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경북 지역의 중국어문학 연구사 -1945년에서 현재까지-

        안중원 영남중국어문학회 2003 중국어문학 Vol.0 No.41

        大邱·慶北的中國語文學硏究從該地方的大學設立中文系的時候開始了. 從前爲補充韓國文學硏究了中國文學, 以韓中比較文學爲主. 大邱·慶北的初期硏究家絶對多數是漢城大學畢業的人或者臺灣留學生. 근他們的學風不一樣的他們弟子也不少, 我們試一試探究新硏究方法, 흔多硏究小說, 戱曲和現代文學. 制度圈以前的時期中國語文學硏究的成就非常少而以古典小說, 韓中比較文學, 古典詩和詩論爲主. 制度圈以後80年代是中國語文學的`發展期`的, 大邱·慶北的主要大學開設中文系, 硏究家就激增了. 那時候成立了以嶺南爲中心的嶺南中國語文學會, 發刊學會誌《中國語文學》, 提高了學問力量. 90年代與中國建交, 對中國語學, 文化和歷史的需要增加了. 2000年以後硏究中國文學的目的和敎古典文學的苦惱讓大邱·慶北的硏究家探索新硏究方法. 大邱·慶北的硏究家最關心的硏究部分是古典文學的, 對現代文學, 古代語學和現代語學的關心差不多. 制度圈以前大邱·慶北的韓國文學者中的代表學者就是徐首生的, 他的中國文學論文大部分是對中國詩歌的. 他爲韓國漢文學硏究了中國文學. 制度圈前後過渡期的代表學者就是徐鏡普的. 他1976年開設嶺南大學的中文系, 他的詞硏究讓韓國漢文學者引起對詞的注意. 他也創立了嶺南中國語文學會, 現在那個學會已經發展成爲全國規模. 李徽敎就是制度圈的初期硏究家, 以《詩品》硏究爲主, 主張了在學問硏究上最重要的基礎就是正確理解句子的, 他的主張在大邱·慶北的中文學界上有흔大影響.

      • KCI등재

        논문(論文) : 大學(대학)의 부설기관(附設機關)이 운영(運營)하는 중국어(中國語) 방과 후 교실 운영(運營)에 관한 연구(硏究) -인제대학교(仁濟大學校) 김해(金海) 중국어교육(中國語敎育)센터 사례(事例)를 중심(中心)으로-

        박종연 영남중국어문학회 2013 중국어문학 Vol.0 No.64

        本文結合仁濟大學"金海中國語敎育中心"的實踐活動,考察和分析了金海地區小學放學後漢語敎育的現狀,騈探討了我們大學在金海地區的放學後漢語敎育中所應起的作用。隨着中國國際社會地位的提高,韓國的對外漢語敎學也逐漸受到重視,尤其是在公共敎育機關以小學生爲對象的放學後漢語敎育正在蓬勃發展。針對這一新課題的硏究主要是關于小學生放學後漢語敎學法和指導方案(或者是敎學指導方案)的。至於敎材和放學後授課現狀的硏究已經取得初步的成效。2010年1月28日,仁濟大學"金海中國語敎育中心"正式成立,本中心以金海市財政和金海市敎育廳的鼎力援助爲基礎,以南京大學和華中師範大學對外漢語專業的中國硏究生作爲主要師資力量,直接在金海地區的小學中開展放學後漢語敎學。本文通過問卷調査的形式,對金海地區的小學生放學後漢語課堂進行了初步的調察和分析,了解了漢語敎學的基本現狀,騈在此基礎上提出了有效的解決方案。騈且就放學後漢語敎學大學應以何種方式參與以及如何起到引導作用等問題提出了可行性建議。

      • KCI등재

        한어화한국어동사정어시제적비교(漢語和韓國語動詞定語時制的比較)

        이철근,손경옥,방향 영남중국어문학회 2000 중국어문학 Vol.36 No.1

        본 논문은 중국어와 한국어 동사 정어의 시제의미, 유형 및 시제표현 수단에 대하여 상세한 대조 분석을 하였다. 주요 관점은 다음과 같다. 1. 중국어와 한국어 동사 정어의 시제는 모두 상대적 시제이고 시점은 문장 술어동사의 동작 발생시간이다. 이 시점은 때로 말하는 시간과 일치한다. 2. 한국어와 중국어 동사 정어의 시제 종류는 다르며, 서로 다른 시제를 나타내는 수단도 다르다. 한국어 동사가 정어가 되려면 각각 다른 시제 어미를 가져야 하는 반면, 중국어에서 서로 다른 시제를 나타내고자 할 경우 어휘수단과 어법수단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사의 零形式을 쓸 수도 있다. 3. 한국어 동사 정어의 미래시제는 중국어 동사 정어의 後時制와 대체로 일치한다. 한국어동사 정어의 현재시제가 나타내는 시제 의미는 중국어 동사 정어의 同時制가 나타내는 시제만큼 범위가 넓지 못하며, 한국어 동사 정어의 과거시제와 과거지속 및 과거완성시제는 대부분 중국어 동사 정어 중의 前時制에 상당한다. 그러나 과거시제와 과거지속시제 중의 일부분은 同時制와 부합한다. 4. 중국어 동사 정어 뒤에 오는 $quot;了$quot;, $quot;着$quot;, $quot;過$quot;는 상대적 시제를 나타낸다는 측면에서 한국어 정어의 시제 어미와 상당히 비슷한 점이 있다. 그러나 언어 유형상의 차이로 인하여 그들 각각과 부합하는 한국어 정어의 시제 어미는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quot;了$quot;, $quot;着$quot;, $quot;過$quot;는 뚜렷한 시간 표지로서 동사 정어 뒤에 쓰여 그 동사의 상대적 시간 특징을 확정한다. 이렇게 $quot;了$quot;, $quot;着$quot;, $quot;過$quot;가 동사 정어의 상대적 시제 의미의 형식화된 어법 표지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중국어 어법이 정밀화를 향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중국어학 개론 》

        정인숙(In Sook Chung) 영남중국어문학회 1987 중국어문학 Vol.13 No.1

        국내에 지금까지 출판된 본격적인 중국어학 개론서로는 《중국언어학개론》^(1)) 《중국언어학사》^(2)) 《중국어학입문》^(3)) 등 단 몇가지 뿐이다. 이 가운데 《중국언어학개론》만이 저술본이고, 나머지는 번역본이다. 중국과 한국의 문화교류가 2천년 가량의 긴 세월임에 비해 지극히 저축이 적은 분야이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 본토도 마찬가지다. 어음학·문자학·문법학으로 각각 독립된 개론서는 꽤 있지만, 이 세 분야가 통합된 것은 최근에 나온 王力의 《中國語言學史》 밖에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 어음·문자·문법의 3대분야를 갖춘 《중국어학개론》이 탄생했으니, 학계에 실로 고마운 일이다. 본서는 공재석 님과 이재돈 님의 공저다. 공선생님은 고려대 중문과에서 연구하며, 《한어음운학》 《현대중국어 어법》등의 책을 이미 내셨다. 이선생님은 전북대 중문과에서 연구하고 있다. 본서는 아래와 같이 크게 다섯 장으로 구분된다. 제1장 총론 제2장 어음편 제3장 사 제4장 문자편 제5장 문법총론 제1장은 총론으로, 중국어학의 분야·방언의 종류·북경어가 표준어로 성립된 이유·현대중국어의 특징 등이 설명되었다. 제2장은 어음편으로, 보음과 원음·원음과 운모·성조·표음부호의 종류·사호(四呼)·조류(調類)와 조치(調値)·중국어의 변별자질·어음의 변화 등이 설명되었다. 어음학은 자칫 독자에게 기호와 용어에 대한 공포를 주기 쉽다. 그러나 본서는 보편적인 기호와 쉬운 용어를 택했으며 한자를 피함으로써 독자에게 접근용기를 주고 있다. 또 현대중국어음을 중심으로 전개하여, 독자가 학문의 현실감을 갖도록 하였다. 지면과 방통 교재라는 제약 때문인 듯 하나, 중국어학 가운데 가장 오래 꾸준히 연구된 부분이 어음학임을 고려할 때, 중세와 고대음 연구의 입구를 어느 정도 제시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제3장은 사론으로, 사(詞)와 자(字)의 구별·사형(詞形)·사음(詞音)·사의(詞義) 등을 설명하였다. 이 장은 제5장의 내용과 더러 중복되어 있다. 더우기 일반적으로 사론은 문법범주에서 다룸을 고려해서 〈제5장 문법총론〉에 귀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장은 문자편으로, 한자의 분류·육서(六書)·갑골문에서 간체자(簡體字)에 이르기까지 각종 자체(字體)·자체 통일운동·자소론(字素論) 등이 설명되었다. 인용문의 출전이 각주로 상세히 처리되어 참고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각주기호와 재구음(再構音) 기호가 똑같이 *표를 사용하고 있어 간혹 혼란을 준다. 《설문해자》 등 중요한 원문을 인용할 때 역문이 결여되어 초보자는 핵심을 놓치고 건둥건둥 읽을 우려가 있다. 각종 자체(字體)를 소개함은 문자의 형태를 이해시키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실물 도판을 곁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장은 문법총론으로, 사법(詞法)·구법(句法)·사류론(詞類論)·구론(句論) 등이 설명되었으며, 현대중국문법만을 다루었다. 사법과 사류론, 그리고 구법과 구론은 요약과 재해설의 차이임으로 산만감의 배제를 위해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서는 얼굴 없는 학우들을 이해시키기 위해 친절하게 쓰여졌다. 바로 이점 때문에 장차 많은 일반 학우들에 의해 참고서로 채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금상첨화를 바라는 마음에서 몇가지 희망사항을 추려보면 아래와 같다. ① 중세와 고대어음 연구의 입구를 소개한다. ② 문자편에 과다히 사용된 한문과 옛말투를 줄인다. ③ 최소한의 실물 도판을 실어 문자형체의 이해에 사실감을 준다. ④ 각 장의 제목 가운데 어떤 것은 론(제1장 총론·제5장 문법총론), 어떤 것은 편(제2장 어음편·제4장 문자편), 또 어떤 것은 아무 단위도 첨가되지 않았다(제3장 사). 독자들이 각 장의 비중을 혼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균등하게 통일한다. ⑤ 현대문법 다음 단계로 고문법을 어떻게 할것인가 그 방향을 잠깐 제시해 준다. ⑥ 중국어학에 필요한 참고서를 부록으로 싣는다.

      • KCI등재

        현대중국어(現代中國語) 부정형(否定型) 축약어(縮略語) 특징(特徵) 고찰(考察)

        최중식 영남중국어문학회 2010 중국어문학 Vol.0 No.55

        在≪現代漢語詞典≫收錄的詞彙中「否定語素+X(肯定單位)」格式, 有的被認爲一個詞, 有的被認爲一個短語。筆者對此硏究的成果表明, 「否定語素+X(肯定單位)」格式是和肯定單位具有反義關系的否定式反義語。而且在≪現代漢語詞典≫收錄的否定式反義語絶大都是雙音節形式。因此在現代漢語裏被認爲詞或短語的三音節「否定語素+X(肯定單位)」格式, 在長期的運用過程中, 受到漢語雙音化規律制約, 從雙音節肯定單位的構成成分中選取其中一個, 병在被選取的構成成分之前形成與原格式相同的否定語素相結合的「否定語素+X」式雙音節詞。本文認爲該式雙音節詞與原來三音節「否定語素+X(肯定單位)」結構表義相同, 是由三音節原式縮成的雙音節否定型縮略語。在此爲基礎上, 對否定型縮略語的組成方式及中心組成成分選取規律進一步展開深入硏究, 揭示了現代漢語裏否定型縮略語存在的可能性, 與此同時通過問卷調査, 細致分析在實際語言交際上否定型縮略語使用情況。通過該硏究, 希望漢語學習者更容易了解漢語詞彙否定語素組合現象, 以及在漢語語言交際上, 能構運用該否定型縮略語更有效的表達漢語否定句式。這也正是本文的主指所在。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어파 언어 피동문 소고

        박은석 영남중국어문학회 2022 중국어문학 Vol.- No.89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passive sentences of Sinitic languages. As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passive sentence, the passive implementation method, the predicate, the subject, the agent, and the passive semantic elements were analyzed. As a passive implementation method of Sinitic languages, there are word order, preposition, and patient particle. Most Sinitic languages ​​use word order and preposition to express the meaning of passive, and there is one language ​​that use word order and patient particle. Transitive verbs and dynamic verbs are generally used as predicates in passive sentences, showing the appearance of canonical passive predicates. The subject usually has the role of an patient, appears at the beginning of a sentence, and is a definite noun in passive sentences, showing the appearance of canonical passive subject. Agents are generally manifest, semantically ‘agent’, ‘human’ agents, and definite noun (or pronoun) in passive sentences, and all were downgraded from core argument to non-core argument. Therefore, in general, they show the appearance of canonical passive agent. Regarding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passive, passive sentences in Sinitic languages mainly expressed the adversative meaning.

      • KCI등재

        논문(論文) :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중국어(中國語) 교재(敎材)에서 나타나는 “시제(時制)”와 “상(相)”에 관한 인식 연구

        신미섭 영남중국어문학회 2013 중국어문학 Vol.0 No.62

        對外國人來說,漢語的時間語法範疇是흔難理解的。作爲從事漢語敎學工作者,總是要考慮즘樣敎好學生時間範疇問題。本文主要硏究考察日帝强占時期漢語敎材的編者們對時間語法範疇持有的一般認識。詳細內容如下: 首先,≪漢語獨學≫一書,把動詞分成‘現在’、‘過去’、‘經過事’、‘未來’、‘未來推量’ 等,幷擧例說明具體的意義。與≪漢語獨學≫相同,≪支那語大海≫一本裏也使用了‘現在’、‘過去’、‘未來’、‘未來推量’等語法槪念,幷且擧出相同的例子加以說明,但在≪漢語獨學≫一書中,屬于‘經過事’的“過”被說成‘過去’時態,而且已經不再使用‘經過事’的槪念。≪漢語大成≫中,時間語法範疇是非常簡單,而흔片面,此書通過簡單的語法說明,體現了一些對‘時體’的認識。≪支那語集成≫一書中,包含了比較完整的時體槪念,該書詳細說明了‘了’、‘著’、‘過’、‘來著’ 等的槪念,尤其是著者把‘了’歸結成“完了”和“終止”的標志,這就說明著者已經有了“體”的槪念,而且認識到了‘了’不再有‘過去’的含義。雖然日帝强占時期漢語敎材中對時間語法範疇的認識比較單純、片面,但是著者們已經開始考慮到漢語的時體槪念,幷在初級漢語會話書中附有說明和闡述。日帝强占時期是屬于傳統文法時期,所以著者們普遍認爲漢語有現在、過去、未來等三個時態,而且他們還承認除了“時”以外,還有“體”的槪念。雖然他們還分不淸兩者的區別,但是與當時中國、韓國、日本等國的語法硏究情況相比,可謂非同小可。

      • KCI등재
      • KCI등재

        關于敎養漢語課的一些思考

        원춘옥 ( Chun Yu Yuan ) 영남중국어문학회 2009 중국어문학 Vol.0 No.53

        한국대학에서의 교양중국어교육과 중국어에서의 대외한어교육은 모두 제2외국어교육에 속하지만 언어환경, 교육정책, 학습목적, 강사 등 여러 요인에 의하여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중국에서는 대외한어교육연구에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이를 한국의 교양중국어교육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운 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대학에서의 교양중국어교육과 중국어에서의 대외한어교육의 다른 점을 찾아보고 이를 기초로 교양중국어교육 및 교양중국어교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점과 해결책을 모색해보는 노력을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