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古代文書木簡の展開

        市 大樹(Ichi Hiroki)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3 동서인문 Vol.- No.22

        일본 열도에서는 작은 단편과 삭설까지 합쳐 50만 점 가까운 목간이 출토됐다. 그 중 70% 이상은 고대 목간으로 7세기 후반부터 8세기 말까지의 시기에 특히 집중된다. 이 100여 년은 율령제를 바탕으로 국가 구조가 갖춰지고 전성기를 맞은 시대였다. 율령국가는 철저한 문서주의를 특징으로 하며 각종 문서(광의)의 작성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이들은 종이 문서를 정식화하였는데, 이를 뒷받침하는 형태로 목간도 많이 사용되었다. 반면 구두 전달도 일정 비중을 차지했다. 본 보고에서는 이상의 사항을 바탕으로 문서목간(협의) 전개과정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각종 문서의 양식을 규정한 대보공식령(701년 시행)이 큰 획기로 인정됨에 따라 7세기와 8세기를 나눠 검토해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을 주장했다. 7세기는 상신목간의 사례가 매우 많다. 그것을 대표하는 것이 「전백목간」이며, 행선지는 서두에 쓰여지는 경우가 많다, 행선지는 지위·존칭·관직이 일반적이다, 발신은 종종 생략된다, 날짜는 거의 쓰여지지 않는다, 라고 하는 특징이 인정된다. 전백목간이 구두전달과 깊이 관련된 것은 틀림없으나 연원은 중국 육조시대의 문서형식에 있고 직접적으로는 한반도로부터의 영향도 강하게 받고 있다. 전백목간에 한하지 않고 상신목간은 구두로 간단하게 의뢰할 수 있는 경미한 내용의 것이 적지 않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문자화한 점에서 의의를 보인다. 한편 하달 사항의 경우에는 경미한 내용은 구두 전달만으로 끝내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7세기 사례는 극히 제한적이었다. 8세기에 이르러 대보공식령의 영향으로 관사간의 통속관계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解’, ‘符’, ‘移’ 등의 서식에 기초한 문서목간이 많이 등장하게 된다. 그러나 서식을 규정한 것으로는 서의도 존재하고 있으며, 서장으로서의 멋이 강한 문서 목간도 여러 개 보인다. 이 밖에 召, 請, 進 등 일정한 서식을 가진 목간도 7세기부터 계속 존재해 왔다. 전체적으로 7세기 단계와 비교하여 목간에 적어야 할 정보량이 증가하기도 하여 문자의 할당을 의식한 목간을 많이 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목간의 문자화가 진전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지방사회에서는 거대한 군부목간이 사용되는 등 목간의 크기에 따라 권위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결론으로서 문서목간의 배후에는 인간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을 밝혔다. If one includes imperfect fragments and shaved off scraps, more than 500,000 mokkan 木簡 (wooden slips to write on) have been unearthed on the Japanese Archipelago. More than 70 percent of these mokkan are from the ancient period, especially concentrated in the period from the last half of the 7<SUB>th</SUB> to the end of the 8<SUB>th</SUB> century. In these a little more than a hundred years, a state based on the ritsuryō 律令 legal codes was constructed and approached its peak. The ritsuryō state was characterized by a thorough and consistent focus on written documents (a so called ‘document doctrine’) and demanded the creation of all sorts of documents (in the wide sense of the word). These had paper documents as the official format, though mokkan also were used in great numbers. Meanwhile, oral transmission also held a certain importance. In this paper, I hav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ntext, examined the development of mokkan documents (documents in the narrow sense, e.g.,documents that indicate a change of hands). As a major change can be observed with the enforcement of the Taihō kushiki-ryō 大宝公式令 (put into effect in 701), which stipulated a variety of official documentary forms, I have analyzed the 7th and 8th centuries separately and have asserted the following. In the 7<SUB>th</SUB> century, examples of mokkan used toward one’s superiors are extremely numerous. The prime example of these are ‘zenpaku-mokkan’ 前白木簡, wherein characteristics like, the recipient often being written at the top, the recipient typically being written as a social or official rank or status, honorary title, or government post, the sender often being abbreviated, and the date rarely being written, can be observed. It cannot be denied that zenpaku-mokkan are deeply connected to oral transmission, though their origin lies in document formats from the Six Dynasties period (3<SUB>rd</SUB> to 6<SUB>th</SUB> century) China, while also having directly been influenced by practice on the Korean Peninsula. Not only zenpaku-mokkan, but also mokkan used toward one’s superiors in general, often contain insignificant information that gives little reason to doubt its authenticity and that might as well have been transmitted orally. The fact that this information nevertheless deliberately has been put into writing can be seen as having been meaningful. In turn, when looking at commands to subordinates, these were seemingly, in cases unimportant information, generally carried out only via oral transmission, with very few documentary examples from the 7<SUB>th</SUB> century. In the 8<SUB>th</SUB> century, under to the influence of the Taihō kushiki-ryō, documentary mokkan adhering to documentary forms like ‘ge’ 解, ‘fu’ 符, and ‘i’ 移, which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affiliation of the concerned government offices, appeared in large numbers. However, other written format prescribers, shogi 書儀 (collections of letter examples), also existed, and one can see several documentary mokkan showing a strong resemblance to letters. Additionally, the continuing existence of mokkan also seen in the 7<SUB>th</SUB> century that, while not prescribed in the Taihō kushiki-ryō or shogi, still conform to set formats like ‘mesu’ 召, ‘kou/uku’ 請, and ‘tatematsuru’ 進 can also be confirmed. All in all, when compared to the 7<SUB>th</SUB> century,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needed to be written down on mokkan increased, and many mokkan showing a consciousness of the layout of its written characters can be observed. In this way, the deliberate act of writing on mokkan further developed, though at the same, in the countryside, displays of authority vis-à-vis the size of the mokkan also were carried out, as seen in examples of enormous gun-pu 郡符 (documents issued by district (gun)-level government offices) mokkan. As an ending note, I remark that one needs to bear in mind the existence of humans as a background for mokkan documents.

      • KCI등재

        百濟의 文書行政과 木簡

        尹善泰(Yoon Seon-tae) 한국고대사학회 200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48

        본고에서는 백제의 문서목간과 문서표지용 꼬리표목간을 분석하여, 백제의 문서 생산, 보관, 폐기방식 등을 검토하였다. 우선〈능산리 사면목간〉을 통해, 당시 백제에서 최종 장부를 정리하기에 앞서 사면목간을 중간 정리용 메모장으로 사용하였고, 메모의 기능이 다한 뒤, 기존의 묵서를 깎아내고 또 다른 내용의 메모장으로 여러 차례 재활용하였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관청의 결산보고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수 없다. 이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세세한 出納에 관한 일상적인 메모가 그때그때마다 필요한데, 이 경우 당시에는 종이가 귀했기 때문에 목간이 가장 효율적인 서사재료로 애용되었다. 이어 관북리 목간을 활용하여 문서의 정리와 보관 방법을 검토하였다. 관청에서는 방대한 양의 문서를 생산하기 때문에, 이들을 분류·정리하여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卷軸을 이용해 말아놓는 두루마리 종이문서의 경우, 그 문서의 명칭을 권축 자체에 기록하여 標識로 삼았는데, 크게 題簽軸과 木簽軸 등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백제에서는 이보다 더욱 세련된 꼬리표목간을 문서의 표지로 권축에 매단 것도 확인된다.〈관북리 283호목간〉은 중국 漢代의 표지용 목간인 ?과 형태가 유사하고, ‘兵?記’라는 장부명칭이 묵서되어 있다는 점에서, ‘兵?記’라는 장부의 표지로 기능한 꼬리표였다고 생각된다. ‘兵?記’는 두루마리(卷子本) 형태의 권축문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문서의 보존과 폐기방식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문서목간의 가장 손쉬운 폐기방식으로는 태우거나 목간의 묵서를 削刀로 깎아내는 방법이 있다. 백제목간에서는 이 외에도 목간 자체를 삭도로 두 쪽 혹은 세 쪽 이상으로 절단하는 폐기방식이 확인된다. 이는 고대일본의 郡符木簡에서도 똑같이 확인된다. 특히〈관북리 283호목간〉처럼 목간의 상단부를 조금씩 차례차례 조각내 부러뜨리는, 아주 미세한 부분까지도 고대일본의 목간 廢棄行程과 동일한 목간이 발굴되기도 하였다. 이는 백제멸망 후 백제 관인층의 상당수가 일본으로 망명하였고, 그러한 과정에서 일본으로 백제의 문서생산과 폐기방식 등이 전파되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결국 백제에는 문서의 오용을 막기 위해 문서목간을 일정한 방식으로 폐기하는 관례가 관인사회 내에 존재하였고, 이것이 양국 사이에 동일한 정형화된 폐기행정이 발생한 원인이었다고 생각된다. This research aims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affairs by Wooden Documents of Paekche kingdom. I first reviewed the creation of documents with a wooden tablet related to the administrative record(文書木簡), that has a lot of pages(‘多面’), which excavated at the old temple-ruins in Nengsanri, Booyeo. There Were many lines(‘多行’) upon it. These were written by the paekche's governmental officer, and only brief memos about the administrative affairs. The paekche's governmental offices would have had to use such wooden tablets equipped with many pages or lines to establish office registers or official documents. Secondly, I examined the arrangement and classification of documents with a wooden tablet related to the title mark of document(文書標識用木簡). There were many kind of title mark of document. For example, scroll spindle on which written the title of document(題籤軸·木籤軸) was used under the administrative documentation. On the other hand, Wooden tablet No.285 seems to have been produced as a Wooden tag on which written the title of document(文書標識用?). In the future, the wooden tablets found from Booyeo should be put under comparative studies, and established as evidences of the paekche officer's usage of letters and documents in their ordinary lives.

      • KCI등재

        新羅 文書木簡의 기초적 검토 – 신 출토 월성해자 목간을 중심으로

        HASHIMOTO Shigeru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7

        This paper reviews document wooden tablets of Silla. The term ‘document’ in the broad sense are documents, records and letters prepared by various government offices, but here we deal with the document in the narrow sense on which the sender and receiver are written.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s in document wooden tablets of Silla, it is important to compare with those of ancient Japan, such as Jeonbaek mokkan. First of all, we will examine the text and contents of the wooden tablets recently unearthed at the moat of the Wolseong Palace. The contents of the three-sided wooden tablet were that a ‘Dangju’, local government official, sent grain to a government official in the capital, and it is presumed that ‘Sobaekin’ came to the capital and reported it. The document wooden tablets of Silla were, just like Japanese Jeonbaek mokkan, presumed to be related to oral communication and mainly used as report to higher officials. At the same time,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 sender and date are written on Silla's document, but not on Japanese ones. The shape of Japanese documents are tabular, while Silla’s ones are cylindrical or polyhedrons. It is likely that these morphological features were designed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at they were documents. In particular, large ones are assumed to have served as passes. ‘Muncheok’ who wrote a wooden tablet of the moat of the Wolseong Palace is same as the government post found in the stone monuments of Namsansinseong fortress, indicating that local residents were responsible for the administration of documents widely in the provinces. And a comparison betwee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Unification Period reveals a change in the method of date marking. Such a change can be confirmed in ancient Japan too,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ppearance of the change. Such difference is presumed to be due to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introducing the political system of China. 본고는 신라의 문서목간을 검토대상으로 한다. 여기서 문서목간이란 여러 관청에서 작성된 문서, 기록, 편지 가운데 수발 관계를 알 수 있는 협의의 문서목간을 말한다. 신라 문서목간의 특징이나 시대적 변화를 밝히기 위해 고대 일본의 문서목간인 前白木簡과 비교하는 것을 중시한다. 먼저 최근에 출토된 월성 해자 목간의 판독문과 내용을 검토했다. 삼면목간은 지방관인 당주가 왕경에 있는 관인에게 곡물을 보냈다는 내용이며 ‘所白人’은 왕경까지 와서 보고한 사람으로 추정된다. 신라 문서목간은 일본의 전백목간처럼 구두전달과 관계된다고 생각되며 주로 上申文書로 사용되었다. 한편 전백목간과 달리 발신자나 날짜를 명기한다는 등 차이점도 확인된다. 목간의 형태도 전백목간은 판자형인데 신라 문서목간은 원주형목간이나 다면목간이다. 이러한 형태적 특징은 문서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만든 것일 가능성이 크다. 특히 크기가 큰 것은 통행증의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월성해자 목간을 쓴 文尺은 남산신성비에 나오는 職名과 똑같으며 지방민이 지방에서 널리 문서행정을 담당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삼국시대와 통일기 문서목간을 비교해 보면 날짜 표기 서식에 변화가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고대 일본에서도 보이는 상황이지만 변화 양상에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중국의 율령제를 도입하는 방식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釜山 盃山城木簡의 기초적 검토 -佐波理加盤付屬文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하시모토 시게루(橋本 繁)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2

        본고는 부산 盃山城址 集水池에서 출토된 목간(배산성목간)의 내용을 검토한다. 배산성은 居漆山郡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며 목간은 거칠산군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목간을 검토하기 위해 유사한 내용이 확인되는 일본 正倉院 소장 좌파리가 반부속문서(좌파리문서)와 비교하였다. 목간의 연대와 관련하여 제1행에 ‘乙亥年’이라는 간지가 있다. 목간과 함께 집수지에서 출토된 유물의 연대를 통해 555, 615, 675년의 가능성이 지적되었는데 특정하기가 어렵다. 다만 6∼7세기쯤의 신라 목간이라는 점은 확실하다. 목간의 내용은 크게 제목과 날짜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머리의 ‘本波舎村失受’로 시작되는 부분이 목간 제목에 해당하며 ‘本波舎村’은 거칠산군에 소속된 촌으로 생각된다. ‘失受’는 좌파리문서에도 있는 단어로 국가가 관인으로부터 받아야 할 것을 충분히 받지 못했다는 뜻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배산성목간은 거칠산군이 본파사촌으로부터 받아야 할 것을 충분히 받지 못하였다는 내용으로 이해된다. 다음으로 본문에 해당하는 날짜 부분을 검토한다. 이 부분은 〈날짜+동사+수량〉이라는 기재양식이다. 수량이 石斗로 기록되어 있으니 곡물 수수에 관한 기록으로 보인다. 날짜를 전후반으로 나눠서 각각 다른 기록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상세히 검토한 결과 2월 1일부터 4월 1일까지 날짜 순서대로 기재되어 있어 일련의 기록으로 생각된다. 또 여러 차례 ‘受’에 관한 기록이 있는데 이 ‘受’는 신라의 일차사료에도 많이 확인된다. 종래 ‘개인이나 집단이 국가로부터 땅이나 곡물을 受給하거나 국가로부터 명령을 받아 수행하였다’는 뜻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그 반대로 ‘국가가 개인이나 집단으로부터 受納하였다’는 뜻으로도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목간의 날짜 부분은 거칠산군이 본파사촌으로부터 받은 곡물을 날짜별로 기록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날짜 부분을 좌파리문서와 비교하면 좌파리문서는 매월 1일에 거의 일정한 수량을 납부하는 것에 반해 배산성목간은 1일 이외의 날짜도 있고 수량도 일정하지 않다. 이러한 목간의 특징은 규정대로 납부하지 못 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날짜 부분은 제목의 ‘失受’ 즉 납부를 충분히 받지 못하였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이해된다. 또 날짜 부분 첫머리 2월 1일의 동사는 ‘値’으로 판독할 수 있다. 본파사촌에 규정된 납부액 혹은 그것을 계산하는 기준에 대한 기록일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목간은 날짜마다 수시로 기록한 것이 아니라 4월 1일 이후 어느 시점에 전체를 한꺼번에 쓴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 4월 1일의 ‘上法同 …’ 부분은 납부 기한인 3월까지 정해진 양의 곡물이 납부되지 않은 것에 대한 대응으로 생각된다. 4월 이후에 본 목간을 이용해서 나머지 곡물을 징수하였을 것이다. 본 목간은 군에서 촌 단위로 곡물을 징수했다는 일상적 행정의 일단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reviews the contents of the wooden tablet excavated in Busan Baesanseong. Baesanseong is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Gochilsangun(居漆山郡),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wooden tablet was used there. In order to review the wooden tablet, it is compared to the Saharinokaban document which was found in Japan"s Shosoin. About the date of the wooden tablet, there is ‘乙亥年’ on the first line, which is difficult to specify. However, it is clear that it was a wooden tablet of Silla from the 6th to 7 th centuries. The contents of the wooden tablet can be divided into a title and date part. The first letters "本波舎村失受" corresponds to the title of the wooden tablet, and Bonpasachon(本波舎村) is thought to belong to Gochilsangun. The word ‘失受’ is also found in the Saharinokaban document and is presumed to mean that the state has not received enough from government officials.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Gochilsangun did not receive enough from Bonpasachon. Next, the date portion of the text is reviewed. This part is written in the form "date + verb + quantity". As the quantity is recorded with 石斗, it seems to be records of receiving grain. There is a view that the dates a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records, but it is presumed that they are a series of records, written in order of dates from February 1 to April 1. There are also records of ‘受’ several times, which are often found in Silla"s primary historical source. It was originally understood to mean that "individuals or groups received land or grain from the state or received orders from the state." On the contrary, however, it is believed to have been used to mean that "the state received from individuals or groups". So, the date part of the wooden tablet is presumed to be the records of grain received by Gochilsangun from Bonpasachon. In addition, the content of Saharinokaban document is to pay almost a certain amount on the first day of each month, while the date and amount of the wooden tablet is not constant. This is because of the failure to pay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The date section is understood to have specifically recorded that payment has not been received sufficiently, which corresponds to the title ‘失受’. In addition, verbs with the beginning of February 1 can be read as "値". It is possible that it is a record of the amount of payment stipulated for Bonpasachon or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it. It is estimated that the wooden tablet was not recorded from time to time, but recorded at some point after April 1. On April 1st, ‘上法同…’ part is thought to be a response to the failure of a set amount of grain to be paid by March, the deadline for payment. After April, the rest of the grain would have been collected using this wooden tablet. This wooden tablet is a valuable piece of data showing the daily administration that the gun collected grain by chon unit.

      • KCI등재

        백제 호적문서 관련 목간의 재검토

        박현숙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8 百濟硏究 Vol.67 No.-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begins with No. 315 Puyŏ Kungnamji(夫餘 宮南池) Wooden Tablet. Then it proceeds to examine the wooden tablets widely recognized as family registers like No. 2 Naju Pogamri(羅州 伏巖里) Wooden Tablet and No. 5 Naju Pogamri Wooden Tablet in terms of Baekje’s taxation system. As for No. 315 Kungnamji Wooden Tablet, it is hard at this point to affirm that the tablet is a family register. Bur it is definitely some sort of official document relating to population and land. Therefore, this tablet, one may say, contains information necessary for census and taxation. It seems that No. 2 Naju Pogamri Wooden Tablet is a sort of census report of the portion of population available for labor requisitions. Like No. 2 Naju Pogamri Wooden Tablet, No. 3 Naju Pogamri Wooden Tablet can be seen as a record of the labor requisitions conducted based on the existing censuses. No. 5 Naju Pogamri Wooden Tablet is peculiar in that it documented changes in harvests as well as properties. Unlike No. 2 Naju Pogamri Wooden Tablet, No. 5 Naju Pogamri Wooden Tablet recorded land ownerships and harvests for the imposition of tax that required information of changes in ownerships and harvests. Thus,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No. 5 Naju Pogamri Wooden Tablet was a collection of family registers collected and submitted by either village heads or government officialsfor the classification of taxable families. In any case, the examined wooden tablets have some distinct characteristics, which makes it hard to draw a general assessment of Baekje’s taxation system. Nonetheles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way Baekje obtained information of its people and land and the meticulous aspect of its governance. So one can see that Baekje’s administration and information gathering were gradually becoming systematized. 본고에서는 <부여 궁남지 315호 목간>에서 논의를 출발해서 <나주 복암리 2호 목간>과 <나주 복암리 5호 목간>등 호적목간이라고 평가되고 있는 목간들을 재검토해 보았다. <궁남지 315호 목간>의 경우는 호적목간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徙民給田籍이든 포상과 관련된 給田籍으로 설명하든, 이 목간은 人(丁과 歸人 中口와 小口)과 土地와 관련된 문서목간이다. 따라서 이 문서목간은 결국 호적 작성이나 수취체제를 위한 정보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나주 복암리 2호 목간>은 요역의 징발 대상자에 대한 호구별 자료를 정리한 문서라고 보여 진다. <나주 복암리 3호 목간> 역시 <나주 복암리 2호 목간>과 같은 호구 자료에 기반하여 실제 요역을 행하고 보고한 문서목간으로 성격지울 수 있을 것이다. <나주 복암리 5호 목간>은 재산 상황과 더불어 수확량의 변화를 기록한 것이 특이점이다. <나주 복암리 2호 목간>과 달리 <나주 복암리 5호 목간>에서 토지와 수확량이 특기된 것은 收稅를 위해 그 해의 수확량과 재산 변동을 알려야 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주 복암리 5호 목간>은 收稅 또는 호등 산정을 위해 촌주나 관리가 각 戶에 대해 정리해 올린 호구별 문서목간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아무튼 고찰한 3개의 목간은 조금 다른 기재 방식과 특징을 보이고 있어서 통일된 백제 호적제도의 특징을 단언하기에는 아직 어려운 면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찰을 통해 국가의 民의 호구와 재산에 대한 파악과 백제 국가의 지방에 대한 지배력이 얼마나 강화되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백제의 문서행정이 체계화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2018년 출토 경주 월성 해자 삼면목간에 대한 기초적 검토

        전경효(Jeon, kyunghyo) 한국목간학회 2021 목간과 문자 Vol.- No.27

        2018년에 출토된 경주 월성 해자 삼면목간은 곡물과 관련된 사건을 보고한 문서 목간이다. 전체 3개의 면이며, 길이는 약 37㎝, 너비 약 2.8~6㎝, 두께 약 2~3㎝이다. 모든 면에 글자가 존재하며, A면에 23자, B면에 22자, C면에 23자가 있다. 대략적인 내용은 A면에 보고자와 의례적인 표현, B면에 보고 대상이 되는 사건의 내용, C면에 목간 전달자, 사건 제보자, 목간 내용 작성 담당자로 구성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보고 시점은 6세기 후반~7세기 전반 무렵 어느 해 정월 17일이었으며, 보고자는 지방 어느 촌에 있었던 幢主였다. 그는 제보자의 말을 바탕으로 목간의 내용을 보고하였는데, 실제로 문서를 작성 또는 기안한 사람과 목간을 전달한 사람도 제보자와 함께 목간에 등장한다. 이 밖에 목간의 형태는 문서의 내용을 염두에 두고 고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삼면목간은 문서의 작성 과정과 전달 등 문서 행정의 일면이 드러나는 유물이라 할 수 있다. The three-sides wooden slip in the Wolseong moat, excavated in 2018, is a document that reports incidents related to grain. It has three sides, and is about 37㎝ long, about 2.8-6㎝ wide, and about 2~3㎝ thick. There are letters on all sides, 23 characters on the A side, 22characters on the B side, and 23 characters on the C side. The outline contents consisted of reporter and ritual expression on side A, the content of the event to be reported on side B, and the person in charge of preparing the contents of the list on side C. Looking at this specifically, The reporting time was on the 17th of the first month of the year around the late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and the reporter was a lord in a local village. He reported the contents of the tree based on the informant’s words, and the person who actually wrote or drafted the document and the person who delivered the document also appear in the log together with the informant. In addition, it is presumed that the shape of the tree was chosen with the content of the document in min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three-sided tree is a relic that reveals one aspect of document administration, such as the process of writing and delivering documents.

      • KCI등재

        한국의 고대목간과 연구동향

        전덕재(Jeon Deog-jae) 한국목간학회 2012 목간과 문자 Vol.9 No.-

        본고는 2011년까지 발견된 한국 고대목간의 현황과 그것을 둘러싼 연구동향을 정리한 것이다. 2011년까지 낙랑 목간 120여 점, 백제 목간과 목간 부스러기 150여 점, 신라 목간 330여 점이 발견되었다. 삼국시대까지 목간은 付札 또는 荷札用뿐만 아니라 文書로서 널리 사용되었고,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종이문서가 널리 쓰이면서 문서용은 크게 줄어들고 주로 물품에 부찰된 꼬리표로 사용되었다. 목간의 연구를 통하여 古代의 문서행정체계 및 중앙과 지방의 통치체제, 수취체계와 사회경제제도, 그리고 고대인의 일상 생활모습에 대한 이해가 크게 진전되었다. 앞으로 목간의 발굴 사례가 계속 증가하고, 또 이미 발굴된 목간의 묵서가 새로 판독됨에 따란 목간을 통한 韓國古代史像의 체계적인 복원작업도 크게 활성화되리라고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ancient wooden slips that have been discovered by 2011 and conducts a summary of the overaching research trends. All in all, some 120 Lelang wooden slips, 150 Baekje wooden slips and shavings, and 330 Silla wooden slips have to date been uncovered. Up until the Three Kingdoms period, wooden slips were widely used, not only for labeling and listing purposes but also as a means of documentation. The widespread use of paper documents during Unified Silla coincided with a significant decline in the use of wooden slips for documentation purposes, with such resources increasingly being used mainly as labels attached to goods. Research on wooden slips has contributed to furthering scholars’ understanding of the ancient document administration system, the ruling structure in the central and local areas, the tax and socio-economic systems, and the everyday lifestyle of ancient people. In this regard, the continued excavation of wooden slips and advent of new interpretations of existing wooden slips is expected to further invigorate the practice of Korean ancient history based on such wooden slips.

      • KCI등재

        한국 도서관사 연구자료로서의 목간기록 및 서지자료로서의 목간 분석

        남권희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4 No.-

        This study bibliographically examines wooden strips documents and Analects of Confucius excavated in Korea. Compared to China and Japan, number of excavated wooden tablets of Korea is very limited. However, with emergence of various types and fields of wooden tablets, it became possible to secure a large amount of historically valuable data. In Chapter 2, the wooden tablets documents were explored as receiving documents, repository documents and draft documents to examine the value of the data as a recorder. In Chapter 3,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index wooden tablets were carefully analyzed. Metadata analysis was also conducted on the documents. In Chapter 4, bibliographical approach was taken to Analects of Confucius (Noneo) which already possess an element of a book through the forms of wooden and bamboo tablets. 본 연구는 한국에서 출토된 문서목간 및 논어목간을 기록과 서지자료로서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중국 및 일본과 비교했을 때 현재 한국 출토 목간의 수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나, 다양한 형태와 분야의 목간이 출현하면서 목간이 지닌 역사적 가치와 우수한 정보를 다량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서목간을 수발문서, 장부문서, 초고 기록문서로 나누어 기록자료로서의 가치를 살펴보고 색인목간이 갖는 가치와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어서 앞서 살펴본 이들 문서들이 갖는 메타데이터 분석도 함께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논어목간과 논어죽간을 통해 이미 형태적으로 ‘책’의 요소를 지니고 있는 『논어』에 대해 서지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았다.

      • KCI등재

        한국 고대 목간의 용도와 형태 분류

        이경섭(LEE, Kyoung-sup)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7 No.-

        고대 한국의 목간은 현재까지 신라와 백제의 유적에서 600여 점 정도가 출토되었다. 이 글에서는 전체 목간의 용도와 형태를 정리하면서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들 목간은 형태상으로 장방판형, 다면형, 원주형, 홈형, 기타의 목간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며, 용도는 크게 文書목간, 꼬리표[附札]목간, 기타 목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문서목간은 문서의 발신과 수신이 확인되는 좁은 의미의 문서목간과, 帳簿・集計・傳票・考課 등의 기록목간으로 분류된다. 꼬리표목간은 이동하는 세금이나 공진물에 부착된 짐꼬리표[荷札]와 물품의 보관에 사용된 물품꼬리표[物品附札]로 나눌 수 있다. 기타 용도로는 呪術・儀禮, 典籍(論語), 글자 연습용, 명함, 구구단 목간 등의 사용이 확인된다. 목간을 재활용하기 위해 사용된 목간의 표면을 깎은 부스러기도 발견되었다. 이 과정에서 문서목간은 장방판형, 다면형, 원주형 목간들이 이용되었고, 꼬리표목간은 홈형 목간이 사용되었다. 기타 용도의 목간들은 그 용도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특히 좁은 의미의 문서목간은 주로 다면(원주)형 목간이 사용되었고, 기록목간은 장방판형 목간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신라의 꼬리표 목간은 주로 아래쪽에 홈을 새겼고, 백제의 꼬리표 목간은 위쪽에 홈을 새겨서 사용한 사실이 확인된다. 이러한 경향은 통일 이후 위쪽에 홈을 새긴 꼬리표 목간으로 변화한다. 기본적으로 목간의 제작과 사용은 그 용도에 부합하는 형태가 채택되어 사용되었다고 보인다. In Korea, approximately 600 wooden ancient tables have been excavated in relics of Silla and Baekje. This study set out to propose a classification system by sorting out the entire ancient wooden tablets of Korea by the use and form. The wooden tablets were made in the forms of rectangular plate, multisided, circumferential, groove, and other types. Their uses mainly include documents, receipts, and others. Wooden tablets for documents are further divided into wooden tablets as documents whos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checked in a narrow sense and wooden tablets as records including ledgers, accumulations, statements, and evaluations of merits. Wooden tablets for receipts can be divided into wooden tablets for receipts of tributary payments or taxes and wooden tablets for receipts of goods used to store goods. Other uses included incantations and ceremonies, Jeonjeok (Analects of Confucius), practice of writing letters, business cards, and multiplication table. Fragments were also found which were from the planing of wooden tablets on the surface for recycling. In this process, wooden tablets of rectangular plate, multisided, and circumferential types were used for documents, and those of groove type were used for receipts. Wooden tablets of other uses were made and used in various forms that would suit their uses. Basically, the production and use of wooden tablets was based on the selection and use of forms that would suit their uses.

      • KCI등재

        고대 동아시아 서예자료와 월성 해자 목간

        정현숙 한국목간학회 2018 목간과 문자 Vol.0 No.20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alligraphic characteristic of the Wolseong Moat wooden tablets of Silla, to find out the calligraphic relationship with two village documents of the United Silla, and to search for the calligraphic influence to the wooden tablets of Aska, Japan. First, calligraphy of the document wooden tablets among all the Wolseong Moat wooden tablets shows round turning brush and square turning brush, fluidness and strongness, and change and restraint. Especially, by the end of the 6th century the Northern Wei style showing the changeable process from the ancient Silla style to the Chinese style clearly appears on the tag wooden tablets. The Northern Wei style of Wolseong Moat wooden tablets is more fluent than that of Iseongsanseong Fortress wooden tablets of the early 7th century. It tells us that the writing of capital officials is superior to that of local officials. Next, the regular and running scripts on the two village documents of the United Silla from the late 7th to the early 8th century are more advanced than those of Wolseong Moat wooden tablets of Silla. It reveals the calligraphic change of Silla for more than one hundred years and means that calligraphy culture was transmitted from the Silla to the United Silla. Lastly, we can confirm that the calligraphy of wooden tablets of Aska, Japan, in the 7th century was influenced by that of Baekje and Silla. Especially, the Northern Wei style on Hujiwarakyo wooden tablets in the early 8th century seems to be the influence of Silla. Ancient Japan produced numerous wooden tablets compared to ancient Korea. It means that the administrational documents using wooden tablets were actively used. Nonetheless, the writing of wooden tablets of Aska in the late 7th century does not reach that of Wolseong Moat wooden tablets of Silla in change and skill. Wolseong Moat wooden tablets showing the excellent writing by capital officials are outstanding calligraphic materials holding a domin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calligraphy. 본고는 신라 월성 해자 목간 글씨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과 두 종의 통일신라 촌락문서 글씨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일본 아스카 목간 글씨와의 비교를 통해 그 영향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월성 해자 목간 서예가 동아시아 서예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먼저 월성 해자 목간 가운데 문서 목간 글씨는 원전과 방절, 유려함과 힘참, 변화미와 절제미 등 다양한 모습을 보여 준다. 특히 6세기 말경 하찰 목간에 북위풍이 나타나 신라의 서풍이 고풍에서 중국풍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그 북위풍은 7세 초 이성산성 목간의 북위풍보다 더 능숙하여 왕경 관리의 글씨가 지방 관리의 글씨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말해 준다. 다음으로 7세기 말, 8세기 전반의 것으로 추정되는 통일신라의 두 촌락문서 해서와 행서의 노련함과 출중함은 월성 해자 목간 글씨를 한 단계 발전시킨 것이다. 이는 100년 신라 서예의 진전을 보여 주는 것으로, 서예가 신라에서 통일신라로 계승되었음을 증명한다. 마지막으로 7세기 일본 아스카 목간은 문장의 양식이나 글씨에서 백제, 신라를 계승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8세기 초의 후지와라경 목간에는 북위풍이 쓰여, 이는 100여 년 전 신라에서 성행한 북위풍이 전승되었음을 말해 준다. 고대 일본은 고대 한국보다 출토 목간의 수가 월등히 많아 목간을 통한 문서 행정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7세기 후반 아스카 목간의 글씨는 6세기 후반 월성 해자 목간 글씨의 변화무쌍함과 능수능란함에는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신라 왕경 관리 글씨의 출중함을 그대로 드러낸 월성 해자 목간은 동아시아 서예사에서 우위를 점하는 서예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