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辨析 \'情兼雅怨\' 說兼論其意義

        李揆一 한국중국문화학회 2003 中國學論叢 Vol.16 No.-

        鍾嶸의《詩品》은 曹植의 시가를 “情兼雅怨”이라고 평했다. 본 논문은 이 평론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한다. 曹植은 鍾嶸을 비롯한 평론가들에게 六朝 최고의 작가로 평가받고 있는데 서정표현에 있어서 雅와 怨의 특징은 각각 어떻게 나타나고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이상이 본 논문이 서술하고자 하는 문제의 핵심이다. 《詩經》으로부터 출발한 중국시가의 전통은 다양한 형태의 怨정서를 표현해왔는데 주로 민간의 생활화된 제재를 통해, 대중적 문예양식 속에서 표현되었다. 曹植의 출현은 문인시의 출발을 의미한다. 그것은 아래와 같은 3가지 방면의 전환에서 찾을 수 있다. [①창작의 주체가 민간에서 문인집단으로, ②서사중심에서 서정중심의 오언시로, ③문학의 주제가 사회현실에서 개인과 자아로] 본 논문은 贈答詩와 雜詩로부터 曹植 시가의 怨정서를 탐구하였다. 曹植 시가의 怨정서는 儒者로서의 정치적 이상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으며, 이는 동시대 士人들의 문학 속에서도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贈答詩와 雜詩는 문인군체화의 과정과 발전의 맥락을 같이 하며, 曹植의 시가들도 이 유형들을 통해 동일계층 내부의 고민을 토로한다. 당시의 文士들은 贈答과 《雜詩》라고 하는 同題創作을 통해 문인계층의 인생태도와 심미관념을 형성해갔다. 曹植의 “雅”는 서정표현의 풍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曹植의 雅를 “重正之雅”와 “重美之雅”로 분류하였다. 그 구체적 내용은 ①曹植은 聖人事跡을 술회하거나 經典의 言語와 典故로 頌揚의 글을 지어 심리적 不平과 怨의 정서를 완곡하게 표현하였다. ②曹植의 시가가 이전의 시들과 구분되는 중요한 점은 압축적 警策을 사용하여 심미적 효과를 높였다는 점이다. 曹植의 인격이상은 이 警策을 통해 표현된다. 曹植의 雅가 문인시의 발전에 대한 공헌은 「四言則雅」의 원칙을 기본적으로 준수하면서도 민가적 풍격을 모방하거나 신흥문체인 오언시에도 頌揚을 내용으로 하는 전아한 풍격을 재현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은 문체관념도 정치적 요구를 벗어나 개인적 심미관념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曹植의 雅와 怨은 혼재된 형태로 표현되지만 후대 문인시의 발전을 위해 일종의 모델을 제시한다.

      • KCI등재

        북한 민요 5음음계 조식확장 양상에 관한 연구

        박영춘,한경훈 국립국악원 2023 국악원논문집 Vol.47 No.-

        The North Korean folk Music is characterized by the pentatonic scale, which is made up of the five tones of gong (C), shang (D), jue (E), zhi (G), and yu (A). There are five corresponding modes in it: gong mode, shang mode, jue mode, zhi mode and yu mode. It contains a unique 'sigimsae' (decorative expressions) and and exhibits a unique style. Given the researches on the pentatonic scale modes in the North Korean folk Music from 1950 to 2000, it is divided into studies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he modes based on 'pyongjo three-tone serial' and 'gemyongjo three-tone serial' and studies on the mode expansion. Among those, the researches on the mode expansion are generally based on Hwang Min-myung's theory.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pentatonic scale modes in the North Korean folk songs and analyzes the structure and tone characteristics between 'basic scale modes' and 'expanded scale modes', which have not yet been studied by the theory of expansion of the pentatonic scale modes in folk songs. Furthere, it seeks theoretical study on the modal development, aspects of modulation, and aspects of modal change in the same serial of extended scale modes. Therefore, this studycomposes the mode scales based on Hwang Min-myung's theory of the expansion of the pentatonic scale modes and divides the corresponding extended modes into 9 types. Among them, it is found that 'same serial modulation' and 'same tonic-note modulation' are made between scale mod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ame serials' and 'same scale modes' that appear in modes and extended scale modes in accordance to the alternative notes such as B, Bb, C#, Eb, F, and F#.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the pentatonic scale modes in the Korean folk music.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the pentatonic scale mod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will serve a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reation of music by present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results that strengthen the basic frame of theory. 5음음계조식은 궁(do)·상(re)·각(mi)·치(sol)·우(la) 5개 음으로 구성된 음계로써, 궁조식·상조식·각조식·치조식·우조식 등 5개 종류가 있다. 5음음계조식으로 구성된 북한 민요는 선법에서의 독특한 시김새를 내포하고 있으며, 풍격에서의 독특한 멋을 나타낸다. 1950년부터 2002년까지의 북한 민요의 5음음계 조식연구 성과를 살펴보면, 평조3음열과 계면조3음열을 기초로 한 조식의 구조적 특징 및 유형에 관한 연구와 조식확장에 관한 연구로 나뉜다. 그 중 조식확장에관한 연구는 황민명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민요 5음음계조식의 이론적 배경 및 형성과정에관하여 고찰하는 한편, 민요 5음음계 조식확장 이론에서 아직 연구되지 못한 ‘기본형조식’과 ‘확장형조식’ 간의 구조와 음급 특징을 분석하고, 확장조식 같은음열에서의 선법 변화 양상과 전조 양상 및 선법 전개에 있어서의 이론적 연구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황민명의 5음음계 조식확장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조식음계를 구성하고, 그에 따른 확장조식을 9종류로 나눈다. 그 중 시(si), 시♭(si♭), 도♯(do♯), 미♭(mi♭), 파(fa), 파♯(fa♯) 등 변화음에 따른 선법과 확장조식 등에서 나타나는 ‘같은음열’, ‘같은조식’의 특성에 의하여 조식과 조식사이에서 ‘같은음열 전조’와 ‘같은으뜸음 전조’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민요 5음음계 선법 전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한국과 세계의 여러 나라를 포함한 5음음계조식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이론의 기초적 틀을 다지는 연구성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활용음악 창작에 이론적 안받침이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주희(朱熹)의 양생을 위한 호흡법

        심혜경,윤미라 한국체육철학회 201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ssential contemplation on the respiration method as a life-nurturing (養生) method for health by studying the respiration theory in the Tiaoxizhen (調息箴) authored by Zhuxi (朱熹), a theorist and thinker during the South Song (南宋) period. In Tiaoxizhen, Zhuxi theorizes the life activity of body and mind by respiration. This respiration theory ha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big enough to be included in the ‘Jujiabiyongshilei’ (居家必用事類, an essential encyclopedia to be kept at home). In the Tiaoxizhen, Zhuxi explains respiration as a practice beyond the dimension of mind (心). Pranayama, which is a respiration method in yoga of India, is one of the two greatest systematic respiration methods together with the respiration method in China. Pranayama had been introduced into China in B.C. and became the origin of ‘tiaoxi’ (調息, controlled respiration while sitting still) in China. Meanwhile, Pranayama also had exchange with the respiration method in Taoism as a respiration method for life-nurturing. In Korea, the ‘Samilsingo’ is a unique Korean training method on mind and body; while the ‘tiaoxi’ respiration method can be also found in the ‘hwarang’ (花郞) system during the Shilla (新羅) period. This study explores the respiration method of Zhuxi, who established neo-Confucianism during Sung period, and the introduction process of respiration method in relation to Chinese medicine,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Buddhism.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come an opportunity to find the modern value of the respiration method for the health of body and mind. 본 연구는 주희(朱熹)의「조식잠(調息箴)」호흡론을 통해 건강을 위한 양생법으로서의 호흡법에 대해 고찰해 봄으로서 호흡의 근원적 배경을 통한 양생호흡법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현대적 의의를 고찰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중국 남송시대의 사상가 주희(朱熹)는 그의 저서『주문공문집(朱文公文集)』권85,「조식잠(調息箴)」에서의 호흡론을 통해 호흡에 대한 심신의 생명활동을 말하고 있는데, 이는 유·불·도를 아우르는 고대의 호흡법을 융합하여 글로써 구체화 한 것으로 『거가필용사류(居家必用事類)』의 사전에도 수록될 정도로 사적인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조식(調息)’은 있는 그대로의 숨을 조절하는 것인데, 중국 불교사에서 최초로 좌선의 법식을 확립했다고 일컬어지는 수대(隋代) 천태지의(天台智顗)는『천태소지관(天台小止觀)』에서 선정에 이르는 공부로서‘조식(調食)’,‘조수면(調睡眠)’,‘조신(調身)’,‘조식(調息)’,‘조신(調心)’의 다섯 가지 수양 단계를 설정하고‘조식(調息)’에 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주희는 이러한 호흡법을 통해 몸과 마음의 양생의 효과를 거두고자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호흡은 생명사상의 근원임과 동시에 건강양생법으로 가장 기본으로 중시 되고 있으며, 동양과 서양에서는 호흡법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건강 체조와 운동법이 각광 받고 있다. 현재 서양의 주목을 받고 있는 요가, 태극권, 선법(禪法) 등도 호흡법 중심의 대중적인 건강양생법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전기 경서해석과 이황李滉의 경학經學 ― 조식曺植의 경학經學과 비교를 통하여

        최석기 한국국학진흥원 2014 국학연구 Vol.0 No.25

        이 글은 조선전기 경학사의 흐름 속에서 이황의 경학을 조식의 경학과 비교해 고찰한 것으로 요점은 아래와 같다. 조선전기 경서해석은 세조 때 구결口訣이 완성된 뒤 다양한 석의釋義가 나타났다. 이황은 여러 종류의 석의를 접하고 정설定說을 확정하고자 사서삼경석의를 만들었다. 조선전기 경학연구는 권근權近이 단초를 연 뒤 16세기 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조식曺植에 이르러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이언적은 독자적으로 의리를 발명하여 『대학장구』 개정설을 제기하였고, 이황은 사서삼경석의를 집성하여 정안正案을 만들었고, 조식은 사서四書와 이경二經을 융합하여 심성수양을 위주로 한 통합적 해석을 하였다. 이황과 조식은 성현의 도를 구하고자 한 측면에서, 또 사서와 성리서를 탐독한 성리학자라는 점에서 동질성이 확인된다. 다만 성장배경, 시대인식, 처세방식, 과거 및 벼슬, 학문성향 등에서는 서로 다른 개성이 드러난다. 이황은 43세 때 『주자대전』을 접하고서 주자의 사서집주와 『주자대전』에 전적으로 의거한 반면, 조식은 『주자대전』을 보지 못하여 『성리대전』 등을 통해 성리학을 폭넓게 수용하였다. 학문성향은 이황이 진지眞知‧실천實踐을 위주로 한 반면, 조식은 치용致用‧실천을 급무로 하였고, 이황이 제가의 설을 분석해 의리를 정밀히 드러내는 방법을 택한 반면, 조식은 변석辨釋을 지양하고 용맹하게 실천해 나가는 방법을 택하였다. 이황은 주자의 설을 수용하여 사서를 중시하였는데, 특히 『대학』을 존심출치存心出治의 근본根本이 되는 책으로 보아 더 중시하였다. 또한 그는 본지를 정밀하게 이해하는 것을 위주로 하여 분석적 해석을 추구하였다. 이는 명도明道에 중점을 둔 경학적 지향이다. 조식도 사서를 중시하였는데, 다만 오경 가운데서도 심성수양에 유익한 언급이 많은 『주역』‧『서경』을 아울러 중시하여 사서와 이경 통합하는 관점을 견지하였다. 조식은 대지大旨를 꿰뚫어보는 자득自得과 실천에 역점을 두었다. 이는 행도行道에 중점을 둔 경학적 지향이다. 이황의 경학적 특징은 「성학십도聖學十圖」에 잘 나타나는데, 「재3소학도」와 「제4대학도」를 중심에 두고 있다. 즉 『소학』과 『대학』을 불가분의 관계로 보아 성시성종成始成終으로 파악하였다. 주자는『대학』을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도로 파악한 반면, 이황은 존심출치存心出治의 근본으로 파악하여 정치적 성격보다는 수신의 성격이 강한 책으로 보았다. 그런데 그의 경학이 주자학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주자의 선지후행설先知後行說에 입각하면 행도行道보다 지도知道를 더 우선시한 것이 된다. 조식의 경학은 『대학』의 지知‧행行‧추행推行의 논리로 볼 때, 행行에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조식의 경학적 특징은 『학기류편』에 실린 「성도誠圖」‧「역서학용어맹일도도易書學庸語孟一道圖」 및 문집의 「무진봉사戊辰封事」에 들어있다. 「무진봉사」는 『중용』의 명선明善‧성신誠身에 논리적 근거를 둔 글이다. 「성도」는 『중용』의 대지大旨인 성誠에 초점을 맞추고 『대학』‧『주역 』등의 관련 문구를 뽑아 그린 것이며, 「역서학용어맹일도도」는 성을 얻기 위해 『서경』‧『주역』‧사서에서 관련 문구를 뽑아 그린 것이다. 조식의 경학적 특징은 『중용』의 성을 추구하는 데 그 핵심이 있다. 이황의 경학은 「성학십도 ... This paper presents comparison and examination results on the orient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etween Lee Hwang and Jo Shik in the history of study of Confucian classics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In the former half of Joseon, interpretations of Confucian classics were completed with Gugyeols and accompanied by various commentarie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Reading various types of commentaries, Lee Hwang made his own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 and the Three Classics to confirm the established theories. In the researches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Gwon Geun made a starting point and Lee Eon-jeok, Lee Hwang and Jo Shik created a new turning point in the approximately 16th century. Lee Eon-jeok independently invented Uiri and posed a theory of revising Daehakjanggu ; Lee Hwang put together the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 and the Three Classics and created Jeongan; and Jo Shik combined the Four Books with Igyeong and did inclusive interpretations focused on the cultivation of mind. Lee and Jo shared some homogeneity in that both of them sought after the doctrines of sages and were engrossed in reading the Four Books and Neo-Confucian classics as Neo-Confucian scholars. It is also true that they demonstrated their own individualities in the background of growth, perceptions of the times, ways of conducting themselves in the world, state examinations and government positions, and academic tendencies. While Lee first read Jujadaejeon at the age of 43 and since depended on it and Zhu Xi's variorum edition of the Four Books, Jo widely accepted Neo- Confucianism through Seongridaejeon and other books, not reading it. As for academic tendencies, Lee focused on true knowledge and practice, whereas Jo put a priority on academic contributions to society and practice. While Lee analyzed the theory of Jega and precisely exhibited Uiri, Jo sublated Gangron and Byeonseok and chose to practice courageously. Accepting the theories of Zhu Xi, Lee placed importance on the Four Books. He especially valued Daehak, regarding it as the Hakjasa of Sushinipdeok and fundamental book of Jonshimchulchi. He pursued analytical interpretations with a focus on th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main purports, which was a trend based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ith a focus on Myeongdo. Jo also placed importance on the Four Books, especially cherishing Daehak and Jungyong. At the same time, he maintained an inclusive perspective, putting importance on Juyeok and Seogyeong, which contain a lot of useful mentions about the cultivation of mind among the Five Classics, as well. He also put an emphasis on self-complacency to see through the earth, academic contributions to society, and practice, which is an orientation toward Haengdo based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Lee's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re well illuminated in Seonghakshipdo with his focus on Jae3sohakdo and Jae4daehakdo. That is, he found inseparable connections between Sohak and Daehak and figured them out as Seongshiseongjong. While Zhu Xi understood Daehak as the doctrines of Sugichiin, Lee saw it as the essence of Jonshimchulchi and thought that it had more political nature than moral training. Hi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as based on the teachings of Zhu Xi, which indicates that he put a priority on Jido before Haengdo according to Zhu Xi's theory of Seonjihuhaeng. When the logic of Ji, Haeng, and Chuhaeng in Daehak was considered, it seemed that Jo'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focused on Haeng. His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re found in Seongdo and Yeokseohakyongeomaengildodo in Hakgiryupeyon and also Mujinbongsa in the anthology. Mujinbongsa is based on the logical grounds such as Myeongseon and Seongshin in Jungyong. Seongdo was created by focusing on Seong that was the Daeji of Jungyong and ex...

      • KCI등재

        『안반수의경』의 수식관(數息觀)과 요가의 조식(調息)

        최현성 ( Choi Hyeonseong ),정승석 ( Jung Seung Suk ) 인도철학회 2020 印度哲學 Vol.0 No.59

        『안반수의경』에 의거한 불교의 수식관과 『요가주』에 의거한 요가의 조식은 지혜 발현을 위한 기본 수단인 동시에 명상의 정점인 선정 또는 삼매 성취의 시발이 된다. 그러나 붓다는 안반수의에 의해 고통을 겪는 것이 무익했다는 경험을 천명하지만, 요가의 조식은 호흡의 억제에 의한 고통의 감내를 요구한다. 호흡의 억제를 수련하는 조식은 8지 요가의 넷째 단계이며, 이를 위해서는 좌법(āsana)에 반드시 숙달해야 한다. 이 같은 기본 요건에서부터 좌법을 수식관과 병행하는 자세로 간주하는 『안반수의경』과는 입장을 달리한다. 수식관은 호흡의 횟수를 들숨과 날숨을 포함하여 열 번까지로만 한정하여 호흡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있는 그대로 관찰한다. 이에 반해 요가의 조식은 기본적으로 호흡의 흐름을 인위적으로 중지하는 수련이다. 자율신경에 의해 생리적으로 진행되는 호흡은 지속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수식관은 이 사실을 결코 거역하지 않는다. 반면에 조식은 호흡의 지속적인 진행을 중지한다는 데 특징이 있다. 수식관에서는 숨을 열 번까지만 헤아리는 것으로 제한하여 ‘몸이 극도로 긴장되고 안정되지 않는’ 조식의 폐단을 예방했다. 요가의 조식에서 이에 상응하는 대안을 찾자면 제4 조식을 지목할 수 있다. 즉, 호흡 억제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극복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호흡의 진행을 중지하는 제4 조식은 조식의 폐단을 완화하는 장치로 간주될 만하다. 불교와 요가의 호흡법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행론의 지향성에서는 양측의 상응성을 추출할 수 있다. 『요가주』에서 ‘조식 → 정화(淨化) → 지혜’라는 인과로 표방한 수행론의 기조는 수식관의 6단계에도 적용되어 있다. 다만 『요가주』의 경우에는 조식이 인도의 옛 전통을 따르는 고행으로 전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식은 고행의 일환인 반면, 수식관은 심신의 고통을 유발하지 않고 수월한 호흡법을 채택한다. The Buddhist theory of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 nd out-breathing’ based on the Mahānapānasmṛti-sūtra(Pāli, Ānāpānasati-sutta) and the Prāṇāyāma(breath-exercises) of Yoga based on the Yogasūtra-bhāṣya are the foundational means of generating wisdom which at the same time, are the intial step to archive the Dhyāna or Samādhi, the zenith of meditation. Nevertheless, the Buddha affirms the actual experience that it was useless to suffer by Ānāpānasati, whereas Prāṇāyāma of Yoga demands the endurance of suffering by suppressing breathing. Prāṇāyāma, the practice of restraint of breathing, is the fourth stage of Aṣṭāṅga-yoga, which has to be mastered in Āsana. From this basic requirement, the position differs from that of the Mahānapānasmṛti-sūtra, which regards Āsana as a position parallel to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limits the number of breaths to ten, including the inspiration and the exhalation, to observe the natural basically a practice to artificially stop the flow of breathing. Breathing that proceeds physiologically by the autonomic nerve is bound to have persistence. The theory of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never goes against this fact. Prāṇāyāma, on the other hand, is characterized by stopping the continuous progression of breathing. The the theory of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prevented the abortion of Prāṇāyāma ‘the body is extremely tense and unstable’ by limiting breathing to ten times. To find a corresponding alternative in Prāṇāyāma of Yoga, the fourth Prāṇāyāma can be pointed out. In other words, the fourth Prāṇāyāma, which naturally stops the progression of breath by sequentially overcoming the stages of respiratory depression, deserves to be considered as a device to alleviate the end of Prāṇāyāma. Although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reathing methods between Buddhism and Yoga, the correspondences of both sides can be extracted from the orientation of practical theory. In the Yogasūtra-bhāṣya, the foundation of practical theory, which is a causality of ‘Prāṇāyāma → Viśuddhi (purification) → Jñāna (knowledge)’, is also applied to the six stages of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Nevertheless, Prāṇāyāma in the case of the Yogasūtra-bhāṣya is presupposed as an ascetic that follows the ancient traditions of India. Consequently, while Prāṇāyāma is part of asceticism, the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adopts comfort breathing method that does not cause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 KCI등재

        曺植 政治思想의 要諦 ‘敬ㆍ義’ 硏究

        이지경(LEE, JEE-KYOU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3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2 No.2

        조선조 정치이념은 성리학이었다. 1392년 건국과 더불어 성리학은 지나치게 철학적이고 또 한편으로 경학 중심적이었다. 양반중심의 착취적 사회, 경제, 문약한 공리, 공담에 가까운 성리학적 문화는 사화, 당쟁, 세도 등으로 억압적 권위주의 정치문화를 구성해 왔다. 역사학, 철학, 국문학, 유학에서 조식 (1501-1572) 연구는 매우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정치학의 사상사 연구에서 조식의 연구도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조식의 사상에서 핵심인 ‘敬’과 ‘義’개념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영남학파의 양대 산맥인 남명 조식은 퇴계와 더불어 조선지성사 및 사림세계에서 중요한 역사적 위치를 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식의 연구는 매우 단편적 부분의 비교 입장에서 연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퇴계 중심의 편중된 연구 현실에서 조식은 소외되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사회변화와 더불어 새롭게 재조명이 되고 있는 조식의 사상에 대한 연구 가치는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정치사상사적 입장에서 조식의 유학사상이 연구대상이다. 조식 정치사상의 핵심인 ‘敬ㆍ義’ 중심으로 연구한 개별 연구논문이다.

      • KCI등재

        조식 敬義思想의 철학사적 함의

        박영진 ( Yeong Jin Bahk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5

        남명 조식은 敬義로 학문의 요체를 삼았는데, 그의 敬義思想은 이론과 실제의 두 방면으로 나누어 연구할 수 있다. 첫째, 조식의 경의사상은 先秦儒學과 宋代性理學에 그 이론적 연원을 두고 있다. 『周易』에는 “敬으로 안을 곧게 하고, 義로 밖을 가지런하게 한다”는 말이 있는데, 여기에서 敬은 내적인 입신의 근본이고, 義는 외적인 처세의 준칙이다. 이 敬義의 개념은 性理學에서 큰 발전을 이루어, 도덕수양 과정에서 敬을 위주로 한다는 主敬工夫論의 이론적 의거가 되었다. 朱熹는 敬을 중시하여, “敬의 공부는 성인문하에서 제일로 중요한 의무이다. 철두철미하여 잠시라도 중단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였다. 조식은 『주역』의 內敬外義사상의 영향을 받아서, “안으로 마음을 밝히는 것은 敬이요, 밖으로 행동을 결단하는 것은 義이다”라고 주장 하였으며, 또한 성리학의 主敬工夫論의 영향을 받아서, 敬을 위주로 심신을 수양할 것을 강조하였다. 둘째, 조식은 선진 유학과 송대 성리학을 학문적 기반으로 삼았으면서도, 그것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거나 발전시키기보다는, 敬義의 정신에 입각하여 心性을 수양하고 義理를 구현하는데 진력하였다. 그는 이치를 궁구하는 목적은 실제생활에서의 쓰임을 극진히 하는데 있다고 강조하였는데, 이것은 敬으로 마음을 밝히고 義로 세상일을 결단할 때에만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조식은 당시의 부조리한 정치현실 속에서 仕路를 걷는 대신 山林에 거처하면서, 한편으로는 치열하게 자신을 연마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대의 모순을 통렬하게 비판하면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敬과 義를 함께 견지함으로써 內外가 統合되고 上下가 整齊되며 天人이 合一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조식이 갈망했던 경의사상의 실제적 구현이다. 결론적으로, 조식의 경의사상은 위로는 선진 유학을 사상적 종주로 삼았고, 아래로는 송대 성리학을 이론적 핵심으로 삼았는데, 이론에 있어서는 성리학에 머물렀지만, 실천에 있어서는 성리학자들을 넘어섰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조식의 경의사상이 갖는 철학사적 함의이다. Nammyeong Jo Sik found the cardinal point of science in Gyeong-Ui. His Gyeong-Ui ideology can be approached in two aspects of theory and practice. First, his Gyeong-Ui ideology has its theoretical origin in pre-Chin Chinese Confucianism and Sung Confucianism of Song Dynasty. There is a phrase, “Making the inside straight with Gyeong and the outside even with Ui” in the Book of Changes. Here, Gyeong is the foundation of an internal rise in the world, whereas Ui is the standing rule of external conduct of life. The Gyeong concept in the Book of Changes made tremendous growth in Sung Confucianism and became a theoretical ground for the theory of Jugyeonggongbu, which means focusing on Gyeong and gathering Ui in the process of moral cultivation. Placing emphasis on Gyeong, Zhu Xi said “Studying Gyeong is the most important duty under the guidance of sages. One must not stop studying Gyeong even for a minute, being thorough with it.” Influenced by the ideology of internal Gyeong and external Ui in the Book of Changes, Jo Shik argued that “Gyeong lights up the inside of the mind, while Ui takes an action on the outside.” He also emphasized that one should cultivate his or her body and mind with a focus on Gyeong, being influenced by the Jugyeonggongbu theory of Sung Confucianism. Second, Jo Sik took pre-Chin Chinese Confucianism and Sung Confucianism of Song Dynasty as his academic foundation and devoted himself to cultivating the mind and implementing righteousness based on the spirit of Gyeong-Ui rather than analyzing and developing them theoretically. He highlighted that the goal of pursuing reason was to put it to utmost use in daily life, which is possible by lighting up the mind with Gyeong and taking an action for worldly matters with Ui. That is why he decided to live in the mountains and forests, train himself intensely, criticize the contradictions of the times fiercely, and propose specific alternatives for them instead of taking the path of government service in the absurd political reality of the times. Adhering both to Gyeong and Ui will lead to the integration of in and outside, the purification of up and down, and the union of heaven and man, which is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Gyeong-Ui ideology yearned by Jo Sik. In short, Jo Sik`s Gyeong-Ui ideology had pre-Chin Chinese Confucianism as the suzerain on the upside and Sung Confucianism of Song Dynasty as the core on the downside. Even though his Gyeong-Ui ideology remained in the scope of Sung Confucianism in theory, it went beyond Sung Confucian scholars in practice. That is its implicatio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 KCI등재

        남명 조식의 일본인식과 그 전승

        김지은 조선시대사학회 2021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8

        Nammyeong Jo Shik(1501~1572) was one of the greatest scholars in Joseon during the 16th century and lead the ideological community of Yeongnam with Toigye Lee Hwang(1501~1570). The core essence of his study was an emphasis on practical study, which led to his interest in the realistic difficulties of common people. Joseon often faced social confusion due to the Japanese people and raiders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5th century, and its harmful effects put the people living in coastal areas in trouble. Jo Shik admitted the possibility of Japanese invasion and was vigilant against it. He maintained that the Joseon government should discard the old appeasement policy and mobilize its arranged military force to strongly oppress Japan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s of its relationship with Japan. Once Imjin War(壬辰倭亂) broke out, the literary figures under Jo Shik took the lead in calling for justice and commanders in an army were produced to raise the cause of justice. They protected the defense line along the Nakdong River, creating a huge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 in blocking Japan’s invasion into Honam. The active activities of the Nammyeong School as part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were the manifestation of Jo Shik’s teachers in action in the situation of a national crisis. They were also the outcome of their inheritance of their master’s perceptions of Japan as he emphasized military oppression based on vigilance and consciousness of crisis against Japan. Meanwhile, Bukin lost their influence after Injo Banjeong(仁祖反正), but they carried on the legacy of the academic tradition with an interest of Geunginamin in Nammyeong School. Seongho Lee Ik(1681~1763) and Sunam An Jeong-Bok(1712~1791) representing Geunginamin have left a lot of writings related to Japan according to an erudite academic tendency. They were wary of the threat of Japanese invasion, focusing on strong military power. Also, they emphasized the preparation of measures for strengthening national defense and defense criticizing the government’s policy at the time. This, I believe, is a common perception with that of Jo Shik on Japan and this verifies the interest of ideological community of Geunginamin in the academic tradition of Jo Shik and an aspect of the connectivity. The present study made an attempt to review the connections between Jo Shik’s perceptions of Japan and those of Geunginamin, and this attempt will hopefully make a contribution to the research of broadening the extension of Nammyeong School’s ideological community.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은 16세기를 대표하는 학자 중 한사람으로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과 함께 영남의 사상계를 이끌어간 인물이다. 조식은 ‘실천적 학문’을 강조하였고, 이는 백성들의 현실적 고충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15세기 후반부터 조선은 일본인과 왜구에 의한 사회 혼란이 잦아졌으며, 그 폐해는 해안지역에 거주하던 백성에게로 돌아갔다. 조식은 일본의 침략가능성을 경계하였다. 그는 대일관계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회유정책을 지양하고, 정비된 군사력을 동원해 일본을 강력히 제압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조식의 문인들은 전국에서 가장 먼저 창의를 주도하였고, 수많은 의병장을 배출 하였다. 그들은 낙동강 방어선을 지켜내며 일본의 호남 침입을 봉쇄하는 등 큰 전공을 세웠다. 남명학파의 활발한 의병활동은 실천을 중요시한 조식의 가르침이 국난의 상황에서 행동으로 표출된 것이었다. 그리고 일본에 대한 경계와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군사적 제압을 강조하였던 조식의 일본인식이 계승된 결과였다. 인조반정 이후 북인은 영향력을 상실하였지만, 남명학파에 대한 근기남인의 관심으로 학풍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었다. 근기남인을 대표하는 학자인 성호 이익(星湖 李瀷, 1681~ 1763)과 순암 안정복(順菴 安鼎福, 1712~1791)은 박학적인 학문성향에 따라 일본과 관련한 많은 저술을 남겨놓았다. 그들은 일본의 외침 위협을 경계하였고 강한 군사력에 주목하였다. 또한 당시 조정의 정책을 비판하며 조선의 국방력 강화와 방어를 위한 대책마련을 강조하였다. 이는 조식의 일본인식과 공통된 것으로, 조식의 학풍에 대한 근기남인 사상계의 관심과 그 연결성의 한 단면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조식의 일본인식과 근기남인의 일본인식 사이의 연결고리를 검토한 이 시도가 남명학파 사상계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해본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 문학(文學) ; 이황과 조식의 문학적 상상력, 그 동이(同異)의 문제

        정우락 ( Woo Lak Je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40 No.-

        본고는 이황의 「野池」와 조식의 「江亭偶吟」을 통해 이들이 지닌 상상력의 핵심과 그 문학적 전개를 살핀 것이다. 그 동안 이황과 조식이 여러 측면에서 비교 연구되었지만 이들의 사상적 핵심을 창으로 하여 문학 전반을 검토한 것은 없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본고에서 중요하게 다룬 「야지」와 「강정우음」은 당대부터 학자들에게 관심의 주요 대상이 되어왔다. 이 두 작품은 ``심``에 기반한 수양론을 시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동질성을 갖는다. 조선조 성리학자들의 제1화두였던 수양론은 인욕을 막고 천리를 보존하여 성인의 경계에 진입하자는 것이었다. 이황과 조식 역시 이 같은 노력을 성실히 하였고, 그 결과가 「야지」와 「강정우음」에 곡진히 드러나고 있었던 것이다. 두 작품에 동질성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특히 수양의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상당한 이질성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황이 본연의 마음을 의미하는 ``연못`` 주변에서 현실과 ``차단``된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恐``의 태도로 천리를 보존하려고 한 데 비해, 조식은 바다와 연못 사이에 있는 ``강``에서 끊임없는 현실의 ``간섭``을 경험하면서 ``憎``의 태도로 강력히 인욕을 제거하고자 했다. 이것은 각기 미발 상태의 존양과 기발상태의 성찰이라는 상대적 강조가 만들어낸 결과라 하겠다. 이황과 조식의 상이한 문학적 상상력은 사물접근법의 상이를 의미한다. 이황이 사물을 보면서 이치를 살피고자 했다면, 조식은 사물을 보면서 세상을 살피고자 했던 것이다. 이것은 각기 觀物察理와 觀物察世로 요약이 가능하다. This study discussed Lee Hwang`s and Jo Sik`s core imaginations and how the imaginations developed in their literature by examining Lee Hwang`s 「Yaji(野池)」 and Jo Sik`s 「Kangjeongueum(江亭偶吟)」. So far, Lee Hwang and Jo Sik have been compared in various ways in many researches,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ir overall literature on the basis of their core ideology. 「Yaji」 and 「Kangjeongueum」 heavily discussed in this study have attracted lots of attention from scholars since their publication. The two works are similar in that both poetically embodied the theory of cultivation based on mind. The theory of cultivation, the primary subject of conversation among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aimed at encouraging people to block human desires and preserve the principle of Heaven in order to live the life of a sage. Lee Hwang and Jo Sik also made such efforts, which is well manifested in their works, 「Yaji」 and 「Kangjeongueum」. The two works showed differences as well. Especially,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of cultivation, their difference was prominent. Lee Hwang tried to preserve the principle of Heaven with an attitude of reverence while securing some space isolated from the reality around the ``pond`` that signifies the innate mind. On the other hand, Jo Sik tried to strictly restrain human desires with an attitude of abhorrence while experiencing endless interruptions of the reality in the river between the sea and the pond. These differences we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Lee Hwang and Jo Sik put relative emphasis on the cultivation of virtues in pre-development state and introspection in post-development state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holars` literary imagination indicates they took a different approach to things. While Lee Hwang tried to understand the reason of things, Jo Sik pursued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things. These can be summarized ``Kwanmulchally(觀物察理)`` and ``Kwanmulchalse(觀物察世)`` respectively.

      • KCI등재

        도시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로 한 조식 서비스디자인 연구 - 상하이지역을 중심으로 -

        풍리아 ( Feng Li Ya ),김흥렬 ( Kim Heung Ryeo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4 기초조형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상하이지역의 도시직장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기반한 조식 서비스디자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조식은 하루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직장인들은 빠른 삶의 리듬과 바쁜 일상으로 인해 건강하고 영양가 있는 조식을 제대로 섭취하지 못하는 문제를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장인들의 주요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간편하면서도 질 높은 조식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상하이지역의 도시직장인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조식 습관을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KANO 모델 분석과 SPSS 분석을 사용하여 직장인들의 요구와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비교 분석을 융합한 도표를 제시하여 직장인들이 직면한 조식 관련 문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결과와 제안은 직장인들의 영양균형과 편의성을 고려한 조식 서비스디자인으로, 전통적인 조식 문화를 현대 기술과 결합하여 지능형 서비스를 개발하고,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인식 제고와 긍정적인 식습관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조식 서비스디자인은 직장인들의 건강과 라이프 스타일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업무 효율성 향상과 경제 발전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breakfast service design for urban professionals in the Shanghai area, based on their lifestyles. Breakfast plays a crucial role in signaling the start of the day, yet urban professionals often face challenges in consuming healthy and nutritious breakfast due to the fast pace of life and busy schedules. To address this issue,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imary needs of urban professionals and propose a convenient and high-quality breakfast service design to meet their requireme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urban professionals in the Shanghai area, and their lifestyles and breakfast habits were investigat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Using the KANO model analysis and SPSS analysis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demands and satisfaction levels of urban professionals. Additionally, comparative analysis combined with charts was provided to clearly identify the breakfast-related issues faced by urban professionals. The results and suggestions emphasize the need for breakfast service designs that consider the nutritional balance and convenience of urban professionals, integrating traditional breakfast culture with modern technology to develop intelligent services. It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raising awareness for healthy lifestyles and promoting positive eating habits through education. Such breakfast service desig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improving the health and lifestyle of urban professionals but also to enhancing work efficiency and economic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