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경숙,조숙희 대한노인병학회 2014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8 No.3
연구배경: 고령화사회에서 허약은 주요 보건문제로 지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 인구의 양적 증가 및 노인인구 구성의 변화가 급격한 농촌지역의 허약인구 규모 및 이에 관련된 요인에 대한 이해는 전혀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허약 유병률 및 관련 사회적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허약의 측정은 대한노인병학회의 포괄적 허약측정도구를 활용하였으며, 관련 요인은 인구학적, 경제적, 건강생활양식 및 사회적 지지 요인을 포함하였다. 허약 규모 파악을위해 연령표준화 유병률을 산출하였으며, 허약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요인 탐색을 위해서는 허약 수준을 허약, 전허약, 건강의 3개 범주하여 순서 로짓 회귀분석(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사용하였다. 결과: 농촌지역 노인의 허약 및 전허약의 성·연령표준화유병률은 각각 11.5% 및 38.7%로 나타났다. 8개의 허약 구성요인의 분포에 있어서는 다중복약(57.3%), 주관적 불건강호소(45.1%) 및 감각상실(43.2%) 순으로 높았으며, 우울호소(10.0%)가 가장 낮았다. 허약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요인 탐색결과 사회적 지지가 중간 정도의 낮은 노인은 사회적 지지가높은 노인에 비해 허약 위험의 교차비가 1.98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 농촌지역의 허약 및 전허약 노인의 규모는 10명 중5명에 해당하는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파악되며, 여성 노인 및사회적 지지가 낮은 노인은 허약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에도 농촌지역의 허약의 규모에 대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과 허약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위험 요인에 대한 추후연구가 반복적으로 필요하다.
일개 지역 응급센터로 내원한 노인 안외상 환자의 임상 양상
장재호,이승우 대한노인병학회 2013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7 No.4
연구배경: 의료기술이 발달하고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우리나라의 인구가 고령화가 되어 노년층의 인구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개 지역 응급센터를 내원한 노인인구에서발생한 안외상의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3월 1일부터 2012년 2월 29일까지 본원 응급실에 내원한 안외상 환자 중 65세 이상의 환자 146명, 163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안외상 전체 환자 1,998명 중 65세 이상 환자는 146 명으로 전체 안외상 환자의 7.3%를 차지하였다. 남자(103명, 70.5%)가 여자(43명, 29.5%) 보다 약 2.4배 많았고, 평균 연령은 70.7세였다. 노인 안외상은 계절별로는 여름에 가장 많았고, 외상이 발생한 장소는 길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안외상의 원인은 교통사고(35명, 24.0%)가 가장 많았고, 외상의 형태는 각막 미란(42명, 21.1%)이 가장 많았다. 결론: 노인 안외상의 특징과 경향 등의 임상 양상을 알 수있었고, 이것을 노인 인구에서 안외상의 예방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