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이 가로의 특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진희,정진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 배경 및 목적) 도시에는 편리한 이동을 위해 수많은 가로가 존재한다. 도시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독특한 특징을 기억하여 수많은 가로를 쉽게 알아보고 다양한 길을 서로 구분하며 환경을 인지한다. 사람들이 기억하는 가로의 특징은 가로변 건축물을 이루는 건물들 사이 대비를 가지는 건물이며, 이는 가로 환경을 인지하는 단서가 된다. 하지만 현대 도시는 사람들의 새로운 경험을 위해 다양한 업종과 디자인이 가로변 건축물에 구성되면서 시각적으로 매우 혼잡한 상태이다. 그로 인해 가로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할 경우 현대 도시의 특징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려워진다. 즉, 가로변 건축물의 구성은 가로의 특징을 알아낼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에게 기억되는 가로의 특성이 가로변 건축물의 구성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이 가로 특징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특성이 있는 가로환경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독립변수를 상업가로의 가로변 건축물에 구성된 건물들의 업종으로 정하고, 하나의 가로변에 구성된 건물들의 업종 차이로 독립변수 대비 수준 (A, B, C)을 설정하였다. 업종 대비 수준은 유사한 업종을 가진 건물들로 구성된 유사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A), 유사한 업종이 연속하는 건물들 사이에 그와 상이한 업종을 가진 건물이 조합된 상이 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B), 건물의 업종이 모두 다르게 구성된 개별 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C)로 분류된다. 종속변수는 가로의 특징으로 정하고, 제시된 특징을 알아볼 때 사용하는 능력인 기억으로 측정한다. 측정한 기억은 본 것을 통해 기억해 내는 재인기억으로 설정한다. 재인 기억은 ox 퀴즈를 통해 제시된 건물을 기억하여 알아보았는가에 수준인 재인 정답 점수와 얼마나 빠르게 알아보았는가에 수준인 재인 평균 시간을 측정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실험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R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고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재인 정답 점수에서 (A), (B), (C)가로변 건축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집단별 재인 평균 시간에서는 (B와 A),(B와 C) 가로변 건축물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A와 C) 가로변 건축물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세 집단 중 상이 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B)가 집단별 재인 정답 점수와 재인 평균 시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이 가로 특징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억 실험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사람들이 기억에 남는 가로변 건축물의 구성 조건을 밝히고, 이를 통해 특성 있는 가로 환경을 설계하기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물의 색, 형태, 재질과 같은 물리적인 요소로 연구되었던 가로변 건축물을 건물이 내포하는 의미인 업종, 성격과 같은 비물리적 개념으로 접근하여 실험연구로 검증하였다는 것과 연구 결과를 통해 도시의 특성 있는 가로 조성에 대한 적용 가능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Numerous streets exist in cities to enable convenient movement. People can easily recognize and differentiate these streets using memorable features that are often created by contrasting buildings along the roadside. However, modern cities, filled with diverse industries and designs, have visually chaotic streets. Consequentl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streets are often lost, making it challenging for people to identify and remember them. The configuration of roadside buildings plays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street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memorable streets are form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roadside building facades. By elucidating the impact, this study proposed design directions for creating distinctive street environments. (Method)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fined based on the business types of buildings along commercial streets. Three levels (A, B, and C) were established based on differences in business types within buildings along a street. Level A represented buildings with similar business types, Level B represented a combination of continuously similar and contrasting business types, and Level C represented buildings with entirely different business types.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 measured by the ability of individuals to remember the street when presented with these characteristics. Recognition memory was assessed, specifically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recall presented buildings using an ox quiz. The data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R, and the results were discussed to propose design direction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memory scores for all three roadside building levels (A, B, and C).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recognition time between Levels B and A and between Levels B and C,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vels A and C. Third, among the three levels, roadside buildings with contrasting business types (Level B) positively influenced both recognition memory scores and average recognition time.(Conclusion) This study used memory experiments to reveal how the façade composition of roadside buildings influences the formation of street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design directions for creating distinctive street environments by identifying the conditions that render roadside buildings memorable. Notably, the study approached roadside buildings not only in terms of physical elements, such as color, form, and material, but also in terms of non-physical concepts, such as the meaning and nature represented by business types. This unique approach, validated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provides applicable design directions for creating distinctive urban street environments.

      • KCI등재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이 가로의 특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진희 ( Lee Jinhee ),정진우 ( Jung Jinw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 배경 및 목적) 도시에는 편리한 이동을 위해 수많은 가로가 존재한다. 도시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독특한 특징을 기억하여 수많은 가로를 쉽게 알아보고 다양한 길을 서로 구분하며 환경을 인지한다. 사람들이 기억하는 가로의 특징은 가로변 건축물을 이루는 건물들 사이 대비를 가지는 건물이며, 이는 가로 환경을 인지하는 단서가 된다. 하지만 현대 도시는 사람들의 새로운 경험을 위해 다양한 업종과 디자인이 가로변 건축물에 구성되면서 시각적으로 매우 혼잡한 상태이다. 그로 인해 가로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할 경우 현대 도시의 특징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려워진다. 즉, 가로변 건축물의 구성은 가로의 특징을 알아낼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에게 기억되는 가로의 특성이 가로변 건축물의 구성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이 가로 특징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특성이 있는 가로환경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독립변수를 상업가로의 가로변 건축물에 구성된 건물들의 업종으로 정하고, 하나의 가로변에 구성된 건물들의 업종 차이로 독립변수 대비 수준 (A, B, C)을 설정하였다. 업종 대비 수준은 유사한 업종을 가진 건물들로 구성된 유사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A), 유사한 업종이 연속하는 건물들 사이에 그와 상이한 업종을 가진 건물이 조합된 상이 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B), 건물의 업종이 모두 다르게 구성된 개별 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C)로 분류된다. 종속변수는 가로의 특징으로 정하고, 제시된 특징을 알아볼 때 사용하는 능력인 기억으로 측정한다. 측정한 기억은 본 것을 통해 기억해 내는 재인기억으로 설정한다. 재인 기억은 ox 퀴즈를 통해 제시된 건물을 기억하여 알아보았는가에 수준인 재인 정답 점수와 얼마나 빠르게 알아보았는가에 수준인 재인 평균 시간을 측정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실험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R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고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재인 정답 점수에서 (A), (B), (C)가로변 건축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집단별 재인 평균 시간에서는 (B와 A),(B와 C) 가로변 건축물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A와 C) 가로변 건축물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세 집단 중 상이 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B)가 집단별 재인 정답 점수와 재인 평균 시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이 가로 특징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억 실험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사람들이 기억에 남는 가로변 건축물의 구성 조건을 밝히고, 이를 통해 특성 있는 가로 환경을 설계하기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물의 색, 형태, 재질과 같은 물리적인 요소로 연구되었던 가로변 건축물을 건물이 내포하는 의미인 업종, 성격과 같은 비물리적 개념으로 접근하여 실험연구로 검증하였다는 것과 연구 결과를 통해 도시의 특성 있는 가로 조성에 대한 적용 가능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Numerous streets exist in cities to enable convenient movement. People can easily recognize and differentiate these streets using memorable features that are often created by contrasting buildings along the roadside. However, modern cities, filled with diverse industries and designs, have visually chaotic streets. Consequentl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streets are often lost, making it challenging for people to identify and remember them. The configuration of roadside buildings plays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street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memorable streets are form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roadside building facades. By elucidating the impact, this study proposed design directions for creating distinctive street environments. (Method)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fined based on the business types of buildings along commercial streets. Three levels (A, B, and C) were established based on differences in business types within buildings along a street. Level A represented buildings with similar business types, Level B represented a combination of continuously similar and contrasting business types, and Level C represented buildings with entirely different business types.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 measured by the ability of individuals to remember the street when presented with these characteristics. Recognition memory was assessed, specifically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recall presented buildings using an ox quiz. The data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R, and the results were discussed to propose design direction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memory scores for all three roadside building levels (A, B, and C).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recognition time between Levels B and A and between Levels B and C,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vels A and C. Third, among the three levels, roadside buildings with contrasting business types (Level B) positively influenced both recognition memory scores and average recognition time.(Conclusion) This study used memory experiments to reveal how the fa‡ade composition of roadside buildings influences the formation of street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design directions for creating distinctive street environments by identifying the conditions that render roadside buildings memorable. Notably, the study approached roadside buildings not only in terms of physical elements, such as color, form, and material, but also in terms of non-physical concepts, such as the meaning and nature represented by business types. This unique approach, validated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provides applicable design directions for creating distinctive urban street environments.

      • KCI등재

        디자인 평가를 통해 본 서울시 버스정류소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이희엽(Lee, Hee Yup),김창현(Kim, Chang 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8 No.-

        서울시는 2004년 7월 1일에 버스중심의 대중교통개혁을 시행하였다. 또한, 대중교통과 보행자 중심의 교통체계개편을 추진해 왔다. 그래서 도로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제와 도로중앙에 최첨단의 중앙 버스 정류소가 설치되었다. 반면에 낙후된 가로변 버스 정류소는 2014년 3월에 최첨단의 버스 정류소로 개선사업이 완료되어 운영 중에 있다. 따라서 연구목적은 서울시의 개선사업이 완료된 가로변 버스 정류소와 지속적인 고급화가 추진된 중앙 버스 정류소를 디자인서울 공공시설물 가이드라인 기본방향의 평가지표로 평가하는데 있다. 조사방법으로 서울시 25개 지역구의 가로변과 중앙 버스 정류소를 표본조사 하였다. 평가는 디자인서울 공공시설물 가이드라인의 기본방향 7요소(기능성, 통합성, 안전성, 보편성, 환경성, 연속성, 정체성)를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시 교통정책변화의 현황을 조사하고, 서울시 가로변 버스 정류소와 중앙 버스 정류소의 현황을 조사하여 설문조사로 디자인 평가를 진행하였다. 응답자는 성별에 관계없이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20대 이상의 서울시민 대상이다. 평가결과는 디자인서울 공공시설물 가이드라인을 가로변 버스 정류소가 중앙 버스 정류소보다 더 잘 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 정류소 간에 상대적으로 비교 평가했을 때, 중앙 버스 정류소의 안전성, 환경성, 연속성과 가로변 버스 정류소의 통합성은 개선이 필요하다. 가로변과 중앙 버스 정류소의 공통적으로 기능성, 보편성, 정체성은 개선이 많이 되었다고 볼 수가 있다. 특히, 서울시의 교통문화와 디자인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는 것은 우수한 점이다. On July 1, 2004, Seoul implemented the reforms of the bus-oriented public transportation. Seoul also has been promot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reform of the pedestrian-oriented transportation system. So Seoul operated the bus rapid transit and installed the state-of-the-art central bus stop in the middle of the road. On the other hand, as the old roadside bus stop changed to the state-of-the-art bus stop in March 2014, the improvement business has been completed. The roadside bus stop is operat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ill evaluate the improved roadside bus stop and the advanced central bus stop by the 7 basic elements of Design Seoul Guidelines on public facilities. The survey method was conducting the roadside bus stop and the central bus stop of 25 autonomous regions of Seoul by a sample survey. The evaluation was assessed with the 7 basic elements (functionality, integration, safety, universality, environment, continuity and identity) of Design Seoul Guidelines on public facilities. The study scope is as follows. The changes of the transportation policy in Seoul from 2000 to 2014 will be investigated. The roadside bus stop and central bus stop in Seoul will be investigated. The design evaluation by the survey will be done. the respondents must be residing in Seoul and must be the Seoul citizens over the age of 20 regardless of gender.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re much better roadside bus stop than the central bus stop has been complied with the 7 basic elements of Design Seoul Guidelines on public facilities. Safety, environment, continuity of the central bus stop and integration of the roadside bus stop will need the improvement when bus stops by the relative comparison has been evaluated. Functionality, universality, identity of the roadside bus stops and the central bus stop has seen a lot of the improvements in common. Specially, to find the traffic culture and design identity of Seoul is an excellent point.

      • KCI등재

        서울시 버스 정류소의 유니버설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이희엽(Lee, Hee Yup),고영준(Ko, Young Jun),김창현(Kim, Chang 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서울시는 2004년 7월 1일에 버스중심의 대중교통개혁을 시행하였고, 대중교통과 보행자 중심의 교통체계개편을 추진해 왔다. 도로중앙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제와 최첨단의 중앙 버스 정류소가 설치되었다. 가로변 버스 정류소도 2014년 3월에 최첨단의 버스 정류소로 개선사업이 완료되어 운영 중에 있다. 따라서 연구목적은 서울시 개선사업이 완료된 가로변 버스 정류소와 지속적인 고급화가 추진된 중앙 버스 정류소를 공공환경의 UD(Universal Design) 평가기준의 6개 원칙을 평가지표로 평가하는데 있다. 조사방법으로 서울시 25개 지역구의 가로변과 중앙 버스 정류소를 표본조사 하였다. 평가는 공공환경의 UD 평가기준의 6개 원칙(공평성, 접근성, 인지성, 사용성, 안전성, 매력성)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시 교통정책과 현황을 조사하고, 가로변과 중앙버스 정류소의 현황을 조사하고, 설문조사로 UD 평가를 진행한다. 설문응답자는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10대 이상의 서울시민 대상이다. 평가결과는 공공환경의 UD 평가기준의 6개 원칙을 가로변 버스 정류소가 중앙 버스 정류소보다 더 잘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 정류소 간에 상대적으로 비교 평가했을 때, 중앙 버스 정류소의 공평성, 인지성, 안전성과 가로변 버스 정류소의 사용성, 매력성은 더 개선이 필요하다. 가로변과 중앙 버스 정류소의 공통적으로 접근성은 개선이 많이 되었다고 볼 수 가 있다. 그러나 서울시의 UD 평가를 통한 전체적인 버스 정류소의 UD 평가정도는 우수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지속적인 개선사업을 통해서 다양한 계층을 위한 UD을 해야 할 것이다. On July 1, 2004, Seoul implemented the reforms of the bus-oriented public transportation. Seoul also has been promot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reform of the pedestrian-oriented transportation system. So Seoul operated the bus rapid transit and installed the state-of-the-art central bus stop in the middle of the road. On the other hand, as the old roadside bus stop changed to the state-of-the-art bus stop in March 2014, the improvement business has been completed. The roadside bus stop is operat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ill evaluate the improved roadside bus stop and the advanced central bus stop by the 6 principles of the universal design evaluation criteria on the public environment. The survey method was conducting the roadside bus stop and the central bus stop of 25 autonomous regions of Seoul by a sample survey. The evaluation was assessed with 6 principles (equitableness, accessibility, recognition, usability, safety and attractiveness) of the 6 principles of the UD evaluation criteria on the public environment. The study scope is as follows. The changes of the transportation policy in Seoul from 2000 to 2014 will be investigated. The roadside bus stop and central bus stop in Seoul will be investigated. The UD evaluation by the survey will be done. the respondents must be residing in Seoul and must be the Seoul citizens over the age of 10.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re much better roadside bus stop than the central bus stop has been complied with the 6 principles of the UD evaluation criteria on the public environment. Equitableness, recognition, safety of the central bus stop and usability, attractiveness of the roadside bus stop will need the improvement when bus stops by the relative comparison has been evaluated. Accessibility of the roadside bus stop and the central bus stop has seen a lot of the improvements in common. But the degree of valuation of bus stops through the UD evaluation of Seoul has not been excellent. In the future, the UD for the various class through continuous improvement business will have to be made.

      • KCI등재

        경주시 경관특성을 고려한 가로변건축물 형태구성에 관한 연구

        최부현,현택수 한국농촌건축학회 2008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0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ual features of street buildings, which affect the urban scape, and establish design guidelines by types of buildings. According to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document research, field survey through site visits and questionnaire survey for each subject. The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xterior form characteristics of street buildings, and images of the streetscape in Gyeongju.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preference of 33 architecture-related people on the formal constituents of street building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document research, field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put together to elaborate the design guideline for urban street facade in historical city.

      • KCI등재

        도시가로공간의 경관이미지 개선에 관한 연구 : 가로변건축물의 색채환경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송대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3

        본 연구는 색채를 통해 지역의 경관이미지를 개선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가로변건축물의 색채환경을 경관적 측면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즉, 기성시가지 도심의 주요가로를 대상으로 보행환경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가로변건축물의 색채환경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도시가로경관 가로변건축물의 색채계획시 참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가로공간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변건축물 형태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최임주 ( Im Joo Choi ),조현득 ( Hyun Duk Jo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3 No.1

        가로는 도시를 구성하는 선적(線的) 요소로서 도시 발전의 축이다. 이러한 가로의 본질적 기능은 통행이 목적인 교통공간이지만 이와 함께 사람과 사람의 만남, 휴식, 오락 등의 다양한 활동을 담아내는 커뮤니티의 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가로는 기본적으로 보도와 차도 그리고 가로를 에워싸고 있는 가로변 건축물로 구성되는 3차원의 공간이다. 이때 가로변건축물은 가로공간을 구성하는 중요한 물리적 구성요소로 가로변건축물의 입면은 사람들이 가로공간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로변 건축물의 입면을 구성하는 형태구성요소를 대상으로 가로경관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시지각적 우세요소들을 추출하고 각각의 요소들의 만족도와 선호도를 조사/분석하여 향후 도시가로 경관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 street, as a linear factor constituting the city, is an axis of urban development. The substantial function of the street is the traffic space for the passage but now it plays the important role of the place of community where contains various activities such as meeting between people and people, rest, entertainment etc. A street is basically the 3 dimensional space consisted of the sidewalk, roadway and the roadside structures surrounding the street. In this case, the roadside structures are the physical composition factors for the street space and the facade of the roadside structures acts as important variables to form the image of street space. Thus,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be applied in the future urban street landscape plan by extracting the superior factors in visual and perceptional aspects which affect the image of street view from the shape composition factors which constitute the facade of the roadside structures, and by searching and analyzing the satisfaction degree and preference of each factors.

      • 가로경관의 친환경성 증진을 위한 가로변건축물의 생태요소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정춘국,김기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7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Recently it is urgent issue in every department that problem from environmental disruption such as global warming. The case of streetscape that works essentially at city scenery, it is inevitable that changing from present view, which centers facilities and buildings, to environmental harmonic scenery. This study plans climate adjusting ability and heat capable elevation by putting ecological elements to buildings on a street which are essential factors at streetscape. Ultimately, this not only makes a pleasant environment but also revives being withered earth. Street-environment on eco-scape will take a part for designing sustainable city. This study acquires the way how buildings on a street get applied ecological element as following. Roof level part : the greening surface of the rooftop(included plant box type), the greening roof as a type of pergola, the greening surface of the middle floor rooftop(included plant box type). Elevation part : climbing type, downfall type, espalier, flower bed in balcony type, wall-installing type, water wall type, other design types. Ground level part : paving the whole surface with permeability, paving the gap with permeability, plant box type, ground plant type, water zone (included wetland), fence greening type, terrace greening type, retaining wall greening type.

      • KCI등재

        가로변건축물 구성요소의 외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부산시 센텀시티 주요가로를 중심으로

        추지웅,송대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3

        본 연구는 도시가로공간의 질적 개선을 위한 시도로서 최근 주거·상업중심의 토지이용으로 인하여 급격하게 변화되는 신시가지형 계획지구 중심가로를 대상으로 도시가로공간과 가로변건축물의 구성요소에 따른 제반 문제점과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가로변건축물의 외형적 형태가 가로상에서 시각적으로 어떻게 표출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도시가로와의 관계성에 따른 경관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KCI등재

        부산시 남구 대학로 가로변건축물 및 사인물의 색채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시은,송대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1

        본 연구는 도시경관의 질적 개선을 위한 시도로서 대학가 가로공간의 가로변건축물과 사인물의 환경색채를 경관적 측면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즉, 지역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욕구를 수용하는 대학가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가로변건축물과 사인물의 색채환경에 대한 제반 문제점과 그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대학가 가로환경개선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