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래프이론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습지네트워크 구축모델 개발

        노백호 한국습지학회 2013 한국습지학회지 Vol.15 No.3

        습지보전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식생의 온전성, 멸종위기종 출현여부 등 대상지역 위주의 습지평가방법에서 점차 주변 지역이나 광역적인 위상관계, 연결성을 고려한 경관생태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습지평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에 분포하는 407개 습지를 대상으로 경관생태학적 접근방법과 그래프이론에 의해 습지생태네트워 크 구축모형을 제시하였다. 습지의 물질순환, 철새이동루트 등 현지조사 자료가 부족한 낙동강 유역의 네트워크 분석에는 평면네트워크 그래프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연결성 분석은 임계거리를 15㎞로 설정하여 습지군집 5개와 핵심습지 4개를 도출하였다. 이진모형과 확률모형에 의한 통합연결성지수와 연결가능성지수를 계산한 결과, 5개 습지군집 및 핵심습지와 취약습지를 검증할 수 있었으며, 낙동강본류와 금호강지류에 위치한 습지군집이 습지생태네트워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낙동강 유역의 습지군집과 네트워크, 취약습지 분포특성은 유역 단위의 습지보전·관 리계획 수립, 습지복원사업을 실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농업경관 내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능 설정 연구

        손진관,신민지,신지훈,강동현,강방훈 한국습지학회 2014 한국습지학회지 Vol.16 No.4

        연못형습지(Pond Wetland)는 우리나라 농업경관에서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연못형습지는 생물다양성을 위한 중요한자원으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연못형습지(Pond Wetland)에 대한 연구는 유형분류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 기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총 3단계로 기능분석, 기능도출, 중요도 분석의순으로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총 22가지의 기능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설문 결과 22개 항목 중 생물, 환경, 사회문화 분야에 각 4 기능씩 총 12개 기능으로 선별하였다. 항목간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실시하여 기능별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중복된 기능은 통합하여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기능 10가지(1. Water Storage & Irrigation, 2. Vegetation Diversity, 3. Amphibian & Reptile Habitat, 4. Water Purification, 5. Aquatic Insect Habitat, 6. Nutriments Control,7. Groundwater Recharge, 8. Fishery Habitat, 9. Eco-Experience & Education, 10. Aesthetic landscape)를 도출하였다. 향후 기능별 중요도 분석과 경제적 가치 지표를 적용하여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lot of Pond Wetland (Palustrine Wetland) are distributed in agricultural landscapes, Korea. These wetlands are evaluatedas important resources for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However, the study of Pond Wetland is rarely conducted except typeclassification in Korea. In this study, the function of pond wetland as ecosystem services is studied for conservation andutilization of wetland.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functionality analysis, functionality derivation, and importanceanalysis. A total of 22 feature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expert survey, 4 featureswere selected by each in the field of biological, environmental, and socio-culture among the 22 features. Importance wascalculated by conducting a cross-functional featur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Finally, 10 ecosystem servicefunctions of pond wetland were derived through expert survey; (1) Water Storage & Irrigation, (2) Vegetation Diversity, (3)Amphibian & Reptile Habitat, (4) Water Purification, (5) Aquatic Insect Habitat, (6) Nutriments Control was derived, (7)Groundwater Recharge, (8) Fishery Habitat, (9) Eco-Experience & Education, and (10) Aesthetic landscape. It is expectedthat this study is able to utilize in evaluation of pond wetlands ecosystem services by further study on analysis offunctional importance and economic value index.

      • KCI등재

        하천의 인공습지에 대한 식생변화 모니터링 연구

        홍승진,김정욱,정주영,김덕환,안경수,김형수,이종소 한국습지학회 2015 한국습지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강, 금강, 낙동강에 존재하는 세 개의 인공습지에 대하여 2012과 2013의 식생변화 모니터링 결과를비교 분석하고자한다. 각각의 인공습지는 비내섬, 세도지구, 옥포지구로 식생 모니터링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보면, 비내섬습지의 경우, 버드나무 군락과 물억새 군락이 우점하고 있으며, 수변부의 저지대를 따라 달뿌리풀 군락, 쑥-망초 군락,환삼덩굴 군락 등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식생의 변화를 알아보면 특히, 환삼덩굴 군락은 하절기에버드나무군락의 임내와 임연부 및 키 낮은 초원을 중심으로 분포역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옥포지구 습지는2012년에 없었던 마름이 2013년 수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정수식물 군락에 분포하고 있는 갈대 군락은 2012년에 비해2013년 분포역이 축소하였으며, 갯버들 군락은 2012년과 2013년 모두 분포역이 변화하지 않고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조사되었다. 세도지구 습지는 2012년에 조사된 이차초지대는 고수부지에서 인위적 식재로 인해 비수리 군락으로 변화하였으며,2012년의 대부분의 군락이 2013년에 망초군락이 번성하면서 망초 군락으로 천이되었다. 물억새 군락과 갈대군락은 2012년과2013년 모두 분포역 변화 없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내섬 습지의 식생은 건성천이보다는 습성천이로 진행될것으로 판단된다. 옥포지구 습지는 수변식생의 천이과정은 안정화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오랜기간 지속적으로 변화될 것으로예상된다. 세도지구 습지는 건성천이와 습성천이가 병존하고 있으며, 향후 갈대, 물억새와 버드나무군락으로 천이가 예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plant monitoring results of 2012 and 2013 for three artificial wetlands ofBinae, Sedo, and Okpo areas in Namhan river, Keum river, and Nakdong river respectively. As the results, the Binae wetlandin 2013 shows the same environment with 2012, that is, Willow and Common reed were dominant and the distributed plantsin the wetland were Phragmites japonica Steud, Carex dispalta Boott, and Humulus japonicus in lowland of river side. Especially,Humulus japonicus was increased in summer season and Willow was increased in lowland of 초원. In Okpo wetland, Waterchestnut was appeared in 2013 which it was not in 2012. Reed distribution was reduced in 2013 comparing to 2012 but Pussywillow distribution was not changed in 2013. In Sedo wetland, Secondary grassland was artificially planted in 2013 and sothe colony was changed to Chinese Lespedeza and also most of plant colony was changed to Colt's-tail. Therefore, we canknow that wetted transition rather than dried transition will be occurred in the Binae wetland. However, the Okpo wetlandhas monotonic change and so the transition will be proceeded with long time. The Sedo wetland showed wetted and driedtransitions exist together. Therefore, the wetland will be changed to Reeds, Common reed, and Willow colonies.

      • KCI등재

        습지목록의 개발, 가치 및 활용방안

        이기철 한국습지학회 2012 한국습지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 일대 습지의 생태계 특성과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습지목록을 제작하였다. 목록의 기초자료로 Landsat TM(1986년 4월 1일, 1987년 6월 23일, 1997년 6월 18일), Kompsat-2 (2008년 1월 12 일) 인공위성 이미지, 항공 LiDAR (2009년 3월 1일) 자료와, 부산시에서 조사한 생물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DB를 구축하였다. 습지목록의 활용방안으로, 시계열별 습지분류도 제작 및 시공간 분석, 경관 패턴 분석, 저서생 물 분포 특성 등을 파악해 습지 생태계 관리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3차원으로 제작된 습지지도는 습지 의 경계설정과 습지의 동적 특성분석에 도움을 주어 이러한 기법들을 잘 활용한다면 우리나라 전역의 습지목록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생활하수 처리

        서정윤 한국습지학회 2014 한국습지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2단(수직 및 수평 흐름) 복층여재(모래와 제올라이트 그리고 모래와 굴 껍질) 갈대 인공습지에 생활하수를 간헐적으로 주입하였을 때 각 수질항목별 처리효율 평가이다. 하수는 수리학적 부하량 314 L/m2․day(수직 흐름 인공습지 기준)를 하루 4(10분 동안 주입 후 5시간 50분 동안 중단)회 균등하게 간헐적으로 주입하였다. 그 결과 유출수의 pH는 수평흐름 인공습지 굴 껍질 층의 높이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굴 껍질 층의 높이가 200 ㎜일 때 pH 6.24를 보였다. DO(oxygen demand)는 유입수(0.19 ㎎/L)보다 수직 흐름 인공습지 유출수(7.65 ㎎/L)에서 높았다가 수평 흐름 인공습지 유출수(6.49 ㎎/L)에서는 다시 낮아졌다. 그리고 여름보다 겨울에 높았다. 또한 OTR(oxygen transfer rate)은 수직 흐름 인공습지 57.15 g O2/㎡ㆍday 그리고 수평 흐름 인공습지 5.65 g O2/㎡ㆍday로 나타났다. NH4+-N의 처리효율은 80.17% (유출수농도 6.01 ㎎/L)로 전부를 제올라이트로 충진하였을 경우(타 연구)와 비교하여 낮았지만 수직 흐름 인공습지 제올라이트300 mm 충진 층으로도 하수처리에서 요구되는 방류수질의 T-N 농도(20 ㎎/L)까지 안전성 있게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예측된다. 각 항목별 평균 처리효율은 유출수에서 SS 88.09%, BOD 88.12%, CODCr 83.11%, CODMn 85.58%, T-N 57.21%,NH4+-N 80.17%, T-P 86.73%를 보였다. NO3--N의 농도는 수직 흐름 인공습지 유출수에서 보다 수평 흐름 인공습지 유출수에서 감소하였다. 유출수 중 T-N의 반 이상이 NO3--N(7.92 ㎎/L)으로 잔존하였으며 NO2--N은 평균 0.90mg/L이었다. T-P의처리효율은 굴 껍질의 충진 층 높이가 800 ㎜에서 93.24%, 500 ㎜에서 86.30% 그리고 200 ㎜에서 55.44%로 굴 껍질 충진층의 높이에 비례하였다. A sewage was treated using a serially combined vertical(VFCW) and horizontal flow double media (sand and zeolite for VFCWand sand and waste oyster-shell for HFCW) reed constructed wetland(HFCW) with intermittent feeding (see Fig. 1). The sewagewas fed into the reed constructed wetland for 10 minutes every 6 hours at the hydraulic load of 314 L/㎡․day. The summarizedresults were as follows: pH values in the effluent depended very heavily on oyster-shell height filled in the HFCW. They weremaintained at less than pH 6.24 when the height of the oyster-shell layer was 200 mm. Influent DO(oxygen demand)values(average 0.19 ㎎/L) were increased in the VFCW(average 7.65 ㎎/L) and decreased again in the HFCW(average 6.49 ㎎/L). They were higher in the winter than in the summer. The OTR(oxygen transfer rate) was 57.15 g O2/㎡ㆍday in theVFCW and 5.65 g O2/㎡ㆍday in the HFCW. The removal efficiency of NH4+-N was 80.17%(6.01 NH4+-N ㎎/L in theeffluent). It was lower than that in the case where only zeolite was filled in the reed constructed wetland. But it was expectedthat treated sewage effluent using a double media reed constructed wetland with 300 mm zeolite layer could stably meet theKorean treated sewage effluent standard(20 mg T-N/L).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were SS 88.09%, BOD 88.12%, CODCr83.11%, CODMn 85.58%, T-N 57.21%, NH4+-N 80.17%, T-P 86.73%. Nearly, The concentration of NO3--N in the effluent of theVFCW was decreased in that of the HFCW. More than half of T-N in the effluent was NO3--N(7.92 ㎎/L) but theconcentration of NO2--N in the effluent was average 0.90 mg/L.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P were 93.24%, 86.30% and55.44% at the height of the oyster-shell-filled constructed wetland of 800 mm, 500 mm and 200 mm, respectively andtherefore, they were proportional to oyster-shell height filled in the HFCW.

      • KCI등재

        수정 수문지형학적 방법을 적용한 강천 대체습지의 기능평가

        김정욱,이보은,김재근,오승현,정재원,이명진,김형수 한국습지학회 2017 한국습지학회지 Vol.19 No.3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나라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진행하면서 하천준설 및 습지 내 유원지화로 기존의 습지가 축소되거나 훼손되었다. 이에 환경적 측면을 고려해 대체습지를 조성하였으나, 이에 대한 관리가 미흡한 상태이다. 습 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먼저 습지의 기능을 평가하고 각 기능에 맞는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사 업으로 조성된 강천습지를 대상으로 수정 HGM 방법을 이용하여 수문학적, 생지화학적, 동·식물서식처 기능을 평가하 였다. 기능평가를 위한 변수를 산정하기 위해 4대강 사업 전과 사업 후의 강천습지에 대한 현황과 습지에 대한 자료 및 제원을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 그리고 수리·수문모델링을 통해 획득하였다. 기능평가 결과 4대강 사업 이후 수문학 적 기능이 65.5%, 생지화학적 기능이 66.6%, 식물서식처 기능이 75%, 그리고 동물서식처 기능이 108.3%로 4대강 사 업 이후 강천습지는 이전에 비해 78.9%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문학적 기능의 감소는 4대강 사업 이후 지표하 저류의 감소, 그리고 생지화학적 기능 및 식물서식처 기능의 감소는 4대강 사업으로 인해 강천습지 주변 의 모래톱이 상당 면적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소한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습지 구역을 확장하고, 다양한 식 물을 식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정 HGM 방법은 기존의 습지로부터 대체습지에 대한 개선 정도를 고려할 수 있으므로 조성된 대체습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습지를 새롭게 조성할 경우 시간 에 따른 조성 습지의 기능 변화를 평가하기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Riverine wetlands were reduced and damaged by dredging of rivers and constructing parks in wetlands by Four Rivers Project from 2008 to 2013. Therefore, replacement wetlands were constructed for the compensation of wetland loss by the government. However, It is not enough to manage replacement wetlands. In order to manage the wetlands efficiently, it is necessaty to assess the functions of the wetlands and to manage them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Here we performed functional assessments for a replacement wetland called Gangcheon wetland using the modified HGM approach. Hydrological, biogeochemical, animal habitat, and plant habitat functions for the wetland were assessed. To assess the functions, we collected informations for modified HGM approach from the monitored hydrologic data, field survey, published reports and documents for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and hydraulic & hydrologic modeling. As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the hydrological function for the replacement wetland showed 65.5% of the reference wetland, biogeochemical function showed 66.6%, plant habitat function showed 75%, and animal habitat function showed 108.3%. Overall, Gangcheon wetland function after the project was reduced to 78.9% of the function before the project. The decrease in hydrological function is due to the decrease of subsurface storage of water. And the decrease in biogeochemical & pland habitat functions is due to the removal of sandbank around the Gangcheon wetland. To compensate for the reduced func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wetland area and to plant the various vegetation. The modified HGM used in this study can take into account the degree of improvement for replacement wetlands, so it can be used to efficiently manage the replacement wetlands. Also when the wetland is newly constructed, it will be very useful to assess the change of function of the wetland over time.

      • KCI등재후보

        정체된 시화 인공습지와 해수유통이 활발한 강화 갯벌에서의 혐기성 유기물 분해능 및 분해경로 비교

        김성한,목진숙,정정호,장윤영,최광순,현정호 한국습지학회 2007 한국습지학회지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정체된 환경인 시화 인공습지와 조석에 의한 흐름이 존재하는 강화도 갯벌에서 혐기성 유기물 분해능과 분해경로 중 황산염 환원과 철 환원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해 비교하고, 조절요인으로서 퇴적물 상층수 흐름의 중요성을 토의하였다. 퇴적토 상층수의 흐름이 존재하지 않는 시화 인공습지의 공극수에서 CO2, NH4+ , 및 H2S의 농도가 강화도 갯벌에 비해 각각 3 배, 20 배 및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적물의 산화-환원의 정도를 알 수 있는 Fe(III)와 총 환원된 황의 농도 비는 강화도 갯벌이 시화 인공습지에 비해 12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어 강화도 갯벌이 시화 인공습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산화된 상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혐기성 유기물 분해능은 강화도 갯벌 (0.039 mM C h-1 )이 시화 인공습지 (0.0001 mM C h-1 ) 보다 약 390배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유기물 분해경로에서 황산염 환원력은 시화인공습지 (314 ~ 580 nmol cm-3 d-1)가 담수습지임에도 불구하고 강화도 갯벌 (2 ~ 769 nmol cm-3 d-1 )과 같은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철 환원력은 강화도 갯벌 (0.1368 μmol cm-3 h-1 )이 시화 인공습지 (0.087 μmol cm-3 h-1 ) 보다 약 1.7배 높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시화 인공습지에서는 전자수용체가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강화도 갯벌의 조석과 같은 상층수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이 필수적인 사항으로 인식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compare the rates and pathways of organic matter minerlaization at stagnant freshwater wetland in Shiwha to highly irrigated coastal wetland in Ganghwa; and (2)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irrigation into the sediment in controlling the organic carbon oxidation in Shiwha wetland. Concentrations of CO2, NH4+ and H2S in the pore water of the Shiwha wetland were 3 times, 30 times, and 3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pore water of the Ganghwa wetland, respectively. The ratio of Fe(III) to total reduced sulfur at the Ganghwa wetland was 12 times higher than at the Shiwha wetl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anghwa wetland with frequent tidal inundation were relatively oxidized than highly stagnant Shiwha wetland. Rates of organic matter oxidation at the Ganghwa wetland (0.039 mM C h-1) was 390 times higher than that at the Shiwha wetland (0.0001 mM C h-1). Rates of sulfate reduction at the Shiwha wetland (314 ~ 580 nmol cm-3 d-1) were comparable to the sulfate reduction at Ganghwa wetland (2 ~ 769 nmol cm-3 d-1), whereas Fe(III) reduction rates were 1.7 times higher at the Ganghwa wetland (0.1368 8mol cm-3 h-1) than at the Shiwha wetland (0.0878mol cm-3 h-1).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water flow system of the Shiwha wetland was too stagnant to flush out the reduced pore water from the sediment, and thus anaerobic microbial respiration was limited by the availability of electron acceptors.

      • KCI등재

        HGM 적용을 통한 하도습지의 기능평가 제고 방안 연구

        염정헌,김태성 한국습지학회 2016 한국습지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유수역에 적용 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HGM(Hydrogeomorphic) 기능 평가 틀을 제안 하였고, 이와 더불어 유수역 에 적합한 기준습지를 습지보호지역 중 유수역에 해당되는 곳에 적용함으로써 기준습지의 활용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였다. 기능평가는 기존의 HGM 평가 틀을 기반으로 하였으나, 유수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수문학적, 생지화학적, 식물서식처, 동물서 식 처 기능에 따른 총 10개 항목의 기능지수(Functional Capacity Index, FCI)를 산정하였다. 유수역에 적합한 기능평가 틀의 각 항목별 지수를 하도 습지보호지역인 2개소의 습지에 적용해 본 결과 인공호안 하도습지인 담양하천습지는 제외지내 식생 분포 면적비율, 단위면적당 식물종수, 버드나무 분포 면적비율 등의 값이 높게 분석되었고, 이들 변수 값이 반영된 양분 순환 (947,668.00), 식물종풍부도 및 특징적인 식생 군집 유지(6.39), 서식처의 공간구조적 유지(11.00) 등의 기능지수 값이 상대적으 로 높게 분석되었다. 자연호안 하도습지인 한반도습지는 담양하천습지에 비해 하천 규모가 크고, 생물종다양성과 관련된 변수 값 이 높았으며, 이와 관련된 에너지 감쇄(17,805.16), 지표하 저류(0.54), 이입된 원소와 화합물 제거(103,052.73), 잔재생체량 유지(2.31), 산포 및 연결성 유지(6.50), 저서성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1.60), 척추동물의 종다양성 및 종수(2.52/ 151.50) 등에 서 기능지수 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framework of functional assessment on lotic area based on HGM(Hydrogeomorphic) approach targeting Wetland Protected Areas which are in the type of river channel, and to set up the fundamental data as a reference wetland. A total of 10 factors in terms of hydrology, biogeochemistry, plant habitat and animal habitat was analyzed based on the original approach of HGM and each Functional Capacity Index(FCI) of those factors was calculated. As the result of the modified FCI analysis, Damyang riverine wetland which is with artificial river bank had high values in the variables of area ratio of actual vegetation in the foreland, the number of plant per area and the area ratio of Salix spp., and those values were highly reflected on the factors of Nutrient Cycling(947,668.00), Species Richness and Maintain Characteristic Plant Communites(6.39) and Maintain Spatial Structure of Habitat(11.00). The Hanbando wetland which is keeping the natural bank had higher values in the variables of structural scale and species diversity, and the those values were highly reflected on the factors of Energy Dissipation(17,805.16), Subsurface Storage of Water(0.54), Removal of Imported Elements and Compounds(103,052.73), Maintain Characteristic Detrital Biomass(2.31), Maintenance of Interspersion and Connectivity (6.50), Species Divers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1.60) and Species Diversity of Vertebrate & Species Number of Other Animals(2.52/ 151.50), compared to the Damyang Riverine Wetland.

      • KCI등재

        습지토양 및 연안퇴적물의 유기물질 및 영양물질 보유 특성

        박소영,이용민,윤한삼,성기준 한국습지학회 2012 한국습지학회지 Vol.14 No.2

        최근에 기후변화와 수질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습지토양의 탄소와 영양물질 보유 특성에 대한 관심 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퇴적물과 인공습지, 자연습지(내륙, 하구, 갯벌)와 같이 연안퇴적물 및 습지 유형에 따른 습지토양에서의 유기물과 영양물질의 보유특성을 알아 보고자하였다. 또한 유기물, 영양물질, 입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들 항목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기물이나 영양물질의 보유정도가 습지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내륙습지가 하구나 연안습지보다 질소의 보유 능력이 큰 것으 로 나타났으며, 같은 육상생태계에서도 더 오랜 기간 동안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자체적으로 유기물을 생산하여 축적하고 있는 자연습지에서 유기물과 질소의 농도가 인공습지보다 더 높은 것을 조사되었다. 연안지역의 경우 해수의 흐름이 원활한 하구나 갯벌 보다 해수의 유통이 느린 만 지역에서 유기물과 질소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화학적산소요구량은 총유기탄소 및 총질소농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어 화학적산소요구량 자료를 이용 하여 해당 습지의 총유기탄소나 총질소 농도를 효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금정산 산지습지의 지질학적 특성

        차은지,함세영,김현지,이정환,정재열,옥순일 한국습지학회 2010 한국습지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도심 가까이에 위치하는 부산광역시 금정산 산지습지의 지질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야외조사와 실내분석에 의해서 금정산 산지습지의 지형, 지질, 구조지질학적 특성, 습지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암석의 강도, 습지의 토양단면,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금정산 습지의 기반암은 각섬석화강암 이며, 습지 주변의 각섬석화강암과 유문암질암의 절리의 주향은 대체로 남북방향, 동서방향, 북동-남서방향이며 60° 이상의 급한 절리 경사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습지에 가까울수록 암석의 강도가 낮아지고 풍화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X선 회절분석에 의하면, 습지 토양시료에는 카올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깁사이트가 나타나며, 이는 장석의 풍화산물임을 지시한다. 습지 토양의 단면은 지표에서부터 O, A, B, C층의 순서로 놓여 있으며, 유기물 함량은 토양의 심도가 깊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습지 토양의 무기물 성분 중 K+와 Na+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며, 이는 장석의 풍화에서 유래함을 지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