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의 분포 및 변동추이

        김종섭,박진호,윤홍식,임난희,진병로,이희경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4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11 No.2

        1983년부터 1994년 상반기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1.050명의 진단기록 및 석고모형을 Angle씨 분류법으로 분류하고 성별, 연령별 분포 및 변동 추이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거의 매년 환자의 내원율이 증가하였으며 남자에 비해 여자의 내원율이 높았다. 8세-15세 연령군이 전체 내원 환자수의 61.4%를 나타내었으며 20세 이상의 연령균은 18.5%, 7세 이하 연령군은 8.1%를 나타내었다. class Ⅰ은 42.2%, class Ⅱ div 1은 22.5%, class Ⅱ div 2는 3.9%, class Ⅲ은 29.1%, 구순구개열 화자는 2.0%를 나타내었다. 외과적 교정 환자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었다. 1,050 patients who visited orthodontic dental department from 1983 to 1994, were surveyed on the yearly tendency of orthodontic patient distribution and state by Angle's classif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increased visiting rate of patient per year and higher visiting rate in female than in male. 2. 8-15 age group was 61.4% in total visiting patients and over 20 age group was 18.5%, under 7 age group was 8.1% 3. Class Ⅰ malocclusion was 42.2%, class Ⅱ div 1 was 22.5%, class Ⅱ-2 was 3.9%, class Ⅲ was 29.1% and cleft lip & palate was 2.0% in total visiting patient. 4. As showed the living distribution, Namgu and Susunggu's patients were 43.7% of the total patients. 5. There was increased tendency for the number of the patient to be recieved orthognathic surgery.

      • KCI등재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약물처방 동향의 분석

        이광윤,김원준,김승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85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 No.1

        대구 및 그 인접지역의 질병 발생 경향을 추정하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의 약제수급 계획을 위한 참고자료를 얻기 위하여 1985년 3월부터 동년 8월까지 당 병원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을 위하여 내려진 약물 처방을 전산 집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장 빈번히 처방된 약물로 부터 100종의 약물을 처방빈도 순으로 나열하였던 바, diazepam, aluminum compound, acetaminophen, isoniazid,metoclopramide,?????????, carboxymethylcystien, ephedrine, codeine, caroverine(이하 생략)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이 선정된 100종의 약물을 임상용도별로 분류하여 총 처방회수 521,855회에 대한 백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추신경계약물(20.57%)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위장관 및 평활근에 작용하는 약물(18.64%), 호흡기계약물(16.11%), 항균제(15.12%), 심혈관계약물(5.64%)의 순으로 많았으며, 그 다음은 소염제(4.33%), 단독비타민제(3.76%), 호르몬 및 항호르몬제(3.29%), 감기치료제(3.12%), 이뇨제(2.81%), 간기능이상치료제(2.02%), 자율신경계약물(1.89%), 항히스타민제(1.02%) 및 소독약(0.7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report offers descriptive data about the drugs utilized in out patient department (OPD) of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YUH) in the period of march to august in 1985. The data in this report were produced by the computerized totalization of the number of mentions of individual drugs included in the prescriptions. The 100 drug entries that were most frequently recorded are listed in rank order. The listing is arbiturarily restricted to the drugs that were prescribed as single preparations, the drugs of basis of compound preparations and the drugs of adjuvent or corrective of compound preparations that have significant therapeutic effects-either by generic names. And in addition, the listing also involves the compound preparations used in relatively large frequency, and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which have the unique pharmacologial actions each other by proprietary names. And all routes of administrations were allowed. The 10 drugs most frequently named are diazepam, aluminum compounds, acetaminophen, isoniazid, metoclopramide, ?????????, carboxymethylcystein, ephedrine, codeine and caroverine in order. The 521, 855 drug mentions listed as above are described by the chief therapeutic usage that each is intended to apply generally. The drugs which account the largest proportion of total mentions were those acting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20.57%), including tranquillizers and sedative hypnotics(11.71%), analgesic antipyretics(5.55%), antidepressants(2.15%) etc. Gastrointestinal drugs and smooth muscle preparations(18.64%) included antacids and anti-ulcerdrugs(9.24%), antiemetics(3.57%), spasmolytics(3.14%) and others. Respiratory drugs (16.11%) included expectorants and cough preparation(10.99%) and bronchodilators(5.12%).Cardiovascular drugs (5.64%) included cardiac drugs and coronary vasodilator(4.12%) and antihypertensives and vasodilators(1.06%). And anti-inflammatory drugs(4.33%), vitamins of single preparations (3.76%), hormones and their antagonists(3.29%), common cold preparations(3.12%), diuretics(2.81%), drugs supporting liver function(2.02%), drugs affecting autonomic nervous system(1.89%) including anti-glaucomas, atropine and cerebral vasodilators, antihistamine drugs(1.02%) and disinfectants(0.74%) were following in order. The data in this report were compared to those reported by H. Koch, et al. in United States(US), 1981 as "Drugs Most Frequently Used in Office Practice: National Ambulatory Medical Case Survey, 1981." Cardiovascular drugs prescribed in YUH were much less in proportion than in US(10.56),but gastrointestinal drugs accounted the larger proportion than in US(3.72%). Expectorants and cough preparations in YUH also accounted the larger proportion than in US(2.74%). In conclusion, in the period of march to august, 1985, OPD of YUH prescribed the CNS drugs including diazepam most frequently, and gastrointestinal, repiratory and chemotherapeutic drugs in next orders. It is supposed that the eating habits of Koreans and a unique atmospheric condition in Taegu as a basin were som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ed the proportions of drugs acting on gastrointestinal and repiratory tracts.

      • Ender Nail을 이용한 경골간부 골절의 치료

        김인기,김세동,안면환,안종철,이동철,서재성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2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9 No.1

        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정형외과에서는 1986년 12월에서 1991년 11월까지 경부간부 골절 31례에 대하여 Ender nail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의 평균연령은 37.3세였고, 남자에게서 3배가 많았으며, 교통사고가 가장 많은 원인이었다(67%). 2. 폐쇄성 골절이 20례, 개방성 골절이 11례였으며, 분쇄골절과 분절골절이 18례(57.7%)였고, 중간부 골절이 16례로 가장 많았다. 3. 동반손상이 19례에서 있었고, 수상후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7.6일이었다. 4. 평균 골유합 기간은 18.9주였으며, 2례에서 지연유합을 보였다. 5. 합병증으로 하지 단축이 2례, 각형성 변형이 3례, 관절 운동 제한 2례, 감염이 연부조직에 1례 있었다. 이상 경골 간부골절 치료에 사용한 Ender nail은 시술의 간편성, 적절한 고정성과 운동성, 비교적 폭넓은 적용 범위등으로 좋은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Fractures of the tibial shaft are the most common among the long bone fractures, and have much difficulty in treatment due to their enumerous complications. Thirty patients with fractures of the tibial shaft were treated with Ender nails under the image intensifier at th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December 1986 to November 1991.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1. The average age was 37.3 years and the number of male was three times of the female. The most common cause was traffic accident. 2. Twenty cases out of thirty one were closed fractrure and the remaining 11 were open. The comminuted and segmental fractures were 18(57.7%)in number and the most common fracture site was the middle one third(53%). 3. Average interval from injury to operation was 7.6 days and 19 cases showed associated injuries. 4. The mean duration of the bone union was 18.9 weeks and 2 cases showed the delayed union. 5. Twelve complications were noted such as shortening, varus deformity, delayed union, ankle motion limitation, nail irritation, and soft tissue infection.

      • 정상 성인의 직교유도체제와 피라미드유도체제에 의한 신호 가산 평균심전도의 비교

        장병익,김영조,김형일,심봉섭,이현우,강승호,신동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3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10 No.1

        고전적인 직교 유도체제를 이용하여 고해상 신호가산 심전도의 95% 신뢰구간을 구하고 His 분절 활성을 잘 기록할 수 있는 피라미드 유도체제와 비교함으로써 피라미드 유도체제가 미연전이를 발견할 수 있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 영남대학 의과대학에 재학중인 젊은 정상 지원자 31명을 대상으로 고해상 신호가산 평균심전도를 측정하였다. 젊은 성인에 있어 직교 유도체제를 이용한 고해상 신호가산 심정도의 여과된 총 QRS 지속시간과 고빈도 저전위 신호 지속시간은 각각 25-250 Hz 주파수 여과에서는 129.6과 22.5 msec, 40-250 Hz 주파수 여과에서는 114.4와 31.9 msec, 80-250 Hz 주파수 여과에서는 110.4와 38.4 msec 이상을 비정상 범위로 잡을 수 있고, QRS 말기 40 msec의 평균전위와 RMS 전위는 각각 25-250 Hz 주파수 여과에서는 49와 68.6 uV, 40-250 Hz 주파수 여과에서는 10.6와 16.3 uV이하를 비정상 범위로 잡을 수 있었다. 피라미드 유도체제로 미연전위를 기록하는데 유용하리라 사료되지만 40-250 Hz 주파수 여과에서 고빈도 저전위 신호 지속시간과 RMS 전위는 직교 유도체제와 달라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It has recently become possible to record electrical activity originating from abnormally conducting myocardium from the body surface with high-gain amplification and averaging technique. These signals, which result from delayed ventricular activation (late potentials), have been recorded in patients with documented ventricular tachyarrythmia. Several electrode lead system for detecting ventricular late potential were introduced. Pyramidal electrode lead system(PLS) is useful. Also interpretation of SAECG in the young could be of value in detecting those at risk for episodic ventricular tachycardia, but suffer from a lack of data in normal young people. Selection of subjects : For this study, normal healthy young adult volunteers (age : mean 24 years) were recruited from the medical students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Internal Medicine. Twenty fourths male and seventeenths female subjects were selected. All subjects had normal resting ECGs as judged from both the standard 12 channel lead and echocardiography, and none had a history of cardiovascular disease. All subjects were considered to be in good general physical condition. Signal-averaged electrocardiography : In order to obtain low noise recordings with a small number of averaging cycles, all subject were asked to relax completely in the supine position. Silver/silver chloride electrodes were attached after the skin was cleaned with alcohol, to constitute classic flank lead system(FLS) and pyramidal lead system(PLS). Signals were recorded and process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microprocessor-augmented ECG cart(Marquette Electronics, USA) suitable for portable bedside recording.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ormal values, determined by FLS and PLS at high pass filtering of 25 Hz and 80 Hz,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HFLAD and RMS-40 of 40 Hz (P<0.05). These results will provide a basis for interpretations of SAECG, determined by FLS and PLS in healthy young adults with normal QRS duration.

      • 위선종 및 위선암종에 있어서 PCNA 발현 양상에 관한 연구

        김미진,이태숙,최원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5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12 No.1

        최근 3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 의뢰되어 진단되었던 위선종 25례와 위선암종 64례를 대상으로 항 PCNA항체를 이용한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NA 양성율은 대조군 29.14±12.77%, 위선종 44.09±17.11%, 위선암종 80.15±10.69%로서 대조군, 위선종, 위선암종 순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 위선암종에 있어서 PCNA 양성율을 조직학적 분화도와 비교한 결과, 중분화형 및 저분화형은 고분화형에 비해 반응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3등급 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위선암종의 PCNA 양성율을 침습 정도와 비교한 결과, 그 정도가 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조기위암군과 진행성 우암군으로 대별할 경우 진행성 위암종에서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4) 위선암종의 PCNA 양성율을 림프절 전이상태와 비교한 결과, 림프절 전이가 있는 선암종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선암종에 비해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PCNA 양성반응은 위선종과 위선암종의 감별진단에 크게 도움으르 주리라 사료되며, PCNA는 위선암종의 침윤과 전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예후 측정에 보조적인 가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PCNA 반응도만으로는 독립적인 예후 척도로 인정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예후 인자와 함께 고려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A monoclonal antibody to PCNA, which can be used on routinely processed tissue, was applied to 25 cases of gastric adenomas and 64 cases of gastric adenocarcinomas in order to diffentiate adenoma and adenocarcinoma and also to evaluate the prognostic value in adenocarcinom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CNA labelling index was 29.14±12.77% in control, 44.09±17.11% in adenoma and 80.15±10.69% in adenocarcinoma, resulting in significant increase in adenocarcinoma compared to adenoma. In adenocarcinoma,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CNA labelling index and histologic grade, and there was increased tendency of PCNA labelling index in proportion to depth of invasion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PCNA index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vanced adenocarcinoma compared to early gastric carcinoma, and also in positive nodal metastasis group than in negative group. From above results, the PCNA stain will be able to provide a helpful method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gastric adenoma and adenocarcinoma, and could be a useful prognostic factor in adenocarcinoma if other factors are considered together.

      • 드문(Uncommon) 유방암의 방사선학적 소견

        김재운,안재홍,황미수,이재교,변우목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8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15 No.1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유방암으로 확진된 512례 중 드문 유방암은 34례(6.64%)로 점액성암종 14례, 수질성암종 9례, 림프종 4례, 악성엽상육종 3례, 전이성 소세포암 2례, 혈관육종 1례, 평활근육종 1례였다. 드문 유방암 21례의 단순유방촬영 소견은 군집성 미세석회화 소견을 보이지 않는 경우 20례, 변연이 분명한 경우 13례, 모양이 둥글거나 구형인 경우 9례로 양성종양과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종괴가 다발성인 5례 모두 원발성 림프종과 전이성 유방암이였으며 크기는 1cm에서 3cm까지가 위치는 상외측이 가장 많았다. 12례의 초음파 소견은 둥글거나 구형 또는 분엽성의 규칙적인 모양이 10례, 매끈하고 고른 경계가 9례, 뚜렷한 측면에코 7례, 후방에코 증강이 11례로 모양, 경계, 측면에코, 후방에코 등은 양성을 시사하는 소견을 보였으나 비균질성의 내부에코 7례, 거칠고 두꺼운 주변부에코 8례, 종괴의 폭/깊이의 비율이 1.5이하 11례로 내부에코, 주변부에코, 폭/깊이의 비율등은 악성을 시사하는 소견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드문 유방암은 단순유방촬영상 양성 소견을 보이나 초음파영상에서 주변부에코, 내부에코, 폭/깊이 비율등은 악성을 시사하는 소견을 보여 진단에 주위를 요한다. We analyzed the mammographic (n=21) findings (location, margin, shape, cluster microcalcifications, size, multiplicity) and ultrasonographic (n=12) findings (shape, border, internal echo, boundary echo, posterior echo, lateral echo, width/depth ratio) to evaluate specific radiologic findings of histopathologically proved uncommon breast cancer. The mammographic findings (n=21) are as follow; 1) single; 16, multiple; 5 2) margin (smooth; 13, irregular; 4, spiculated; 4) 3) shape (round and ovoid; 9, lobulated; 8, irregular; 4) 4) cluster microcalcifications (abscent; 20, present; 1) 5) size (1-3cm; 18, 3-5cm; 2, 5cm> ; 1) 6) location (UOQ; 13, UIQ; 4, LIQ;3, LOQ; 1).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n=12) are as follow; 1) shape (round to oval; 5, lobulated; 5, irregular; 2) 2) border (smooth even; 9, rough uneven; 3) 3) internal echo (fine homogeneous; 5, coarse heterogeneous; 7) 4) boundary echo (regular fine; 4 irregular thick; 8) 5) posterior echo (enhanced; 11, no change; 1) 6) lateral echo (marked; 7, nonexistent; 5) 7) width/depth ratio (1.5>; 1, 1.0-1.5; 7, 1.0< ;4). Uncommon breast cancer show benign nature on mammogram, but malignant nature on ultrasonogram (especially boundary echo, internal echo, width/depth ratio).

      • 중증 근무력증 진단에 있어서 제반 검사법들의 유용도 비교

        박승권,도현철,김민정,이승엽,박미영,하정상,김욱년,이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8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15 No.1

        1993년 1월 1일부터 1995년 6월 30일 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과에 중증 근무력증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21명에게 텐실론검사, 반복신경자극검사, 단일근섬유 근전도 검사 및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 측정 검사 모두를 시행하여 각 검사의 양성률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텐실론검사에서는 양성률이 95%였고, 반복신경자극검사상 최초 한 근육이상에서 양성률을 보인 경우가 67%였고 근육별로는 안윤근에서67%, 척축수근굴근에서 38%, 소지외전근에서 43%로 원위근육에 비해 안윤근에서 더 높은 양성률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한편 단일근섬유 근전도검사,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측정 양성률은 각각 87%, 76%로 텐실론검사에서 양성률이 가장 높았고, 안형에서 시행한 반복신경자극검사에서는 양성률이 45%로 가장 낮았다. 또 각각의 검사들을 안형군과 전신형으로 나누어 양성률을 비교하였을 때 모두 안형에 비해 전신형에서 양성률이 증가된 소견을 보였으나 반복신경자극검사에서만 유의성있게 양성률이 증가하였고(p<0.05) 나머지 검사들에서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증 근무력증 증상이 보이는 환자에게서 우선적으로 양성률이 가장 높은 텐실론검사를 먼저 실시한 후, 반복신경자극검사와 함께 특이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를 측정하고, 비교적 양성률이 낮은 안형에서는 단일근섬유 근전도검사를 같이 시행하면 중증 근무력증에 대한 확진률을 높일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Tensilon test, repetitive nerve stimulation test(RNST), single fiber EMG(SFEMG) test and 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y(AchR Ab) assay for making diagnosis of myasthenia gravis(MG). Method: These tests were performed in 21 MG patients which were classified into 11 ocular, 5 mild generalized, 4 moderate generalized, and 1 chronic severe MG. Result: The overall positivity of Tensilon test, SFEMG and AchR Ab was 95%, 87% and 76% respectively. The overall positivity of RNST was 67%; 38% on flexor carpi ulnaris, 43% on adductor digiti quinti and 62% on orbicularis oculi muscles. The positivity of each test was higher in generalized MG group than in ocular MG group. But we could observ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RNST(p<0.05). Conclusion: Tensilon test showed the highest positivity in all MG groups. So we would like to recommend the Tensilon test for the diagnosis of MG at first, followed by RNST and AchR Ab assay, and SFEMG would be indicated to MG group which showed relatively low postivity in other tests.

      • 경추 골절의 원인과 형태에 따른 위치와 빈도의 비교

        박복환,변우목,조길호,김선용,조재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3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10 No.1

        최근 6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병원에서 경추골절로 진단받은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및 수술소견과 방사선학적 소견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장 흔히 침범되는 곳은 하부 경추중 C 와 C , 상부경추중 C₂였다. 2. 가장 흔히 침범되는 부위는 몸체, 추궁판, 치상돌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3. 경추골절을 일으키는 손상의 기전으로는 과굴곡 손상에 의한 경우가 53%로 가장 많았고 부위별로는 과굴곡 손상때는 몸체, 골극돌기, 부횡돌기의 골절이 많았고 과신전 손상때는 상대적으로 추궁근의 골절이 많았다. 4. 과신전(1.68 fractures/patients)때보다는 과굴곡(2.26 fractures/patients)때 좀더 심한 손상을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추궁판만의 단독골절은 드물었고, 대부분이 다른 부위의 골절과 동반되어 나타났으며 이중 70%는 과굴곡 손상때 나타났다. 6. 몸체골절은 50% 이상에서 다른 부위의 골절을 동반하고 있었는데 이들 다른 부위의 골절 중에서는 추궁판골절이 가장 많았다. 7. 두개 이상의 여러 경추를 동시에 침범한 경우의 40%가 인접하지 않은 다른 부위의 골절을 보여 어떤 한 부위의 골절이 발견되었다 하더라도 반드시 전 경추에 대한 세심한 관찰로 또 다른 골절의 유무를 살펴야겠다. 8. 골절과 동반된 전위는 대부분 과굴곡 손상에서 나타났으며 약 70%가 전방전위를 보였으며 C 과 C 사이에 가장 많았다. The fractures of the cervical spine are relatively uncommon, but they may cause serious neurologic deficits temporarily or permanently. So, it is very important to treat the patients early by way of exact evaluation for the sites and the mechanisms of the injuries. The authors reviewed retrospectively 188 cervical spinal fractures in 100 patients from sep. 1984 to Aug. 1990. Commonly involved levels were C and C in lower cervical level and C₂in upper cervical level and the sites in each spine were body, lamina and odontoid process. The hyperflexion injury was the most common type of the cervical spinal fractures occupying 53% of all cervical fractures and cause more multiple fractures(2.26 fractures/patient) than in hyperextension(1.68 fractures/patient). In hyperflexion injuries, body, transverse and spinous process were commonly involved but lamina fracture was relatively common in hyperextension injury. The dislocations associated with fractures were developed most commonly in hyperflexion injury and 70% of these were anterior dislocation and the most commonly involved levels were C and C . In conclusion, hyperflexion injury needs more close examination for the entire spinal levels than injuries of other mechanisms because it results in more severe fractures with or without dislocation and relatively frequent multiple fractures in different levels.

      • 관골부에 발생한 Intramuscular lipoma 1례

        이대훈,홍정수,설정현,최원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0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7 No.1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에서 흔히 사지의 골격근내에서 발생되는 intramuscular lipoma중 매우 드물게 관골부 근육에서 발생된 근육내지방종 1례를 치험하였다. 근육내지방종은 성숙된 지방세포가 위축되어 있는 근육속에 불규칙하게 생기는 양성종양으로 지방종의 완전절개만이 재발을 방지하고 완치시킬수 있는 유일한 치료방법이다. Lipomas are common soft tissue tumor that are usually located in the subcutaneous tissue. And intramuscular lipomas commonly arise in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here they usually involve the large muscles. Intramuscular lipoma, also referred to as an infiltrating lipoma, is an unusual benign slow growing tumor composed of mature fat cell interdigitating with skeletal muscle. However, intramuscular lipomas are exceedingly rare in the face. We have been experienced a case intramuscular lipoma that located in the malar area. Because of the rarity of these tumors and their propensity to recur without adequate surgery, the case report is presented here. Achievement of surgical margin is essential as the recurrent rate may be as high as 15% to 62.5% without complete exc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