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의 변천사 연구

        송하인,김준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4

        초창기 사회과 교육연구사의 대부분은 수도권 중심의 내용 서술에 의해 자칫 지방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교사들의 실천기록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창기 지방 사회과교사들의 신교육에 대한 열망, 사회과교육의 실천에 대한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사회과교육사를 연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를 선정한 이유는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의 창립에 큰 도움을 준 단체이고 초창기 전남교원들의 사회과 열망이 타 지방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초창기 전남사회과연구학회의 연구회지, 연구보고서를 문헌탐구 하였고 생존해 있는 초창기 전남 사회과 전문가들과 시대별 주요 활동가들을 면담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정기간 초창기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의 성립과 변천에서 미국 교육사절단의 영향이 컸다는 것과 전남 지역의 사회과 전문가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진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가 지금까지 한국사회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Most education history in early stage social affairs division has a risk to lose the practice records of the social affairs division teachers which are executed in local regions by the contents description focusing on metropolitan area.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e helpful to study the history of social affairs division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rranging the enthusiasm about new education of the early stage local social affairs division teachers and their records about the fulfillment of theeducation in social affairs division. Reason why Chonnam Social Affairs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was selected as a researchsubject was that it is anassociation which gave big assistance in establishing Korea Social Affairs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and also that the enthusiasm of early stageChonnam teachers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other region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examination of research papers and reports in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an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surviving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experts and major activists of the era. This study shows that the influences of the U.S. delegation were big in the establishment and transition procedures of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at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social affairs division experts in Chonnam regions gave substantial influences to Korean social affairs division until now.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 분석

        홍미화,곽혜송,정태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1 사회과교육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textbook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research. The research literatur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 this study: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extbooks, composition system of textbooks,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and development and writing of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deals with students’ understanding and textbook writers’ recognition of textbooks. Second, there are no follow-up studies that reflect and evaluate the findings in textbook research. Thir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other textbooks such as the atlas and local textbook.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extbooks by various subjects related to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retrospective research which evaluates whether tasks proposed in each study are really reflected in improving social studies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한 연구물을 첫째, 교과서 인식 및 활용 연구, 둘째, 교과서 구성 체제 연구, 셋째,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 넷째, 교과서 개발 및 집필 연구 등 네 가지로 범주화하고, 각 유형에 따른 초등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과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에 비해 학생들의 교과서 인식이나 교과서 집필진의 인식 등을 다루는 연구는 부족하다. 둘째, 사회과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다수임에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를 교과서 개발과 연구에 반영하고 평가하는 후속 연구는 부재하다. 셋째, 사회과 수업에 활용되는 교과용 도서 중에서 사회 교과서에 관한 연구 비중은 매우 높은 반면, 이를 지원하는 사회과 부도나 지역화 교과서 등에 대한 연구의 비중은 낮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과 교과서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 주체의 교과서 인식과 활용 관련 연구, 각 연구에서 제안한 과제가 사회과 교과서 개선에 실제로 반영되었는가를 평가하는 후향적 방식의 교과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2007 개정 사회교과서 적용에 따른 초등 교사의 사회 수업 변화 -초등학교 4학년 사회교과서 활용을 중심으로-

        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2

        The current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e textbook and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by analyzing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ke use of the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in classes. The teachers believe that the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is not helpful to the way that makes learners arouse their interest while it reduces the burden of recognizing learning contents. In addition, thanks to the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the teachers?teaching methods or viewpoints of the learners have not changed largely whereas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changed into the class of stressing on subject content knowledge. The teachers need to have an ability of using the textbook to critically analyze and make use of it being sensitive to its composition and forms. And the developer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need to study of understanding how the learners make use of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in classes.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이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새로 개발된 사회교과서를 어떻게 인지하고 이를 어떻게 수업에 활용하는 가에 초점을 둔 연구이다.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2007 개정 사회교과서가 초등 사회과수업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에 있으며, 이차적으로는 교과서 활용 방식과 사회과 수업 구성의 유의미성을 밝히고 사회교과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사들은 개정된 사회교과서의 단원 및 주제개관이 학습 내용을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교사의 수업 내용 인지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킨 반면, 과다한 활동지 형식을 본문에 도입하여 학생의 학습 흥미와 교사의 교수학습활동을 방해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개정 사회교과서의 주제별 내용전개방식과 교사의 차시별 수업과정이 유사하여 학습차시 설정이나 차시별 동기유발의 의미 등 기본적인 수업전개의 혼란과 갈등을 가져오며, 교과서 서술방식 또한 학습자의 흥미나 수준, 사고력 측정 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학습자의 흥미와 사고 활동을 강조했던 기존의 사회 수업을 객관적 지식과 명료한 학습내용을 강조하는 수업, 학습내용과 활동을 정리·확인하는 수업, 차시 재구성을 필요로 하는 수업, 지적목표에 치중하는 수업으로 변화시켰다. 있다. 한편 교사들은 기존에 활용하던 교수 방법이나 전략, 사회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신념, 학습자의 흥미에 대한 배려 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개정 교과서의 내용구성방식을 수용하려는 의지와 별개로 이전 수업의 교수학습방법이나 학습자관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앞으로 교과서와 수업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교사들은 개정 사회교과서가 추구하는 사회과 수업을 인지하고 정확한 해석과 비판적 사고를 통하여 교과서를 새롭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사회과교육 연구자들은 개정 사회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비판적 검토를 수용하고 나아가 새로운 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시선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모형

        전희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1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in the social studies was proposed in this pap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of the social studies that can help students be able to become good citizen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achieve my purpose, firstly, direction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to cope with issues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was pointed out. Secondly, to develop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of the social studies, social life centered the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were discussed. Also the structure and definition of the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social studies were made on the ba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int of view. Thirdly, four kinds of scopes(Knowledges, skills, values, social actions) for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social studies were produced. Fourthly,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of the social studies was developed in the basis of the scopes. In conclusion,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focus on knowledges(social functions, social role, social conflicts, stereotypes, prejudice, discriminatio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etc), skills(inter-cultural comprehension·interaction, interpretation in the multiple point of view, conflict resolution, inquiry, decision making etc), and values (self·society identity, respecting human right, sense of coexistence, openness, acceptance, tolerance·caring, patriotism·globalism etc) to help students be good citizen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이 연구는 사회과 생활중심 교육, 한국 다문화 사회의 쟁점, 다문화교육 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사회과교육과정 모형 즉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교과교육 차원에서 한국 다문화 사회 문제의 대응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논의로서 한국 다문화 사회의 쟁점 대응을 위한 학교 사회과교육 교육과정의 방향, 사회과 생활 중심 교육, 다문화교육 접근을 통한 사회과 생활중심 다문화교육의 구조와 정의 등을 서술하였다. 둘째로, 사회과 생활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목표 영역별 준거를 모색하였다. 셋째로, 목표 영역별 준거를 기초로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끝으로.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의 연구 및 적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사회과교육에서는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하여 한국 다문화 사회 문제 대응을 위한 지식(사회기능과 사회적 역할, 사회갈등 문제, 고정관념·편견·차별 문제, 다문화 집단의 사회·문화적 특성 등), 기능(문화 간 이해·상호작용, 다양한 관점 해석, 갈등문제 해결, 탐구·의사결정 등의 사고 기능 등), 가치(자아·사회 정체성, 인권 존중, 공존의식, 개방·수용의식, 관용, 공감·배려, 애국심·세계주의 등) 등에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KCI등재후보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 실천에서 숲을 보는 눈

        이종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5 사회과교육연구 Vol.12 No.2

        It is quite natural that the implementation of a new National Curriculum be followed up by an evaluation period. And those evaluations have so far been usually based upon the analyses of new textbooks and of instructional practices thereof. It seems that there has not been any noticeable improvement in social studies educational practices for the last 60 years or so, in spite of researchers' repeated suggestion that social studies lessons stimulate development of problem-solving, reflective thinking, and inquiry capabilities, utilize timely up-to-date materials, and organize classroom experiences around activities. Textbooks in social studies have been revised every five years according to changing philosophies of different National Curricula, such as subject-centered, experience-centered, and discipline-centered philosophies, but there have been witnessed no substantial corresponding changes in classroom practice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seems to be an improvement over the previous Curricula,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lassroom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But its impact on practices would also be negligible, if related institutional issues are not appropriately taken care of. It will be pointed out in this paper, first, that the social studies research has so far focused predominantly on the analyses of the formal Curricula and textbooks, and thus neglected conditions of teachers'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ose curricula. Then it will be followed by a discussion on institutional elements affecting teachers' practical competency, including (a) reduced number of subjects in charge, (b) introduction of grade specialization, (c) promotion based on teaching competency, (d) introduction of instructional superintendency, (e) provision for action research, and (f) exposure to new instructional strategies or theories. 교수요목시기 이래 지금까지 사회과 연구자들은 사회과 교과서가 문제해결력사고력탐구력시사성을 반영한 자료활동 중심 교과진술 등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을 하여 왔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난 60여 년간 실행된 사회과 교실수업은 그다지 변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교과중심경험중심학문중심으로 교육과정이 바뀜에 따라 사회과에서 가르쳐야할 교과내용은 변화하였으나, 실제 교실수업에는 커다란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가운데 마련된 제7차 사회과 교과서는 교실수업의 실천과 관련된 부분에서 상당한 진전을 보인다.그러나 제7차 사회과 교과서가 가진 장점들도, 초등 교사를 둘러싸고 있는 교육제도가 지닌 여러 문제를 등한시 한다면 앞선 시기 교육과정이 겪어온 길을 또 다시 겪게 될 것이다. 필자는 지금까지 연구들이 변화된 교육과정과 교과서 자체에 대한 분석에 치중함으로써, 이를 실천할 현장 교사의 교수-학습 수행능력 곧 교사자질에 대한 분석 특히 초등 교사자질에 영향을 주는 교육제도 등의 외부 요인을 등한시 하여왔음을 밝혔다. 필자는 제7차 교육과정의 실행에 필요한 초등학교 사회과 교사자질과 초등교사가 사회과 교사자질을 형성을 어렵게 하는 외부요인을 6가지(초등 교사 담당교과목의 축소학년전담제의 실시교과전문성을 고려한 승진제도교과전문성을 갖춘 사람에 의한 수업장학 지도초등교사의 교실수업연구 시간확보새로운 수업방법에 대한 능동적 이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시된 6가지는 우리나라 초등교사가 사회과 교사자질 획득을 어렵게 하는 요인임과 동시에 그것을 해결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변화되어야 방향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일반)사회교육의 위기와 대처 방안

        이재권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3

        This paper starts from a premise that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currently facing a cris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oot causes as to why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facing a crisis and to propose countermeasure solutions. At start, the root causes as to why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facing were analyzed by separating them into five types. First, can be cited would be the reasons 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society. The disorderly ideological mood of the modern society is manifested as apathy toward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advancements in the media have enabled easy access to the knowledge and news about the society, and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disadvantaged in terms of utilizing videos, is not able to attract the interest of students. Second,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s a curriculum that integrates the studies of diverse backgrounds. In practice, however, it is not able to achieve substantial integration either theoretically or realistically. Third, today’s students who lack vocabulary skills are losing interest in the curriculum due to the difficult social science terminology. Fourth,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s facing a crisis due to the misstep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uch as the over issuance of certification for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teachers, the curriculum autonomy of the principal’s authority, the reduction of social study research subjects in the student aptitude test, the intensive completion system, the problems for the teacher qualification exams, etc. Fifth, the overly abstract curriculum general studies and the ambiguous course titles have contributed to the erosion of course identity. The fact that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centered too much around the Western theories is also acting as a reason for being neglected by the student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solutions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author of this study. The solutions are already included in the root cause analysis for the crisis. Additionally suggested in the proposed solution are, first,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not focus on the learning of knowledge only, but also needs to strengthen humanistic approach such as character education. Second, in devising the problems for the teacher qualification exams, a writing test based on social science classics should be employed. This way, a foundation for the creative education that is being societally required today can be established. 이 논문은 현재 한국의 (일반)사회교육이 위기에 처해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 한국의 (일반)사회교육이 위기를 맞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그 대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먼저 한국의 (일반)사회교육이 위기를 맞게 된 원인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는 현대사회의 일반적 성격과 관련된 이유를 꼽을 수 있다. 현대사회의 탈 이념적 분위기가 (일반)사회교육에 대한 무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매체의 발달로 사회에 대한 지식과 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동영상 활용이 불리한 (일반)사회교육이 학생들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있다. 둘째, (일반)사회교육은 다양한 배경의 학문들을 통합한 통합교과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실질적인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셋째, 어휘력이 부족한 오늘날 학생들은 어려운 사회과학 용어 때문에 교과에 대한 흥미를 잃고 있다. 넷째, 일반사회 교사자격증 남발, 학교장 권한의 교육과정 자율화, 수능에서 사탐과목의 축소, 집중이수제, 임용고사의 문제 등 교육행정의 잘못으로 (일반)사회교육이 위기를 맞고 있다. 다섯째, 지나치게 추상적인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목) 명칭의 애매함이 교과의 정체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한국 (일반)사회교육의 내용이 지나치게 서구의 이론 중심으로 짜여 있는 것도 학생들에게 외면당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의 해결 방안은 위기의 원인 분석에 들어 있으며, 이에 추가하여 논자 나름의 해결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회교육이 사회과학 지식의 학습에만 치중하지 말고 인성교육과 같은 인문학적 접근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임용고사 문제 출제에서 사회과학 고전에 바탕을 둔 논술 시험을 실시하자는 것이다. 그래야 오늘날 사회적으로 요청되는 창의적 교육의 바탕이 마련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

        박남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분석 결과,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은 다양성의 존중과 공존의 실현이라는 다문화교육의 관점보다는 민족이나 전통문화의 파악과 같은 문화적 특수성의 파악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둘째, 교과서는 단일 민족의 이념 및 특정 문화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고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바람직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으로는 첫째,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반영한 교육과정 구성의 질적 전환을 통해 문화적 특수성과 보편성의 관점을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는 점, 둘째, 민족 혹은 문화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내용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문화집단의 경험이나 문화유산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밖에도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해서는 형식보다는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다문화교육의 접근과 다문화적 학교문화의 형성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 direc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 for fostering multicultur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I analyz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 on the view point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laid emphasis on understanding of cultural specificity. Therefore it is a necessary to keep a balance between cultural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through qualitative conversion of curriculum. Second, the textbooks were fostered homogeneous nationalism and prejudice about cultural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eat experience or heritage of cultural groups on various viewpoint.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 출제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관종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7 사회과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 교육학 영역의 중등학교 사회과(일반사회)교사 임용시험 문제의 출제경향과 내용의 분석을 통해 사회과 교과 교육학 임용시험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우수한 사회과 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임용시험 문제의 질적 발전을 꾀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2003년에서 2007학년도까지 5개년도의 중등 사회과(일반사회) 임용시험 출제 문제 중 사회과 교과 교육학 영역 문제 모두를 출제 내용, 내용 영역과 요소, 목표, 난이도, 배점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교과 교육학’ 영역의 시험문제 출제 비중이 ‘교과 내용학’ 분야에 비해 너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제 문제를 사회과 교과 교육학의 목표 수준면에서 분석한 결과, ‘지식’ 과 ‘기능’측면에만 치중하여 출제되었다. 셋째, 배점 면에서는 영역별 배점 분포가 해마다 고르지 못하고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난이도와 배점간의 불일치 현상이 있었다. 이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임용시험의 문제는 출제 원칙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사회과교육 전문가 집단의 공개적이고 전문적인 논의를 통해 유능한 교사를 선발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교육과정 영역을 선별하고 이를 준거로 하여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의 출제 원칙이 합리적으로 수립되어야 한다.둘째, 사회과 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범위와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 문제 출제에 반영하여 임용시험 문제의 타당성을 높여야 한다.셋째,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은 일선 중등학교에서 ‘사회과 교육’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뽑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 문제는 사회과 교육과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일선 중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을 적극 반영하여야 한다. The analysis of the recruitment examin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and reformation: In the field of the subject matter of social studies in secondary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