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악의 서사에 나타난 악의 의미 변화

        안상혁 한국영상학회 2023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1 No.3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Korean TV dramas is the narrative of evil strategy, which positions the villain as the main character. However, one problem to note is that the narrative of evil, in which the protagonist stands on the axis of evil and punishes social evilsin an evil way, is establishing itself as a new drama format. In the drama narrative, the phenomenon of curiosity about the fascination with the evil of the villain formingthe narrative of evil makes the traditional problem of good and evil fall into a labyrinth, as the lack of goodness and the imperfection of existence in the classical perception are evil. This is why humans with evil tendencies have been described as deformed beings. The philosophical premise that regards evil as non-reality with such a deficiency continued from Plato to Leibniz. However, after Kant, evil is regarded as an object of reality, and perspectives to understand evil in a modern way are provided. This study initially examines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evil, which has formed the view that evil competes with good, not evil that good excludes, and through thisanalyzes the meaning of evil possessed by the villain who appears as the main character in the drama Vincenzo. The phenomenon of a villain who commits private revenge rather delights viewers is tantamount to completely overturning Leibniz's theory of defining evil as a lack of good. In the theories of Kant and Kierkegaard, who regarded evil as an active reality, villains are mere beings who deviate from moral lawbut on the other hand are interpreted as beings that question the symbolic system that reproduces the incorrect customary order of society. This arises because the cartel that became a monster of the Babel group in Vincenzo symbolizes reality, which cannot be punished by laws or systems. 최근 한국 TV 드라마의 한 특징은 빌런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는 악의 서사화 전략이다. 그런데 주목할 문제는 악의 축에 선 주인공이 악의 방식으로 사회 거대 악을 처단하는 악의 서사가 새로운 드라마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영상서사에서 빌런이 지닌 악의 매혹에 대한 호기심이 악의 서사를 형성한다는 현상은 전통적인 선악의 문제를 미궁에 빠지게 한다. 고전적 인식 속에서 선의 결핍과 존재의 불완전성은 곧 악이었기 때문이다. 악한 성향을 지닌 인간을 기형적 존재로 묘사해 왔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처럼 악을 결핍을 지닌 비실재로 간주하는 철학적 전제들은 플라톤 이후 라이프니츠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칸트 이후부터는 악을 실재성을 지닌 대상으로 간주하며 악을 근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관점들을 제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이 배제하는 악이 아닌 선과 경쟁하는 악이라는 관점을 형성해 온 악에 대한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드라마 <빈센조>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빌런이 지닌 악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사적 복수를 자행하는 빌런이 오히려 시청자들을 통쾌하게 하는 현상은 악을 선의 결핍이라고 규정한 라이프니츠의 이론을 완전히 뒤집은 것이나 다름없다. 악을 적극적 실재로 간주한 칸트와 키에르케고어의 이론 속에서 빌런은 도덕 법칙을 일탈시키는 존재에 불과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의 잘못된 관습적 질서를 재생산하는 상징체계에 의문을 제기하는 존재로 해석될 수 있다. <빈센조>에서 바벨그룹의 괴물화된 카르텔은 법과 제도로 응징하지 못하는 현실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이유원 <海東樂府>의 『增補文獻備考』「樂考」의 고려가요 가화 수용과 그 시화

        김기영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79 No.-

        <해동악부>를 보면, 「악고」의 고려가요 배열 순서를 쫓아 이하 에 이르기까지, 「악고」의 고려가요 가화를 바탕으로 창작한 17편의 악부시 작품을 배열하였다. 그리고 맨 끝에 「악고」에서 고려노래로 파악하고도 고구려 속악의 위치에 두었던 작품인 <延陽歌>를, 역시 가화를 바탕으로 해 악부시를 창작해 덧붙였다. 다만 <동동>은, 『고려사』「악지」의 <장생포> 가화를 받아들인 「악고」의 <동동> 가화를 수용하여 악부시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해동악부>의 가화를 보면, 『증보문헌비고』「악고」의 작품에 대한 가화와 1) 동일하게 수록한 경우도 있지만, 2) 생략, 3) 단어 대체, 4) 단어 및 구절 대체, 5) 생략과 도치, 6) 생략과 도치 및 단어 추가, 7) 생략과 단어 대체, 8) 생략과 구절 대체의 방식으로 「악고」의 번잡한 내용은 생략하고 불충분한 내용은 보완하여 수용 내용의 문맥을 보다 명료히 하였다. 1)·3)·4)·5)·6)에는 1작품, 8)에는 2작품, 2)에는 4작품, 7)에는 7작품이 해당한다. <해동악부>의 시 형식은 이제현의 <소악부>에서 연원한 7언절구 형식을 일관되게 취하고 있다. 시화양상은 가화를 가감없이 사실 그대로 시화한 11편의 작품들과 가화의 내용에 작자의 창의적 생각을 더해 창작한 7편의 작품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악지」·「악고」를 거쳐 후대에 전승된 고려가요의 가화가 19세기에도 여전히 생명력을 발휘하여, 이유원 같은 당돼 지식인에게까지도 문학적 형상화의 창작적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A survey of the musical lyrics related to Goryeo songs that appear in Yi Yu-won's Haedongakbu shows that the collection presents seventeen musical lyrics created based on the tales of music related to Goryeo songs which were included in Akgo by adopting the arrangement of Goryeo songs in the review. And as for Yeonyangga, a work listed at the end which was previously categorized as Goguryeo popular music despite its verification as a Goryeo song in Akgo, the tale of music in Akgo was received and lyrics were created based on it. Yet, Dongdong was rendered as lyrics by receiving the tale of music related to Dongdong in Akgo, which received the tale of music related to Jangsaengpo in Akji. A survey of the tales of music in Haedongakbu shows that while 1) they are identical as those appearing in Akgo of Jeungbomunheonbigo, t6he context for the included contents is further clarified by omitting complex details and complementing insufficient parts of Akgo in such methods as 2) omission, 3) word substitution, 4) word and phrase substitution, 5) omission and inversion, 6) omission, inversion, and addition of words, 7) omission and word substitution, and 8) omission and phrase substitution. One work falls under the category of 1), 2), 3), 4), 5), and 6), and two works fall under the category of 8), while four works oolong to 2) and seven works oolong to 7). The poetic form shown in Haedongakbu consistently adopts the quatrain with seven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that originated from Yi Je-hyeon's Soakbu. In terms of the aspect of poeticization, they may be divided into eleven pieces that poeticized the literal version of the tales of music and seven pieces that combined the tales of music with the writer's creative thoughts.

      • KCI등재

        우리나라 樂府詩體 戰爭詩의 창작 양상과 연구의 과제

        박정민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2

        Although the beginning of war literature was to reflect war experience and sentiment, it gradually changed into literature to imagine war. And one o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is Korean war poetry in the Akbu-poem(Yue Fu, 樂府詩) style. To form the basis for the research on "literary figuration of imagination and notion about war", this study discusses the meaning and type of war poetry in the Akbu-poem style in Chapter 2, situation of creation of Korean war poetry in the Akbu-poem style in Chapter 3, and research tasks in Chapter 4. In Chapter 2, war poetry in the Akbu-poem style is defined as "Chinese poetry written in the Akbu-poem style". The study confirmed that, in case of China, there are 31 formats of the Akbu-poem-styled war poems by analyzing Gwak Mucheon(郭茂倩)'s the Book of Akbu Poems(樂府詩集) which has been called the best book coompiling the all-time great Akbu-poems. In Chapter 3, the study confirmed that, in case of Korea, the Akbu-poem-styled war poems have 16 different formats in total, including Saehaagok(塞下曲), Chulsae(出塞), Saesanggok(塞上曲), Gwansanwol(關山月), Jeongbuwon(征婦怨), Jonggunhaeng(從軍行), Nongdu(隴頭), Goyeolhaeng(苦熱行), Eummajangseong- gulhaeng(飲馬長城窟行), Jeonseongnam(戰城南), Chuljagyebukmunhaeng(出自薊北門行), Baekmapyeon(白馬篇), Ipsae(入塞), Chulgwan(出關), Homuinhaeng(胡無人行), and Ipgwan(入關). In addition to this, it presented the list of 325 poems collected for this study, and relevant studies as well. It also examined the themes of the Akbu-poem-styled Korean war poems, particularly from four different perspectives, including "the life and scenes on the frontier", "the parting and yearning due to war", "the distress from conquest and agony of soldiers and commanders(將卒)", and "the wish for going to war(出征) and accomplishing a feat(建功)". In Chapter 4, the study discusses future research tasks; first, intensive researches will be required, particularly on writers who wrote a lot of war poems in the Akbu-poem style; second, comparative researches will be needed between the Chinese Akbu-poem models and Korean works.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s as it is the study that supplements the tendency of the existing studies focusing on war experience-oriented Chinese poetry, and also that explores the features of war literature in terms of "ideality(觀念性)" and "archaism(擬古性)". 애초에 전쟁문학은 전쟁의 체험과 정서를 반영하는 데서 출발하였지만 점차 전쟁 상상 문학으로 선회하였으니, 그 대표적인 예가 우리나라의 악부시체 전쟁시이다. 본고에서는 ‘전쟁의 상상과 관념의 문학적 형상화’에 대한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2장에서 악부시체 전쟁시의 의미와 유형을, 3장에서 우리나라 악부시체 전쟁시의 창작 현황을, 4장에서 향후 연구 과제를 논하였다. 2장에서는 악부시체 전쟁시를 ‘악부시의 양식으로 작성된 전쟁 한시’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중국 역대의 악부시를 가장 잘 모아놓은 책이라 일컬어지는 郭茂倩의 樂府詩集 을 분석하여, 중국의 경우 총 31종의 악부시체 전쟁시 양식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塞下曲’․‘出塞’․‘塞上曲’․‘關山月’․‘征婦怨’․‘從軍行’․‘隴頭’․‘苦熱行’․‘飲馬長城窟行․‘戰城南’․‘出自薊北門行’․‘白馬篇’․‘入塞’․‘出關’․‘胡無人行’․‘入關’ 등 총 16종의 악부시체 전쟁시 양식이 창작되었음을 확인하고, 수집한 작품 총 325편의 목록 및 관련 연구를 제시하였다. 또 ‘변방의 생활과 정경’, ‘전쟁으로 인한 이별과 그리움’, ‘정벌의 괴로움과 將卒의 고통’, ‘出征과 建功의 기원’이라는 4가지 측면에서 우리나라 악부시체 전쟁시의 주제를 살폈다. 4장에서는 향후의 연구 과제를 논하였다. 그것은 첫째 악부시체 전쟁시를 다작한 작가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중국 악부시의 전범과 우리나라 작품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본고의 논의는 전쟁 체험 한시에 주목했던 기존 연구의 편향성을 보완하는 연구라는 점, 觀念性과 擬古性이라는 전쟁문학의 특성을 탐색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닐 수 있다.

      • KCI등재

        『악부(樂府)』(고대본)로 본 서울의 시가 예술문화

        유정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41 No.-

        본고는 근대전환기 도시 시가 문화가 집결된 위관(韋觀) 이용기(李用基, 1870~1934?) 의 『악부(樂府)』(고대본, 이하 자료명만 제시)에 관심을 두고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1860년생 이용기가 만년에 편찬한 『악부』는 그의 전 생애 기간에 걸쳐 서울이란 공간에서 만들어진 시가집이다. 게다가 『악부』 수록 시가 작품과 경향은 당대 시가 향유의 정황을 여실히 보여준다는 점에서 서울의 풍류, 도시문화를 이해하는 기반이 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도시인 이용기의 시각으로 선택, 기록된 작품들을 통해 그 내적 관계를 살펴보고 전환기 특유의 시가 문화상을 읽어보고자 하였다. 『악부』에는 도시 유흥이 상하를 불문하고 확산해 가던 때의 저변화된 노래 문화가 남아있다. 그런가 하면 이용기는 도시에서만 듣고 볼 수 있는 소리 문화를 기록하기도 했다. 길거리에서 불렸을 법한 도시인의 저속한 소리도 그는 허투루 흘려보내지 않았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악부』 편찬은 이용기의 도시 유흥 체험과 무관하지 않다. 특히 이용기의 시각으로 선택된 『악부』 소재 단독출현 시조는 근대전환기 시가 향유의 취향을 오롯이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되었다. 도시 문화가 융성해지면서 새로이 생겨난 『악부』 신출 시조의 주제적 경향과 통속적 면모는 당대 서울의 시조 문화를 생생히 보여준다. 당대인의 정서나 기호, 유흥 현장의 요구에 따라 역동적으로 움직였던 근대전환기 시조 문화의 한 단면을 『악부』를 통해 살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시기 노래 문화의 실상은 『악부』로부터 논의되어야 마땅하다 하겠다. This paper examines its characteristics with interest in the Ak-Pu of Lee Yong-ki, where urban poetry culture was gathered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e Ak-Pu, compiled in his later years by Lee Yong-ki, born in 1860, was a collection of poetry created in Seoul throughout his life. Moreover, the poetry works and trends in the Ak-Pu serve a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Seoul’s customs and urban culture in that they clearly show the circumstances of the enjoyment of poetry at the time. Therefore,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the inner relationship through the works selected and recorded from the perspective of Lee Yong-ki, to read the unique poetry culture of the transition period. In the Ak-Pu, the underlying singing culture of the time when urban entertainment was spreading regardless of the top and bottom remains. On the other hand, Lee Yong-ki recorded the sound culture that can only be heard and seen in cities. He did not let the vulgar sound of urban people who might have been sung on the street slip away. In this respect, the compilation of the Ak-Pu is not irrelevant to Lee Yong-ki's urban entertainment experience. In particular, the solo appearance sijo located in the Ak-Pu, sel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Lee Yong-ki, was noted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showed the taste of sijo enjoyment. The thematic trend and popular aspect of the newly created sijo of the Ak-Pu, which flourished as urban culture, vividly showed the sijo culture of Seoul. An aspect of the sijo culture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which moved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emotions, preferences, and demands of the people of the time, can be examined through the Ak-Pu. In this regard, the reality of the singing culture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should be discussed by the Ak-Pu.

      • KCI등재

        악의 서사화와 정당화된 악 - 영화 <조커> 연구 -

        이다운 ( Lee Da-u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악의 서사화는 개인과 사회 그리고 스토리텔링에 일련의 이익을 선사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의의를 지닌다. 희대의 악으로 캐릭터화된 조커를 다시금 호명한 토드 필립스의 <조커>(2019) 역시 악의 서사화에 동참하여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한 영화다. 특히 <조커>는 슈퍼 히어로인 배트맨에 대적해 온 조커가 왜 빌런(villain)이 되었는지를 재구성하며 전례없던 방식으로 악을 서사화한다. <조커>는 그동안 미디어가 범죄자를 악의 화신으로 규정하고 그들에게 또 다른 권력을 부여한 수많은 사례를 상기하게 하는 작품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조커>를 논리적으로 분석해 보아야 하는 이유다. 가해자를 신화화하는 미디어처럼 평범한 인간이 외부 요인으로 인해 광기의 악마로 거듭난다는 방식으로 악을 서사화하는 <조커>는 조금 더 면밀한 방식으로 탐색해야 할 의무가 있는 대상이다.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 빌런은 그들이 왜 악을 추구하게 되었는가보다악을 추구하는 목적과 행위 자체에 초점을 두어 형상화된다. 즉 빌런과 내적 친밀도가 강화될 만한 상황이나 설정을 의도적으로 축약하는 것이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 악을 서사화하는 방법 중 하나다. 그런데 <조커>는 일종의 불문율을 깨고 아서 플렉이 빌런 조커로 각성하게 되는 원인과 과정 자체를 서사의 중심에 놓는다. 중요한 점은 <조커>가 빌런의 기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악이 연민과 환호의 대상일 수 있다는 시선을 견지한다는 사실이다. <조커>는 아서 플렉을 빌런으로 각성케 하는 원인을 개인·가정·사회적 문제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아서 플렉을 더할 나위 없는 가련한 존재로 형상화하는 데 주력한다. 그리고 종국에는 빌런을 부정한 세상을 나름의 방식으로 심판하는 프로파간다로 그려낸다. 결론적으로 <조커>는 악을 정당화하고 우상화하기 위해 서사적 패착과 윤리적 위험성 그리고 시리즈물 캐릭터의 오염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한 영화라 할 수 있다. The narrative of evil holds unique significance because it presents a series of benefits to individuals, the society, and storytelling. The film < Joker >(2019) by Todd Phillips, which pointed to Joker, a character described as a notorious villain, joined in the narrative of evil and stimulated curiosity of the public. In particular, < Joker > reconfigured the story to why Joker, the villain that stood against Batman, a super hero, ended up as a villain and presented a narrative of evil as an unprecedented method. < Joker > is a work of art that recalls on many cases where the media defined villains as the embodiment of the evil and also authorized other powers. This is the reason why a logical analysis about < Joker > is required. Just like how the media mythifies the villains, < Joker > provides a narrative of evil that humans reforms into the crazy devil due to external factors,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ubject that should be explored with a more in-depth method. In super hero films, the embodied focus is placed on the intention and actions of the villains to pursue the evil rather than why they ended up chasing down the evil. In other words, one of the ways of presenting a narrative of evil in super hero films is by intentionally encompassing the situations or settings that could reinforce the inner level of closeness with the villains. However, < Joker > broke the series of unwritten rules and fixed the focus of the narration to the reason of awakening for Arthur Fleck as Joker and also the progress. The important fact is that < Joker > maintains the perspective that the evil can be the subject of sympathy and acclamation during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origin of the villain. < Joker > suggests various personal, family related, and social problems as the cause of turning Arthur Fleck into a villain and concentrates on projecting Arthur Fleck as the most pitiful person. In the end, the film presents a form of propaganda by judging the world for denying the villains. In conclusion, < Joker > is a film that led to the side effects such as narrative failure, ethical risks, and tainted characters in the film series in order to justify and idolize the evil.

      • KCI등재후보

        궁중정재 향령무의 악가무 통합 학습 지도 방안

        윤명원(Yoon Myun-won),박선영(Park Sun-yo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22 국악교육 Vol.51 No.5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 · 6학년을 대상으로 한 궁중정재 향령무의 악가무(樂歌舞) 통합 학습 모형과 국악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 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우리 음악의 본질과 특성을 바르게 이해하고 우리 음악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올바른 안목을 키울 수 있는 국악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악가무 일체의 통합 학습은 다양한 방면에서 국악을 체험함으로써 학습의 성취도를 높이고 쉽게 체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우리 음악의 본질과 특성을 바르게 이해하는데 교육적 의의가 있으므로 이를 반영한 국악 지도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궁중정재 향령무의 내용을 알아보고 향령무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였다. 3장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궁중정재 향령무의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악가무 학습을 기초→기본→심화 단계별로 제시하여 통합 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4장에서는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악가무 통합 국악 교수 · 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하여 악가무 통합 학습을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악 수업에 더욱 다양한 악가무 일체의 통합 학습 방법이 개발되고 수업에 적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presented an education method that can apply the Akgamu (樂歌舞, a combination of instrument, singing, and dancing performances) integrated education model of Hyangryoungmu (響鈴舞, a form of a Korean traditional royal court dance) and Gukak (國樂,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for elementary-level 5th and 6th graders. The study’s purpose is to present a Gukak education method that can properly encompass Korean music’s essence and characteristics while developing a correct perspective of its role and value. The integrated Akgamu education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sense of academic achievement by experiencing Gukak from various angles. Also, since there i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properly understanding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a Gukak education method that reflects this is required. Therefore, Chapter 2 examines the contents of Hyangryoungmu and explores its educational values. Chapter 3 devised an integrated education model by extracting the education elements of Hyangryoungmu that can be applied at school and presenting Akgamu education in the foundation → basic advanced stages. Chapter 4 presents the Akgamu-integrated Gukak education method applicable at school so it can be taught systematically and in a diverse manner. The study is expected to allow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more varied integrated Akgamu education methods for Gukak education.

      • KCI등재

        악의 문제에 대한 실천적 대응 - 본회퍼와 아렌트의 악의 이해를 중심으로

        박종균(PARK Jong-Kyu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2

        정치철학자 아렌트와 신학자이자 목회자 본회퍼는 악에 대한 사유 방식을 달리하면서도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실천적 측면에서 대화의 단초가 마련될 뿐만 아니라, 오늘날 악이 주는 도전에 대한 건설적인 대응 측면에서도 그들의 통찰은 서로 협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양자는 기존의 악의 이해를 변형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자유에 대한 이해를 변형시킨다. 그들은 악의 이해에서 우리가 직면하는 한계가 그것의 이해에서의 한계, 즉 자유의 한계에 대한 모종의 제안을 제공해주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양자는 악에 대한 인식론적인 겸허가 우리가 악과 부딪히면서 실현할 수 있는 잠재적인 선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웅변해주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가 악에 직면하게 될 때 악에 대한 분석과 설명의 이론적인 자원만 가지고서는 오늘날 악의 도전에 대응하기 역부족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본 연구자는 악의 이론에 대한 인습적인 접근에 대한 비판적 반성으로 본회퍼와 아렌트가 이론에 대한 최소화를 실천적으로 제안했던 바를 주목했다. 중요한 것은 양자는 현실 적합성을 결여한 이론적 이해 대신 실천적인 프로그램을 대안으로 제시한 것이다. 그들은 악의 문제에 실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단서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분석과 같은 이론적 작업만으로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피력했다 하겠다. 기본적으로 양자 모두는 현실적으로 경험되는 악은 인습적인 세계 이해의 차원에서는 도무지 파악되기 어려울 정도로 불합리하고도 모호한 것이라는 점에 동의하면서 악을 극복하는 방안을 나름대로 제시하고 있다. 본회퍼는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세계의 현실에 책임적으로 참여할 것을 주장하며 이에 비해 아렌트는 세계사랑의 실천을 제안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렌트가 정치적 세계에 대한 우리의 참여적 행위를 훼방하는 외적이고 공적인 악에 초점을 맞추면서 우리가 정치적으로 말하고 행위 하는 것을 통해 전체주의적인 악에 대해 저항했고, 본회퍼는 그리스도의 현실에 참여를 방해하는 거짓된 종교적 신앙과 그리스도의 타자를 위한 삶을 모방하고 세계 속에서 고난당하는 자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책임을 훼방하는 전체주의 악에 저항했다는 점에서 양자는 악에 대한 투쟁에서 통일된 전선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ven 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t ways of thinking on evil between theologian and pastor Dietrich Bonhöffer and political philosopher Hannah Arendt, their insights do not only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dialogue in the practical sense, but also will likely seek cooperative relationships in constructive responses to today’s challenges of evil. Both transform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freedom, as well as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evil. They suggest that the limitations we face in the understanding of evil can make some suggestion about the limits of understanding, the limits of freedom. Both profess that the cognitive modesty of evil can be a potential goodness that we can realize in the face of evil. This study emphasizes the fact that when we face evil, the theoretical resource of analysis and explanation of evil is not enough to meet the challenges of evil today. In this sense, this author notes that Bonhoeffer and Arendt proposed practical minimization of theory as a resistance to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the theory of evil. The important thing is that both have transformed inappropriat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evil into practical programs. They pointed out that theoretical work alone, such as conceptual analysis of evil, would not be possible to provide clues to practically respond to the problem of evil. Fundamentally, as they agree that the evil experienced in reality is unreasonable and obscure, unsuitabl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one proposes responsible participation in the reality of the world (Weltwirklichkeit) revealed in Christ and the other does practice of world-love (amor mundi) as a way to overcome evil. Arendt resisted totalitarianism’s evil through politically speaking and acting, focusing on external and public evil that undermines our participatory action into the political world, and Bonhoeffer resisted the false religious beliefs that hindered him from participating in Christ’s reality, imitating Christ’s life for others, and the totalitarian evil that undermined Christian responsibility for those who suffer in the world. It is in this regard that both can form a unified front in the struggle against evil.

      • KCI등재

        Two Readings of the Lunyu: With and Without the Edifying Effect of Music and the Complementary Concept of “Ritual and Music”

        ( Jo Jungeun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8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30

        《荀子》〈樂論〉和《禮記》〈樂記〉中所强調的“樂”的敎化作用以及互補式“禮樂”槪念,從時間上來看可能出現於《論語》之后,因此難以適用於《論語》。雖然可以認爲《論語》是從倫理方面來認識“樂”的,然而很難進一步看作是以“樂”的敎化作用爲前提的。如果敎化作用失效,那么“禮樂”的互補性也難以適用於《論語》。《論語》雖然首度對“禮樂”賦予槪念的重要性,但此時主要是從“儀禮”的脈絡上討論“樂”,“樂”不是與“禮”互補的對應槪念,而是從屬於“禮”的槪念。卽,“樂”是遵循“禮”這種準則的“儀禮”構成要素之一。“樂”的敎化作用與互補式“禮樂”槪念是否適用於《論語》,尙存疑問,然而,對於17.4、11.15、13.3、17.11在內的《論語》諸多章節,往往是以這些槪念爲前提來解釋的。在解釋這些章節時,不必執意以“樂”的敎化作用與互補式“禮樂”槪念爲前提,而是想到這些槪念的出現可能晩於《論語》,幷且摒棄帶有這些前提的解釋,才能勾更接近《論語》的本意。 The notions of the edifying effect of music and the complementary functions of ritual (li 禮) and music (yue 樂), which are emphasized in the “Yuelun” chapter of the Xunzi and the “Yueji” chapter of the Liji, would not be valid in the Lunyu if we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ose ideas were formulated after the Lunyu. Although the Lunyu could perceive music from an ethical viewpoint, it is highly improbable that the Lunyu acknowledges music exerting an edifying effect based on its ethical value. If this effect is not valid,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ritual and music is also inapplicable to the Lunyu. The concept of “ritual and music” appears to first gain conceptual significance in the Lunyu; however, music is not discussed as a complementary counterpart to ritual but as a subordinate concept of ritual, in that music is mainly portrayed in a ceremonial context where music forms a part of ritual performance. In spite of the questionable validity of understanding the Lunyu based on the edifying effect of music and the complementary functions of ritual and music, these ideas are presumed when interpreting some of the passages of the Lunyu, including Lunyu 17.4, 11.15, 13.3, and 17.11. These ideas are not necessarily assumed when understanding those passages; on the contrary,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those concepts emerging after the Lunyu, a more convincing interpretation of the Lunyu can be made by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ose notions. [Article in Chinese]

      • KCI등재

        칸트, 셸링 그리고 실재성으로서의 악

        박영선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6 No.-

        악에 대한 물음은 신(존재)의 정당성과 관련하여 변신론의 형태를 띠며 중세기에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근대철학 이후에는 오히려 악의 적극성이 부각되면서 악은 현실적으로 실재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러한 관점은 쇼펜하우어 철학에서 정점을 이룬다. 본 논문의 목적은 바로 악을 실재하는 현실로 간주하게 되는 도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주지하듯이 아우구스티누스, 아퀴나스, 라이프니츠에서 악은 어떤 적극성을 띤 것이 아니라 존재의 결핍이다. 악의 존재는 논리적으로 하등 신의 존재를 부정하지 않는다. 스피노자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가 악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사물이 가져야할 규정을 결하고 있어 불완전한 것이 아니라 사물에 대한 우리의 부적절한 고찰방식이 그렇게 표상한다는 것이다. 종래의 전통적인 악의 설명방식 대신에 칸트와 셸링은 악의 적극적 현존에서 출발한다. 칸트가 보기에 라이프니츠는 단지 무모순적 사고 가능성으로부터 존재의 원리를 이끌어 내는 오류를 범하였다. 칸트는 왼손과 오른손이 개념적으로 동일하다고하더라도 이것들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없다고 주장한다. 마찬가지로 악을 선의 결핍으로 간주하여(라이프니츠) 악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단순히 논리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 칸트에서 악은 선에 실질적으로 대립하는, 도덕법칙 위에 자기애를 두는 것에서 결과한다. 셸링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악의 가능성을 존재론적 차원에 정위시킨다. 즉 악이 인간에서 발생하는 것은 선과 악의 존재론적 근원형상인 빛과 어둠이 비로소 인간에서 분리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빛과 어둠의 분리 가능성은 이미 신에 의해서 인간에게 부여되었다고 본다. 즉 인간도 자연물과 마찬가지로 어두운 원리를 태생적으로 지니도록 창조되었기 때문에 인간에서 악은 불가피하다. 선과 악은 실체적인 대립개념이 아니라 변증법적 대립개념이다. 칸트 및 셸링에 의한 악의 적극적 개념은 쇼펜하우어에 이르러 정점에 도달한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세부적으로 라이프니츠 철학의 역전이며 동시에 칸트 및 셸링의 악의 개념의 극단화이다. 이 세계는 가능한 한 최선의 세계가 아니라 최악의 세계이다. 악은 선의 결핍이 아니라, 오히려 선은 악의 부재일 뿐이다. Die Frage nach dem Bösen war im Mittelalter das Hauptproblem, das in Bezug auf die Theodizee in der Philosophie und Theologie heftig diskutiert worden ist. Augustinus und Thomas von Aquinas waren Vertreter der Theodizee. Aber nach der neuzeitlichen Philosophie wurde erst die Posivität des Bösen ins Auge gefasst und das Böse ist als die existierende Realität anerkannt. Das Böese ist also nicht Mangel des Guten, sondern vielmehr bloß die scheinbare Abwesenheit des Guten. Die Umkehrung der klassischen Deutung des Bösen wurde am Ende der neuzeitlichen Philosophiegeschichte von Schopenhauer vorgenommen. In der schlechtesten aller möglichen Welten ist das Gute nichts anders als eine Absenz des Bösen. Aber davor gab es am frühesten Phase die Philosophen, die behauptet, es gebe in Wahrheit kein Böses und die Rede von Böse beruhe auf einer irrigen Betrachtungsweise der Dinge. Die Vertreter dieser Ansicht, die die Negationstheorie genannt ist, sind Leibniz und Spinoza. Nun aber wurde das Böse von Kant und Schelling als eine eigene Realität verstanden. Im Gegensatz zu Leibniz versteht Kant das Böse nicht als Negation, sondern als eine dem Guten entgegengesetzen Realität des Willens. Die Bedeutung des Bösen Kants wurde von Schelling noch aktualliziert aufgenommen und radikalisiert. Das Böse beruht nach Schelling auf einer sich durch den Freiheitsmissbruch des Menschen ereigneten Umkehrung der Prinzipien.

      • KCI등재

        용선악(勇善惡) 개념 정립을 위한 동해안무가 분석

        심상교 한국구비문학회 2017 口碑文學硏究 Vol.0 No.47

        This thesis is the first step to establish the concept of Yong(勇/ Intrepidity)·Seon(善/ Goodness)·Ak(惡/ Evil). I suggest the term "Yong·Seon·Ak" as a perspective for analyzing narrative works. Therefore, this paper is the first step in establish the concept of Yong·Seon·Ak. For this purpose, I analyze DonghaeanGut, the song of the shaman. The basis of narrative works is conflict. The conflict is driven by a confrontation between the good and bad, and this confrontation is stimulated by the concept of Yong. In other words, conflicts are formed by the action of chartered evil, and conflict forms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works. The chart of 'Good and Evil → Conflict → Narrative Works' is established. Yong, good and evil are not terms of the same status. Yong is a mutual fusion of good and evil, as well as the fundamental energy of the conflict between good and evil. The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can be seen as a confrontation between a main character and a reactionary person in the work, or a power of confrontation between two characters or a field of confrontation. In the same context, two forces pushing and pulling in the work can be seen as good and bad confrontation, and tension pulling and pulling. There are many factors that form the basis of narrative works. This paper demonstrate what is at the core of the factor as Yong·Seon·Ak. 본고는 서사작품을 분석하는 한 관점으로 용선악(勇善惡)이라는 용어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고는 용선악의 개념 정립을 위한 첫 단계가 되고 그 제안의 확립을 위해 동해안굿 무가 중에서 서사적 성격이 두드러진 무가와 용선악의 의미를 관련지어 분석한다. 서사작품에서 서사전개의 근간을 이루는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갈등이다. 그 갈등은 선악대결에서 연유하고 선악대결의 제양상은 용(勇)의 개념과 연관된다고 생각한다. 즉 용선악의 작용으로 갈등이 형성되고 갈등은 서사작품이 전개되는 근간을 형성한다고 보는 것이다. ‘용선악→갈등→서사’의 도표가 서사작품 일반을 설명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과 선악을 상호 등가성이 있는 것으로 규정하지는 않는다. 용은 선악을 둘러싼 채 혹은 선악의 내부에서 상호 융합하며 선악이 갈등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근원적 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선악의 대결을 작품 속의 선과 악의 대결로 설명할 수도 있고, 작품 속 주동인물과 반동인물의 대결로도 볼 수 있는데 두 인물이 대결하는 힘이나 대결의 장(場)을 용으로 보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작품 속에서 밀고 당기는 두 힘이 선악대결이고 밀고 당기는 장력을 용으로 보는 것이다. 서사작품의 근간을 형성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일 것인데 본고는 그 요소 중에 핵심 되는 것을 용선악(勇善惡)으로 보는 것이다. 분석의 대상이 되는 동해안무가는 동해안별신굿의 세존굿에서 불려지는 당금애기와 손님굿에서 불려지는 손님의 노정기, 동해안오구굿에서 불려지는 바리데기 등이다. 선악대결은 권선징악적 관점, 대비효과의 관점, 구속과 헤어남의 관점, 두려움과 연민의 관점으로 나누어 고찰하였고 이어 용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권선징악에서 권(勸)과 징(懲)은 용(勇)이 되고 선악은 갈등의 요인이나 인물의 행동의 근원이 된다. 권장해야하는 것과 징벌해야 하는 것을 구분지어 주는 판단이 용이여 선악 판단에 따라 행동을 추동하는 힘이 용인 것이다. 용은 포괄성과 촉매적 특성을 지녔다. 이 두 특성은 동시에 발현되고 작용한다. 포괄적이라는 것은 용이 갈등을 유발하는 과정에 작용하면서 동시에 갈등을 해소하는 과정에도 작용한다는 의미다. 용의 촉매적 특성은 선과 악이 이런 의미로 작용할 때 용은 선과 악을 조정하며 선과 악이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도록 추동하는 역할을 하는 과정에서 드러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