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 도덕・윤리 교과교육 연구활동의 변천

        서강식(Kang Sik Su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광복 이후의 도덕교육은 사회과의 공민에 포함되어 시작되었다. 제3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과가 교과로 설정되었고, 이후부터 도덕․윤리교과와 관련된 전공학위 논문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여 제7차 교육과정시기에는 거의 18 배 정도 증가하였다. 도덕․윤리교과 연구는 국민윤리학회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졌는데, 제4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덕교육에 인지적 접근이 도입되면서 콜버그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1980년대 초에 전국 국립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국민윤리교육과가 설치되었고, 전국 교대 윤리교육과 교수들을 포함하여 동과 소속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를 창립함으로써 새로운 교과교육연구집단이 등장하였다. 1996년에는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가 창립되었고, 전국 교대 교육대학원에 윤리교육전공이 개설됨으로써 교과교육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98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창립되면서 도덕・윤리교과 교육과정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교육의 접근 기조가 통합적 접근으로 바뀌었는데, 이 시기 동안 교과 교육연구는 양적 및 질적 도약을 가져왔다. 앞으로 도덕․윤리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도덕교육이론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등에 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1945, July 15th, moral education was done within civic subject education. At 1972 Augs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established, and many moral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by KEDI. At the 3rd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form of a moral subject education. It was titled 「moral」and was taught 2 period per week in school. Since 3rd moral curriculum era, numbers of thesis for moral education was increased steadily. At the 4th moral curriculum era,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in moral subject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many studies was centered on Kohlberg's moral education theory. In 1980s, there were established many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in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Professors of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established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KSMEE)'. In 1996,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KEMES)' was established by professors of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In 1998,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was established. Really many moral subject education was conducted by KICE. At the 7th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studies have got a great jump in quantity and quality. But we have to study for moral education theory, teaching-learning theory,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ory and so on. We should make a strong basis for moral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종래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도덕과 교과서 개발의 역정

        정세구(Jung Se-K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교사용 지도서 포함)의 개발 역정을 제3차 교육과정기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밝힌 것이었다.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전담했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학년별 1권씩 3권이 편찬되었는데 교과서 내용선정원칙은 전통적인 윤리학설과 4개 생활영역에 근거하였고,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는 전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반공교육과 발달과업 실현의 원리와 가치관 형성의 원리에 따라 편찬되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 모두 국판의 소형, 흑백 인쇄의 수준이었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교과서 개발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담당한 역할 분담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권수나 내용 선정원칙 모두 제3, 4차와 거의 같았다. 고등학교 ‘국민윤리’ 교과서는 종전과 같이 3개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인으로서 바람직한 윤리관이나 윤리체계를 갖게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종전과 별 차이가 없었다. 제6차와 제7차의 교육과정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중학교 ‘도덕’교과서와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의 개발을 둘 다 담당한 시기였다. 제6차에서 중학교 ‘도덕’은 종전처럼 3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의 연구 결과에 따라 내용선정원칙을 정하였다. 고등학교 ‘윤리’는 전 학년 1권인데 내용선정 원칙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윤리적 인식체계와 이념적 시각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제7차에서는 교육과정체계가 근본적으로 변경되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가 ‘도덕’, 고등학교 2~3학년에는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의 3개 선택과목을 개설하였다. 그에 따른 새 교과서가 편찬되었고, 교과서는 종전에 비해 거의 2배 크기의 판형, 총천연색 사진과 고급지질 등 모든 면에서 선진국형 수준의 교과서를 편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extbook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edited from the 3rd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3rd(1973, 1974-1981) and 4th curriculum periods(1981-1987, 1988) were the time whe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 3 books for each school year, were develop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i.e., the deontological and the teleological, while the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1 book for 3 years, was developed on the principle of anti-communism education plus the realization of values formation The 5th curriculum period(1987, 1988-1992) was the time when KEDI and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hared the responsibility of developing secondary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principle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mor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3rd and 4th curriculum period, while that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high school was drastically changed to the extent that desirable ethical views and ethical systems of Korea were very emphasized. The 6th(1992-1997) and 7th curriculum periods(1997-2007) were the time when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the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s students for the 6th curriculum period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5th curriculum but those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s were drastic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6th curriculum: the new 7th curriculum designed 'Moral Education' from the 1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to the 1st grade in the high school(4grades) plus 3 selective courses of 'Citizen Ethics', ’Ethics and Thoughts', 'Traditional Ethics'. The textbook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 showed a very dramatic progress in its appearance and quality of edition to the extent that we can usually meet in the most of development countries.

      • KCI등재후보

        덕교육적 접근과 도덕과 교육과정

        유병열(yoo byungryul)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8

        우리의 현행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은 그 이론적 기저의 하나로서 인격교육 내지 덕교육적 접근을 표방하고 있는 바, 이 연구는 바로 이러한 덕교육적 접근과 이에 기초한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한 이론적 관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를 위해 먼저 도덕교육을 통해 형성, 발달시키고자 하는 도덕성 내지 인격을 덕과의 관련 속에서 해명하면서 덕교육적 접근의 의의를 밝히고 이러한 접근이 어떤 이론적 근거에서 왜 요청되며 어떤 특징을 지니고 무엇을 하고자 하는 것인지를 도덕교육적 기초로서의 인격교육론과 도덕철학적 기초로서의 덕윤리학 및 심리학적 기초로서의 도덕심리학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어 덕교육적 접근의 한 모형으로서 아리스토텔레스적 관점을 검토하면서 덕교육은 어떤 인간의 육성을 왜 지향하며 덕은 이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덕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구성되고 이를 기르기 위해서는 어떤 관점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논하였다. 그리고 끝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을 구상함에 있어 덕교육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도덕과의 성격과 지향점 및 목표 설정, 교육내용으로서의 주요 덕들의 선정과 내용 체계화의 기본틀 및 지도 요소의 구안, 교육방법과 평가, 덕교육을 위한 장의 통합적 접근 논리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In Korea, the seventh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s partly based on the virtue education approach. But, untill now, we have not been given any full theoretical explanation about the approach and this might have been the big problem for us to practice moral education. If so, actually what does the approach mean? Why should we take the approach and what should we do in moral education under the name of virtue approach? For answering these questions, I investigated some issues as follows: Firstly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virtues education were explicated by way of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among virtues, character and morality. Secondly the theoretical rationale of virtue education was inquired from three academic fields such as character education theory(moral education foundation), virtue ethics(moral philosophic foundation) and moral psychology(psychological foundation). Thirdly I suggested an virtue education model based on Aristotle`s virtue theory and discussed the nature, kinds, structure, compositions of virtue, the basic viewpoint of approach to virtue education, and the teaching principles and methods of virtue education. Finally I suggested some ideas that would be necessary when we might develop mor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virtur education approach.

      • KCI등재후보

        도덕과 교육과정의 이론적 기저 탐색

        추병완(Chu Beong W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8

        이 논문은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있어서 기저를 이루고 있는 도덕교육의 이론적 원리들을 탐색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의 세 가지 중심 축,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접근법, 도덕과의 목표 설정, 도덕과의 학습 내용, 도덕과 교육과정의 체제라는 여섯 가지 기준에 따라 도덕적 교육과정의 이론적 근거를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larify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7th national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This paper was focused on delving into the rationale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finding out the problems of current theoretical viewpoints, and suggesting new directions of moral education in a changing society. In a developing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we should enlarge the role of school teachers, pay heed to students' needs and interests, and orient our efforts to a consensus of opinion regarding moral education.

      • KCI등재

        싱가포르의 ‘Curriculum 2015’ 및 『Character & Citizenship Education』교육과정 분석

        김영은(Young-eu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0

        최근 싱가포르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 함양을 위해 초·중등 교육과정을 역량 중심 교육과정(Curriculum 2015)으로 개편하였고 이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는 OECD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와 연구 기관의 역량 및 교육과정 논의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다. 또한 새로 바뀐 교과 『Character & Citizenship Education』을 통해 도덕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도덕 교과 교육과정이 전체 교육과정 총론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매우 크다. 교육과정 총론과 도덕교육 각론이 긴밀하게 연계되어 전체 교육 목표의 실현에 있어 도덕 교육의 역할이 중대하다. 도덕교과 교육과정은 총론의 프레임워크를 엄밀하게 엮어 도덕 교육의 목표 및 내용으로 그 강조점을 체계적으로 반영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싱가포르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 도덕 교과교육과정 및 그 관계의 분석을 통해 한국의 도덕 교과 교육과정과 비교하고 그 함의를 얻고자 한다. Recently, Singapore developed the national curriculum on the basis of 21st century competencies which is often recognized by various countr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cluding OECD when they discuss about key competencies and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coming future. Also, newly developed『Character & Citizenship Education』subject is being implemented throughout primary to pre-university for moral and citizenship education since 2014. The CCE status in curriculum is presumably high due to its rigorous alignment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Core Value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Civic Literacy, Global Awareness and Cross-cultural Skills are inextricably linked with learning outcomes and contents of CCE curriculum. This study is to get insight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moral education in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Curriculum 2015 and CCE curriculum and a comparison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도덕과 교과교육학 정립을 위한 일 연구

        정탁준(JUNG TAK-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4

        도덕교육을 도덕교과를 통해 학교에서 실시할 때 그에 대한 좋은 평가를 담보할 수 있는 바탕은 도덕교과교육학에 대한 관심과 그 발전에 대한 노력에서 시작 되는 것이다. 이 논문은 도덕교과 교육학의 정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도덕교과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직접적 통로로 도덕교과교육에 대한 시각전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교과의 분류에 있어서 철학이나 논리학 등과 다른 도덕교과영역의 차별성에 대해 설명하고, 도덕교과교육학이 발전하기 위해 견지해야 할 방향과 그에 따른 연구 분야의 확대에 관련된 요소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과에 대한 분류를 살펴보면 ‘윤리’ 혹은 ‘도덕’이라는 영역은 다른 영역에서 연구하기 힘든 독립된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즉, 철학이나 논리학 등 다른 학문분야의 연구방법으로는 탐구할 수 없는 고유한 자리를 가지고 있다. 한편, 교과교육학을 바라보는 여러 시각 중 ‘좁은 의미의 교과교육학’적 시각에서 보면 교과교육학의 학적정립의 가능성은 매우 적어지게 된다. 도덕교과의 모학문이 철학 등과 같은 특정학문임을 주장하면서 그것의 배타적 위치를 도덕교과에 선점하려는 시도는 이러한 ‘좁은 의미의 교과교육학’적 시각에 매몰되어 나오는 주장에 불과하다. 도덕과 교과교육학은 내용과 연구방법의 학제성을 더욱 강조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고 다른 학문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도덕과 교과교육이 나아갈 방향일 것이다. To get concerns on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would be the starting point to progress Moral education in schools as well as moral education in general. The critical point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is the verification of the Moral as a school-subject in terms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According to the theories of school-subject classification, the realm of 'moral', which is different from 'logics' or 'philosophy', is surely existing. To progress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moral education should not accept 'the narrow perspective of the school-subject study,' but take a new perspective of that which is willingly including interdisciplinary methodologies. To identify moral as a school-subject and to take a new perspective on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would be a basis of the firm establishment of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 KCI등재

        도덕과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

        김형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5

        This study examines the politics of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in and through moral education as an independent school subject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key issues and controversies surround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at have been discussed from the 6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South Korea where schools have implement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independent subjects such as ethics and social studies, debates regard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ve often escalated into a boundary problem between mo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Moreover, whether and in what ways themes related to democratic citizenship should be included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have been recognized by moral educators and scholars as the problem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moral education as an independent school subject. This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for the 202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덕과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을 둘러싼 갈등과 논란들을‘도덕과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으로 명명하고, 현재적 의미에서의 학교 민주시민교육이 도입된 것으로 평가되는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도덕과 민주시민교육에서의 쟁점은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논의가 진행되어왔는지 살펴본다. 학교에서 도덕과나 사회과와 같은 독립교과를 통해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해온 우리나라의 경우 민주시민교육과 관련된 논쟁은 종종 도덕과교육과 사회과교육 간의 경계 문제로 비화 되었고 도덕과교육 학계 내부에서는 민주시민교육 관련 내용을 교과에 어떠한 방식으로 포함시키는지의 여부가 교과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문제와 직결된 사안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도덕과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민주시민교육 활성화가 화두로 제기되고 있는 차기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도덕과 민주시민교육에서의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사회정서학습을 적용한 도덕과 교육 활동의 효과 연구

        김윤경(Kim, Yoon Kyeong),이인태(Lee, In Ta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1

        도덕과 교육이 기대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학교 전체를 도덕성 발달을 위한 공간으로 변화시키려는 구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정서학습은 이와 관련하여 학교 활동 전반을 통합하는 틀을 제공하고 도덕적 기술의 훈련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서학습을 도덕 수업에 적용해보고 그 효과를 측정해봄으로써 도덕과 교육에 사회정서학습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히고, 더 나아가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그런데 도덕과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도덕성 발달 정도를 확인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우관계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달성할 수 있는 도덕 수업을 사회정서학습을 적용하여 설계 및 실행해보고, 그 효과로서 교육적 처치를 받은 학생들의 ‘인성지수’와 ‘교우관계의 질’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인성지수 상승폭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 교우관계의 질은 유의한 수준에서 상승하였다. 인성 수준을 높이기에는 실행 기간이 짧았고 수면자 효과 등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지만, 교우관계의 질이 인성의 문제에 포함되고 유의한 수준에서 상승하였다는 점에서 사회정서학습을 적용한 통합적 도덕과 교육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o achieve the expected effects of moral education, a structural effort is needed to transform the whole school into a place for moral development. Social Emotional Learning(SEL)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framework for integrating the overall school intervention and helps train moral skills eff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verify the necessity of applying SEL with relevance as a core subject of character education by measuring the effects of moral education. However, it is impossible to target the whole themes of mora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mo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learning standard about friendship applying SEL and measured the effectiveness by using ‘Character Index Scale’ and ‘Friendship Quality Scale’. As a result, the increase in the character index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he quality of friendship increased in a significant level. Although the period of implementation was short to bring increase in the character index, it is believed that integrated moral education based on SEL is necessary in that the high quality of friendship has been included in good character.

      • KCI등재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응용윤리 영역의 내용 선정 기준과 조직 방안

        김남준(Kim, Nam-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9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시대와 변화된 사회에서 제기되는 국가·사회적 요구 및 학문적 요구를 반영함으로써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응용윤리 영역의 내용 선정 기준과 조직 방안을 정립하는 것이다.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응용윤리 영역의 내용은 도덕과의 교육적 인간상의 실현과 도덕과 교과역량의 함양에 기여할 수 있고, 윤리학을 구심점으로 한 학제적 접근을 요구하는 응용윤리의 주제들, 과학기술의 발달과 사회 구조의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적 문제나 쟁점들, 도덕과의 내용 구성 원리로서 가치 관계 확장법 등을 고려하여 선정·조직되어야 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중학교 ‘도덕’ 과목에서 ‘자연·초월과의 관계’ 영역을 ‘인간 이외의 존재·생태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으로 수정하고, 그 영역에서 과학기술 시대의 새로운 윤리적 문제나 쟁점을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을 중심으로 내용 체계 재구조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과목에서 도덕적 탐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응용윤리학의 접근 방법을 내용 요소로 반영하고, ‘생명과 윤리’ 영역에서 내용 중복 문제를 완화하고 생명윤리의 토대가 되는 논의에서 최근의 학문적 논쟁에까지 이를 수 있도록 인간 대상 연구와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을 내용 요소로 포함하며, ‘과학과 윤리’ 영역에 지능정보윤리, 로봇윤리 등과 같은 새로운 윤리적 문제나 쟁점을 반영한 내용 체계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contents selection and to organize the contents of applied ethics education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contents of applied ethics education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selected and organized to contribute to fostering moral man with competency of moral education, and considering the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 the principle of contents organization of moral education, and new ethical issues in the new era. Based on this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here of ‘the relationship with nature·transcendence’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modified to the sphere of ‘relationship with non-human being·ecological community’ in which new ethical issues in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be discuss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odology of applied ethics, ethical issues of human subjects research and human enhancement, and new ethical issues of AI ethics, Robot ethics etc.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Life & Ethics’ subject.

      • KCI등재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에 근거한 도덕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법

        김현수(Hy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0

        현재 우리나라는 교육과정의 재구성 권한을 단위학교의 교사 수준에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도덕 교사는 자신의 수업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도덕과 교육과정을 재구성 할 수 있다.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이러한 교육과정 재구성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설계의 원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식 중심의 피상적 수업과 활동중심 수업 각각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백워드 수업설계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것이 지니고 있는 교육과정 설계의 측면 보다는 교수학습 설계의 측면이 주로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지닌 교육과정 설계의 측면과 이에 따른 도덕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과 효과를 조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도덕과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이해와 전이 두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덕과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의 적용 사례로 이해의 각 측면에 따른 발문 전략, 그리고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재구조화 전략을 활용한 재구성을 제시하였다. Currently in Korea, unit school teachers are authorized to restructure curriculum. Therefore, a moral studies’teacher can restructure the Ethics and Moral curriculum in order to perform his teaching activities effectively. Understanding Based curriculum, which has become a great interest recently, falls on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design targeting the two obstacles of superficial lessons and activity-based lessons. On the other hand, Understanding Centered Curriculum is more emphasized with the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than that of curriculum design in the sense that it is in line with backward lesson design. From that perspective, this study reexamined the aspect of curriculum design of the understanding-centered curriculum which has not been mainly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analysed the implications of the understanding-centered curriculum for Ethics and Moral studies curriculum. Finally, it proposed questioning formation as exemplary cases of the curriculum so as to consider the effectiveness of the moral education, backward design based on that, and strategies for restructuring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