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료받지 않은 특발망막전막 환자에서 미세시야계로 측정한 망막 민감도 변화

        노훈,남승완,공민귀 한국망막학회 2022 Journal of Retina Vol.7 No.2

        Purpose: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changes of retinal sensitivity using microperimetry in patients with treatment-naïve idiopathic epiretinal membrane (ERM). Method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patients diagnosed with idiopathic ERM from June 2020 to June 2021. All patients underwent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microperimetry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at 6 and 12 months after diagnosis. Retinal sensitivity was measured using Compass fundus microperimetry. The mean retinal sensitivity (MRS), defined as the arithmetic average of the retinal sensitivities of the nearest 4 points from the fovea, was calculated in each test and compared. Result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31 eyes of 31 patients, and the mean age was 63.6 ± 6.6 years at the time of diagnosis. The BCVA was maintained for 12 months after diagnosis (p = 0.283),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CMT) was increased for 12 months after diagnosis (p <0.001). However, the superonasal, inferonasal, superotemporal, and inferotemporal retinal sensitivity and MRS were maintained for 12 months after diagnosis (p > 0.05). A linear mixed model analysis showed that change in MR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MT,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stimate, -0.002; p = 0.500). Ag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ange in MRS (estimate, -0.083; p = 0.009).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retinal sensitivity of patients with treatment-naïve idiopathic ERM at 12 months after diagnosis. 목적: 치료받지 않은 특발망막전막 환자에서 망막 민감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20년 6월부터 2021년 6월까지 특발망막전막으로 진단받고 1년 이상 경과 관찰한 환자 31명 31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모든 환자들은 진단 시, 추후 내원 시마다 최대교정시력, 전안부검사 및 안저검사, 빛간섭단층촬영, 미세시야계검사를 시행하였다. 중심와에서 가장 가까운 상비측, 하비측, 상이측, 하이측 4개 지점의 망막 민감도 및 이들의 산술적 평균으로 정의한 평균 망막 민감도를 분석하였고 이를 진단 시와 진단 후 6, 12개월 추적 관찰 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31안(31명) 중 남자가 13명(41.9%), 여자가 18명(58.1%)이었으며 진단 시 환자의 연령은 55세에서 81세 사이로 평균 63.6 ± 6.6세였다. 최대교정시력은 진단 이후 12개월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283). 진단 이후 12개월까지 중심황반두께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나(p < 0.001) 중 심와 상비측, 하비측, 상이측, 하이측 망막 민감도, 평균 망막 민감도는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p > 0.05). 또한 선형 혼합모형을 이용한 종단적 분석 결과, 중심황반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망막 민감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p = 0.500),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망막 민감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 = 0.009). 결론: 치료받지 않은 특발망막전막 환자의 망막 민감도는 12개월 경과 관찰하였을 때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 KCI등재

        열공망막박리에서 망막 전임의가 시행한 공막돌륭술의 임상결과

        강민채,김병재,최순일,함돈일,신동훈 한국망막학회 2021 Journal of Retina Vol.6 No.1

        Purpose: To evaluate the surgical outcome of scleral buckling performed by vitreoretinal fellows compared with that performed by retina specialists. Methods: Clin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scleral buckling due to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performed by vitreoretinal fellows with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ame number of surgeries performed by retina specialis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ere also reviewed for comparison. Anatomical success was defined by the 1-year reattachment rate without reoperation. Results: Forty-one eyes of 41 patients treated by fellows and same number of eyes treated by retina specialis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Mean patient age was 42.9 ± 18.4 and 31.7 ± 14.5 years, respectively (p = 0.003). Preoperative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 phakic status, and macular detachment r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ferior retinal breaks were present in 29.3% (12/41) of patients in the fellow group and 56.1% (23/41) of those in the retinal specialist group (p = 0.014). The anatomical success rate in the fellow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retinal specialist group: 80.5% (33/41) versus 95.1% (39/41), respectively (p = 0.043). Conclusions: Vitreoretinal fellows performed scleral buckling in older patients and in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with fewer inferior retinal breaks with an 80.5% anatomical success rate; however, thi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uccess rate of retina specialists. 목적: 열공망막박리에서 전임의가 시행한 공막돌륭술의 수술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망막교수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2년 이내의 경험을 가진 전임의가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공막돌륭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의 특성 및 해부학적 성공률을 확인하였다. 2018년 1월부터 1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망막 교수가 시행한 같은 수의 공막돌륭술 환자를 순차적으로 확인하여 전임의의 수술 결과와 비교하였다. 해부학적 성공은 1회의 수술로1년째 망막이 재유착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전임의가 시행한 수술 41명의 41안과 교수가 시행한 수술 41명의 41안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평균 연령은 전임의 수술 환자에서 42.9 ± 18.4세, 교수 수술 환자에서 31.7 ± 14.5세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03). 수술 전 시력 및 굴절이상, 수정체 상태, 황반박리 여부 등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하측의 망막열공이 동반된 비율은 전임의 수술은 29.3% (12/41), 교수 수술은56.1% (23/41)로 차이를 보였다(p = 0.014). 해부학적 성공률은 전임의 수술은 80.5% (33/41), 교수 수술은 95.1% (39/4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43). 결론: 전임의들은 교수에 비하여 고령의 환자와 하측 망막열공이 동반되지 않은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도 공막돌륭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80.5%의 성공률을 보였으나, 교수의 수술 성공률에 비해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심한 유리체출혈에서 수술 중 빛간섭단층촬영의 유용성

        Young Seong Yang,Joon Hong Sohn,Ji In Park,Duck Jin Hwang 한국망막학회 2017 Journal of Retina Vol.2 No.2

        Purpose: To evaluate the utility of intraopera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OCT) during pars plana vitrectomy surgery (PPV) for dense vitreous hemorrhage (VH). Methods: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30 eyes from 30 patients in which iOCT was evaluated during PPV for dense VH that precluded preoperative OCT assessment. iOCT images were qualitatively evaluated for retinal abnormalities that might impact intraoperative or perioperative management. Results: There were 18 males (60%) and 12 females (40%). The mean age of patients in the study was 56.0 ± 14.5 years (range: 34-86 years). The etiology for VH was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18 eyes, 60.0%), retinal vein occlusion with neovascularization (5 eyes, 16.7%),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2 eyes, 6.7%), retinal tear (2 eyes, 6.7%),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1 eye, 3.3%), retinal arterial macroaneurysm (1 eye, 3.3%) and Eale’s disease (1 eye, 3.3%). iOCT revealed epiretinal membrane (7 eyes, 23.3%), tractional retinal detachment (6 eyes, 20.0%),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2 eyes, 6.7%) and macular edema (1 eye, 3.3%). The median number of scan sessions per case was 2.87 ± 1.61 (range: 1-8 sessions) with 4.70 ± 2.20 (range: 3-11 sessions) median total scans. The mean time at which surgery was paused to perform iOCT imaging was 3.18 ± 1.53 minutes (range: 1.70-7.17 minutes). Conclusions: iOCT during PPV for dense VH may provide surgeons with clinically relevant information that may influence perioperative management. 목적: 심한 유리체출혈 환자의 유리체절제술 중 빛간섭단층촬영의 유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수술 전 빛간섭단층촬영이 어려운 유리체출혈로 유리체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 중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한 30명30안을 대상으로 수술 중 유리체출혈 외 어떤 유리체망막 소견이 동반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그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남자 18명(60%), 여자 12명(40%)이었고 평균 나이는 56.0 ± 14.5세(34-86세)였다. 유리체출혈을 일으킨 원인으로 증식성당뇨망막병증(18안, 60.0%), 신생혈관이 동반된 망막정맥폐쇄(5안, 16.7%), 나이관련황반변성(2안, 6.7%), 망막열공(2안, 6.7%), 후유리체박리(1안, 3.3%), 망막동맥대혈관류(1안, 3.3%), 일스병(1안, 3.3%)으로 확인되었다. 유리체절제술 중 빛간섭단층촬영으로 망막앞막(7안, 23.3%), 견인성망막박리(6안, 20.0%), 열공성망막박리(2안, 6.7%), 황반부종(1안, 3.3%)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술 중빛간섭단층촬영 장비를 이용한 평균 session 횟수는 2.87 ± 1.61회(1-8회)였으며, 수술 중 빛간섭단층촬영 장비를 이용한 평균 scan 횟수는 4.70 ± 2.20회(3-11회)였다. 수술 중 빛간섭단층촬영을 하기 위해 중단된 평균 시간은 3.18 ± 1.53분(1.70-7.17분)이었다. 결론: 심한 유리체출혈로 유리체절제술을 할 경우 수술 중 빛간섭단층촬영이 수술 중 정보획득에 도움을 주고, 수술 중 치료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진행하는 망막두께 감소를 보인 알포트증후군 1예

        이유리,정규호,이지혜,최 진 한국망막학회 2022 Journal of Retina Vol.7 No.2

        Purpose: To report a case of progressive decrease in retinal thickness in a pediatric patient diagnosed with Alport syndrome. Case summary: An 11-year-old boy diagnosed with Alport syndrome underwent ophthalmic examination. At the time of the first visit, his corrected visual acuity was 20/20 in the right eye and 20/20 in the left eye. No abnormalities in the lens were observed in slit-lamp biomicroscopy. On fundus examination, there was parafoveal dot-and-fleck retinopathy in both eye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howed no thickness reduction in retinal nerve fiber layers, but a thinner retina was found on the temporal side on macula comparison with the nasal side. He was followed regularly for 8 years. Corrected visual acuity of 20/20 was maintained in both eyes and no abnormality in the lens was observed on slit-lamp biomicroscopy, bu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howed a progressive decrease in retinal thickness.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of progressive decrease in retinal thickness in an Alport syndrome patient without lens abnormalities. Alport syndrome patients should undergo regular fundus examination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even when lens abnormalities are absent. 목적: 알포트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소아 환자에서 전안부이상 없이 진행하는 망막두께 감소를 보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11세 남자 환자가 신장내과 진료 후 알포트증후군 진단 하에 안과적 검진을 위해 의뢰되었다. 내원 당시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1.0, 좌안 1.0이었다.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특이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안저검사에서 양안 중심와 주위 백색 반점 소견이 있었고 빛간섭단층촬영검사에서 망막신경섬유층의 감소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나 이측 황반부 망막 얇아짐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후 8년간의 경과 관찰에서 최대교정시력은 양안 1.0으로 유지되었으며 전안부이상도 관찰되지 않았으나 빛간섭단층촬영검사에서 망막의 두께는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본 증례는 수정체이상 없이 망막이상만 보인 증례로 이전까지 보고된 백색 망막 반점 및 황반 이측 망막의 얇아짐 소견 이외에 진행성 이측 망막 위축이 확인된 증례였다. 본 증례로 보아 알포트증후군 환자에서 전안부 소견에 이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안저검사 및빛간섭단층촬영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확장증 2형과 황반망막분지정맥폐쇄의 빛간섭단층촬영 혈관조영술 양상

        안자영,손준홍,공민귀 한국망막학회 2020 Journal of Retina Vol.5 No.1

        Purpose: To evaluate the vascular features of patients with idiopathic macular telangiectasia type 2 (MacTel 2) and macular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 throug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Methods: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initially diagnosed with MacTel 2 (8 eyes of 8 patients) and macular BRVO (8 eyes of 8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veal avascular zone (FAZ) area and vascular density of OCTA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region into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SCP) and deep capillary plexus (DCP). Results: Comparison between the patients with MacTel 2 and macular BRVO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CP FAZ area (0.44 ± 0.11 mm2 and 0.37 ± 0.11 mm2, respectively) and DCP FAZ area (0.55 ± 0.22 mm2 and 0.66 ± 0.45 mm2,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scular density of the SCP between the two groups. The nasal and inferior sector vascular density of DCP in patients with macular BRVO (26.05 ± 12.18 and 23.64 ± 10.34, respectivel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patients with MacTel 2 (44.49 ± 8.97 and 36.43 ± 6.67, respectively) (p = 0.009, p = 0.027, respectively). The SCP and the DCP vascular density in patients with macular BRVO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p = 0.013, p = 0.043, respectively). Conclusions: Vascular density of the nasal and inferior sector of the DCP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macular BRVO, and the BCVA in patients with macular BRVO deteriorated when the vascular density decreased. 목적: 빛간섭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을 통해 특발성 중심와부근모세혈관확장증 2형과 황반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망막혈관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특발성 중심와부근모세혈관확장증 2형(8명 8안)과 황반망막분지정맥폐쇄(8명 8안)로 처음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빛간섭단층촬영 혈관조영술 검사상 중심와무혈관부위 면적과 혈관밀도를 표층모세혈관총과 심부모세혈관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특발성 중심와부근모세혈관확장증 2형과 황반망막분지정맥폐쇄 사이에 중심와무혈관부위 면적은 표층모세혈관총(각각 0.44 ± 0.11 mm2, 0.37 ± 0.11 mm2)과 심부모세혈관총(각각 0.55 ± 0.22 mm2, 0.66 ± 0.45 mm2)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표층모세혈관총의 혈관밀도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황반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 심부모세혈관총의 비측 및 하측 영역 혈관밀도가(각각 26.05 ± 12.18, 23.64 ± 10.34), 특발성 중심와부근모세혈관확장증 2형 환자보다(각각 44.49 ± 8.97, 36.43 ± 6.67)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각각 p = 0.009, p = 0.027). 황반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에서 표층모세혈관총의 혈관밀도와 심부모세혈관총의 혈관밀도는 logMAR 최대교정시력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각각 p = 0.013, p = 0.043). 결론: 심부모세혈관총의 비측 및 하측 영역 혈관밀도가 황반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에서 유의하게 낮으며 황반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는 혈관밀도가 감소될 때 시력이 악화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반대안에서 황반부의 망막 및 맥락막두께와 미세혈관 변화 분석

        박동근,류가형,최영아,사공민 한국망막학회 2019 Journal of Retina Vol.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in retinal and choroidal thickness and microvasculature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and OCT angiography in the fellow eye of unilateral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 patients. Methods: Twenty-two fellow eyes with unilateral BRVO and 23 normal eye control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OCT was used to measure the thickness of the total retina, inner retina, the total choroid, the Haller’s layer, and the choriocapillaris/Sattler’s layer. OCT angiography was used to measure the vascular density (VD) of the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SCP), deep capillary plexus (DCP), and choriocapillaris layers. In addition, we measured the foveal avascular zone (FAZ) area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thicknesses of the subfoveal choroid and Haller’s layer measured by OCT tended to be thicker in the fellow eye of unilateral BRVO pati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eye groups (p = 0.075, p = 0.531).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choriocapillaris/Sattler’s layer was significantly thicker in the fellow eye of unilateral BRVO patients (p = 0.011). VD of SCP measured by OCT angiograph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 = 0.969), but VD of the DCP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ellow eye of unilateral BRVO patients (p = 0.039).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Z area and VD of choriocapillaris (p = 0.969, p = 0.227). Conclusions: The thickness of the choriocapillaris/Sattler’s layer was increased and the DCP VD was decreased in the fellow eye of BRVO patients when compared to normal controls. 목적: 단안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반대안에서 빛간섭단층촬영과 빛간섭단층촬영혈관조영을 이용하여 망막 및 맥락막두께와 망막과 맥락막의 미세혈관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단안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 22안의 반대안과 정상 대조군 23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전체 망막과 내층망막의 두께를 측정하고, 맥락막의 두께와 함께 할러층과 맥락막모세혈관/자틀러층을 나누어 측정하였다. 빛간섭단층촬영혈관조영을 이용해 표층모세혈관총, 심부모세혈관총, 그리고 맥락막모세혈관층의 혈관 밀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망막중심오목무혈관부위 면적을 측정하여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해 측정한 황반하 맥락막두께와 할러층의 두께는 단안 망막분지정맥폐쇄 반대안에서 두꺼운 경향을 보였으나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75, p = 0.531). 반면, 맥락막모세혈관/자틀러층의 두께는 단안 망막분지정맥폐쇄 반대안에서 유의하게 두꺼웠다(p = 0.011). 빛간섭단층촬영혈관조영을 통해 측정한 표층모세혈관총의 혈관 밀도는 두 군 간의 큰 차이가없었으나(p = 0.969), 심부모세혈관총의 혈관 밀도는 단안 망막분지정맥폐쇄 반대안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 = 0.039). 망막중심오목무혈관부위의 면적과 맥락막모세혈관의 혈관 밀도는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p = 0.969, p = 0.227). 결론: 단안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반대안에서 정상안에 비해 맥락막모세혈관/자틀러층의 두께 증가와 심부모세혈관총 혈관 밀도 감소를 보였다.

      • C단계 이상의 증식유리체망막병증이 합병된 열공망막박리의 고찰

        Min Won Ahn,Han Jo Kwon,Ji Eun Lee,Sung Who Park 한국망막학회 2017 Journal of Retina Vol.2 No.1

        Purpose: To classify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RRD) combined with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PVR) grade C or higher according to clinical difficulties and age and to investigate the outcomes and operation methods. Methods: Eyes with RRD with PVR grade C or higher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mong 752 eyes of RRD over a period of 5 years. The cases with total retinal detachment combined with ocular hypotony, giant retinal tear, uveitis treated within 3 months, or atopic dermatitis were classified as the high risk group, and the others were the low risk group. Additionally, the low risk group was classified as the low risk group-older and low risk group-younger according to age 40. Operation methods and anatomical outcom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group. Results: Eighty-two eyes with RRD with PVR grade C or higher were enrolled, representing 10.9% of the total RRD eyes. Of these, 36 eyes were assigned to the high risk group, and 46 eyes were in the low risk group. In the low risk group, 14 eyes were classified in the low risk group-older, and 32 eyes were in low risk group-younger. The eyes in the high risk group were mainly treated with encircling combined with vitrectomy (89.0%), but the primary anatomical success rate was low (61.1%). Comparatively, scleral buckling was the main procedure performed in the low risk group-younger (94%), and a higher primary anatomical success rate was achieved (96.7%). The primary success rate of the low risk-older group was 71.4%. Conclusions: The risk factors seem to be important when deciding the operation method and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RRD with PVR grade C or higher. Scleral buckling could be considered as the first option for treating RRD with PVR grade C or higher in the absence of risk factors in patients aged less than 40. 목적: C단계 이상의 증식유리체망막병증이 합병된 열공망막박리를 임상적 난이도와 나이에 따라 분류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5년간 열공망막박리로 수술받은 752안 중 C단계 이상의 증식유리체망막병증이 합병된 경우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전(total)망막박리와 저안압증이 동반된 경우, 거대 망막 열공이 동반된 경우, 3개월 이내 포도막염 치료력이 있거나, 아토피 피부염과 연관된 경우 고위험군으로, 나머지를 저위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저위험군은 40세 이상을 저위험군-고령으로, 40세 미만을 저위험군-비고령으로 추가 분류하였다. 결과: 82안이 확인되어 C단계 이상의 증식유리체망막병증이 합병된 경우가 전체 열공망막박리의 10.9%였다. 고위험군은 36안(43.9%), 저위험군이 46안(56.1%)이었고, 저위험군 중 고령은 14안(17.1%), 비고령은 32안(39.0%)이었다. 고위험군은 저위험군에비해 공막돌륭(두르기)과 유리체절제 병합 수술 비중이 높았지만(32안, 89.0%), 일차 해부학적 성공률은 낮았다(61.1%). 저위험군-비고령에서는 공막돌륭술의 선택 비율이 높았고(30안, 94%), 높은 일차 해부학적 성공률을 보였다(96.7%). 결론: C단계 이상의 증식유리체망막병증이 동반된 열공망막박리의 치료 방법 선택과 예후 판단에 있어 고위험인자 및 나이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고위험인자가 없는 젊은 환자에서 관찰되는 C단계 이상의 증식유리체망막병증이 동반된 열공망막박리는 공막돌륭술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특발망막앞막수술에서 가스 충전 유무에 따른 수술 결과

        유승훈,이성진 한국망막학회 2020 Journal of Retina Vol.5 No.2

        Purpose: To investigate the surgical outcomes in idiopathic epiretinal membrane (ERM) after pars plana vitrectomy with or without sulfur hexafluoride (SF6) gas tamponade.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patients with idiopathic ERM, that underwent pars plana vitrectomy with ERM and internal limiting membrane peeling,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Ⅰ (without gas tamponade), Group Ⅱ (with gas tamponade).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central macular thickness (CMT), inner retinal thickness (IRT), intraretinal cystic changes (IRC) and foveal surface symmetry difference (FSSD) were evaluated before surgery and 1, 3, 6, 9, and 12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Out of 75 eyes of 75 patients, Group Ⅰ included 40 eyes and group Ⅱ included 35 eyes. Preoperative BCVA, CMT, IRT, IRC and FSS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ostoperative BCVA in the group Ⅰ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period except 1 month, and postoperative BCVA in the group Ⅱ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1 month and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6 months. Postoperative BCVA in the Group Ⅱ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Group Ⅰ at 1 month,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ince then. Postoperative CMT and IR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roup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postoperative IRC at 1 month and there was no new IRC after 3 months. Postoperative FSS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Gas tamponade combined with vitrectomy for idiopathic ERM showed no differences of surgical outcomes. If there are no other problems, gas tamponade in idiopathic ERM would not be necessary. 목적: 특발망막앞막수술 시 SF6 가스 충전의 수술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특발망막앞막으로 유리체절제술, 망막앞막제거술 및 내경계막제거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관찰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가스 충전을 하지 않은 Ⅰ군, 가스 충전을 한 Ⅱ군으로 나눠 수술 전, 후 1, 3, 6, 9, 12개월의 최대교정시력, 중심망막두께, 망막내층두께, 망막 내 낭포성 변화 및 황반부 대칭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75명 75안 중 Ⅰ군은 40안, Ⅱ군은 35안이었다. 술 전 최대교정시력, 중심망막두께, 망막내층두께, 망막 내 낭포성 변화 및 황반부 대칭성의 차이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술 후 최대교정시력은 Ⅰ군은 1개월만 제외하고 유의한 시력호전을 보였고 Ⅱ군은 1개월째 유의한 시력저하를 보였지만 6개월부터는 유의한 시력호전을 보였다. 두 군 간 비교에서 1개월째 Ⅱ군이 Ⅰ군에 비해 시력이 유의하게 낮았지만 이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중심망막두께, 망막내층두께는 Ⅰ, Ⅱ군 모두 각 시기별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망막 내 낭포성 변화는 1개월째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이후 새롭게 발생한 낭포성 변화는 없었다. 수술 후 황반부 대칭성의 차이는 Ⅰ, Ⅱ군 모두 각 시기별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특발망막앞막으로 유리체절제술 시 SF6 가스 충전 유무에 따른 수술 결과에 차이가 없으므로 동반된 다른 문제가 없다면 망막앞막수술에서 가스 충전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 KCI등재

        정상안에서의 미세시야계를 이용한 망막 중심 오목 민감도 조사

        이숙연,김성우 한국망막학회 2022 Journal of Retina Vol.7 No.2

        Purpose: To evaluate normative values of foveal sensitivity using Compass Microperimetry (CenterVue, Padova, Italy) and related facto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data from 40 healthy eyes of 20 patients who underwent microperimetry of the central 10° of retina with Compass Microperimetry. Statistical analysis evaluated the correlation of foveal sensitivity with mean deviation, axial length, foveal avascular zone, foveal pit diameter and foveal pit depth. Results: Mean foveal sensitivity using Compass Microperimetry was 34.7 ± 2.23 dB. Foveal sensi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deviation (p < 0.05), negatively correlated with axial length (p < 0.05), and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foveal avascular zone, foveal pit diameter, or foveal pit depth. Conclusions: Mean foveal sensitivity on Compass Microperimetry is 34.7 ± 2.23 dB, and i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deviat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xial length. 목적: 정상안을 대상으로 Compass 미세시야계(Compass Microperimetry; CenterVue, Padova, Italy)를 이용하여 망막 중심 오목 민감도를 조사하고, 이와 연관된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Compass 미세시야계를 이용하여 중심 10° 시야검사를 시행한 20명의 정상안 40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망막 중심 오목 민감도가 안축장 길이, 중심 오목 무혈관부위 면적, 망막 중심 오목 깊이 및 너비와 관련성이 있는지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Compass 미세시야계를 이용한 망막 중심 오목의 평균 민감도는 34.7 ± 2.23 dB이었으며, 상관분석 결과 망막 중심 오목의민감도는 MD값과 양의 상관관계(p < 0.05)를, 안축장 길이와 음의 상관관계(p < 0.05)를 보였으며, 망막 중심 오목 무혈관부위의 면적이나 망막 중심 오목 깊이, 망막 중심 오목 너비, 중심망막두께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정상안에서 Compass 미세시야계를 이용한 망막 중심 오목의 평균 민감도는 34.7 ± 2.23 dB이었으며 MD값과양의 상관관계, 안축장 길이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망막앞막이 동반된 당뇨황반부종에서 유리체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삽입술의 단기 치료 효과

        Donghyoun Noh,Jang Hwan Ahn,Jun Yeop Lee,Min Sagong 한국망막학회 2017 Journal of Retina Vol.2 No.2

        Purpose: To assess the short term effect of an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 on diabetic macular edema (DME) with epiretinal membrane (ERM).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including 39 eyes of 39 patients with DME who underwent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 injection and were able to be observed for more than 6 month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ERM from March 2015 to June 2016. Results: Thirteen DME eyes with ERM and 26 DME eyes without ERM were enrolled. The classification of ERM was grade 0 in 5 (38.5%) eyes, grade 1 in 7 eyes (53.8%) and grade 2 in 1 eye (7.7%). There was no difference i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CMT) between the DME with ERM group and the DME without ERM group at baseline. After the injec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mean BCVA and mean CMT between the two groups at 1, 3, and 6 months. DME without ERM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CMT compared to baseline at 1, 3, and 6 months (p < 0.001, p = 0.003, p = 0.001, respectively). The DME with ERM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CMT compared to baseline at 1 and 3 months, but no difference at 6 months (p = 0.048, p = 0.024, p = 0.275, respectively). Conclusions: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ation may be a useful treatment modality for patients with DME with ERM, but the duration of the anatomical improvement may be shorter than that for patients with DME without ERM. 목적: 망막앞막에 동반된 당뇨황반부종에서 유리체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삽일술의 단기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5년 3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당뇨황반부종으로 유리체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삽입술을 1회 시행 받고 6개월 이상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39명(39안)의 환자를 대상으로 망막앞막 동반 여부에 따른 치료 효과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망막앞막이 동반된 당뇨황반부종이 13안이었고 망막앞막이 동반되지 않은 당뇨황반부종이 26안이었다. 당뇨황반부종에 동반된망막앞막은 grade 0이 5안(38.5%), grade 1이 7안(53.8%), grade 2가 1안(7.7%)이었다. 당뇨황반부종에서 망막앞막이 동반된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 사이의 주사 전 최대교정시력과 평균 중심황반두께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주사 후 1, 3, 6개월째 두 군 간의최대교정시력, 평균 중심황반두께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심황반두께는 망막앞막이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 주사 후 1, 3, 6개월째모두 주사 전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p<0.001, p=0.003, p=0.001), 망막앞막이 동반된 군은 1, 3개월에는 감소를 보였지만 6개월째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48, p=0.024, p=0.275). 결론: 경도의 망막앞막이 동반된 당뇨황반부종에서 유리체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삽입술은 유용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으나, 해부학적 호전의 지속기간이 망막앞막이 동반되지 않은 당뇨황반부종에 비해 더 짧게 나타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