구 ( Jang Seung Koo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5 No.-

        동아시아적 사유 전통에서 천지 만물은 기(氣)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한다. 인간은 기(氣)를 통해 다른 인간이나 동물, 자연, 하늘과 서로 감응(感應)하는 존재이다. 율곡 이이(栗谷 李珥, 1536~1584)는 감응에 대한 주제로 다수의 글을 남겼다. 율곡은 인간과 인간 사이는 물론이고, 인간과 하늘, 인간과 자연 사이에도 감응현상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율곡에 따르면 인간과 하늘은 서로 감응해서, 일반적으로는 인간의 유덕한 행동에 대해서는 하늘은 길(吉)한 결과로 감응하고, 악한 행동에 대해서는 길하지 못한 결과로 감응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수(理數)의 변(變)을 당해서는 인간의 선악에 대한 하늘의 감응이 올바르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한다. 율곡은 천도책(天道策)에서 인간이 정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자연에 재이(災異)가 나타날 수도 있고 사라질 수도 있다고 한다. 군주가 덕에 따라 정치를 잘 하면 이에 감응해서 자연의 질서가 조화를 유지하고, 반면에 도에 어긋난 정치를 하면 자연이 조화를 잃고 재이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성인(聖人)의 지극한 성(誠)은 인간과 세상을 변화시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응이 되지 않는 인간이 예외적으로 존재한다. 자포자기하는 하우(下愚)는 성인의 덕으로도 어쩔 수 없다고 한다. 그리고 역사에 있어서 덕이 있는 인간의 지극한 노력으로도 이수(理數)의 변(變)을 만나면 좋은 뜻이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덕이 없는 인간이 힘만으로 세상을 지배하는 듯 보이는 때도 있다. 또한 율곡은 인간이 지극한 정성으로 기도를 하면 때로는 그 기도가 하늘을 감응시켜서 효험을 보는 경우도 있다고 인정한다. 율곡은 인간이 타인이나 귀신이나 하늘을 감응시키는 것은 성(誠) 때문이라고 한다. 성의 크고 작음에 비례해서 감응의 정도도 깊고 얕을 수 있다고 한다. 율곡에 따르면 인간은 수양을 통해 덕을 쌓고 지성(至誠)의 덕을 갖게 되면 인간과 세상을 긍정적으로 감응시켜서 이 세상을 조화롭게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다. 물론 시대에 따라서 이수(理數)의 변(變)을 만나서 형세(形勢)가 중요하게 되면 인간의 덕(德)이 정당한 감응을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율곡은 대체로 인간의 도덕적 합리적 노력을 신뢰하고, 인간의 최선의 노력에 감응하여 이 세상에 긍정적 변화와 조화가 올 수 있다고 인식하고 진인사(盡人事)를 강조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In the East Asian thought tradition, it is understood that all things between heaven and earth are made up of ‘qi(氣)’. Human beings are those who respond to other human beings, animals, nature, and the heaven. Yulgok Yi Yi (1536-1584) wrote a number of writings on the theme of resonance(感應). He argues that there are resonance phenomena not only between humans, but also between humans and the heaven, and between humans and nature. According to Yulgok, humans and heavens respond to each other, and in general, heaven responds to human virtuous behavior with good results, and to bad behavior with bad results. However, in the case of a chaotic period, it seems that the heavenly response to human good and evil may not be correct. Yulgok says that ‘disasters’ (災異) may appear or disappear naturally depending on how humans do politics. He thinks that if the monarch politicizes according to virtue, the natural order would be in harmony in response, and on the other hand, if the politics does not go along the way, nature would lose harmony and disaster may take place. The saint’s sincerity((誠) changes humans and the world, but there are exceptional humans who give up moral values. Even with the utmost efforts of virtuous human beings in history, good meaning may not succeed when encountering an unexpected event. On the contrary, there are times when it seems that a person without virtue controls the world only by power. However, it seems that such anomalies do not last long. Yulgok also admits that if people prays earnestly sometimes that prayer would be responded by the heaven and get benefits from it. Yulgok says that it is sincerity that makes humans responded to others, ghosts, and heaven. It seems that the degree of resonance may be deep and shallow in proportion to the purity of sincerity. According to Yulgok, human beings develop virtues through self cultivation, and when they acquire the virtues of sincerity, they make humans and the world positively respond and contribute to the harmony of the world. Of course, depending on the times, human virtues may not be able to get a proper response when the situation becomes worse due to the unexpected event. However, Yulgok generally recognizes that human best efforts would bring about positive change and harmony in the world and he emphasizes doing the best.

      • KCI등재후보

        감응과 한의학

        정우진 한국의철학회 2010 의철학연구 Vol.9 No.-

        이 논문의 목적은 둘이다. 첫 번째 목적은 감응이라는 사유형식의 함축을 도출함으로써 동양의 類別의 특성과 氣론 등, 감응론과 관련된 논의를 풍부히 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이 글의 논의를 통해 내용이 풍부해진 감응론을 바탕으로 한의학의 六淫辨證을 분석함으로써 한의학의 이론적 토대로서감응론의 적절성을 지지하는데 있다. 이 논의는 운슐트(Paul U. Unschuld)와 포커트(Manfred Porkert) 등이 상관적 사유에 내준 한의학의 기초이론의 자리를감응과 유비에 돌려주는 일의 예비 작업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연구자는 개체 중심적 사유와 관계 중심적 사유를 감응론의 함의를 도출하는구도로 사용하여, 감응론의 類別의 기준이 관계 중심적이라는 점과 감응을 매개하는 기가 본체이자 현상이라는 점, 그리고 감응적 세계관에는 비어있는 공간이없다는 점, 감응적 세계관은 과정적 세계관과 어울린다는 점, 감응의 사유 하에서 변화의 법칙은 만물이 공유하는 리듬으로 나타난다는 점 등을 논증했다. 그리고 이런 논의에 기초해서 한의학의 육음변증이 감응적 세계관에서 도출되는변화의 법칙을 전제한다는 점, 육음변증의 증이 본체와 현상의 격절을 허용하지않는 감응의 세계관과 어울린다는 점, 육음변증에서 보이는 유별의 특성이 감응론의 특성과 부합한다는 점을 논증했다.

      • KCI등재

        風水 同氣感應論의 易學的 接近

        박일용(Park, Ill-Yo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8 No.-

        본 연구는 풍수의 출발점이자 대전제가 되고 있는 同氣感應論의 역학적 해석을 토대로 동기감응론의 哲學的 地盤을 새롭게 정초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풍수 동기감응론의 철학적 배경을 고찰하는 것은 풍수의 본원을 살피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한국 풍수에 대한 오해와 비판, 선입견과 고정관념을 불식시키고 풍수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관건이 될 것이다. 풍수에는 실재(reality)에 대한 선험성과 경험성이 상호 의존하고 있으며, 풍수의 이론체계는 철학적인 부분과 경험과학적인 부분이 혼재되어 있다. 그런데 동기감응론은 풍수의 철학적 부분이며 또한 선험성과 관련된 이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太極의 존재론적 범주 측면에서 출발하여 동기감응론의 철학적 지반 확립에 초점을 맞추었다. 태극은 우주만물을 化生하는 生成의 지 위에서 제일 근원이다. 우주만물이 태극에서 生한다고 해도 결코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우주만물의 생성과정을 논리적으로 분석하여 생성순서라는 입장에서 보면 전체적인 명칭인 태극과 비교하여 제한적인 명칭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乾元과 坤元이다. 건도 변화에서 品物, 時間, 空間, 性命이 생긴다. 곤도 변화는 건도 변화를 계승한다. 곤도 변화는 건도 변화를 통하여 창조된 性命을 함양하고 형체를 형성한다. 결국 乾과 坤의 관계 속에서 만사만물이 생성되는 것이다. 만물의 性命은 그 근원을 같이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을 포함한 만사 만물은 형상적으로 다양한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명이라는 동일한 기반 위에 서 있기 때문에 感應할 수 있는 것이다. 역학적 사유에서 말하는 감응과 풍수에서 언급하고 있는 감응은 본질과 내용면에서 다를 바 없다. 인간과 사물에 내재해 있는 보편적 본성, 즉 性命 혹은 性에 근거하는 감응은 풍수 동기감응론의 철학적 지반인 것이다. 이와 같이 풍수 동기감응론의 철학적 지반을 주역에서 정립할 때 동기감응론에 대한 논란과 비판은 사라질 것이며, 또한 풍수의 학문적 위상은 제고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foundation of Sympathized Relation, which is the starting point and the premise of Pungsu theory, by applying mechanical approach on Sympathized Relation. Examining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Sympathized Relation in Pungsu us highly significant to delve into the origin of Pungsu. Moreover, it is the key to dispel the misunderstanding, criticism, bias and stereotypes towards Pungsu and help better understanding of Pungsu. In Pungsu, the apriority and experientiality of reality are mutually dependent on each other and the theoretical structures of Pungsu include both philosophical aspect and experiential and scientific aspect. In this sense, the Sympathized Relation is related to the philosophical aspect of Pungsu, and concerned with the apriority. The present research is initiated from the ontological perspective of Taegeuk and focuses on establishing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Sympathized Relation. Taegeuk is the origin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in terms of their transformation and creation. It is not impossible to say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born from Taegeuk. However, from the standpoint of sequence of creation among all things, the creation process by Taegeuk should be analyzed thus rather limited naming is required instead of Taegeuk, which covers the overall range. It is Geonwon and Gonwon. Materials, time, space, nature and destiny are created through Geondo transformation. Gondo transformation succeeds Geondo transformation. Gondo transformation builds up the nature and destiny created through Geondo transformation and creates the form. Eventually, all things are created in the relation between Geon and Gon. The nature and destiny of all things are derived from the identical origin. Therefore, even though all things including human beings have diverse forms, they can sympathize with one another since they share the common foundation of the nature and destiny. The concept of sympathy mentioned by Changeology is not different from the sympathy mentioned by Pungsu in terms of its foundation and contents. The sympathy based on the inherent nature of human beings and things, i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Sympathized Relation in Pungsu. As such, the controversy and criticism concerning Sympathized Relation would be dispelled by establishing philosophical foundation of Pungsu Sympathized Relation based on I-Ching, and the academic status of Pungsu would be improved as well.

      • KCI등재

        감응 연구의 관점에서 본 ‘현재’의 부재

        이희은(Hee-Eu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4 언론과 사회 Vol.22 No.1

        이 연구는 소위 ‘감응으로의 전환’ 이후 이루어진 감응 연구의 이론적 의미를 살펴보고, 신자유주의의 사회와 문화가 보여주는 퇴보적 특성을 ‘현재’의 부재에서 찾으려는 탐색적 시론이다. 감응 연구는 재현과 매개 연구의 한계를 벗어나 현재성과 즉시성을 다루려는 철학적 사유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 때 ‘감응’은 사회학이나 심리학의 관점과는 달리 몸과 정신의 이분법을 거부하고 몸과 몸 사이에 전이될 수 있는 경험적 과정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감응 연구는 신자유주의가 우리의 삶과 문화에서 현재성을 제거하는 방식을 학문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재현이 아닌 감각과 감응에 대한 관심을 통해서만 현재성을 복구할 수 있다는 문화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무한도전>등의 사례를 통해 감응 연구가 우리 사회와 문화의 현재성을 복구하는 데 기여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본다. 이론적으로나 개념적으로 아직 정교화되지 않은 감응 연구를 통찰함으로써, 한국의 신자유주의 상황에서 감응 연구가 제시하는 학문적 의미와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다. Since the so-called ‘affective turn’ in the late 1990s, questions of affect, embodiment and emotion have gained increasing currency in recent social theory and cultural criticism. In this paper I explore the general turn to affect studies, particularly the turn to the contemporary cultural and social issues, that has recently taken place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 diverse range of theorists are concerned less with what texts signify than with how they exert an affective impact on audiences and viewers who encounter cultural environments. I first take a genealogical approach to the problems and issues of affective culture and communication that are identified in experiences such as ‘Infinite Challenges’(television entertainment program), ‘How’s it going?’ poster phenomena, and the public architecture project. Then I suggest to re-engage the problematic of subjectivity by asking what a turn to affect entails within such cultural and social issues.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such an affect explores and restores the endangered contemporariness and present-ness in our society under neoliberalism.

      • KCI등재

        동양과학의 논리

        정우진(Jung woo ji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5 道敎文化硏究 Vol.42 No.-

        전통동양과학은 주변으로 밀려났고, 비루해졌다. 그러나 동양과학은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사용될 수 있고, 기초논리는 새로운 세계관을 구성하는 자양분으로 쓰일 수 있다. 동양과학의 기초이론은 기라는 존재론과 감응이라는 관계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기의 것들은 감응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유로 묶여졌다. 감응은 본래 삶의 태도로 권장되었으나, 이후 통치술로, 그리고 끝내는 자연관의 논리로 확장되었다. 본고에서는 감응의 기본적 원형을 탐색했다. 감응의 원형을 시간의 리듬에 따르는 감응과 공감과 반감의 감응유형의 둘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본고에서는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두 가지의 논거를 사용했다. 하나는 그레이엄이 음양오행을 분석하면서 사용한 은유와 환유, 계열체와 결합체의 구도가 감응의 두 가지 원형과 부합한다는 점이었다. 둘째는 연단술사들의 단제조과정에 두 가지 감응유형이 들어 있다는 사실이었다. 연단술사들은 자연질서의 모방을 의도했고, 그들의 단제조과정에는 그들이 모방한 자연의 질서가 전제되어있었다. Traditional East Asian science, for instance alchemy, medicine etc., has been down sized. However, East Asian science can be used as various culture contents, and the basic logic can provide the basis for composing new world view. The basic logic of East Asian science consist of the qi ontology and resonance relation. Things of the same qi were interpreted to behave by mysterious resonance. At the first, resonance was a attitude for life. Later, it became widened to a technique for rule, and finally it developed into a relation theory of nature pheonomenon.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re are two original types of resonance: One is in terms of time, the second type is resonance based on sympathy and antipathy. I made use of two evidences to support this argument: First, the interpretation of A.C. Graham on the structure of Yin Yang correspond with the two resonance types that I suggested in this paper; second, the two types of resonance coincide with how the alchemists in ancient china mede elixir.

      • KCI등재

        ≪법원주림(法苑珠林)≫ "육도(六道)" 편(篇) 소고(小考) -감응연(感應緣)의 지괴고사(志怪故事)를 중심으로

        변귀남 ( Kyi Nam Byun ) 영남중국어문학회 2009 중국어문학 Vol.0 No.53

        隋唐時期, 可以說是中國佛敎最爲繁榮鼎盛時期. 著名的玄장法師進行了最爲精深的譯經活動. 律師身分的道世法師也參加了玄장法師的譯經活動, 也許≪法苑珠林≫的編撰근他的譯經活動有着密不可分的關聯性. ≪法苑珠林≫一書是最著名的佛敎類書, 也是≪太平廣記≫出現以前最廣汎的古典小說類書. ≪法苑珠林≫中的小說資料就是一共670則的`感應緣`故事. 雖然不少學者對于`感應緣`故事進行了硏究, 可是仍然沒有取得令人滿意的硏究成果。衆所周知, `六道`就是`六個輪回世界(天上·人間·阿修羅·畜生·餓鬼·地獄)`的意思, 所謂`感應緣`也是有關因果應報的故事. 比如說`六道篇`的敍述結構有兩個部分, 前半部有`述意部`·`會名部`·`受苦部`·`業因部`等有關佛敎敎理部分, 後半部卽感應故事, 是從≪搜神記≫·≪冥報記≫等取材的民間故事. 從而各篇後半部的感應緣故事, 可以說一種文化自信感的表現. 雖然在感應故事中也有少數的印度佛經故事, 可是許多故事一般都採用中國民間故事. 我們可以說≪法苑珠林≫的藝術成就如下; 其一, `天部`中的某一些故事, 比如<史世光>·<釋曇鸞>等, 敍述再生天界的幾個人. 這樣的天上觀念大槪反映中國佛敎中的淨土往生觀念. 其二, `阿修羅部`中的故事都反映印度民間信仰中的神魔觀念. `大頭仙人故事`也許是影響到後代的長篇小說≪西遊記≫中的孫悟空故事, 卽釋迦牟尼佛施展法術將孫悟空壓在五行山下. 其三, `鬼部`·`地獄部`中出現的死後世界(或者陰森的地獄場景)可以說是民間故事的死後觀念和佛經的地獄觀念相結合起來的. 這樣的冥界觀念也許影響到後代文言志怪小說中的死後觀念.

      • KCI등재후보

        생성론적 관점으로 보는 한국춤의 역사적 전개: 최한기의 기론(氣論)을 중심으로

        강주미 영남춤학회 2020 영남춤학회誌 Vol.8 No.3

        This article is a preliminary study to approach the history of Korean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generative theory. The generative perspective is to think from a fundamental perspective on what has created and transformed the historical flow of Korean dance. A Silhak scholar Choi Han-gi's 'Gi' theory can be a major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Korean dance as resonance. When looking at dance as a generative theory, Korean dance is the desire of 'resonance'. There is a desire for natural unity to harmonize with the world. Originally, Korean dance was a resonating dance with ‘living’. From the stylistic beauty of 'Dengsil Dengsil' and'Nerul Nerul', which appear in Korean dance movements, we can feel the unique worldview of Korea such as 'vertical-horizontal resonance' and'vertical resonance'. Korean dance was developed while maintaining a'tilt balance' due to the entangle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resonance. This aspect can be well understood by looking at the transition process of “Cheo Yong Mu”. Then, in the period of the modern dance, the resonance declined and it was narrowed down to 'dance to see'. As with the change in the history of art style, if the resonance of Korean dance is also experiencing repeated ups and downs, then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era of nature-friendly stability and the dance of sensational impulse will come back again. 통상적으로 한국춤의 분류는 연행 주체, 연행장소, 연행의미 등으로 구획되었다. 그러나 이 글은 춤의 본성을 담지하는 미적 초점화에 따른 운화론적 분류를 시도하고자 하는데, 춤은 고착된 사건이 아니라 ‘변화’와 ‘과정’이라는 순환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being)’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한국춤에 내재한 감응의 성질이다. 따라서 ‘춤이란 무엇인가’라는 존재론적 질문을 넘어 춤은 어떻게 추어져야 하는가에 관한 실존적 질문을 던지는 것이 이 연구의 접근 방식으로서의 ‘생성론적 관점’이며 그 해답으로서 ‘감응 원리로서의 춤’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한국춤의 역사를 생성론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한 시론적 성격의 연구이다. 실학자 최한기의 기론은 감응으로서의 한국춤을 이해하는 주요한 방법론이다. 춤의 생성론적 입장에서 볼 때 한국춤은 ‘감응’의 욕구이며 세계와 함께 어우러지려는 자연합일의 욕구가 내포된, ‘생기’가 살아 있던 감응의 춤이었다. 이 글은 ‘감응지향성’이 한국춤의 형태미와 어떻게 닿아 있는지에 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춤사위의 미학을 나타내는 채희완의 개념인 ‘덩실덩실’, ‘너울너울’ 등의 양식적 형태미로부터 ‘수직-수평감응’, ‘수직감응’ 등 감응지향성을 안고 있는 우리 고유의 감응적 세계관을 논의한다. 한국춤은 ‘감응지향성’의 얽힘 현상을 유지하면서 나아왔다. 이러한 양상은 처용무의 변천 과정을 통해 특히 잘 드러난다. 그러나 근대 춤 시기에 이르러 감응이 위축되어 ‘보여주는 춤’으로 전화되었다. 최한기는 경험(經驗)의 변통(變通)을 통해 추측(推測)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 글은 감응의 한국춤 역사가 안겨준 경험의 흐름을 통해 미래 시대의 춤 양상을 추측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고한다. 만약 보링거가 말하는 예술의 양식사적 변천처럼 한국춤의 감응 역시 반복적 부침을 겪는 것이라면, 이후에는 다시 자연 친화적인 안정의 시대, 감응 충동의 춤 시대가 돌아올 것이라고 예측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과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탐색

        정윤경 ( Chung¸ Yunk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4

        본 연구는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교육학이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수용하여 포스트휴먼 감응교육(posthuman affect education)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낯선 질문을 통해 포스트휴먼의 조건과 포스트휴머니즘의 대두를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의 필요성과 가능성, 그리고 포스트휴먼교육학적 시도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포스트휴먼 감수성의 필요성과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의 의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으로의 변화를 탐색하고,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실현을 위한 조건을 논의하였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이 만나 일어난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Deleuze의 사유에 기초한 ‘감응’(affect)개념을 결합하여 구성한 개념이다. 요컨대,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포스트휴먼 조건이 야기한 차이와 다양성, 이질성과 상호교차성 등의 변화에 섬세하게 반응하며 교육을 새롭게 바라보고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잠재적 교육 가능성을 조망하기 위한 것이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첫째, 지속적 되기와 상호관계성 교육으로 고립된 실체로서 개인의 번영을 강조한 발달주의 교육 너머의 교육을 보여준다. 둘째, 사물(장치)의 능동적 역할을 고려함으로써 학습자와 교수-학습 활동의 의미를 확장한다. 셋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사물(기술)의 능동성을 고려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술의 변화와 사물(장치)의 행위성이 가져올,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잠재적 결과에 대해서도 감응케 한다. 따라서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관계’에서 다시 비판적 성찰을 요청한다. 넷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비의도적 우연성 교육의 가능성을 인정함으로써, 보편적이고 표준화된 이론에 포착되지 않는, 교육의 복합성과 다양성에 감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제한된 변수들의 인과관계로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자신감 대신, 교육이 변용 과정에서 낯설고 이질적인 다양성을 만나 새로움을 창안해갈 것을 제안한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실현을 위해서는 열린 휴머니즘과 규범의 지향, 상호관계성 안의 생명과 지속가능성 추구, 지속적 되기 과정에서 관계항에 대한 책임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the recep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and to explore posthuman affect education. To this end, Chapter II examines posthuman conditions and the emergence of posthumanism by raising unfamiliar questions; Chapter III examines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Based on this, Chapter Ⅳ discusses the necessity of posthuman sensitivity, the meaning of posthuman affect education, and the changes having made in education toward posthuman affect education. Furthermore, it discusses the conditions necessary to realize a posthuman affect education. ‘Posthuman affect education’ refers to education that responds to changes triggered by posthuman conditions. The concept of ‘affect’ based on Gilles Deleuze's thoughts is effective in explaining the connections with unfamiliar beings and variations in the continuing process of becoming. Posthuman affect education, first of all, reveals becoming and interrelated education, overcoming developmentalism that emphasizes the prosperity of an individual subject as an isolated entity. Second, by considering the active role of objects(devices), meanings of learner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re to be extended. Third, while posthuman affect education takes into account the activeness of things(technology), it also allows us to affect to potential consequences that are yet to be realized. Therefore, posthuman affect education calls again for critical reflection on ‘interrelationships.’ Fourth, by acknowledging the possibility of unintentional accidental education, posthuman affect education presents possibilities to respond to the complexity of and diversity in education, which can hardly be captured by universal and standardized theories. Finally, posthuman affect education, instead of presenting the confidence that education can be explained in a causal relationship with limited variables, suggests that education be dedicated in creating something new in the process of becoming by encountering the unfamiliar and heterogeneous diversities.

      • KCI등재후보

        감응(感應)·감발미학(感發美學)에 나타난 윤리성(倫理性) 연구 - `상(象)`자(字)에 나타난 미적인식(美的認識)을 중심으로 -

        조민환 ( Jo Minhw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7 No.-

        동양철학에서의 감응론은 인간과 인간은 물론 자연,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관계성을 말해준다. 이런 감응론은 천인합일, 천지만물일체사상 에서 출발한다. 감응론과 관련된 氣化論的 우주론은 陰陽의 관계에 주로 나타난다. 즉 음과 양의 변화에 의한 천지자연의 변화는 음과 양의 교접과 감응에 의해 일어난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자연현상과 인간의 삶에서는 “부류로 서로를 좇고(以類相從)”, “같은 기로 서로를 구하고(同氣相求)”, “같은 소리로 서로 응한다(同聲相應)” 라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감응론은 인간의 마음이 사물과 접하는 상황에서는 감발론으로 나타난다. 이같은 감응론과 감발론에서 항상 문제삼는 것은 감응하기 이전, 감발하기 이전의 마음 상태를 문제 삼는다. 먼저 寂然不動이나 無思無慮, 未發之中의 靜을 요구하고, 아울러 已發했을 때의 긍정적 측면과 관련해 未發에서의 善의 상태도 요구한다. 이런 사유를 통해 제시된 감응론과 감발론은 윤리적 감발론에 해당한다. 천지자연에 대한 감응과 감발의 결과는 象字로 요약된다. 이른바 『주역』의 觀物取象과 立象盡意가 그것이다. 동양예술은 이같은 상자에 대한 미적 인식에서 출발하는데, 실제 예술창작과 관련될 때는 작가가 이 象을 체득하고 그 체득한 것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을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천지대자연의 도 리, 이치가 담겨 있는 象에 대한 체득의 방법으로 味象, 神遇, 心悟할 것을 제시한다. 즉 象을 통한 인간과 자연의 합일인 心物交融, 情景融合을 요구하고 이런 점은 감응미학의 핵심이 되는데, 그것에는 예술창작자의 윤리적 마음가짐이 요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entence theory tells the organic relation of nature, human and nature as well as human being and human being. This kind of sentence theory starts from the idea of all-unity, all-inclusive. Evolutionary cosmology in sentence theory is mainly related to Yin - Yang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change of natural and physical phenomena caused by the changes of yin and yang are caused by the contact and response of yin and yang. Specifically, in natural phenomena and human life, they "follow each other in a class," "save one another in the same way," and "respond to each other with the same voice." First, it demands the quietness of not moving, thinking, not thinking, being in the middle of not yet working. It also requires a state of good when it has not yet worked in rela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being exposed and working. The view on this feeling is a theory about the feelings of an ethical dimension. The result of the response to nature and nature is summarized in form. That is, to look at the object of the so-called "protagonist" and to take the form, and to do the intention to say the figure. Starting from this reason, in the creation of actual art, the artist needs to acquire this figure and express it beautifully. In addition, it tries to taste the form of the way of learning about the image of the nature and the nature contained in the nature of the heaven and earth, and to realize it with the mind. In other words, it requires the unity of man and nature through the image, which is expressed specifically as a fusion of mind and object. The fusion of mind and object starts from the framework of the unity of man and all things.

      • KCI등재

        중국 고대 感應觀의 형성 - 주요 개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희정(Kim Hee-Jeong)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6

          Chinese world-view is the correlative cosmology. The Cosmic resonance(ganying) is a central concept of chinese cosmology.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interpret the making of Idea of cosmic resonance in ancient China.<BR>  The Idea of Resonance was stemmed from various sources that are characteristics of chinese language, images of wind, music and qi(氣)-monism etc. They have common distinctive features, invisible and relational reality. This thought does not attempt to apply it self to the domain of motion and quantity. Each entities possess an indefinite power of evocation. Then All things in the universe which belongs to the same classes resonated with each other and musical harmony was regarded as the basic principle of a spontaneous and organic world-order.<BR>  From late warring states to early Han, this idea have been interwoven with various patterns of cosmological thoughts, view of history and religious practices. Among them, there are various thoughts focused on the Great one(太一), the deep implications of wind, yin-yang(陰陽), five phases(五行), and self-cultivation etc. Heguanzi(?冠子), Lushichunqiu(呂氏春秋), Huainanzi(淮南子) Chunqiufanlu(春秋繁露), and Huangdineijing(黃帝內經) represent the integration processes of these thoughts in this period.<BR>  Therefore in this constant resonant world, it is important to self-cultivation and aesthetic feeling rather than theology and substantial reason. Chinese world-view based upon the comprehensive harmonization of the divine nature, state and human body in the cosmic resonance of vital forces called qi. In our severely fragmented modern worl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cosmic resonance is required for the sound restoration of a holistic world-view.   중국적 세계관을 상관적 우주론이라고 한다. 感應은 중국우주론의 핵심개념이다. 본 논문은 중국고대 감응관의 형성을 自然, 氣, 몸, 음악, 역사 등 주요 개념과의 관계를 통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응관념은 중국어의 성격, 風의 이미지, 음악, 氣일원론 등 다양한 사상이 융합해 형성되었다. 이들은 모두 비가시적이며 관계적 실재라는 공통성이 있다. 이는 운동과 양이 지배하는 기계론적 세계관과는 거리가 있어서 각각의 실재는 무한한 환기의 힘을 소유하고 있다. 그리고 세계 안에 있는 모든 사물은 같은 부류끼리 서로 반응하고 움직인다. 음악의 조화는 이러한 자발적이며 유가적인 세계질서의 근본원리로 여겨졌다. 戰國시대 말에서 漢代 초기까지 이러한 관념은 다양한 우주론적 개념과 역사관 및 종교적 실천, 즉 太一, 陰陽, 五行, 修養, 風의 관념 등과 결합했다. 『?冠子』, 『呂氏春秋』, 『淮南子』, 『春秋繁露』, 『黃帝內經』 등 儒家와 道家 및 醫家를 막론하고 이 시대 많은 문헌 안에 이런 사상의 통합 양상이 드러났다. 그러므로, 이러한 감응의 세계 안에서는 신학이나 실체적인 이성 보다는 修養과 심미적 느낌이 중요시 된다. 중국적 세계관은 이러한 氣의 우주적 감응의 장 안에서 자연과 국가 및 인간 몸이 포괄적으로 조화하는 것에 근거하는 것이다. 심각하게 찢겨진 현대세계 안에서 전일적인 세계관의 회복을 위해 감응에 대한 깊은 이해가 요청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