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가족정책의 변천에 대한 연구

        이진숙(Lee Jin-Sook) 한국인구학회 2002 한국인구학 Vol.25 No.1

        독일의 가족정책은 집권당이 교체될 때마다 그 당의 정치이념에 따라 정책의 방향과 정책전개수단에 있어서 뚜렷한 변화를 보이면서 발전해 왔고, 각 정당이 추구하는 정책이념은 ‘가족부(Bundesministerium fuer Familie, Senioren, Frauen, Jugend)’라는 가족전담행정부서를 통해 실현되어 왔다. 그러나 정권의 변화로 인한 연방정부의 가족정책의 변화는 당연히 가족부의 집행업무와 정책전개수단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가족부의 명칭은 이를 반영하며 여러 번에 걸쳐 교체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가족부의 정책업무와 구체적인 사업들은 ‘가족’ 또는 ‘여성과 아동’이라는 정책의 대상집단에 대한 집권당의 이념을 대변하는 도구로 활용되어 왔고, 이는 정책의 목표가 핵가족의 복지향상이 되어야 할 것인지 아니면 개별 가족구성원의 복지에 우위를 두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의 문제로 귀결되어 왔다. 이러한 독일 가족정책의 이념적 변천은 아직 가족정책에 대한 방향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지 못하고 정책의 스팩트럼은 잔여적 복지에 머물러 있으며, 정당별 가족정책과 가족전담 중앙행정부서가 존재하지 않는 우리나라의 가족복지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 of family policy in Germany focused on political ideologies and instruments of CDU/CSU and SPD. In past 50 years after the 2. world war the family policy in Germany has been influenced by ideologies of 2 major political parties. With conservative political perspectives, CDU and CSU intend to strengthen the institution family and traditional division of domestic work. Therefore, they prefer indirect support methods by income tax benefit for family as political instrument. SPD with liberal political perspectives intends to support working married women and children. As political instrument SPD prefers allowance for child to indirect support system. This different political perspectives of 2 major parties have been reflected automatically on the federal administrative system(BMFSFJ)which takes responsibility of family policy in Germany. Through the analysis of attitudes to family policy of major parties in Germany this paper attempts to be manifest the problem of korean family policy and to find implications of german modell.

      • 가족이주 정책의 특성과 한국 가족이주 정책 사례 검토

        장주영(Juyoung Jang) 한국가족정책학회 2023 가족정책연구 Vol.3 No.2

        세계인권선언에서는 가족에 대한 권리를 인권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각국의 가족이주 정책은 이주민의 체류자격이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가족이주를 제한적으로만 인정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족이주에 대한 국제적 논의를 소개하고 한국의 현행 가족이주 정책과 현황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가족이주는 이주민의 사회통합에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모두 갖고 있으나, 현행 가족이주 정책은 부정적 측면을 막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한국 내 이주민 간의 위계를 확인하는 데 그쳐 이주민 사회통합의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국민(국제결혼가정 자녀, 귀화자)의 외국국적 부모, 단순노무 이주노동자,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대상의 가족이주 정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Family migration policies tend to be restrictive depending on immigrants’ visa status or socioeconomic status despite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recognizing that the family is entitled to protection by society and the state. The current study introduced global debates over family migration and investigated the Korean family migration policy. Family migration can influence on immigrants’ social integration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ways. Still, the current Korean family migration policy does not reduce the negative influences of family migration on social integration. Further, the policy might deter immigrants’ social integration by confirming the hierarchies among immigrants in Korea. This study argu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fill gaps in family migration policy, especially for the citizens’ parents, immigrant workers, an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migration backgrounds.

      • KCI등재

        프랑스의 초기 가족정책과 정책행위자별 역할

        나병균(Byong Kyun Na) 한국사회정책학회 2007 한국사회정책 Vol.14 No.2

        이 논문은 프랑스 가족정책의 역사적 기원과 발전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연구 범위는 1910년대부터 1945년까지의 변화이다. 가족수당을 중심으로 한 프랑스 가족정책의 기원은 기업들이 1910년대부터 자체적으로 실시하던 루베 뚜르꾸엥 지역 섬유업체 연합(Consortium Textile de Roubaix-Tourcoing)의 가족수당과 파리지역 가족수당 조합(Caisse de Compensation de la Region Parisienne)이 해당 기업들의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가족수당과 관련 서비스들에서 찾을 수 있다. 가족정책으로서 가족수당은 1930년대에 들어 프랑스에서 모든 인구를 포함하는 보편적 제도가 된다. 가족수당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개입의 동기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코자 함이었다. 인구문제의 여론화와 보편주의 가족정책의 성립에 기여한 주된 정책행위자는 1920년대와 1930년대의 출산장려주의자들(pronatalists)이었다. 프랑스 가족수당은 1940대 후반에 사회보장 제도로 통합되면서 더욱 보편주의적 성격을 갖고 발전하게 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origin of French Family Allowance, which has been appeared and generalized during the period of 1910-1945. The Family Allowance System of Textile Industries Consortium of Roubaix-Tourcoing(Consortium Textile de Roubaix-Tourcoing) and that of Compensation Fund of Paris Region(Caisse de Compensation de la Region Parisienne) have respectively provided the family allowances and the related services to the employees` families from the year of 1910s, which became the origin of French Family Policy. The Family Allowance System became universal in the 1930s in France. The main objective of the state intervention with Family Allowance System at that time was to solve the problem of low birth rate by supporting (financially and non-financially) the families with children. The "pronatalists" (the group of men and women composed of some civil servants, politicians, citizens, and professors) were the main initiators (actors of policy) of universal family policy in the 1920s-1930s in France. The Family Allowance system was incorporated into French Social Security System in the late 1940s.

      • KCI등재

        가족정책의 변화에 따른 복지체제의 재구성 : 젠더레짐을 중심으로(OECD 15개국 1980~2014 시계열 종단분석)

        안세아(Ahn Se-Ah)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20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10 No.3

        이 연구는 복지국가의 가족정책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복지체제(regime)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특히 OECD 국가의 가족정책 변화를 1980년부터 시계열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과 군집분석을 통해 복지 체제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정책이 이탈하는 원인을 탈가족화·탈성별화·가족화 영역에서 제도적인 조건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의 가족정책에 시사 하는 바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가족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체제로 재구성하고자 할 때, 본 연구는 기존의 주류 체제유형화 연구와 달리 가족정책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쟁점들을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돌봄영역을 탈가족화·탈성별화·가족화로 세분화하여 체제를 재구성하는 측면에서 기존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복지국가의 가족정책변화로 나타나는 공·사적 가족화, 탈가족화, 탈성별화정책의 표준화지수를 토대로 복지체제를 재유형화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제도주의 이론을 활용하여 가족정책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복지 체제를 재유형화 하였다. 그 결과, 체제 자체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존 정책 경로에 의존하는 형태를 공적영역 경로의 존형, 가족중심의 경로의존형, 시장중심의 경로의존형의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정책은 사회문화적으로 고착화되는 것이 아닌 시대의 흐름과 사회문화적 양상에 따라 대응하는 실체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정책목표와 정책이념에 의해 국가별 대응 방식 및 정책설계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한국의 지속가능한 가족정책의 실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보편주의 정책이념을 기조로 한 공적영역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공적영역에서 가족화정책이 지원되고 탈성별화 및 탈가족화 정책을 지향하는 실질적인 가족정책의 실현이 제도적 장치로 재편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how the family structure changes as a result of OECD s global neoliberalization in early 1980s and 2014. Since change of family structure caused by global economic crises threaten finance and sustainability of welfare states, they have been restructured to respond to these external shocks. In this context, this paper focused on social expenditure structure of welfare states which is defined by three sectors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Namely, change of family policy in [de-familialization], [familialization], and [de-gendering]. Second, provision method of family policy. Third, path dependence theory of family policy. Through clustering analysis with OECD SOCX Data in early 1980s and 2014, welfare states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change of family policy and then compared the family policy path dependence. The differences of responses of welfare states was tried to explain based on path dependence theory which can be understood as institutional conditions. The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is study is that Korean welfare state have to aim to expenditure structure of Nordic welfare state such as universal idea of policy. The reason is that the institutional theories have focused on modes of institutional change, politics of institutional change, and ideas for institutional change.

      • KCI등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 전달 기관의 정책 수행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윤향희(Hyang-Hee, Yun),전세경(Se-Kyung, Jeon)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5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8

        본 연구는 국가의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이 어떠한 전달 체계를 통하여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의 실태를 살펴보고 드러난 문제점을 토대로 그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만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연구를 전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연구와 각 중앙 부처 및 대전광역시 관내 관련 기관의 간행물 및 홈페이지 자료 등의 문헌정보를 조사·분석하였으며, 정책을 직접 수행하고 있는 여러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별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힌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의 전달체계와 수행실태의 문제점은 중앙부처간의 전달 체계 혼선으로 인해 대전광역시 전달 체계 역시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기관 및 다문화교육센터가 각각의 상위기관의 업무지침에 따라 유사한 정책내용을 독립적인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그 내용이 중복적이다 보니 과잉의 예산이 투입되는 등의 문제점 등이 발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전광역시청의 총괄조정 기능은 매우 미흡할 수밖에 없는 전달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관들 간에 역할분담이 불분명하고 경쟁적인 사업 추진, 즉흥적, 일회성 사업으로 인해 예산낭비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정부에 다문화가족 지원과 외국인관련 정책을 총괄할 수 있는 전담부서의 설치와 다문화가족 지원체계의 재정비 그리고 지방자치단체로의 대폭적인 정책 수립과 집행의 권한 이양, 대전광역시청에 전담 부서 설치 및 지원협의회의 활성화, 지역 역량 강화 및 프로그램의 다양화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improvements of delivery system and implementation for multicultural support policies base on the problems revealed through investigating about how the multicultural support policies are being carried out via what delivery system. In this study, In-depth research for the only Daejeon Metropolitan City is carried out. To this end, we examined and analyzed relevant prior researches and bibliographic information such as publications and websites materials from each agency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Deajeon city. Especially, relevant agency workers who were working at Daejeon City Governmen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and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Operating Agencies were interviewed in depth.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is study is that the delivery system of Daejeon city was too inefficient because of the confus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delivery system, For this reason, simila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independently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s of the parent institution by the Daejeo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operating agenc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the policy have been duplicated and the problems such as the budget is put in the surplus have been occurring. Nevertheless, Daejeons general adjustment function was very insufficient due to the above delivery systems. As a result, there is unclear divisions of roles between agencies, and the promotion of competitive projects and the implementation of improvised, one-off projects led to problems such as the wasting of the budge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installation of a dedicated office in the government to overse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nd foreign policy,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ystem. It also proposes the transferral of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to local governments, the installation of dedicated departments in Deajeon, the activation of council support, the reinforcement of local regional capacity, and the diversification of building and diversification of programs in order to mak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more efficient.

      • KCI등재

        충청남도의 결혼이민자 현황과 다문화가족 지원정책

        문성은,방은령 한국자치행정학회 201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6 No.3

        본 연구는 충청남도내 결혼이민자 현황과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다문화가족의 인식과 요구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조사는 법무부와 충남넷 및 도내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한 문헌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고, 면접조사는 S시의 다문화가정 부모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은 도시지역과 결혼이민자수가 많은 곳에서 활발하고, 군지역이나 결혼이민자수가 적은 곳에서는 취약하였다. 둘째, 충청남도내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은 결혼이민자에게 집중되고 한국인 가족이 결혼이민자(배우자)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데엔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청남도 다문화가족은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가족지원정책에 대해 체험효과를 크게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다문화가족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맞춤형지원정책을 개발해야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한 · 일 고령자케어정책 비교연구

        김지미(Kim, Ji Mi) 동아시아일본학회 2015 일본문화연구 Vol.0 No.56

        본 연구는 최근 한국과 일본에서 고령자케어정책이 재편되면서 지금까지 무상으로 제공되어온 가족케어가 어떻게 국가의 정책시스템 내에 편입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한국과 일본에서 1990년대 중반(한국은 2000년대 중반) 이후 확대되어 온 고령자케어정책의 수준 및 가족케어의 규모를 살펴봄으로써 고령자케어정책이 재편되면서 ‘가족케어’가 어떻게 자리매김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둘째, 그러한 가족케어와 관련하여 한국과 일본에서는 고령자케어의 가족화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가족케어에 대한 보상 및 지원’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셋째,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일 고령자케어정책에서의 ‘가족에 의한 케어부담 사회화’의 정책적 결과가 초래하고 있는 ‘가족책임주의’의 모습을 포착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한국과 일본 고령자케어의 사회화 수준 및 그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하였다. In light of the recent reorganization of the policies regarding care of the elderly in Korea and Japan,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analyze how “family care” was incorporated into the policy system. First, the positioning of “family care” within the reorganization of the policies regarding elderly care is analyzed by examining both the level of policies regarding elderly care and the size of “family care” in Korea and Japan in recent years. Second, in connection with such “family care,” how the familialization of elderly care has been achieved between Korea and Japan is compared, with focus placed upon the payments and support for “family care.” Third,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s, the shape of the familialism, which was generated by the policy outcomes of the “socialization of the care burden assumed by families” in the Korean and Japanese elderly care policies, has been captured.

      • KCI등재후보

        한국 다문화 가족의 정책수단에 관한 연구

        이광원 한국이민정책학회 2020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3 No.1

        그동안의 다문화가족 정책은 다문화 가족의 정착과 유지에 초점을 두었다면, 현대에는 ‘안정적 가정을 영위’ 할 수 있도록 정책적・제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다문화 정책 목표에 따라 법, 제도 현황, 정책추진체계 등 정책수단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향후 한국의 다문화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시사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현재 다문화 정책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전국 자치단체별로 다문화가족지 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는데, 전국의 다문화지원센터는 대부분 예산과 사업 재량권이 거의 없고 위임된 업무를 수 행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맞춤형 지역특성화 사업 발굴 및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는 기본예산의 비중을 다소 줄이고 거점센터 기능을 확대하는 전략과 포괄적 보조금 형태로 예산을 지원하여 사업 의 효과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족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학교 및 교육청 등 공공기관과 지역 특화된 기업체와의 연계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센터의 조직역량을 강화하는 방향도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If the policy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focused on the settlement and maintenance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key is to provide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lead stable families in modern times. As such, we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policy measures such as laws, the status of the system and 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of multicultural policies.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Korea's multicultural policies should move forward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re currently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to effectively achieve multicultural policy goals, and most multicultural support centers across the country have little budget and discretion in projects and are in a hurry to perform delegated tasks, making it difficult to find and provide customized regional characterization projects. As a way to improve the project, the government should reduce the portion of the basic budget and expand the function of the base center,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by providing the budget in the form of comprehensive subsidies.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provide more efficient services through links between public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and education offices and local specialized businesses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marriage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Measur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lso need to be considered to strengthen the center's organizational capacity.

      • 서울시민의 가족정책 인지도 및 관련 요인 탐색

        진미정(Meejung Chin),노신애(Shinae Noh),김아영(Ah-Yeong Kim)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서울시민 대상으로 가족정책(아동돌봄정책, 가족친화제도,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고, 인지도와 관련되는 개인적 특성과 정책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만 25~74세 서울시민 1,102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빈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가족친화제도의 인지도가 가장 높았고,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낮았다. 아동돌봄정책 중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 인지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족친화제도 중에서는 육아휴직 인지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가장 높았다. 정책 인지도는 정책별로 차이가 있는데 공통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미혼자보다 기혼자의 인지도가 높았다. 또한, 미취학자녀나 초등자녀가 있는 응답자가 해당 연령과 관련된 정책 인지도가 높았다. 정책 인지도는 도입시기와는 상관성이 없었으며, 예산이 클수록, 서울시 정책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적용되는 중앙정부 정책인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족정책 인지도는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일부 정책은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책 홍보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awareness of family policies among Seoul citizens, as well as the effects of related factors. The family policies under examination in this study consist of ten types of childrearing, five types for family-friendly workplaces, and five types for family service delivery. Data were first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of 1,102 adults aged 25-74, and then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logistic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 the proportion of adults who know about each type of family policy and the effect of both individual and policy-related factors on their awareness. The most well-known policies are those for family-friendly workplaces, with participants showing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for parental leave. However, the least awareness is for family service delivery, among which public childcare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re the best known. Awareness levels are related to gender, marital status, and the budget and scope of the policy. Awareness about some types of family policy is lown, suggesting that public advertisements are needed to raise awareness and for consequent use of family policies.

      • KCI등재후보

        가족친화정책의 실태 및 효과성에 대한 근로자 생애주기적 접근

        김안나 ( Anna K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保健社會硏究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일과 가족의 양립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가족친화정책의 실태 및 효과성 분석을 위해 근로자의 생애주기(life course)에 주목한다. 가족친화적 기업정책이 수요자 즉 근로자 중심의 정책이 되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욕구에서부터 출발해야 하며 이러한 욕구는 근로자의 생애주기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데에 논의의 출발점을 둔다. 연구에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다양한 가족친화정책을 탄력근무제도, 출산 및 육아휴직제도, 보육 및 돌봄지원제도, 근로자 지원제도로 유형화하고 기업정책의 유형별 효과를 개인의 생애주기별로 살펴보았다. 가족친화정책의 실태를 살펴보는 기술적(descriptive) 분석에서는 출산 및 육아 정책 위주에서 보육 및 돌봄지원 정책으로의 가족친화정책의 확대가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이는 가족 친화정책의 효과에서도 전 생애주기에 걸쳐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가족친화정책의 효과를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한 결과는 정책의 효과가 생애주기별로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탄력근무제의 경우 미취학 아동기와 취학아동기에, 출산 및 육아휴직제도는 미혼 및 무자녀기와 미취학아동기에 처한 근로자의 일과 가족의 조화에 긍정적으로 기능하며 보육 및 돌봄지원제도와 근로자지원제도는 생애 전반에 걸쳐 일과 가족의 조화에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urrent family-friendly policie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facilitate work-family balance,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life course of employees. The approach of this paper is based on the idea that the family-friendly policy should start from the needs of employees and that such needs can vary according to the life course of the employee. The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is show at first that the family-friendly policie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need to be extended to cover from maternality and fertility support to child nurturing and care services. According to further analysis, the effe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varies considerably by the employee`s life course stage. For instance, flextime has positive effects on achieving work-family balance for the married employees with preschool or school children; maternal or child care leaves has positive effects for the single or married employees without children; and child nurturing and care services a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ver the whole life 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