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교육의 성과 측정을 위한 평가요소 개발

        박정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critical elements for a nursing education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 The procedure include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generation of initial items,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by experts, selection of secondary items, pre-test to confirm important degree of preliminary items and extraction of final items. Results : 26 critical items were selected for final stage and categorized into seven factors; problem solving, globalization, management, advanced competency, profession & ethics, fundamental competency and critical thinking. The reliability was 0.786 of Cronbach's alpha. Conclusion : This nursing education performance items of this study were demonstrated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It can be used to evaluate nursing education performance and to reform curriculum.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일환인 간호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전반적으로 육성해야 하는 능력, 즉 포괄적인 간호교육의 성과를 확인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요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간호교육기관의 교육목표분석, 간호교육과 일반적인 대학교육의 성과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그리고 임상간호현장 전문가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문제해결능력, 글로벌 역량, 관리능력, 발전된 능력, 전문성과 윤리, 기본능력, 비판적 사고력의 7개 영역, 26개 평가요소가 개발되었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특별히 학생들의 간호지식, 인성, 윤리의식, 간호전문직업관, 간호기술을 육성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포괄적인 간호교육 성과평가요소는 대학교육 전반에 걸쳐 학생들에게 육성해야 할 다측면적 관점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향후 교육기관들이 간호교육과정을 수립하고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핵심간호술기 교육에 대한 인지 및 교육 요구도

        이윤복,김연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o investigate hospital nurses’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of Core Basic Nursing Skill Education in this study, mixed methods research has been implemented by using bo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pplied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ith questionnaires at the same time. Above all, in-depth interview has been given to fifteen participants wit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 order to learn new nurses’ awareness of education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and data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using a method suggested by Colaizzi (1978) among other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the standard procedure. As a result of interview data analysis, 20 theme-clusters and 6 categories have been drawn from 119 meaning formations. The six categories included “Existence of sense of difference from clinical field”, “Importance of first-hand training experience”, “High/low utilization”, “Regretfulness of not being prepared due to a lack of education”, “Advancement of core skill education” and “Value of core skills realized in clinical field.”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implemented to enrich the resul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512 hospital nurses have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the items of nursing skills required for new nurses have been investigated. The result shows that defibrillator instructions (16.60%) was the most chosen item that the nursing students regarded as needs for education followed by common use of respirator (14.06%), use of infusion pump (13.28%), use of electrocardiogram (ECG; 13.28%), etc. in the order listed, which would suggest demand for education of use of medical equipment was relatively high. It is, therefore, expected the study result would be usefully applied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nursing education strategies by promot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new nurses’ experi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 education and providing baseline data to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lead the way forward for the future.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기 교육에 대한 인지 및 교육요구도 조사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와 질문지를 활용한 양적 연구를 동시에 시행한 혼합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우선 신규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기 교육에 대한 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참여자 15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Colaizzi(1978)가 제시한 방법으로 분석 절차에 맞게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면담자료 분석결과 119개의 의미구성으로부터 20개의 주제묶음, 6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6개의 범주는 ‘임상 현장과의 괴리감의 존재’, ‘몸으로 경험한 훈련의 중요성’, ‘활용도의 높고 낮음‘, ’교육의 부재로 준비되지 못한 아쉬움‘, ’핵심술기 교육의 도약‘, ’임상에서 발견한 핵심술기의 가치‘으로 도출되었다. 질적 연구 결과를 풍성하게 하기 위해 시행된 양적 연구는 임상 간호사 5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신규간호사에게 필요하다고 요구되는 기본간호술 교육의 항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육의 필요성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항목은 제세동기 사용법(16.60%)이고 그 다음으로는 인공호흡기 상용(14.06%)에 관한 내용이었고 Infusion Pump 사용(13.28%), 심전도 사용(13.28%) 등의 순으로 대부분 장비 사용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신규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에 대한 경험의 이해를 높이고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의 질 향상과 앞으로의 방향 설정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서 효과적인 간호교육전략을 마련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비대면 지역사회간호학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의 가족 보건교육 수행 경험

        조은실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in performing family health education as part of the non-face-to-face community nursing practice. Methods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analyzing the practical reflection journals written by the participants. The study participants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among third-year students who completed non-face-to-face community nursing practice at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a university in Jeollabuk-do from June 8 to July 17, 2020 and wrote a reflection journal. There are 26 peop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Colaizzi. Results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performing family health education was derived from 13 themes and 5 theme clusters. The five thema clusters are ‘Time for warm-hearted understanding’, ‘Not easy preparation process’, ‘Taste of educational achievement’, ‘Greater health education competency’, and ‘Being a community nurse’.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nursing students had a warm-hearted understanding with their family through family health education, experienced a sense of educational achievement through a difficult preparation process, increased health education competency, and had a positive experience of growing up as a community nurse.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family health education will be actively applied in the field of community nursing education in the future.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지역사회간호학실습의 일환으로 실시된 가족 보건교육 수행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경험을 탐색하고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참여자들이 작성한 실습 성찰일지를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2020년 6월 8일부터 7월 17일까지 전라북도 소재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에서 비대면 지역사회간호학실습을 이수하고 성찰일지를 작성한 3학년 학생 중 본 연구의 목적을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26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가 제시한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가족 보건교육 수행 경험은 13개의 주제와 5개의 주제모음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5개의 주제모음은‘따뜻한 이해의 시간’, ‘쉽지 않은 준비 과정’, ‘교육적 성취감을 맛봄’, ‘보건교육 역량의 증대’, ‘지역사회간호사 되어가기’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은 가족 보건교육 수행을 통하여, 가족과 따뜻한 이해의 시간을 가졌으며 쉽지 않은 준비과정을 거쳐교육적인 성취감을 맛보고 보건교육 역량이 증대되었으며 지역사회간호사로 성장하는 긍정적인 경험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지역사회간호 교육 현장에서 가족 보건교육의 활발한 적용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간호학 실습교과목의 간호역량, 실습교육방법, 교수법 관련 문헌고찰

        정은숙(Eun Sook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간호학 실습교과목은 학생들이 간호역량을 키우고 학습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교육방법, 교수법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를 문헌고찰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방법 국내 논문을 RISS에서 17편, DBpia에서 9편, KISS에서 54편을 검색하였다. 그리하여 총 80편이었다. 먼저 서지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14편의 중복논문을 제외하였다. 66편의 논문들은 제목과 초록을 확인하여, 전혀 관련성 없는 타 분야의 논문 27편을 제외하고 39편 논문의 전문을 출력하여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하지 않은 논문 1편을 제외하고 최종 38편을 문헌고찰을 위한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문헌고찰 한 결과 간호역량은 17가지로 확인되었고, 가장 많이 나타난 빈도는 ① 의사소통능력, ② 임상수행능력, ③ 문제해결능력, ④자기주도학습, ⑤ 비판적사고, ⑥ 자기 효능감, ⑦ 자신감, ⑧ 임상추론역량, ⑨ 간호태도, ⑩ 자기조절, ⑪ 전문직관, ⑫ 리더십, ⑬ 환자중심 간호, ⑭ 정보활용능력, ⑮ 생명존중, ⑯ 간호연구, ⑰간호지식 순이었다. 실습교과목의 교육방법을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은 대부분 시뮬레이션 교육 62.2%, 온라인실습, 융합실습(온라인과 교내실습)으로 각각 2.7%씩 이루어지고 있었다. 실습교과목의 교수법은 블렌디드 러닝,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 활용, 플립디드 러닝, 액션 러닝, 고충실도 시뮬레이터 활용, 팀기반 학습 적용과 문제중심 학습, 역할극을 적용 한 교수법 등 성과기반 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수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실습교과목은 간호역량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실습교육방법과 교수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간호교육인증평가 4주기 이전 간호학 실습교과목의 간호역량과 교육방법과 교수법을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겠다. 한편 4주기 간호교육인증평가를 기점으로 평가원에서 새로 제시한 간호범주, 간호역량을 반영한 실습교과목 운영에 대한 성과평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라며, 실습교과목은 간호역량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적용한 구체적인 실습내용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Objectives Nursing practicum has used various teaching methods to enable nursing students to build their nursing competencies. This review summarized the definition of nursing competencies, teaching modes of delivery, and teaching methods that were commonly used in clinical practicum in South Korea. Methods The initial search resulted in 17 articles in RISS, nine in DBpia, and 54 in KISS. Following the removal of duplicates, 14 articles were excluded. Next, the title and abstract of 66 studies were reviewed against our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39 studies remained for the full-text review. Following these steps, 37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literature review. Results Nursing competencies were measured using 17 concepts in clinical practicum. Of these 17 concepts, the most common concept used to evaluate nursing competency in clinical training was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practice, followed by clinical performance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self-discipline in learning, critical thinking skills, self-efficacy, and clinical reasoning skills. In terms of teaching modes of delivery in clinical practi-cum, the following modes were commonly used: simulation training, online learning, hybrid learning, and face-to-face training. Regarding teaching methods, high-fidelity simulation, flipped learning, team-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role-playing were commonly used in nursing practicum. Conclusions This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the commonly used concept of nursing competency in clinical practi-cum, teaching modes of delivery, and teaching methods in the existing literature published before the 4th cycle of the Korean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evaluation. Given that a new model of the Korean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was recently launched and new criteria for nursing competency were announced, the current clinical practicum needs to adopt new concepts of nursing competency and revise teaching methods accordingly. Future studies warrant more detailed investigations on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sub-categories of clinical training.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간호교육제도 및 교과과정 비교연구 : 원격교육 및 웹 기반 간호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영숙(Park, Young Suk),전명희(Jun, Myunghee),이준아(Lee, Ju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간호학사편입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 미국의 원격간호교육제도 및 교과과정 현황과 경험사례를 연구하여 원격간호교육 및 웹 기반 고등교육의 발전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관련된 문헌고찰, 문서자료의 수집과 교수자 심층 인터뷰에 기반하여 국립 원격대학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와 미국의 위스콘신 주립대학교 그린베이 원격간호학사과정의 역사 및 조직, 입학제도 및 성과, 교육목적 및 학사 운영, 교과과정, 교수학습 방법의 실제를 파악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두 교육기관은 교과과정의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에서는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정체성과 실무 역량, 이론과 연구, 근거 기반 간호 실무, 리더십, 간호 이슈 등에서 유사성을 보였으며, 문화기반간호, 간호 실무에서의 통합성, 자율적·치료적 간호 중재, 변화 주도자로서의 간호사 역할, 평생 학습자의 책임, 현장실습 운영, 해외지역사회간호실습 등을 강조하는 측면은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간호사를 위한 국내 원격 및 웹 기반 고등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첫째, 간호 실무현장과 밀레니얼 간호사의 요구와 변화를 반영한 특성화된 차세대 원격 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둘째, 졸업 소요 학점 축소, 등록금의 자율화 등 전문직 성인학습자의 특수성·자율성을 존중한 융통성 있는 학사운영정책, 교수 및 학습지원전략과 정보전산운영시스템 지원의 동반이 요구된다. 셋째, 교육 환경 변화에 대비한 효과적인 원격간호교육의 교수학습 모델과 적용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istance higher nursing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N-BSN programs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Wisconsin-Green Bay. The data of literature review, collected docume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tilized. The two univers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number of students, faculties, tuition fees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 But in aspects of the purpose, goal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the identity and competency of professional nurses, theories, research,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leadership, and nursing issues were similar.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erms of emphasis on community practicum or field trip courses, culture-based nursing, integration in nursing practice, autonomous therapeutic nursing interventions, change leader and lifelong learner’s responsibilities. In conclusion, the future of distance higher nursing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es in Korea requires first, development of specialized next-generation distance nursing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the needs and changes of clinical nursing field and millennial nurses, second, flexible academic policies,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strategies that respect the specificity, diversity, flexibility, and autonomy for life long learner accompanied by support of information computing systems. Thir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effective distant nursing education to prepare for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신장이식환자에 대한 개별교육프로그램이 자가간호 지식과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심미경 ( Mi Kyung Sim ),손선영 ( Sun Young So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2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8 No.1

        1. 신장이식환자의 자가간호지식과 자가간호수행 정도 신장이식환자는 수술 후에도 주기적인 치료와 자가간호를 행하지 않는 경우 거부반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생명을 위협하게되므로 수술 후 질병관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갖고 자가간호를 수행하는 것이 절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가 추후관리를 위해 병원을 방문하는 날에 외래에서 개별교육을 실시했으며 이런개별교육은 사전조사 결과를 확인하여 환자의 요구와 지식수준에 맞추어 각자에게 필요한 내용을 교육할 수 있었으므로 지식수준과 자가간호 정도가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국내의 간호현장에서 신장이식환자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교육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지식 및 자가간호 행동변화라는 변수로 확인한 국내의 선행연구가 없어 본 연구와의 직접 비교에는 제한이 따른다. 본 연구와 유사한 연구로 Bae (2005)는 전화상담프로그램으로 신장이식환자의 자가간호를 증진시켰다고 하였으며 Ahn (2000)은 집단교육과 전화상담으로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치료지시 이행지식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켰다고 하였다. 대상자의 자가간호지식은 115점 만점에 90.07점, 100점 만점으로 환산할 경우 78.26점으로 나타나 Kim (1995)의 연구에서 72.97점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신장이식 후 환자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퇴원교육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교육 전 자가간호 지식 점수가 가장 낮은 영역은 거부반응 영역으로 ‘거부반응의 치료법을 알고 있다’, ‘거부반응의 증상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다’의 문항이었고 이것은 Kim (1995)의 연구에서 신장이식환자들이 추후관리에서 중요한 합병증과 신장의 기능이상을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 Yoo (2004)의 연구에서 거부반응에 관한 영역이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영역으로 나타난 것, Lim (2007)의 연구에서 합병증관리와 거부반응 관리 영역에서 환자의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것과 같은 결과이다. 본 연구결과에서 이식이 성공적으로 지속되느냐 실패하느냐의 중요한 문제인 거부반응의 증상에 대한 지식점수가 낮았다는 것과 거부반응 다음으로 중요한 감염예방과 감염의 증상 문항에서 점수가 낮았던 것은 교육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시켜 주는 결과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신장이식자들이 불안과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거부반응과 합병증에 대한 정확한 지식부족이 한 원인이라고 한 Yi (1998)의 연구와도 연관되는 결과로 적극적인 정보제공에 힘써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자가간호 수행정도는 중재 전 80.24점으로 나타나 같은 도구를 사용했던 Bae (2005) 연구의 77.65점, Kim (1995) 연구의 평균 76.37점보다 높게 나타나 최근 간호중재영역으로 환자교육을 중시하는 병원의 추세에 따라 간호교육이 예전보다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1개 병원의 환자에게만 자료수집을 하였으므로 전체 병원으로 확대해석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자가간호수행 영역에 있어 감정조절이나 스트레스관리, 혈압관리, 체중관리와 일상생활 활동의 영역에서 자가간호 이행도가 낮았던 것은 Kim (1995)의 연구에서 감정관리와 스트레스관리, 일상생활 활동 영역에서 치료지시 이행도가 낮았던 것과 같은 결과이다. 신장이식환자의 주요 사망원인인 심혈관질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스트레스관리, 체중조절과 운동처방, 식이관리 등의 적극적인 심혈관질환 예방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시켜주는 결과라 할 것이다. 1980년대 이후에 고형 조직이식(solid organ transplantation) 후의 평균 재원기간이 단축되었고 이로 인해 퇴원 전 환자교육이 이루어지는 기간 역시 불과 며칠로 줄어들었고(Messina, Russell, Ewigman, & Mefrakis, 2000) 이 짧은 기간에 환자와 가족을 퇴원 전에 자가간호를 책임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환자와 환자를 주로 돌보는 가족원은 이식 후 관리의 복잡성에 흔히 압도당하며 중요하게 관리해야 할 사항을 누락하여 이식실패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Randolph & Scholz, 1999). 추후관리를 위해 내원할 때도 충분한 시간의 교육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이식 후 퇴원교육만이 아니라 추후관리를 위해 내원 시 반복적인 개별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본 연구 결과에서도 보여주고 있다. 자가간호지식과 자가간호수행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Kim (1995)의 연구에서 대상자의 지식정도와 치료지시 이행정도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던 것과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Baek (1992)의 연구에서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자가간호수행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고한 것과 일치한다.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의 자가간호를 북돋아주기 위한 가장 중요한 전략이 문제해결을 위한 지식의 습득이라는 Levin과 Iuer (1983)와도 일관된 견해를 보인다. 이식기간에 따른 자가간호지식 및 자가간호수행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Park (2002)의 연구에서 이식 후 경과한 기간에 따라 자가관리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과 Kim(1995)의 연구에서 수술 후 경과기간에 따라 지식정도와 치료지시이행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Kim (2011)이 수술 후 경과기간이 길어질수록 자가간호행위 정도가 낮게 나타난 것과는 다른 결과로 반복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 하겠다. 2. 개별교육프로그램 전후 자가간호지식과 자가간호수행정도의 차이 본 교육프로그램의 결과로 가장 지식수준이 증가한 항목은 운동의 필요성에 대한 것으로 약물복용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것이 아니며 혈압과 체지방,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고지혈증을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운동임을 강조함으로써 환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보인다. 만성적인 면역억제는 약물학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 특히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켜 신장이식환자는 일반 인구집단과 비교했을 때 훨씬 빠른 속도로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한다(Liefeldt &Budde, 2010). Bond (1998)는 교육과 중재를 통해 수정될 수 있는 신장이식환자의 건강 위험요소를 확인하고 위험감소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한 후에 대상자의 60%가 콜레스테롤이 200에서 183 mg/dL로 감소했으며 모든 여성대상자가 부인과 암검진을 매년 받았고 남성대상자 역시 전립선 암검진을 받았다고 하였다. Rice, Hathaway, Martin과 Tolley (2001)는 나이가 많고 BMI가 높고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을수록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높다고 하였다. 투석기간, 종족, 연령 등은 수정할 수 없는 요인이지만 BMI, 혈압, 콜레스테롤 수치는 중재로 교정 가능하다. 장기간의 면역억제가 고지혈증, 체중증가, 심혈관계위험과 연관된 것을 알고 있었지만 약물복용의 이행에만 일차적인 강조를 해왔으며 최근까지 이런 긍정적인 환자의 결과를 가져오는 수단으로서의 행동 혹은 생활습관의 수정과 같은 예방적인 건강관리에 대한 강조가 부족하였다. 금연, 금주, 운동, 식이, 스트레스관리 등 건강증진과 질병예방교육이 교육의 우선순위로서 그 무엇보다 중요하게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 후 자가간호 수행도는 교육전과 비교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전 영역에서 수행도는 증가하였으며 식이 조절 및 체중 조절 영역에서 가장 수행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스트레스관리, 식사조절, 활동과 휴식의 조화 등 일상생활 영역에서 자가간호 수행도가 낮았으므로 간호사가 제공하는 추후관리교육이 질병중심적이고 치료적인 면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영역과 예방중심적인면으로 실행된다면 환자는 보다 자가간호 수행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며 보다 질적인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장기이식코디네이터가 직접 교육을 수행한 점도 수행정도를 높였다고 할 수 있다. 임상에서 환자가 알고자 원하는 교육요구를 바탕으로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적극적인 교육과 간호서비스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교육이 아닌 개별교육으로, 환자 개개인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사전검사로 각 대상자마다 지식과 수행정도를 사정한 결과를 토대로 개개인에 따라 교육내용이 조정되고 취약부분을 집중교육하고 요구도에 따라 좀 더 구체적으로 상세한 내용을교육할 수 있어 교육의 효과가 크지 않았나 생각된다. 단, 이러한 지식은 증가되어도 곧바로 자가간호 실천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일대일의 면담식 개별교육과 대화식 교육으로 동기유발과 행위변화를 유도하여, 자가간호수행을 증진시키는 교육의 효과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또 Bae (2005)의 연구에서 사후조사를 상담 4주 후에 실시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개별교육을 제공하고 8주 후의 사후조사에서 자가간호 지식과 자가간호 수행도가 증가하였으므로 비교적 자가간호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단, 지식과 자가간호 수행정도가 언제까지 지속되는지, 언제 프로그램이 반복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후 연구기간을 연장하여 측정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성별에 따라 자가간호 지식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은 여자의 자가관리 점수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는 Park (2002)의 연구 및 Jeong (2004)의 연구결과와 연관되는 부분이다. 남자가 여자보다 자가간호 지식수준이 낮았으므로 성별을 고려해 주기적으로 계속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가간호 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지식의 차이가 없게 나타난 것은 1회의 교육으로는 충분하지 않음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이식후의 각기 다른 시점에서 지식수준을 사정하고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제공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식환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중요한 면은 건강한 식습관 및 식이의 제한점, 금주, 금연, 운동, 스트레스대처 등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관한 것이며 일생을 통한 자기관리가 되어야 하므로 주기적인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효율적인 환자교육을 통해 지속적인 생활양식 행동의 수정과 약물학적 중재를 통한 위험감소는 이식환자 관리와 연관된 비용과 질환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장기간의 결과를 최대화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육프로그램은 실무에서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켜 자가간호 이행도를 높이며 신장이식 환자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개별교육프로그램이 신장이식 코디네이터와 신장이식 간호사에게 유용한 자료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3.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대조군을 설정하지 않은 원시실험연구이므로 제 3변수 개입 등 외생변수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일개 병원의 신장이식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모든 신장이식 환자에게 확대 해석하여 일반화시킬 수 없고 중재효과를 1회만 측정하여 자가간호 지식과 자가간호 수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수를 확대하고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 individual educational program on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Methods: The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a transplantation center,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 2010 to January 31, 2011.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one group pre-post test. Forty-two subjects were participated two times individually in an educational program given by the researcher.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care knowledge(t=-4.10, p=.000) and self-care behavior (t=-6.07, p=.000) than before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health promotion, prevention of complication and self-care behavior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운영 현황 및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윤인경,장명희,이현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he Nursi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by researching on operation,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of the program of Nursing.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he Nursing-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is study has analyzed previous existing studies, Link of School info, Educational Statistics and data indicating establishment, operation and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which have been collected from web sites of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relevant to Nurse Educ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year 2016, out of a total of thirty eigh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in the country, 6.4% of the schools have nursing educational programs. These schools have established the programs under various names, such as Health Nursing, Dental Health Nursing, Nursing, Nursing and Medical Tourism, Accounting in Nursing and Nursing Management, etc. Since 2012, enrollment rates have increased while post-graduation employment rates have decreased, with the average employment rat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ving reached up to 46% by 2015. 2) The Nursing-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ims to create skilled Nurses Assistant such as Nurse Aide and Care giver. The program is successful in providing necessary courses to acquire required certification and proficient field experience but requires revisional changes in order to create a long-term program of sufficient qualification. The official requirement of 780 hours of field practice was completed during the three educational breaks from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to the second year, while the curriculum was conducted separately in the field hospitals. 3) An average of two laboratory classrooms were available based on the facility requirement standard of Cities and Provinces Educational Policies. In order to secure proficient instructors of Nursing education, establishment of specific indicated subjects, regional placement, in-service education, research and supervision are essential for establishing excellence and continual improv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는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육의 운영 현황과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육환경 등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간호과 교육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방법은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학교알리미, 교육통계연보 등 간호관련 학과 개설 및 운영 현황 자료, 학교 교육과정, 각 기관 및 협회의 홈페이지에 소개된 공시 자료 등을 수집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6년 1학기 현재 특성화고등학교 중에 간호과를 개설·운영하는 학교는 총 38개교로 전체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약 6.4% 정도이다. 이들 학교는 주로 보건간호과, 치의보건간호과, 간호과, 의료간호관광과. 간호회계 및 간호경영과 등의 명칭으로 개설하였다. 간호과 졸업생은 2012년 이후 취업률과 진학률간의 격차가 좁혀지고 있으며 2015년에는 특성화고등학교 전체 평균 취업률인 46% 수준이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는 인력양성 목표를 간호조무사 양성에 두고 관련 취득 자격으로 간호조무사, 요양보호사 등을 주로 제시하고 있었다. 간호과 교육과정은 자격 취득 요건, 현장 직무 수행에서 필요한 역량과 관련한 과목들을 편성하고 있었으나 간호과 교육과정의 충분성, 자격과 교육과정 편성과의 정합성 등을 검토해야 한다. 법적 요건인 780시간의 현장실습은 주로 1학년부터 2학년까지 3번의 방학을 통해 병의원 현장에서 별도의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셋째, 간호과 교육의 물적 환경은 전공별로 2개 정도의 실습실과 학생 규모를 고려한 시도교육청의 시설설비 기준을 적용하여 비교적 기본 환경을 구축 활용하고 있었다. 인적 환경인 교사 확보는 간호 표시과목이 없음에 따라 표시과목의 개설, 지역별 배치 기준의 검토, 전문성 함양을 위한 연수 및 연구, 장학의 지원을 위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간호대학 임상실습 교육자의 역할 경험

        임사라,홍수민,김상희,김수경,김예린 한국간호교육학회 2019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clinical nursing instructors’ lived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u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1 clinical nursing instructors by in-depth interview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of Downe-Wamboldt (1992). Results: Four themes and twelve subthemes were extracted. 1) Recognizing and conducting the roles of clinical nursing instructor: ‘Helping and providing support for successful clinical practicum’, ‘Coordinating clinical activities in daily practice’, ‘Providing mentoring as an elder in life’; 2) Participating in improving integrative nursing competency: ‘Helping to improve cognitive competency’, ‘Helping to improve functional competency’, ‘Contributing to form desirable professionalism’, ‘Helping to deliberate the nature of nursing’; 3)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role of clinical nursing instructor: ‘Facing with difficulty from institutional limits’, ‘Recognizing difficulty from lack of pers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4) Experiencing value of clinical nursing instructor and accomplishing personal growth: ‘Making efforts to widen pers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Developing one’s own educational competency’, ‘Making a chance to reflect oneself’. Conclusion: Despit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clinical nursing instructors, little is known of th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to improve the quality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본 연구는 일 간호대학 임상실습 교육자의 역할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실습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임상실습 교육자의 역할을 인식하고 수행함’, ‘간호대학생의 통합적 간호역량 향상에 참여함’, ‘임상실습 교육자로서 역할 수행의 어려움을 경험함’, ‘임상실습 교육자의 가치를 경험하고 개인적인 성장을 이룸’의 4가지 주제와 12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일 간호대학 임상실습 교육자의 역할 경험을 탐색한 최초의 연구로 현재 널리 활용되고 있는 임상실습강사나 수간호사, 프리셉터의 학생 지도 경험과는 질적으로 구별되는 특성을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임상실습 교육자는 직무 특성으로 인한 교육의 수월성이 높고, 실습 시간 동안 온전히 학생 교육에 몰입이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습 교육자의 교육적인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향후 간호 교육기관에서는 실습 지도자를 대상으로 실습에 대한 체계적인 오리엔테이션과 표준화된 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미래 전문직 간호사로서 간호의 중심 철학을 실천하는 질적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 전략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실무 현장에서는 학생들이 의미 있는 실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학생 친화적인 실습환경을 조성하고, 현장 지도자의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도적인 지지와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일 간호대학 내 일부 임상실습 교육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향후 대상자를 확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일제 말기 고등여학교의 간호교육의 실태와 의미

        정선이 한국교육사학회 2022 한국교육사학 Vol.44 No.1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1938년 발발한 중일 전쟁이 격화되면서 종군 간호부를 대량 양성할 계획을 수립하고 여자 중등교육과정에서 간호교육을 본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일제말기 고등여학교에서 시행된 간호교육의 실태와 그 의미에 대해서 밝히고자 하였다. 질적으로 우수한 종군간호부의 확보를 위해, 고등여학교 학생 집단은 주요한 타겟이었다. 일제는 많은 고등여학교 출신들이 종군간호부로 진출할 수 있도록, 그리고 강제의 모습을 띠지 않고, 자발적인 자원(自願)의 모습을 갖추도록 호출하는 프로파갠더의 형식을 취하였다. 초등학교단계부터 시작되는 종군간호부의 애국주의 선전 교육과 지침, 대대적이고 열광적인 종군간호부 출정식에 고등여학생 참가의 의례화, 그리고 신문 매스미디어를 통한 홍보, 선전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프로파갠다 전략은 계속 강화되는 고등여학교 교육과정 내 정규 교육과정 및 보습교육의 형태로 ‘간호교육과 실지연습’을 통해, 적은 수일망정 지속적인 종군간호부의 지원을 이끌어내었다. 1944년 조선총독부는 더 많은 수의 종군간호부 확보를 위해,「간호부규칙」을 개정하고, 간호부 양성소 외에 중등교육인 고등여학교 단계에서 졸업생에게 간호부 면허를 부여하는 파행적인 교육정책을 시행하였다. 16~17세의 어린 여학생이 단기 간호교육과정을 거쳐 졸업 후 바로 종군간호부로 출전 가능케하는 비교육적 현실을 창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효과

        양진주(Yang Jin Ju),김효경(Kim Hyo Kung)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대학병원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하는 간호학과 3학년을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을 파악하고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임상실습교육의 질적 향상과 다양한 임상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전 · 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의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29일부터 2021년 11월 19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은 2주간 2회기로 구성되었고, 교육프로그램 시작 전 오리엔테이션, 연구대상자의 특성, 자가 보고식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관한 사전조사, 2회기 사례기반 실습교육 적용, 연구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사후조사 단계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특성은 빈도를 구하였고, 교육 전과 후의 연구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연구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t=-3.33, p=.003)과 간호전문직관(t=-2.23, p=.035)은 교육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의 하위 영역 중 간호과정, 주요간호중재, 사회심리적 간호, 대상자교육, 관찰과 신체사정의 영역이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기본간호도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연구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하위영역 중 사회적 인식과 간호실무역할이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의 독자성, 간호의 전문성 등은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연구는 임상 실습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양한 사례기반 실습교육을 개발하여 적용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연구를 수행하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to identify the effects of cas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on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n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9th to November 19th, 2021 and 27 Junior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one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The cas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orientation, a pre-survey, a two-section program, and a post-survey.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and frequency and paired t-test were analyzed by SPSS 19.0 program. Compared with before the program,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completion of the cas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t=-3.33, p=.003; t=-2.23, p=.035). Especially compared with before the program, nursing process(t=-3.93, p=.001), major nursing interventions(t=-3.67, p=.001), psycho-social nursing(t=-2.81, p=.009), education for clients(t=-2.17, p=.039), observ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domains(t=-2.79, p=.010) of clinical competency and social awareness(t=-3.64, p=.001), roles of nursing service(t=-2.60, p=.015) of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clusion, the cas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various cased-based education programs is required to enhance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