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도무기 항법기술

        정태호,Jeong, Tae-Ho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91 國防과 技術 Vol.- No.152

        유도무기의 개발에서 관성유도에 필요한 관성합법장치 기술의 확보는 필수적이다. 관성항법장치의 핵심부품이 되는 자이로 기술 및 발전추세에 대해서는 국내 학술회의에서 최근에 발표된바 있으므로, 이글에서는 국내의 관성항법장치 연구개발에 관심이 있는 관계자가 관성항법장치 기술을 개괄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되도록 꾸며 보았다. 이에따라 관성항법장치 시스템에 대한 기본 원리, 하드웨어 설계제작 및 시험 평가 소요 기술, 그리고 관성항법장치의 유도탄 응용현황 및 발전 추세 등을 개략적으로 기술하였다. 이어 국내의 관성항법장치 보유 기술 및 추후 연구 개발이 필요한 기술에 대해 덧붙였음을 알린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의 부조리성 - 공직선거법 제9조 제1항의 위헌성에 대한 고찰 -

        정태호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경희법학 Vol.43 No.1

        Hiermit wird beschäftigt mit dem Nachweis der Irrationalität und Verfassungswidrigkeit der Wahlneutralität des Republikpräsidenten, der nach der Rechtsprechung des koreanischen Verfassungsgercihts verpflichtet zur Nichteinflussnahme auf das Wahlergebnis durch § 9 I des koreanischen Wahlgesetzes sein sollte. Jene Vorschrift lautet: “A public official or a person who is required to maintain political neutrality space (including an agency and organization) shall not exercise any unreasonable influence over the election or do anything that is likely to have an effect on the election result.” Die koreanische Verfassung hat das Präsidialsystem auf der pluralen und Parteiendemokratie aufgebaut. Deshalb ist die Pflicht des Republikpräsidenten, der zugleich ein Mitglieder der Regierungspartei und der Regierungschef ist, zu politischer Neutralität und Rückzug sowohl aus dem Wahlkampf als auch aus der Einflussnahme auf dem Wahlergebnis sachwidrig und verfassungswidrig, weil dies das verfassungsrechtliche System der Gewaltenteilung zwischen den Verfassungsorganen in der heutigen Parteiendemokratie zulasten des Präsidenten schüttelen würde. Deshalb könnte M.E. die Entscheidung des koreanische Verfassungsgerichts(2008.1.17. 2007Hunma700), dass der Republikpräsident durch den § 9 I des Wahlgesetzes verpflichtet sei, das Wahlergebnis nicht zu beeinflussen, dass diese Vorschrift trotzdem verfassungsmässig sei, nicht Zustimmung finden. Darüberhinaus ist M.E. diese Vorschrift verfassungswidirig, weil sie gegen den Bestimmtheitsgrundsatz von Rechtsnormen und das Übermassverbot verstösst. Hiermit wird beschäftigt mit dem Nachweis der Irrationalität und Verfassungswidrigkeit der Wahlneutralität des Republikpräsidenten, der nach der Rechtsprechung des koreanischen Verfassungsgercihts verpflichtet zur Nichteinflussnahme auf das Wahlergebnis durch § 9 I des koreanischen Wahlgesetzes sein sollte. Jene Vorschrift lautet: “A public official or a person who is required to maintain political neutrality space (including an agency and organization) shall not exercise any unreasonable influence over the election or do anything that is likely to have an effect on the election result.” Die koreanische Verfassung hat das Präsidialsystem auf der pluralen und Parteiendemokratie aufgebaut. Deshalb ist die Pflicht des Republikpräsidenten, der zugleich ein Mitglieder der Regierungspartei und der Regierungschef ist, zu politischer Neutralität und Rückzug sowohl aus dem Wahlkampf als auch aus der Einflussnahme auf dem Wahlergebnis sachwidrig und verfassungswidrig, weil dies das verfassungsrechtliche System der Gewaltenteilung zwischen den Verfassungsorganen in der heutigen Parteiendemokratie zulasten des Präsidenten schüttelen würde. Deshalb könnte M.E. die Entscheidung des koreanische Verfassungsgerichts(2008.1.17. 2007Hunma700), dass der Republikpräsident durch den § 9 I des Wahlgesetzes verpflichtet sei, das Wahlergebnis nicht zu beeinflussen, dass diese Vorschrift trotzdem verfassungsmässig sei, nicht Zustimmung finden. Darüberhinaus ist M.E. diese Vorschrift verfassungswidirig, weil sie gegen den Bestimmtheitsgrundsatz von Rechtsnormen und das Übermassverbot verstösst.

      • KCI등재

        대학명칭을 영업표지로 사용한 경우의 영업주체혼동행위 여부에 대한 고찰 ― 대법원 2014. 5. 16. 선고 2011다77269 판결 ―

        정태호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34 No.2

        The issue in this case is whether what the defendant used ‘Ewha media’ as abusiness indication an act of causing confusion as an indication of anotherperson’s business i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Law is or not. UnfairCompetition Prevention Law Article 2, (1) (Na) provide the basic context for anAct of Causing Confusion as an Indication of Another Person’s Business. According to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Law Article 2, (1) (Na), this Actmeans an act of causing confusion with another person’s commercial facilities oractivities by using signs identical or similar to another person’s name, trade name,emblem or any other sign widely known in the Republic of Korea as anindication of another person’s business(well-knownness, similarity, confusion). ‘Ewha’, the plaintiff’s business indication obtained well-knownness by beingwell-known widely as indication of business act regarding education of ‘Ewhauniversity’ to be managed by the plaintiff among general traders and consumers. ‘Ewha’, the plaintiff’s business indication is similar to ‘Ewha media’, thedefendant’s business indication. The plaintiff’s business indication is well-knownand the defendant have managed business closely related to the plaintiff’sbusiness by using a business indication similar to ‘Ewha’, the plaintiff’s businessindication. The plaintiff’s business scale is huge and the defendant’s use andregistration of domain name will be also unfair competition act. Based on thisconditions, Supreme Court decided that the defendant’s use of businessindication, ‘Ewha media’ had caused confusion with The plaintiff’s commercialfacilities or activities among general traders and consumers. Therefore, I thinkthat the defendant’s use of business indication, ‘Ewha media’ was an act ofcausing confusion as an indication of another person’s business in UnfairCompetition Prevention Law and the above Supreme Court’s decision was proper. I think it is significant that the decision of this case suggests concrete guidelinesof determination on preventing the use of university name from being unfair competition act. 이 사건의 쟁점은 피고가 영업표지로 ‘이화미디어’를 사용하는 행위가 부정경쟁방지법상 영업주체혼동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이다.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나목의‘영업주체 혼동행위’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 널리 인식된 타인의 상호 기타 영업표지(표지의 주지성)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표지의 유사성), 타인의 영업상의 시설 또는 활동과 혼동을 일으킬 것(혼동성)을 요한다. 원고의 영업표지인 ‘이화’ 등은 일반 거래자나 수요자에게 원고가 운영하는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육 관련 영업 활동을 표시하는 것으로 현저하게 인식되어 주지성을 취득하였다. 원고의 영업표지인 ‘이화’와 피고의 영업표지인 ‘이화미디어’는 유사하다. 원고의 영업표지가 주지성이있고, 피고가 위 영업표지와 유사한 영업표지를 사용하여 원고의 영업과 중복되거나밀접한 관련을 갖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원고의 영업규모가 상당한 정도에 이르고, 도메인이름 등록・사용행위도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할 여지가 큰 점 등에비추어 볼 때에, 피고의 영업표지 사용으로 인하여 일반 거래자 또는 수요자로서는 피고의 사업체가 원고와 자본, 조직 등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오인・혼동할 우려가 충분히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피고가 자신의 영업표지로 ‘이화미디어’를 사용하는 행위는 영업주체 혼동행위에 해당하며, 이와 같은 대법원의 판단은 타당하다고할 수 있다. 이 사건 판결은 대학명칭에 대한 부정경쟁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구체적인판단기준을 제시하여 주고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뮤지컬의 제목에 대한 영업주체 혼동행위의 적용에 관한 고찰 - 대법원 2015. 1. 29. 선고 2012다13507 판결을 중심으로 -

        정태호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아주법학 Vol.9 No.3

        최근에 특정 뮤지컬의 제목에 대한 타인의 무단 사용에 관하여 대법원에서 대법원 2015. 1. 29. 선고 2012다13507 판결(이하, “대상판결”이라 함)을 통해 뮤지컬 제목에 관한 부정경쟁방지법상 영업주체 혼동행위를 인정함과 아울러 이에 관한 판단법리를 구체적으로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에서는 뮤지컬의 제목이 일반적으로 뮤지컬의 창작물로서의 명칭 또는 내용을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것에 그치고 그 자체가 바로 상품이나 영업의 출처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으나, 뮤지컬 공연이 회를 거듭하여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동일한 제목이 이용된 후속 시리즈 뮤지컬이 제작・공연되어 뮤지컬의 제목이 거래자 또는 수요자에게 해당 뮤지컬의 공연이 갖는 차별적 특징을 표상함으로써 구체적으로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고 하더라도 특정인의 뮤지컬 제작・공연 등의 영업임을 연상시킬 정도로 현저하게 개별화되기에 이르렀다고 보인다면, 그 뮤지컬의 제목은 단순히 창작물의 내용을 표시하는 명칭에 머무르지 않고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나목에서 정하는 ‘타인의 영업임을 표시한 표지’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기존의 대법원 판결들이 서적의 제호, 음반 제목, 상품의 형태나 모양 등에 대하여 상품표지성 내지 영업표지성 여부의 판단 시에 판시하였던 주요 판단법리를 고려하고, 특히 유사한 선(先)사례에서의 무언극의 제목의 영업표지성 판단에 관한 판시사항을 뮤지컬의 성격에 맞게 반영함으로써 대상판결에서 문제되는 뮤지컬 제목의 영업표지성 판단기준을 새롭게 설시한 사건으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향후 뮤지컬의 제목에 관한 영업주체 혼동행위의 사건의 발생 시에는 제목의 영업표지성의 판단과 관련하여 대상판결에서의 판단법리가 사건의 해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계속적이고 반복적인 공연을 통해 특정 뮤지컬의 제목이 특정인의 영업임을 연상시킬 정도로 현저하게 개별화되기에 이르지 않는다면, 해당 뮤지컬의 제목은 부정경쟁방지법상 영업표지성을 인정받기가 어려울 것임에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Supreme Court decided that the unauthorized use of certain musical title by the defendant fell under an act of causing confusion as an indication of another person’s business on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nd states legal principles of determination on that concretely through Supreme Court Decision 2012Da13507 Decided January 29, 2015(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ubject decision”). The subject decision states that it can be difficult to see that a musical title has function for indicating source of goods or business since it is generally nothing more than the name of musical works or only show contents of the musical works by implication, but if the musical performances have been repeatedly continued to be done several times or a musical title show traders or consumers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the musical performances and thus whose musical performance and production it indicates in connection with a person’s business is remarkably recognized among consumers since a subsequent series of the musical have been produced and performed over the same title, the musical title is not only recognized as the name indicating contents of musical works but fall under ‘an indication of another person’s business’ on Article 2, (1) (Na)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he subject decision has a further significance since it considered main principles of law determining on indication of business or goods about titles of books, titles of phonograms and shapes or forms of goods in the existing Supreme Court decisions, and especially states new guideline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usical title indication of business fall under by applying the decision contents regarding the title of a pantomime in a precedent similar to the subject decision. If there are cases determining on an act of causing confusion as an indication of another person’s business regarding musical title in the future, legal principles of the subject decision will be abl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finding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cases. By the way, if the musical performances have not been repeatedly continued to be done several times or a musical title can’t show traders or consumers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the musical performances as indication of business,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musical title can’t fall under indication of business in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 KCI등재

        디자인보호법상 유사판단의 일본에서의 이원론적 해석론에 관한 고찰

        정태호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22 연세법학 Vol.40 No.-

        The legal principle of determining similarity in Korean courts applies dualism. This accepts the theory of dualistic interpretation of determining similarity of designs in Japan, and the relevant legal principles are applied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stage of establishing rights and the stage of exercising rights in determining similarity of designs including publicly known part. Accordingly, despite using the same term for “similarity” of designs, the Korean courts show legal principles that make the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levant legal principles seem different every time the relevant regulations are appli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heory of dualistic interpretation of determining similarity of designs in Japan, which influenced the dualism of determining similarity of designs in Korean courts. And it is time to review the application of this dualism in Korea by analyzing in detail the history of determining similarity of designs in Japan and the recently used interpretation theory. In Japan, since Article 24 (2) of the Design Act was introduced in 2006, the Intellectual Property High Court has ruled a unified legal principle on methods of determining similarity of designs, which is similar to the legal principle of the Patent Court of Korea. Namely, rather than applying complex theory of dualistic interpretation, it shows a simplified appearance of determining similarity based on the principal part(dominant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s by comparing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designs’ sense of beauty. In addition, considering the interpretation theory in Japan on consideration of a publicly known design in determining similarity of designs, it is necessary to be cautious about determining similarity on the premise that the publicly known part of the registered design is unconditionally excluded when grasping the principal part of the design. In conclusion, this paper studies critically on problems of dualism of determining similarity under the Design Protection Act in the Supreme Court’s decision by comparing the theory of dualistic interpretation in Japan, and proposes solutions concretely on those problems. 우리나라 법원에서의 유사판단의 법리는 이원론을 적용하고 있다. 이것은 일본에서의 의장의 유사판단에 관한 이원론적 해석론을 받아들인 것이며, 공지부분을 포함한 디자인의 유사판단에서 권리화 단계와 권리행사 단계를 구별하여 관련 법리를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법원에서는 디자인의 ‘유사’에 대하여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관련 규정을 적용할 때마다 구체적인 적용태양과 관련 법리에 대한 해석이 다른 것처럼 보이게 하는 판단법리를 설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법원의 유사판단에 관한 이원론에 영향을 미친 일본에서의 의장의 유사판단에 관한 이원론적 해석론을 살펴볼 필요가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일본에서의 의장의 유사판단에 관한 연혁 및 최근에 통용되는 해석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의 이러한 이원론의 적용에 대한 재검토를 할 때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2006년에 의장법 제24조 제2항이 도입된 이래로 지적재산고등재판소에서 유사판단방법에 관한 통일적인 판단법리를 판시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특허법원 판결의 판단법리와 비슷한 법리를 판시하고 있다. 즉, 복잡한 이원론적 해석론의 적용보다는 의장의 미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형량하여 의장의 요부(지배적 특징)를 기준으로 유사판단을 하는 단순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의장의 유사판단에서의 공지의장의 참작에 대한 일본에서의 해석론을 고려하여, 의장의 요부의 파악을 할 때에 등록의장의 공지부분을 무조건 제외시키는 것을 전제로 판단하는 것에 대해서도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국 이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대법원 판례에서의 디자인보호법상 유사판단의 이원론에 관한 문제점들을 일본에서의 이원론적 해석론과 비교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