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기업가정신 활동: 2009년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GEM) 일반성인조사(APS)를 중심으로

        반성식,김상표,송경모,조동환,박종해,차민석 한국창업학회 2010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0 No.-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GEM: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의 목적은 창업기업가들의 태도, 활동 및 열망에 대한 국제적인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창업에 대한 보다 많은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전 세계의 정부, 기업가, 교육자 등이 정책을 설계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창업을 꿈꾸는 개인들이 글로벌비즈니 스 환경 하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GEM 연구에 참여한 각국의 연구진은 참여국가 별로 18세에서 64세 사이의 최소한 2,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일반성인조사(APS; Adult Population Survey)를 시행하고 있다. 한국은 20개의 고소득 혁신주도형 국가 중 하나로 분류되어 있다. 한국은 20개의 혁신주도형 경제 국가들 내에서 8번째로 높은 초기창업활동(Early-stage entrepreneurial activity: TEA) 수준 (7.0%)을 보이고 있다. TEA 수준이 가장 높은 국가들은 아랍에미리트와 아이슬란드, 그리스 등인데, 이들 국가는 최근에 금융위기로 국가부도 사태를 겪거나 위험 징후를 보이고 있는 국가들이다. 따라서 단순히 TEA 비율이 높다는 것이 국가의 경제상태가 좋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혁신주도형 경제 내에서 동일한 아시아권인 일본은 반면에 제일 낮은 TEA 수준(3.3%)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기업가정신조사에 의하면, 창업활동에 영향을 주는 세 그룹의 구조적 여건들 (framework conditions)은 경제활동을 위한 기본적 요건, 효율성 강화제도, 창업활동 및 혁신 요소등과 깊이 연관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적 여건들은 각국의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인조사는 국제적 신용위기의 주요 영향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기 이전인 2009년 5월에 시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조사에서 이미 경기침체의 하락 신호가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침체의 실제 영향에 대해서도 2008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서 2009년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상당 부분 파악 할 수 있다. 창업활동에 대한 태도 분야에서는 한국인의 경우 향후 6개월 이내에 사업을 시작할 좋은기회로 보는 경우가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의 경우 본인이 사업을 시작할 능력을 지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동시에 한국인들은 다른 혁신주도형 국가들에비해 창업활동을 매력적인 것으로 보고 있었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낮고, 향후 3년간 사업 을 시작하기를 원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활동을 측정함에 있어 창업활동의 단계를 ①잠재적인 예비단계(potential), ②태동기(nascent), ③초창기(new), ④기업설립 후 안정기(established) 창업단계의 네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네 단계중에서도 우선 초기창업활동비율(TEA)을 구성하는 태동기의 창업활동과 초창기 창업활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은 2008년 이 비율이 성인인구의 10%에 달하였으나 2009년의 7.0%로 낮아졌으며,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였을 때 여성에 비해남성의 초기단계 창업활동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생계형 창업활동과 기회포착형창업활동 모두 감소하였으나, 생계형 창업활동의 감소폭(2008년에는 4.0%, 2009년에는 3.1%)보다 기회포착형 창업활동의 감소폭(2008년의 5.8%에서 2009년에 3.7%로 감소)이 상 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사업중단(폐업)비율(rate of business discontinuation) 역시 다른혁신주도형 국가들에 비해 한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창업활동에서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은 창업활동에 있어서의 남녀 비율이었다. 이비율은 전체 표본 국가들 간에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혁신주도형 국가들의 경우 일반적으 로 여성 대비 남성의 창업활동비율이 2배로 나타났고, 미국과 독일의 경우는 이 보다 다소낮게 나타났으나 한국은 3배에 달했다. TEA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남성(10.4%)과 여성(3.5%)의 상대적 비율은 사회적 창업활동에서도 같이 나타났다(남자 0.6%, 여자 0.2%). 또 다른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한국의 창업기업가들의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고학력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열망(aspiration)의 측면에서는 다른 일부 국가와 마찬가지로 창업기업가들이 그들의 사업에서 높은 수준의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애쓰고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제품, 새로운 시장과 같은 높은 수준의 혁신을 통한 생산은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국제화 정도는 중간 수준에 그쳤다. 이 보고서에서는 글로벌기업가정신지수(GEI: Global Entrepreneurship Index)도 소개하고있는데, 이는 특정 국가에서 창업활동을 위한 환경을 평가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 지수에 따르면, 한국에서 창업 활동과 그 열망은 비교적 건강하게 나타났으나, 창업기업가의 태도는 그보다는 덜 건강한 것 The purpose of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GEM)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entrepreneurial attitude, activity, and aspiration in the globally comparative perspectiv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provide more comprehensive and profound knowledge of entrepreneurship in Korea to the government officers, entrepreneurs, and scholars. International research consortium has been built to execute annual global survey, called Adult Population Survey(APS) that has more than 2,000 people from 18-64 years old. Last year participatory countries are 54 including Korea. Approximately 7.0 % of the adult population in Korea has engaged in early-stage entrepreneurship activity (TEA) in 2009. Among the countries with highest level of TEA, Arab Emirate, Iceland, and Green are those that have unstable economic conditions. So the adequate level of entrepreneurship of those countries are questionable. On the other hand, Japan has the lowest level of TEA(3.3%) within a group of innovation-driven countries. A saturated economy might not have active entrepreneurship. Male entrepreneurial initiatives represent 10.4% of the adult population, and 3.5% females started a business. Looking at the motivation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ratio of opportunity-driven start-up decreased from 5.8% in 2008 to 3.7% in 2009. Moreover, rate of business discontinuation is highest among innovation-driven countries. Entrepreneurial aspiration was not high in new technology adop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ough firms try to achieve higher growth. The 2009 GEM survey shows that the entrepreneurship sector is healthy but has been affected by global crisis with a medium level of opportunity-based motives and growth aspiration.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m, investors and entrepreneurs are not willing to take a risk to pursue new business opportunities due to the declining economic situation and more uncertainty. While the private sectors are shrinking after the crisis, the role of government has become crucial to balance the shortage of credits and opportunity. We need more proactive and diverse entrepreneurship policies and execution to overcome the current challenges in the economy.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의도 영향요인과 국가 간 차이: 창업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정부지원정책을 중심으로

        박재춘,남정민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특성(창업효능감)과 환경적 특성(사회적지지, 정부지원정책)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특히, 개인 및 환경적 특성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국가 간 차이(한국, 중국)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한국 및 중국 대학생 626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창업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정부지원정책 모두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한국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에는 사회적지지, 창업효능감, 정부지원정책 순으로 영향력을 주었다. 둘째, 중국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창업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정부지원정책 모두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에는 정부지원정책, 창업효능감, 사회적지지 순으로 영향력을 주었다. 셋째, 환경적 특성(사회적지지, 정부지원정책)과 창업의도의 관계는 국가 간 차이에 의해 조절되었다. 특히 환경적 특성(사회적지지, 정부지원정책)과 창업의도의 긍정적 관계는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한국과 중국은 집단 문화적 특성을 보이나 중국은 ‘꽌시’를 중요시 하는 관계 지향적 문화특성이 높고, 창업을 새로운 창업기회로 인식하는 불확실성 회피성향이 낮은 문화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한국 및 중국 대학생에 초점을 둔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주요 국가의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 및 효과 연구: 2016년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의 비교

        남정민,이환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6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tart-up foundations by country in order to find ways to improve the domestic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nd to promote the recognition of desirable entrepreneurship practices. It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will, and the level of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s, by using data from the 2016 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GETR). First, the results show the urgent need for th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In the GETR category of 'experi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Korea was ranked very low (19th place), among the 20 countries. In the 'college' and 'lifelo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tegories, it procured a mid-level ranking (15th). While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all ages is being promoted global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middle-aged individuals in Korea is relatively weak. This implies that th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lifelong education and education for employees and retirees is required. Second, the individual'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Korea was 3.8 points, implying a mid-level ranking (15th), and it ranked the lowest in terms of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 (20th). In comparison to China (4.55) and the United States (4.01),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s was found to be low. The level of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was also found to be very low, compared to China (4.35), Japan (4.04) and the United States (4.59). In general, the proportion of the level in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increases from the factor-driven and efficiency-driven, to the innovation-driven type. In Korea, the percentage of entrepreneurial ventures centered around involuntary entrepreneurship and small businesses is high. It is also interpreted that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s are low in number because of this high proportion of involuntary start-up and small businesses. Las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ll types (factor-driven, efficiency-driven, and innovation-driven) was exceptionally high. It has been confirmed that exposure to all entrepreneurship education (elementary, junior high, university, and lifelong education) in innovation-driven countries, greatly increase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case of Korea, which is an innovation-driven country, qualitative improvement ba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expected to be a major driving force for individuals’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obtain a mid-level ranking (15th). 본 연구는 국내 창업 환경 개선 및 바람직한 창업 인식 조성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016 글로벌 기업가정신 트렌드 보고서(GETR)의 데이터(20개국 40,354명)를 활용하여 주요 국가의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 및 국가별(유형별) 창업 실태,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창업 의지 및 기회형 창업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먼저 한국은 기업가정신교육의 확대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초중고 기업가정신교육 경험’은 20개국 중 최하위수준(19위)이었으며, ‘대학’ 및 ‘평생교육’은 중위권(15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기업가정신교육은 연령대를 불문하고 활성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중고령자에 대한 기업가정신교육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수준이었다. 이는 향후 평생교육 차원의 교육 확대가 요구되며, 재직자 및 은퇴예정자 대상 기업가정신 교육 개발 및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로, 한국인 개인의 창업의지는 3.8점으로 중하위권(15위)이었고, 기회형 창업수준은 최하위(20위)였다. 중국(4.55) 및 미국(4.01)과 비교할 때 한국인의 개인 창업의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회형 창업 수준 또한 한국은 3.43점으로 중국(4.35), 일본(4.04), 미국(4.59)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요소주도형→효율주도형→혁신주도형으로 전환될수록 기회형 창업의 비중은 높아지는데, 한국의 경우 비자발적 창업 및 소상공 중심의 창업 비중이 높아 기회형 창업 수준이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요소주도형, 효율주도형, 혁신주도형 모든 유형에서 기업가정신교육 참여에 따른 창업의지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혁신주도형일수록 모든 기업가정신 교육(초중고, 대학, 평생교육) 참여여부에 따라 신규창업의지는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혁신주도형인 한국의 경우 기업가정신교육의 양적 확대를 기반으로 질적 제고를 이룬다면, 지금의 중하위권(15위)에 머문 국민의 창업의지를 상승시킬 주요한 원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행위자기반 모델링과 시뮬레이션(ABMS)을 활용한 창업과정의 이해

        심재후(Shim, JaeHu),오현성(Oh, Hyunsung)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ABMS) as a new research method for explaining various venture creation processes in entrepreneurship. Also this study introduces person-centered approach that can be utilized for rigorous design of agent-based models (ABM). The application of ABMS is illustrated with an exemplary ABM that reproduces the power-law distribution of early venture performance. ABMS can be utilized for the process-oriented entrepreneurship research with additional research methods, such as case studies and experiments. This paper invigorates the utilization of ABMS as a viable research method in entrepreneurship. 이 연구의 목적은 창업학 연구자들에게 행위자기반 모델링과 시뮬레이션(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ABMS)을 소개하고, ABMS의 적용절차를 창업분야 사례와 함께 제시한 다음, 다양한 유형의 행위자를 효과적으로 식별하여 ABMS를 구축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사람중심접근(person-centered approach)을 소개하는 것이다. 어떤 현상은 알려져있으나 그 현상 이 일어나는 과정에 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 ABMS를 통해 그 현상의 창발과정에 관한 이해를 증진하고 이론을 개발할 수 있다. 이 연구는 ABMS의 창업분야 활용사례로서 창업기업의 성과분포를 재현하는 행위자 기반 모델(Agent-Based Model, ABM)을 제시한다. 이 사례는 창업과 정을 창업가(entrepreneur)와 기회(opportunity)의 상호작용으로 표현하는 간단한 ABM을 통해 창업기업의 성과가 부익부빈익빈 과정을 거쳐 거듭제곱분포로 수렴하는 현상을 성공적으로 재현한다. 이 사례는 창업가의 동기나 창업기업의 역량에 차이가 없더라도 창업기업의 초기환경과 창업과정에서 누적되는 운(luck)에 의해 창업기업의 성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창업연구와 실무에 기여한다. 첫째, 이 연구는 ABMS를 창업 연구자들 에게 소개함으로써 창업과정에 관한 새로운 유형의 연구질문을 제기할 수 있는 방법론적 토대를 제시한다. 둘째, 이 연구는 ABMS를 적용하는 절차를 사례와 함께 제시함으로써 창업 연구자와 실무자들이 ABMS를 활용할 수 있게 지원한다. 셋째, 이 연구는 사람중심접근을 소개함으로써 다양한 분석방법과 접목하여 ABMS를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ABMS는 사례연구, 실험 등 추가적인 연구방법과 함께 창업과정을 설명하는 창업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청년창업자의 사업생존 영향요인 : 일만족도 및 일적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소영,조상미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지 Vol.13 No.4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which affect youth entrepreneurs' survival,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job-satisfaction and person-job fit. The youth entrepreneurs of the seventh wave youth panel survey (2013) had maintained their start-ups at only 63.8% until the ninth wave youth panel survey (2015). The factors of start-up preparation behaviors examined, i.e., start-up motivation and previous start-up experience had direct effects on youth entrepreneurs’ survival, whereas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training had negative direct effects. As the mediation effects, both education and start-up motivation indirectly affected the survival through internal job-satisfac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recently increasing necessity entrepreneurship faced the high risk of business failure due to the low level of job-satisfaction. Given the study results that the internal job satisfaction, influenced by social contribution, self-development, and prospect, had positive effect on business survival, it is implied not only that youth entrepreneurship may well be facilitated in the various industries or business domains which may fit young entrepreneurs, but also that the sustainable industrial ecosystem should be built for youth entrepreneurs who have high start-up motivation and internal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training, we had better think deep about the fruitful and effective design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Lastly, we also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창업을 선택하는 청년들은 증가하고 있으나 그 사업생존율이 낮아 안정적 고용을 담보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는 현 시점에서 생계형으로 머무르고 있는 청년창업의 잦은 실패는 사회적으로 많은 비용과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패널 7차(2013년)~9차(2015년)자료를 이용하여 20세~39세의 창업한 청년들의 사업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일만족도 및 일적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7차년도에 사업을 운영하는 청년들이 2년 후인 9차년도까지 사업을 유지하고 있는 비율은 63.8%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사업생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구조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창업준비행동 중 창업동기, 이전창업경험은 사업생존에 정적인 직접효과, 창업교육훈련은 사업생존에 부적인 직접효과를 미쳤다. 또한, 사회공헌, 자기발전, 장래성으로 구성된 내재적 일만족도는 창업준비행동(학력, 창업동기)과 사업생존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년창업가들에게 철저한 창업준비행동이 요구되며 실효성 있는 창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더불어 청년창업가들의 사업생존에 내적 일만족도가 중요한 요소이므로 사회공헌과 자기발전에의 의지가 강한 청년창업가들에게 맞춤형 창업준비행동을 강화 및 지원하는 정책이 요구된다.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적 청년창업을 활성화하고, 창업동기와 내재적 만족도가 높은 청년 창업가들이 탄탄한 준비를 통해 사업을 지속성장해 나갈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 직무만족도 및 기업가정신이 HYBRID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창업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진희,양동우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8 No.3

        정부는 활발한 창업을 통해 경제를 성장시키고 일자리를 늘려야 하지만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지는 못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장애요인 중 하나는 창업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 중 하나로 Hybrid 창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유럽지역에서는 Hybrid 창업이 흔하게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미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에 도달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기업가정신이 Hybrid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의 직무만족도가 낮을수록 Hybrid 창업의도가 높아졌다. 근로시간 적합도보다는 임금의 공정성에 대한 생각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장인의 기업가정신이 높을수록 Hybrid 창업의도가 높아졌다. 혁신 보다는 위험감수성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창업 자기효능감은 기업가정신과 Hybrid 창업의도 간에 매개역할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government should grow the economy and increase jobs through active entrepreneurship, but it is not making as much progress as expected. One of the most important hurdles is the fear of a startup failure. One alternative to this is to think about Hybrid startup. Hybrid start-ups are common in Europe. It has already reach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Korea. In this study, we studied job satisfaction and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on Hybrid start-up intentions and the role of self-efficacy in the start-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employees, the higher the degree of Hybrid start-up. Opinions on the fairness of wages had a greater impact than the appropriateness of working hours. Second, the higher the entrepreneurship of workers, the higher the degree of Hybrid start-up. Risk-taking has had a greater impact than innovation. Third, the sense of selfefficacy of start-up has been mediated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the degree of Hybrid start-up. Finally, the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대학생의 창업 성공과 실패에 대한 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하규수(Ha, Kyu Soo),윤백중(Yoon, Baek Joong) 한국벤처창업학회 2011 한국벤처창업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8

        창업은 거시적인 측면에서는 고용을 창출하여 국가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기능을 담당하지만 개인의 측면에서는 소득원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창업의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인 성과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창업에 대한 성공과 실패에 대한 태도가 창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창업의 성공에 대한 태도는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반면 실패에 대한 창업 태도는 창업의도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시장전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조절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실패와 시장전망의 상호작용에서 부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실패라는 부정적인 요소가 창업의도에 영향을 중요한 원인으로 규명되었으므로 실패를 극복할 수 있는 창업교육이 필요하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on start-up business. The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cognition on business success and failure is not the same for college students. The focus on this study is analyzing the relations of expectation of students on business start-up and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expectation to the business success has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while the expectation to the business failure has nega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the negative expectation to the market condition has nega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a control variable. The result of the survey is meaningful tha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affected by the tendency of the business failure factors.

      • KCI등재

        제1판교테크노밸리 창업생태계 사례연구

        김현창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지 Vol.13 No.4

        ‘The First PangyoTechnoValley’ is preferred by start-ups after Gangnam, Seoul because of the strong policy determination and rich support programs of the Gyeonggi Province and the central government, public space to support start-ups including the Start-ups Campus, access to Seoul, and rich labor force. ‘The First PangyoTechnoValley’ had the most start-ups whose investment fund was three billion won or more in 2017 after Gangnam, Seoul, which indicates its potential. It has, however, its share of limitations including the shortage of private agencies to support start-ups such as venture capital and accelerators, the insufficiency of cooperative culture around start-ups including connections among various subjects and exchange networks despite the successful hardware infrastructure led by the public sector, and the rather limited roles of the private sector. The present study thus set out to make policy recommendations needed for it to evolve into a successful start-up ecosystem with global competitiveness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active regulation improvements for start-ups to develop new future items into business, fit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a public-private collaboration network along with the solutions of new technology and industry regulations. Second, the collaboration network should be activated between the incumbent leading companies and start-ups in ‘the First PangyoTechnoValley’ so that the leading companies can be mentors, investors, and business collaboration partners for start-ups. Third, the public sector should make active investments into global cooperation, while the private sector should make leading efforts to build a start-up ecosystem with international connections. Fourth, the technologies of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 and outside the Valley should keep being introduced into start-ups. Fifth, there should be effective supports for start-ups based on collaboration with public support agencies. Finally, the plans and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to promot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sector through a start-up ecosystem. Last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제1판교테크노밸리는 창업기업에게 서울 강남에 이어 선호되는 지역으로 꼽히는데, 이는 경기도와 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와 풍부한 지원 프로그램, 스타트업캠퍼스를 비롯한 공공의 창업지원 공간, 서울과의 접근성, 풍부한 인력 등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2017년 기준 30억 이상 투자를 받은 창업기업이 서울 강남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도 제1판교테크노밸리의 잠재력을 나타낸다. 공공 주도로 하드웨어 기반 구축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나, 벤처캐피탈, 엑셀러레이터 등 민간의 창업지원 기관이 부족하고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주체 간 연결과 교류 네트워크 등 협력 문화가 부족하고 민간의 역할이 다소 제한적이라는 것이 개선점으로 파악된다. 이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창업생태계로서 성장하는데 필요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신기술․신산업 규제 해결을 위한 민관 협력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 창업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부합한 새로운 미래 아이템을 비즈니스로 전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규제개선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제1판교테크노밸리에 소재한 기존 선도기업과 창업기업 간 협력을 위한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선도기업이 창업기업에 대해 멘토, 투자자, 비즈니스 협업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하게 해야 한다. 셋째, 국제적 연결성을 갖춘 창업생태계를 위해 공공이 글로벌 협력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민간의 주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제1판교테크노밸리 내외부의 대학, 연구소가 보유한 기술이 창업기업으로 지속 유입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공공 지원기관의 협력을 통한 효과적 창업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민간의 적극적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점 및 비학점 창업교육 참여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와 교내창업지원제도의 조절효과

        김춘호,양동우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지 Vol.13 No.4

        The university recognizes and promotes the activation plan of the entrepreneurial will through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 as a precedent for the establishment of startups by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participation on the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by classifying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to credit courses and non-credit cour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for checking the hypotheses derived on the basis of previous literature, first, the participation of non-credit cours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ship satisfaction, whereas the participation of credit courses did not. Moreover, the participation of non-credit cours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mediating through education satisfaction. Third, the University’s startup support system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credit course particip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discovering the substantive results as follows: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non-credit course participati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ineffectiveness of credit course participation, and the non-significant synergistic effect of the University’s start-up support system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university should be improved because it has limit to increas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while the caution is required to generalize the results due to the limitation of survey sample. Last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대학은 창업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한 창업의지의 활성화 방안을 대학생의 창업 선행과정으로 인식하고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업교육을 학점과정과 비학점과정으로 구분하여 각 과정 참여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기존 문헌 등을 토대로 도출한 가설을 설문분석결과로 검증한 결과, 첫째, 대학생의 비학점과정참여도는 창업의지와 창업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학점과정참여도는 그렇지 못하였다. 나아가, 비학점과정참여도는 창업교육만족도로 매개되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내창업지원제도는 비학점과정참여도와 창업의지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교육의 유형 중 비학점과정참여도와 창업교육만족도 및 창업의지가 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학점과정참여도의 비효과성과 교내창업지원제도와 교육과정의 상승효과는 유의하지 않다는 현상적 결과 발견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표본분석의 한계로 일반화 하기는 어렵지만, 본 연구결과는 대학의 학점교과과정 창업교육은 창업의지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어 개선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창업초기기업의 기술사업화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제조업창업자 기술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해근(Park, Hae Geun),양동우(Yang, Dong Woo)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지 Vol.13 No.5

        최근 4차 산업혁명의 확산과 청년실업을 해소하고 고용창출을 통해 경제 활력을 기하기 위해 창업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창업초기기업과 그 시기의 창업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창업초기기업의 기술사업화 능력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제조업창업 자의 기술역량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초기기업의 제조능력과 마케팅능력은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자 기술역량은 제조능 력이 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업자 기술역량은 마케팅능력이 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초기기업의 제조능력과 마케팅능력은 비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창업자 기술역 량은 제조능력과 마케팅능력이 비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제조업창업자의 기술역량은 제조능력을 강화시켜 재무적성과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하여 본 연구는 제조업창업자의 기술역량을 높일수 있는 효과적 창업생태계 조성 및 정부지원정책과 함께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start-up in order to spread the prolifer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olve youth unemployment and create economic vitality through job creation. There is, but, a lack of research on the early start-up and manufacture founder’s technological capability.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moderating role of manufacture founder s technological capability in the effect of the early start-up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on their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nufacturing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of early start-up had significant effects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founder’s technological capability moderated the influence of manufacturing capability on financial performance. However, the founder s technological capability did not moderate the effect of marketing capability on financial performance. Second, the manufacturing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of the early start-up had significant effects on non-financial performance, but founder’s technological capability did not moderate the influence of manufacturing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on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nufacture founder s technological capabi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financial performance by strengthening the manufacturing capability. Hence, effective creation of ecosystem and government support policy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enhance manufacture founder s technological capability.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