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주 옥산서원 원임의 구성과 성격

        이병훈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7 민족문화논총 Vol.67 No.-

        이 논문은 경주 옥산서원 원임의 선발과 직무, 시기별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옥산서원은 원임의 선발과 직무에 대한 규정이 구체적으로 남아있지 않다. 원임의 선발기준이 엄격하게 준수되었던 16세기 후반에는 자격을 갖춘 인사들을 옥산서원 인근이라는 제한된 지역에서 선발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래서 특정 인사들의 원임직 중임이 서원건립 초기부터 확인된다. 그러나 17세기 들어오면서 옥산서원의 위상이 제고되고, 타읍에서 이주해온 사족들이 증가하면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원임을 선발하였고, 그들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서원이 운영되었다. 한편으로는 후손들의 원임직 참여가 나타난 것도 이 시기였다. 18세기 들어오면서 문벌의식의 확대와 문중서원의 건립에 따라서 옥산서원 운영에 참여하였던 원유(院儒)들의 이탈이 증가하였다. 옥산서원은 원임의 선발 범위를 경주부 남쪽으로 확대하는 한편, 후손(驪州李氏)들의 원임직 참여를 적극 허용하였다. 후손들의 참여 확대는 원유들의 이탈뿐만 아니라 실제 원임에 임명될만한 자격을 갖춘 자들 중 후손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18세기 이래로 19세기 중반까지 원장과 유사의 직임에 후손들의 참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이 시기의 특징으로는 옥산서원 운영에 참여하였던 후손들도 분화되어 서원운영에서 밀려난 계파(系派)는 파조(派祖)를 제향하는 문중서원을 건립하고 옥산서원에서 이탈하였다. 이처럼 서원 운영을 책임졌던 타 가문의 원유들뿐만 아니라 후손가의 이탈이 확대되면서 서원 운영은 더욱 어려워졌다. 이에 서원 운영의 어려움과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다 영향력 있는 인사를 원임으로 선발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19세기 중반부터 타읍 출신의 명망있는 전직 관료를 원임으로 선발하다가, 19세기 후반부터는 경주부윤과 관찰사를 원장으로 선발하였다. 후손들은 유사, 별유사 등을 담당하면서 서원의 실무를 담당하였다. 결국 옥산서원은 건립 이래로 여러 가문이 참여하여 경주를 대표하는 서원으로서 자리 잡았지만, 정치·사회적 변화와 재지사족의 분화 등으로 후손가와 일부 특정가문만의 참여로 유지되어 왔다. 그것은 경주부내 옥산서원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옥산서원 문중서원화가 가속화되었다. 그러나 19세기 강당 중건과 치제를 계기로 다시금 도약하였던 옥산서원은 후손들의 원장직 참여를 억제하면서 경주부를 대표하는 서원으로 전환되어 갔다.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selection, job, and changes by period of the Wonim in Oksan Seowon, Gyeongju. There is no detailed record in the regulations on the selection and job description of the Wonim in Oksan Seowon. Around the end of the 16th century, when strict regulations were applied to Wonim selection, it was not easy to select qualified persons in the restricted area of nearby Oksan Seowon. Therefore, the important duties of certain Wonim were clarified from the very beginning.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17th century, the reputation of Oksan Seowon improved, and because the number of people moving in from other regions increased, this enabled a relatively more stable selection of Wonim. As a result, the Seowon could operate in a more stable way. On one hand, this was the time when their descendants started to take Wonim positions. In the 18th century, along with an expanding awareness of lineage and the establishment of Moonjung Seowon,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Wonim members leaving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Oksan Seowon. This extended the range of Wonim selection to the southern part of Gyeongju and their descendants were actively allowed to take Wonim positions. This was not only to prevent further people leaving but also to ensure that the most qualified persons were included as Wonim members.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mid-19th century, this was the main reason for the abrupt rise in the number of descendants who held similar position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was that the descendants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Oksan Seowon were divided, and those who were excluded from the operation left the Oksan Seowon and established Moonjung Seowon, which respected the founders of the community. As the number of descendants, as well as members from other families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of Seowon, who were leaving continued to increase, it became more difficult to manage Seowon. To solve this issue, it was necessary to designate a more influential person as a Wonim in order to overcome such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to deal with social changes. As a result, starting in the mid-19th century, renowned ex-government officials from other areas began to be selected. Starting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head officer in Gyeongju and the provincial governor were designated as the heads of the Wonim. Their descendants were responsible for field jobs and general affairs. As a result, Oksan Seowon became one of the most renowned Seowon representing Gyeongju, with the participation of many families since its establishment, but due to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as well as the division of families, it was sustained by descendants and certain families. This finally brought about a weakening of the influence of Oksan Seowon in Gyeongju and accelerated the change to Moonjung Seowon. However, based on the re-structuring of the auditorium and the ritual ceremony, Oksan Seowon made another step toward becoming a typical Seowon representing Gyeongju by restricting descendants from taking the head position.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경주 옥산서원의 위상 변화

        이병훈 ( Lee¸ Byoung-hoon ) 한국서원학회 2020 한국서원학보 Vol.11 No.-

        경주 옥산서원은 조선시대 서원 제도가 도입되던 초창기에 건립되어 대원군의 원사 훼철 시에도 존치되었던 곳으로서 한국 서원의 변천사를 대표하는 곳 중의 하나이다. 옥산서원은 건립 당시부터 경주지역 수원(首院)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서원의 위상은 제향인의 위상과 사액의 유무를 기본으로 정해진다. 여기에 사회·정치적 기능, 경제적 기반, 출판·도서관적 기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옥산서원은 이러한 요소가 시기별로 상호작용하면서 그 위상이 부침을 거듭하였지만 경주지역 수원으로서의 지위는 변함이 없었다. 옥산서원은 문묘 종사 대현인 이언적을 제향하는 서원으로서 경주부윤과 향인, 후손, 문인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건립되었다. 또한 건립 직후 사액이 되면서 국학에 준하는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임진왜란 당시에도 건물과 장서를 온전히 보존하였던 옥산서원은 전란 이후 경주지역을 대표하는 교육기관으로서 위치했다. 17세기 중반 이후 거재와 거접 등의 강학을 강화하면서 유생 교육의 중심처로 위치하였다. 당시는 당쟁이 심화되던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제향된 이언적이 당색과 무관한 인물이었으며, 서원의 운영 방향도 당쟁과 거리를 두면서 당색을 불문하고 많은 인사들의 방문이 이어졌다. 또한 지방관의 방문도 계속 이어지면서 옥산서원의 사회적 위상이 제고되는 효과를 보았다. 그러나 경주부내의 당파간 신분간 분쟁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지 않으면서 18세기부터는 경주부 남쪽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한편 문중서원의 건립이 본격화되면서 서원 운영에 참여하던 원유들의 이탈로 서원 운영에도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각종 규정을 제정하고, 원임의 선발 범위를 경주부 전역으로 확대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시도하였으나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그런 가운데 정조의 즉위 이후 이언적의 학문에 대한 국왕의 관심이 커지면서 그를 제향한 옥산서원에 대한 관심도 함께 커져갔다. 그 결과 인조반정 이후 단절되었던 치제가 재개되고, 서적의 하사도 이어지면서 옥산서원의 위상이 제고되었다. 이때부터 옥산서원은 도산서원과 더불어 영남의 양대 서원으로 위치하였다. 하지만 19세기에 들어오면서 서원 운영의 어려움이 더욱 심화되면서 원장의 선발도 도내로 확대하고 후손들의 서원 참여율도 더욱 증가하였다. 그러던 중 1839년(헌종 5)의 구인당 화재로 서원 재정은 악화되었지만 재사액과 국왕의 특명에 따른 치제가 거행되면서 서원의 위상은 재정립되는 효과를 얻었다. 그 후 원장에 경주부윤이 천망되면서 서원운영에 도움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서원 운영의 핵심가문인 경주손씨와 학문연원 시비가 발생하면서 19세기 중반 이후 손씨들이 옥산서원에서 완전히 이탈하였다. 나아가 신향들의 원임직 소통을 둘러싼 시비도 격화되어갔다. 그러나 대원군의 원사 훼철에도 존치되면서 더욱 위상이 높아져서 1884년(고종21) 복제개혁 반대 만인소를 주도하기도 했다. Oksan Seowon in Gyeongju was built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when the Seowon system was introduced, and was preserved even when the original temple of Daewon-gun was destroyed. Oksanseowon has served as a Suwon in the Gyeongju area since its establishment. In general, the status of the seowon was based on the status of the ancestral pers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ivate money, and the socio-political function, the economic base, and the publishing and library functions were combined. Oksanseowon's status as a Suwon in the Gyeongju region remained unchanged as these factors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different periods. Oksan Seowon was a scholar dedicated to Lee Eon-jeok, the Daehyun of Munmyojongsa, and it became a private residence immediately after its establishment, and had a status comparable to that of national studies. As a result, from the time of its establishment, there has been active support from Gyeongju Buyun and other descendants and literary literaries. Oksan Seowon, which preserved buildings and books intact during the Imjin War, was located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representing the Gyeongju area after the war. Since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it has been positioned as the center of education for larvae while reinforcing lectures such as Geojae and Geojeop. At that time, even though the party was intensifying, the scholar Lee Eon-ji was a person who had nothing to do with the party, and the direction of the operation of the seowon was also separated from the party, and many people regardless of party were visited. As local government visits continued, the social status of Oksan Seowon was improved. However, from the 18th century, the influence of the southern part of Gyeongju was lost without being involved in the dispute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new and old in the village society. In addition, as the construction of the Munjung Seowon began in earnest,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Seowon occurred due to the departure of crude oils participating in the Seowon operation. Therefore, various measures were attempted, such as enacting various regulations and expanding the selection range of senior directors to Bunam, but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In the meantime, the king's interest in the science of Yieonjeok grew after the throne of King Jeongjo. As a result, the government resumed, which had been cut off after the artificial rebellion, and the status of Oksan Seowon was improved as the sergeant of books continued, and it was positioned as two major Seowons in Yeongnam along with Dosan Seowon. However, in the 19th century, as the difficulty of operating the scholarship intensified, the selection of directors expanded to the province,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descendants in the scholarship also increased. In the meantime, the finances of the Seowon deteriorated due to the fire of Guindang in 1839 (the 5th year of King Heonjong), but the status of the Seowon was re-established as the rehabilitation amount and the remedy under the king's special order were held. After that, Gyeongju Bu-yoon was scolded by the director, and he received great help in the operation of the Seowon. However, after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a dispute occurred with Gyeongju Son, the core family of the Seowon operation, and after the mid-19th century, the Sons completely departed from Oksan Seowon. Furthermore, the dispute over the communication between new hyangs and senior officers has intensified. However, as Daewon-gun was preserved in the ruins of the original material, its status rose even further, leading the opposition to the cloning reform in 1884 (Gojong 21).

      • KCI등재

        19~20세기 영남지역 향촌사회와 경주 옥산서원의 동향

        이병훈 ( Lee Byoung Hoon ) 한국서원학회 2017 한국서원학보 Vol.4 No.-

        통문은 유생들이 공통된 의견을 결집하거나 혹은 공동의 관심사를 공론화하기 위해 왕래하는 일종의 연락문이었다. 그러나 발급주체와 사안에 따라 통문을 무시하거나, 반대하는 입장을 표방하기도 했다. 그렇기에 긍정적인 여론을 결집하기 위해 통문의 수급대상은 신중히 선별되었다. 조선후기 유생 공론의 거점이었던 서원은 사회ㆍ정치적 기능이 강화ㆍ확대되면서 수ㆍ발급한 통문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아있다. 현재 안동의 도산서원과 더불어 단일 서원으로는 경주 옥산서원 통문이 많이 남아있는 형편이다. 주지하다시피 도산서원과 옥산서원은 영남의 首院으로서 해당 지역은 물론이거니와 사안에 따라 도내 여론을 주도하는 위치에 있었다. 그렇기에 현재 이들 서원에 남아있는 통문이 당시 사회적 현안을 모두 다룬 것은 아니지만 당시 영남지역 사족사회의 주요 현안을 개관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경주 옥산서원 소장 통문을 중심으로 영남지역 향촌사회의 동향을 개관하고, 그러한 변화속에서 옥산서원이 가지는 위상을 확인하였다. 옥산서원에 소장된 통문은 대부분 19~20세기 초에 생성된 것이다. 이들 통문의 발급처를 통해 19세기 중반까지 옥산서원은 경상좌도에 소재한 원사 및 가문과 교류가 빈번했으며, 특히 안동지역 원사와의 교류가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안동지역과 교류는 20세기 초까지 계속 이어지는데 주목되는 점은 대원군의 원사 훼철이후 경상우도와 타도에서의 통문도 증가했다는 것이다. 대원군 훼철령에서도 존치되었던 옥산서원은 그 이후 위상이 보다 높아졌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통문의 내용은 19세기 초반에는 서원을 운영을 둘러싼 신ㆍ구향 내지 구향간의 갈등이 많았으며, 선조 내지 제향인 현양을 위한 문집간행ㆍ원사 신설 내지 중건에 관한 부조가 뒤를 이었다. 19세기 말에는 서세동점의 시기에 맞선 유생들의 儒會개최, 가문 간 대립이 첨예해지면서 나타난 山訟, 양반을 능육한 자들에 대한 儒罰 등과 관련된 내용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특히 선조 우열 경쟁에서 나타나는 문자시비와 같은 鄕戰이 심화되고 있었다. 한편으론 무너진 유교 윤리 회복을 위한 교육과 기강을 강조하면서 孝烈人에 대한 정려와 표창을 청원하는데 동침해 줄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 증가하였다. 20세기에는 문집간행, 훼철되었던 원사원 중건, 효열인에 대한 표창과 비 건립 등의 요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옥산서원은 여러 곳으로 발송된 통문에서 항상 제일 첫 번째 수급처로 명시되었으며, 경우에 따라 色目과 지역을 불문하고 원사 건립의 여론을 형성하고, 배전을 모금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요구받기도 했다. 옥산서원은 경주를 중심으로 한 인근 고을의 여론을 주도하였기에 모든 사안에 대하여 극단적인 결론보다는 주로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것은 옥산서원의 의견이 사회에 미치는 파장이 매우 컸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신중론은 경주부내의 사안에 대해서 더욱 그러했다. Tongmun was a kind of correspondence that collected common opinions of Confucian scholars and made public opinions of common interest. Seowon was place of public opinion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Chosun Dynasty To strengthen and expand social and political functions and to have relatively many Tongmun. The Tongmun reminded of scope of exchange of each Seowon as well as pending problems of current time of Hyangchon community. Oksanseowon at Gyeongju was prime Seowon in Yeongnam to take the lead in opinions in Gyeongju and province. The Seowon`s Tongmun did not deal with all of social affairs at that time and was thought to take view of pending problems of Sajok society in Yeongnam. This study took view of trends of Hyangchon community in Yeongnam based on the Seawon`s Tongmun to verify position of the Seawon. Most of Tongmun of the Seowon were made 19th to early 20th century. The Tongmun were thought to release and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Wonsa and family in Gyeongsangjwa-do until middle of 19th century and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Wonsa in Andong until early 20th century. After Daewongun`s destruction of Wonsa, number of Tongmun in Gyeongsangudo and other provinces increased. Oksanseowon that remained even at Daewongun`s order of destruction of Seowon raised reputation. Tongmun`s contents included conflicts between old town and new town and between legitimate child and bastard, and publication of collection of works for ancestors and religious service men, and help for new construction and repairing of Seowon and/or Sau. At the end of 19th century, Confucianism scholars opened meeting against foreign power`s demand on international trade to strengthen confrontation between families and to increase Sansong and/or punishment against the one who insulted Yangban. Hyangjeon of distinguishing of right and/or wrong of letters at competition of ancestors was worsened. Education and disciple for recovery of Confucianism destroyed were thought to be important and to ask for petition of commendation and selection of devoted child. Early 20th century, reconstruction of Seowon and Sau destroyed at the end of 19th century, building of monument for the devoted child, and participation in publication of collection of works rapidly increased. Oksan Seowon was thought to produce public opinions and to supply Tongmun firstly except for Hyanggyo and to be asked to form opinions of construction of Seawon regardless of political party and regions and to collect money. Oksan Seowon collected opinions in Gyeongju and neighboring areas to decide upon affairs carefully rather than extreme conclusion considering great influence upon the society. From th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paying homage to the ancestors and other businesses were done in Yeongnam, Debate on wright and/or wrong was made and Oksan Seowon joined in pending subject to cooperate and mediate and to have influence upon Yeongnam.

      • KCI등재

        경주 여주이씨 옥산파(玉山派)의 장산서원(章山書院) 건립과 운영 -조선후기 영남지역 노론계 서원 건립 사례 연구

        채광수 ( Chae Gwang-su ) 한국서원학회 2017 한국서원학보 Vol.4 No.-

        경주 여주이씨 옥산파 派祖는 회재 이언적의 서자 潛溪 李全仁이며, 그의 후손들은 경주 옥산지역을 기반으로 영남을 대표했던 庶流 가문으로 존재했다. 옥산파는 줄곧 신분상승을 도모하며 이전인의 현양 사업을 전개했는데 가장 큰 결과물이 바로 장산서원이다. 장산서원은 조선시대 수많은 서원 중 하나로 인식될 수도 있겠으나 거의 건립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비 양반 계층인 서류 인물 배향 서원이다. 옥산파는 玉山別業을 기반으로 다양한 이언적의 현양사업과 옥산서원 창건에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1665년 이전인이 회재의 학통을 계승했음을 시사하는 『關西問答錄』을 간행하면서 嫡庶간 시비의 발단이 될 뿐 아니라 德川書院과 陶山書院 갈등이 이어지면서 가문의 생존을 위해 그 반대편에 있던 노론세력과 연대하게 된다. 이전인 문집 발간 이후 여러 곡절을 겪으면서도 노론계의 지원하에 비록 실패는 하지만 이전인의 효행 정려 청원ㆍ서당 건립ㆍ景賢書院 추배 등을 기획 추진한 바 있고, 1780년에 마침내 숙원 사업인 章山祠 건립에 성공한다. 장산사 건립은 옥산파가 주도한 가운데 그들과 혼반 관계에 있던 의흥이 사족 함양박씨 등의 도움이 컸다. 또한 미사액 문중서원임에도 이례적으로 官의 지원이 이어졌을 만큼 여타의 서류가문과는 향촌에서 그 위상이 달랐다. 1797년에는 도내 노론계의 도움으로 章山書院으로 陞院하게 되는데 향사는 노론의 총 본산인 化楊書院의 법식을 따랐고, 院任 직제는 김상헌을 배향한 영남 노론계 사우인 안동 西?祠의 祠規 준용하였다. 그래서 원임 구성이 기존 옥산파 위주의 山長 1인-유사 1인 체제에서 도내 명망가를 선임한 道院長 1인과-유사 2인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때 유사 2명은 거의 옥산파에서 선임하였다. 서원 승격 후 옥산파는 장산서원을 거점 삼아 1811년(순조 11) 서원 사액 신청, 1824년(순조 24) 이전인 정려 청원, 1833년(순조 33) 흥해 曲江書院 이전인 추배, 1847년(헌종 13) 옥산파 유고 간행, 적서시비 근거지 등 문중 서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The genealogical head of Yeoju Lee Clan Oksan Pa is Jamgye Lee Jeon-in, a son of Hyejae Lee Yeon-jeok obtained from a concubine, and his descendants have thrived as members of a regular family that represents Yeongnam region on the basis of Oksan, Gyeongju. Oksan Pa engaged in the activities of exaltation of Lee Jeon-in while seeking to promote its status and the biggest outcome of these efforts is Jangsan Seowon. Jangsan Seowon can be regarded as one of those Seowon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bur is a rare Seowon specifically intended for sons of concubine mothers, which is not classified as yangban, or aristocrat. Oksan Pa played a key role in engaging in a variety of activities of exaltation for Lee Yeon-jeok and the foundation of Oksan Seokwon based in Oksan Villa. However, in 1665, Lee Yean-jeok published 『Gwanseo Mundap-Rok』, which hinted on the succession of Hye Jae`s scholastic mantle, and it not only instigated disputes among legitimate and illegitimate children but also led to conflicts between Deokchean Seowon and Dosan Seowon, eventually collaborating with Noron power, which was on the opposite side to sustain the survival of the family. Following the publication of the Lee Jean-in collection, they eventually failed under the sponsorship of Noron sect after going through a lot of difficulties but planned and implemented the application of filial piety of Lee Jeon-in, foundation of seodang, village school and dedication of Gyeonghyeon Seowon and succeeded in building Jangsansa in 1780, which is their pet project. Led by Oksan Pa, the foundation of Jangsansa was much attributed to help of Hamyang Patk, son of Ui Heung-ui who was in marriage relationship with them. I n addition, their status was so differentiated from that of ordinary families in the village that they gained a series of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n 1797, it was promoted to Jangsan Seowon, and ancestral rites followed the rules and formalities of Hwayang Seowon, the Head Office of Noron, and the director appointment system followed the rules of Andong Seogansa, a Noron sect shrine in Andong, which was dedicated to Kim Sang-heon. The director appointment system changed from one master and one clerk to one director and two clerks where two clerks were strictly appointed by Oksan Pa. Following the promotion to the status of Seowon, the Oksan Pa, on the basis of Jangsan Seowon, honored and performed a variety of its duties strictly as Munjung Seowon, including application for Saaek Seowon in 1811 (11th year of King Sunjo`s reign), application for filial piety of Lee Jean-in 1842 (24th year of King Sunjo`s reign), and dedication Heunghae Gokgang Seowon to Lee Jean-in in 1833(13th year of King Heonjong`s reign) and publication of scripts by Oksan Pa, publishing, and establishing a base for Jeokseosibi. In 1868 (5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The Seowon was demolished into its mere site with the command of Heungseon Daewongun to abolish Seowons with the signboards and other items preserved in Hyejae Museum today.

      • KCI등재

        일제 말 경주 옥산서원의 운영 실태

        조명근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4 No.-

        Gyeongju Oksan Seowon is a representative Seowon in Yeongnam dedicated to Hoejae Lee Eon-jeok, and served as the center of the society of country villages. However, its status declined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changed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and in particular, it was in a very difficult state financially. Lost the Seowon slaves, who were the economic foundation of the Seow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could not receive any assistance from the governmental office, Oksan Seowon could not but rely solely on income from farm rents. In the mid-1930s, disputes over land arose, and in the process, the Oksan Seowon's finances deteriorated further as they owed large amounts of debt to cover the costs of litig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ksan Seowon re-enacted its rules, the basic principles of Seowon operation, in 1940 to reorganize the operating system. The core of these rules was to have a director in charge of finance only and to deliberate on various issues of the Seowon through a council. Thereafter, Oksan Seowon convened a council to carry out debt adjustment to drastically reduce the burden of interests by replacing the existing high-interest loans with low-interest loans from Chosun Trust Company. In addition, on this opportunity, the Oksan Seowon tried to manage the head family's property, but it was not successful due to the head family’s refusal. Along with the settlement of the debts of the Oksan Seowon, the Seowon’s property was entrusted to the Chosun Trust Company. It was the result of satisfying the interest of Oksan Seowon which was trying to solve various problems through the policy goal of wartime agricultural administration of increasing rice production during the war period and consigned administration.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Oksan Seowon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 situation and promote the survival of the Seowon through a series of system reorganization.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인 경주 옥산서원은 일제강점기 들어 재정적으로 매우 취약한 상태에 있었다. 조선시대 서원의 경제적 기반이었던 원노비와 원속 등을 상실 하였고, 관의 원조를 전혀 받을 수 없었던 옥산서원은 오로지 소작료 수입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1930년대 중반 서원 소유 토지를 둘러싼 분쟁이 발생하 였고 이 과정에서 소송비를 감당하기 위해 거액의 채무를 지게 되면서 옥산서원의 재정은 더욱 열악해졌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옥산서원은 1940년 서원 운영의 기본 원칙인 규약을 다시 제정하여 운영체제를 정비하였다. 이 규약의 핵심은 재정을 전담하는 이사를 두고 평의회를 새로 설치하여 서원의 각종 현안을 심의하 는데 있었다. 이후 옥산서원은 평의회 의결을 통해 채무 조정을 단행하여 기존의 고리채 개인 차입을 조선신탁주식회사 저리 차입금으로 차환함으로써 이자 부담을 대폭 경감하였다. 또한 이 기회에 종가 재산을 서원 측에서 관리하고자 했으나 종가 측의 거부로 성사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서원의 채무 정리와 더불어 서원 재산을 조선신탁주식회사에 위탁 관리하였다. 일제 말 옥산서원은 일련의 제도 정비를 통해 난국을 타개하고 서원의 존속을 도모하고 있었다.

      • 옥산서원과 여주이씨

        이수환 ( Lee Soo-hwan ) 한국계보연구회 2014 한국계보연구 Vol.5 No.-

        본고는 조선시대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인 옥산서원과 그 제향자인 이언적 가문에 대해 검토하였다. 경주의 驪州(驪江)李氏는 본래 경기도 驪州牧 土姓으로 고려후기까지 여주의 戶長職을 세습하다가, 고려 말에 본관을 떠나 영남으로 내려온 것 같다. 영남에 정착한 초기에는 迎日에 살다가 이언적의 조부 李壽會가 경주인 生員 李點의 사위가 되어 경주로 온 것이다. 이 가문이 경주 지방에서 확고한 재지적 기반을 갖게 된 계기는 이수회의 아들 李蕃이 손소의 사위가 되면서부터이며, 이로 인해 그의 처가 소재지인 양좌동은 마침내 손·이 양 성의 세거촌이 되었다. 경주 여강이씨 가문은 17세기 이후 급격히 족세가 번창하면서 경주권의 어느 가문보다 대·소과 합격자를 많이 배출하여 대표적인 명문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名祖 이언적이 사후에 ‘宗廟配享’[明宗]과 ‘文廟從祀’라는 人臣으로서 또는 학자로서 최고의 영예를 향유한 데서 이후 이 가문은 영남의 대표적인 명문으로 자리 잡았다. 옥산서원은 이언적 사후 경주 지역 사림들이 이언적의 학통을 계승하기 위해 1572년(선조 5)에 건립하였다. 옥산서원은 당시 慶州府尹 李齊閔이 權德麟(이언적 門人) 등 鄕中士林 13명의 건의를 받아들여 이를 監司에게 보고하자, 감사 任說이 禮曹에 狀請하여 창건하였다. 옥산서원은 설립 후 당시 조선왕조의 서원진흥책에 힘입어 급속한 발전을 보게 되었으며, 특히 제향자인 이언적이 1610년(광해군 2)에 ‘동방 5현’의 한 분으로 文廟에 종사되자 그 영향력은 더욱 크게 증대되었다. 이후 옥산서원은 막대한 경제적 기반을 토대로 경주부의 유림사회를 실질적으로 대표하면서 지역 유림들의 교육 및 정치·사회적 활동의 중심지로 역할하였으며, 나아가 당시 중앙 정계의 치열한 정쟁 속에 도산서원과 함께 영남 남인의 대표적인 서원으로서 남인의 정치적 명분 제공과 이들의 상호결집을 위한 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한편 옥산서원은 인조반정·갑술환국 등 중앙 정계의 정쟁에서 남인 세력이 점차 실세함에 따라 院勢가 상당히 위축되었지만, 영·정조 대에 와서 다시 중앙 정계로부터 주목받았다. 영·정조 두 왕은 『대학』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따라서 이때 주자의 『大學章句』의 결유된 부분을 보완하여 『大學章句補遺』를 다시 편한 이언적의 학문이 주목되면서 그를 봉양하는 옥산서원도 중앙으로부터 특별한 대우를 받았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옥산서원은 경주권을 넘어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으며, 대원군의 전면적인 원사훼철 때에도 文廟從祀諸賢의 서원으로서 남게 되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Oksanseowon, a representative academy in Youngnam re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Lee clan who were responsible for Confucian ritual at the academy. The Yeoju Lee clan in Gyeongju came from Yeoju-mok, Gyeonggi-do where their ancestors lived until the late Goryeo dynasty, some of them served as Hojang in Yeoju. The clan is believed to have left Yeoju and moved to the Youngnam region around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Early in their settlement in the Youngnam region, they lived in Youngil until Lee Su Hee, grandfather of Lee Eon Jeok married to a daughter of Lee Jeom, a saengwon in Gyeongju and the entire clan moved to Gyeongju. The clan came to power in academic aspects in Gyeongju when Lee Beon, a son of Lee Su Hee, became a son-in-law of Son Soh. Finally, Yangja-dong, home to his wife’s household, became a village of residence for generations of both Son and Lee clans. The Yeogang Lee clan in Gyeongju enjoyed prosperity all of sudden since the 17th century, produced more successful examinees in national civil service exams than any other clan in the Gyeongju area, making the clan establish itself as a representative noble family. In particular, after his death during the reign of Myeongjo, Lee Eon Jeok enjoyed the highest honor as a subject to the king and as a scholar such as Jongmyobaehyang [Myeongjong] and Munmyojongsa, which was a key influence to make this clan a leading noble family in the region. Oksanseowon was built in the 5th year of King Seonjo in 1572 by Confucian scholars in the area after his death with the aim of inheriting academic tradition of Lee Eon Jeok. The academy was established as the then Gyeongju mayor Lee Jae Min accepted a suggestion of 13 Confucian scholars in the village including Gwon Deok Lin, a pupil of Lee Eon Jeok and reported it to Governor Im Seol E, who recommended to the Ministry of Rites. Since its foundation, Oksanseowon witnessed a rapid growth with the help of academy promotion policy of the then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especially, when its former ritual manager Lee Eon Jeok was enshrined as one of the five sages in the Orient in the 2nd year of King Gwanghae in 1610, its influence grew stronger than ever before. Afterwards, with enormous economic resources, Oksanseowon became a symbol of Confucianism in Gyeongju, playing a center of education, politics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local Confucian scholars. Beyond that, as a representative academy of the Namin camp in the Youngnam region together with Dosanseowon, Oksanseowon played a role in providing a political cause for the entire Namin camp and uniting them amid fierce political struggles in the then central government. While the academy’s influence considerably decreased, as the Namin camp began to lose power in political struggles in the central government such as Injobanjeong and Gapsulwhanguk, it drew attention again of the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reign of Youngjo and Jeongjo. The two kings had special interest in Daehak. Accordingly, while the two kings ruled, much attention was paid to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Lee Eon Jeok who supplemented missing parts of Daehakjanggu of Chu Hsi and re-complied Daehakjangguboyou, and therefore, the academy which enshrined him was treated speciall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n this situation, the academy established its firm status as a representative academy in Gyeonggju and Youngnam region and survived Daewongun’s full-scale destruction of academies and temples as an academy of sage enshrined in a Confucian shrine.

      • KCI등재

        19세기 초 경주 옥산서원 강당 중건과 位相변화

        이병훈(Lee, Byoung-Ho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57 No.-

        이 글은 조선후기 서원의 위상 변화를 경주 옥산서원 사례를 통해 확인해보려는 것이다. 옥산서원은 도산서원과 더불어 조선후기 영남을 대표하는 서원으로서 여타 서원들에 비하여 사회적 위상이 매우 높았던 곳이다. 이러한 관심은 1839년 강당인 ‘구인당’을 중건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확인이 된다. 사액현판의 소실로 재사액을 요구하는 논의가 道內에서 일어나 그해 11월에 왕명에 의해 賜額이 내려지고, 이어서 12월 13일에 致祭가 거행되었다. 이처럼 조정에서 재사액을 명하고, 그와는 별개로 치제를 행한 것은 중앙정부에서도 옥산서원이 영남을 대표하는 서원임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옥산서원의 확고한 영남지역내의 위상은 강당을 중건한 후의 낙성식에서 경상감사와 경주부윤을 비롯한 인근 고을의 수령들이 대거 참석하고, 유생 만여 명이 참석한 백일장이 시행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하지만 17세기 초반 회재의 문묘종사를 반대하는 정인홍의 상소 이래로 경상우도의 남명학파와의 관계는 멀어져서 강당 중건시에도 경상우도 사림의 협조는 확인되지 않는다. 즉 당시 옥산서원의 영향력은 경상좌도와 경상우도의 대구 · 현풍을 중심으로 한 중부권에 국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of status of Seowon depending upon social change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by using case of Gyeongju Oksanseowon. Oksanseowon that represented Seowon in Yeongnam together with Dosanseowon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had very much high social status. As a result, Oksanseowon could recover its status to verify such a fact at rebuilding of ‘Gu-in-dang’ in 1839. Request for being given signboard from king was discussed in the province to be given in December in same year, and Chije according to king’s order was done at Dosanseowon and Oksanseowon. As such, the Royal Court gave order of giving signboard again to do Chije and to admit of Oksanseowon representing Yeongnam. Oksanseowon built up status after rebuilding lecture hall again to attend construction ceremony by Gyeong-sang-gam-sa and Gyeong-ju-bu-yun and other governors at neighboring towns and to put signboard from the king with Chije Jemunpan and to open beg-il-jang attended by more than ten thousand Confucian scholars. Seowon could keep social status to preserve even at Daewongun’s order of destruction of Seowon: After middle of the 19th century, Seowon worsened confrontation between legitimate son and bastard at Won-im-jik So-tong to be punis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not only Gyeongju Sohn but also Yeoju Lee debated origin of science of Hoije Lee Eon-jeok to disturb Seowon operation and to destroy social status of Seowon.

      • KCI등재

        嶺南地方 書院藏書의 淵源과 性格

        裵賢淑(Pae, Hyon-Suk)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6 No.-

        본고는 올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가 결정될 9서원 가운데 영남지방의 6서원을 대상으로 그 문고의 성립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6서원은 소수서원・남계서원・옥산서원・도산서원・도동서원・병산서원이다. 이들 서원은 장서를 하였고, 서적을 수장할 공간으로 문고 또는 장서각을 건립하였다. 이들 서원문고의 장서는 오늘날 대학도서관의 기능을 한 것으로 보인 다. 장서는 장서마다 특징이 있게 마련인데, 서원의 장서도 마찬가지이다. 서원은 설립자와 원규에 따라 장서의 성격에 차이가 있었다. 서원의 장서는 주향자의 수택본 이관본, 국왕・지방관인・사인 기증본과 구입본으로 증대되었다. 서원의 초기 장서 가운데 주향자의 서적을 이관한 경우는 소수서원・남계서원・도동서원은 전무한 상태이고, 도산서원의 경우 일부 서적은 확인되었고, 병산서원・옥산서원은 가능성은 있지만 확신할 수 있는 서적은 찾지 못한 상태이다. 6서원 초기의 장서에는 서원 자체 간본이 나 교환으로 증대된 서적의 증거는 볼 수 없었다. 다만 도산서원에는 송지인책본이 극소수 있었을 뿐이다. 서원마다 기증본 가운데 지방관인 기증본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국왕하사본은 소량이지만 중시되었다. 구입본은 소수서원의 경우 장서의 기반이 되었고, 도산서원은 지방관인의 기증본 다음으로 큰비중을 차지하였고, 남계서원・옥산서원・도동서원・병산서원은 주기가 없어 알 수 없다. 자체제작본은 병산서원에서는 하권의 대다수를 차지할 정도로 상당히 큰 비중을 보이고 있다. 서적의 주제는 대개 유학의 경서와 유가의학설이 중심이고, 다음이 역사 서적이었다. 그러나 여타 자부서적은 거의볼 수 없었다. 신재는 교육에 있어 서적은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것 같다. 그리하여 서원의 장학과 관계되는 尊賢錄 ・ 學田錄 ・ 藏書錄 을 동등한 수준으로 작성한 것이다. 그 결과 소수서원 창립기 서적의 규모와 입수방법을 알 수 있다. 신재는 서원의 창설뿐만 아니라 장서구축과 서목의 작성에큰 공을 남겼으니, 그 공이 적지 않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origion of book collections stored in 6 seowons in Yeongnam Province, which are going to be registered in UNESCO. They are Sosu, Namgye, Oksan, Tosan, Todong and Pyungsan seowons. All of these seowons had book collections and library buildings to store them. These collections acted as college libraries of nowadays. The collections of seowons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like other collections. The characteristics vary depending on the founders and regulations of seowons. In the process of collections, books were accumulated by donations from the persons whom enshrined, kings and provincial officials, privately donated and from purchases. The books donated from the person whom enshrined were not found at Sosu, Namgye and Todong seowons. At Tosan seowon, only a few books were fou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ksan and Pyungsan seowons had them, but they were not found. There was no evidence found that books published in each seowon and exchanged. Although at Tosan seowon there were 2 kinds of books stored which papers were sent to other publisher and printed there. It looks like a large number of collections of seowons were accumulated by books donated from provincial officials. Books donated from kings were small amounts, but were regarded highly. At Sosu seowon majority of them were books purchased, but at Tosan seowon majority were books donated from provincial officials. Namgye, Oksan, Todong, Pyungsan seowons had no records to show. At Pyungsan seowon a large proportion of books stored were written at its own seowon. The main subjects of collections at most seowons were the Confucian classics, Confucianism and history. Other philosophical books were hardly found. Sinjae Ju Sebung, founder of the first seowon ie. Sosu seowon realized that books were an indispensable part of education. He wrote 「On the sage of seowon」・「On real estate of seowon」 and 「On the book collection of seowon」, all of them on the same level. Through these books, we can understand the founding, the size of collection, and the means of acquisition of the book collections. Sinjae is credited with not only founding the seowon but also the collection and making a compilation of catalogues of the seowon books. His dedication to making a compilation of catalogues was admirable.

      • KCI등재

        19세기 韓中서원 자료를 통해 본서원의 출입과 그 목적-慶州 玉山書院과 廣州 廣雅書院을 중심으로-

        이병훈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4 No.-

        Among the seowons in East Asia, the Korean seowon has maintained a separate list of visitors. However, in other countries, it is impossible to ascertain the number and identity of visitors because such data do not exist. However, some of the lists of students who prepared for the past remain, so we can guess the identity of those who entered the seowon. Although it is a recor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 ry, according to the Records of Gwangseo Wondong and the Summer Engineering Department of Gwangseo Wondong, students from each Chubu Hyeonhak(州府縣學) in the province were hospitalized and studi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Most of these students were students of Chubu Hyeonhak(州府縣學), bu t there were those who stu died at Gukjagam(國子監), Gamseng(監生) Gongseng(貢生), Gongsa(貢士), and Balgong (拔貢), or entered the Hyangsi(鄕試) like Geoin(擧人). These were the leaders of each region, and their purpose was to prepare for the past to advance into the central bureaucracy. Gyeongju Oksanseowon was a representative ancestral rite for Lee Eon-jeok, one of the five prefectu res of the East, as well as a seowon representing Yeongnam. In particular, despite the fact that it was a Confucian academy of Namin ancestry, there were many visits by Noron and Soron dignitaries. People who visited the seowon simply heard about it while passing by Gyeongju, or learned about Seon-hyeon(先賢) when they went to take it in the past or passed it. Or, they visited to attend ceremonies and geojae, or to attend various banquets such as hyanghoe(鄕會) and city meetings. In the case of a local officer, he visited as an example of Seon-hyeon(先賢) when he was newly appointed, and he also adjudicated various civil complaints at this time. In Oksanseowon, there is “Bonhyangsimwonrok(本鄕尋院錄),” which is not found in other seowons. Persons who have visited within Gyeongju are listed here. In particu lar, it is u sefu l to identify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Confucianism between the Confucianists and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Confucianism and the Spring Festival in the 19th century. Through this, the range of powers that were involved in the operation of the seowon can be confirmed. In addition,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visitors who participated in irregularly held large projects such as Chije(致祭) and heavyweight, so a separate Dogi(到記) was written and recorded. In the 19th century, Oksan Seowon was visited by many people from inside and outside Hyangsa(享祀) in the early 1820s and mid 1850s, when the dispute between Jeokseo intensified, and in 1840, when Guinang was reconstructed and inaugurated. By region, Gyeongju had the largest number of visits, followed by people from the central region of Yeongnam, such as Yeongcheon, Daegu, Yeonghae, Indong, Seonsan, Gunwi, and Seongju. In particular, in the past year, there were many people who entered Samasi(司馬試) or came to visit after taking a high grade in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they mostly accompanied the clan. In the 19th century, the number of people visiting Oksanseowon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the nu mber of yangbans, bu t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symbolism of the Confucianism as a base for Confucianism that remained even when Daewongun's original samurai was destroyed and the hearts of Confucian students who felt sorry for the decline of Confucianism. 동아시아 서원들 가운데 한국의 서원은 방문객의 명단을 별도로 정리하여 관리 해왔다. 그러나 여타 국가에서는 이러한 자료가 남아있지 않아서 방문객의 수와 신분 등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만 入院하여 과거를 준비하였던 학생들의 명단이 일부 남아있어서 서원을 출입하였던 인물들의 신분을 짐작할 수 있다. 19세기 말에 설립된 중국 廣州의 廣雅書院 《동사록》과 《동성제생하계공과부》를 보면 省내 각 주・부・현의 우수한 학생들이 대거 입원하여 일정기간 동안 수학하였다. 이들은 대부분 주・부・현 소재 관학생들이지만 監生・貢生・貢士・ 拔貢과 같이 國 子監에서 수학했거나, 擧人과 같이 鄕試에 입격했던 자들도 있었다. 이들은 각 지역의 紳士들로서 모두 중앙관료로의 진출을 위한 科擧 준비가 목적이었다. 광아서 원은 광주성을 대표하는 省會書院으로서 국자감 다음의 지위를 가졌기에 관민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서 많은 학생들이 집단으로 수학할 수 있었다. 경주 옥산서원은 동방오현으로 추앙받는 회재 이언적을 제향하고, 건립직후 사액을 받으면서 국학에 준하는 지위를 얻었다. 조선의 서원은 원칙적으로 과거준비를 배척했지만 현실적으로 이를 외면하기는 어려웠다. 그래서 제향과 강학을 통한 원생들의 인성함양을 기본으로 했지만, 과거가 있을 때에는 이를 준비하기 위한 居 接을 시행하였다. 이때는 다른 고을과 원외의 유생들의 참여가 이어졌다. 이외에도 각종 儒會의 장소로서 활용되면서 중국에 비하여 정치・사회적 활동이 두드러졌다. 서원의 출입자는 대부분 士族들이었으며, 중앙관료부터 일반 유생까지 다양하였 다. 이것은 서원의 위상에 따라서 차이가 컸는데 옥산서원은 영남의 首院으로서 방문객이 매우 많았다. 19세기 옥산서원은 적서 간의 분쟁이 심화되었던 1820년대 초반, 1850년대 중반과 구인당을 중건하여 낙성식을 거행하였던 1840년에 향내외에서 많은 인사 들의 방문이 확인된다. 지역별로는 경주가 가장 많으며, 이어서 영천・대구・영해・ 인동・선산・군위・성주 등 영남의 중부지역 인사들의 방문이 많았다. 특히 과거가 있던 해에는 사마시에 입격하거나, 문과에 급제한 후 내방하여 알묘하는 이들이 많았는데 주로 일족과 동행하였다. 19세기 옥산서원을 방문하는 인물들은 이전 시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이것은 양반수의 증가도 있지만 쇠퇴하는 서원의 교육적・ 사회적 역할과 위상을 유지하려던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18세기 옥산서원 노비의 양상

        김영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본 논문은 18세기를 중심으로 옥산서원의 여러 사료를 이용하여 서원노비의 규모, 거주 지역, 나이와 신공, 혼인과 자녀 등을 밝히고자 하였다. 옥산서원에는 18세기에 100여 명에서 200명 가까이 되는 노비가 있었다. 처음에는 서원 근처를 중심으로 경주 등의 지역에 주로 거주하였다. 18세기 중반에는 경상도 남부의 밀양과 언양, 울산과 창원, 경상도 북부의 안동과 진보, 동해안 쪽의 영해와 흥해 등까지 확대되었다가, 18세기 후반부터 다시 서원 근처와 경주 등으로 축소되었다. 노비의 나이는, 노비안에서는 1~10세와 20~40세가, 호구단자에서는 20~40세가 많았다. 이는 노비안에는 옥산서원에서 확인할 수 있는 대부분의 노비를, 호구단자에는 실제로 신역과 신공을 담당할 노비들을 주요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옥산서원에서는 노비안에서 신공을 담당하는 노비들을 따로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옥산서원 노비의 혼인은 원비와 미상의 혼인과, 이들의 혼인으로 태어난 자녀들이 가장 많았다. 18세기 중반까지 원노와 미상, 원노와 양녀의 혼인과 이들의 자녀의 비중이 높았고, 원노의 혼인 대상이 다양하였다. 18세기 후반으로 가면 원비의 경우 미상과의 혼인만 나오고, 원노의 혼인 대상은 여전히 다양하였지만 자녀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았다. 지금까지 18세기를 중심으로 옥산서원 노비의 거주 지역, 나이와 신공, 혼인과 자녀를 중심으로 서원노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서원노비의 전반적인 모습을 더 면밀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