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인의 사회 관계망 및 사회적 지지와 허약의 관계

        전경숙,장숙랑,박수잔 대한노인병학회 2012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6 No.2

        Background: The concept of frailty has been extended to include social factors such as poverty and social support networks. The frailty index developed for elderly Canadians was recently examined in terms of the current broader concept of frailty.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networks and frailty in Korean elderly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lder. Methods: A total of 1,874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ere recruited by judgment sampling of the population of Seochogu in Seoul and surveyed in 2011. The Korean Frailty Index, developed by the Korean Geriatric Society, was used as an outcome variable. A proportional odds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networks and depressive symptoms. Results: The prevalence of frailty and pre-frailty were 7.7% and 25.5%, respectively. A total of 9.9% of older adults lacked a social network, and 13.6% were deficient in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networks were associated with frailty.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sex, marital status, economic status, and education), lack of a social network and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odds of frailty (social network: odds ratio 2.15, 95% confidence interval 1.58-2.92; social support: odds ratio 2.01, 95% confidence interval 1.54-2.63). Conclusion: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frailty being broadened to include social factors, frailty among elderly individuals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networks. 연구배경: 최근 들어 허약과 관련된 생리적 과정 뿐 아니라, 사회 정서적 또는 환경적 지지를 포함한 사회적 모델 개념이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허약의 사회적 모델 개념을 확인하는실증적 연구와 근거의 축적은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우리나라 지역 사회 거주 노인의 허약 수준 및 사회적 요인에해당하는 사회적 네트워크 및 지지 수준을 확인하고, 이들사회적 지지와 네트워크가 노인의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시 일개 구 지역사회 거주 노인 1,874명을 대상으로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허약 노인의 측정 및 판정기준으로 대한노인병학회(2010)가 개발한 ‘한국형 허약측정도구’의 8개 항목을 사용하였다. 사회적 관계망의 측정은친구, 친척과의 만남 및 사회 단체 참여 여부를 포함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ENRICHD Social Support Instrument (ESSI)의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도구적 지지를 포함한 6개의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사회적 관계망 및 사회적 지지와 허약간의 관련성 확인을 위해 교차표를 제시하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혼란 효과를 통제한 후 사회적 관계망 및 지지와허약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상, 전 허약, 허약의3개 범주의 비례오즈 모델(proportional odds models)을 사용하였다. 결과: 친구 및 친척과의 만남 및 사회 단체 참여 여부의3가지 사회적 관계망 항목을 합산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점수가 1항목 이하인 노인은 전체 노인의 10%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점수를 산출한 결과 노인 10명 중 1.4명의 노인이사회적 지지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사회적 지지 체계부족 3점 이하 전체 노인의 14%). 사회적 관계망이 양호한노인에 비해 보통인 노인은 전 허약과 허약의 위험이 1.38배증가하였고, 부족한 노인은 2배 이상(odds ratio [OR], 2.15;95% confidence interval [CI], 1.58-2.92) 전 허약과 허약의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체계가 양호한노인에 비해 보통인 노인은 1.73배, 부족한 노인의 전 허약과허약 위험은 약 2배 가량(OR, 2.01; 95% CI, 1.54-2.63) 증가한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네트워크와 같은사회적 요인이 허약의 결정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지속적으로 허약 노인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지지및 네트워크 부족 등의 다양한 사회적 요인의 특성들을 확인하는데 임상 분야 및 보건 분야에서 관심을 가질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농촌지역 노인의 허약수준 및 사회적 요인

        전경숙,조숙희 대한노인병학회 2014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8 No.3

        Background: Frailty, a multidimensional geriatric syndrome, confers a high risk of falls, disability,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frailty in older people dwelling in rural communities are unknown. Methods: We examined frailty, as defined by the Korean Geriatric Society, and social correlates among rural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n=419) aged 65 or older. Results: The prevalence of frailty and prefrailty was 11.5% and 38.7%, respectively. Among eight frailty criteria, the prevalence of multiple medications was highest (57.3%), while self-rated health as “unhealthy” was the second highest (45.1%). In contrast, the prevalence of exhaustion was the lowest (10%) among the eight frailty criteria. The prevalence of frailty was 12.6% among women and 6.3% among men (p=0.02). Uneducated older adul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frailty (13.1%) than any other educational groups (6.3-9.2%). In addition, older adults with high social support showed lower frailty than the other groups. After adjustment for other factors; however, a lack of social support (odds ratio for frailty, 1.98; 95% confidence interval, 1.14-3.44)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odds of frailty. Conclusion: Frailty is not uncommon among rural community-dwelling old men and women in Korea. In the rural community, females with a lack of social support might be at a higher risk of frailty, as those were two of the strongest risk factors discovered in this study. This study calls for more interest and concern for the frail older adults with a lack of social support in rural communities. 연구배경: 고령화사회에서 허약은 주요 보건문제로 지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 인구의 양적 증가 및 노인인구 구성의 변화가 급격한 농촌지역의 허약인구 규모 및 이에 관련된 요인에 대한 이해는 전혀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허약 유병률 및 관련 사회적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허약의 측정은 대한노인병학회의 포괄적 허약측정도구를 활용하였으며, 관련 요인은 인구학적, 경제적, 건강생활양식 및 사회적 지지 요인을 포함하였다. 허약 규모 파악을위해 연령표준화 유병률을 산출하였으며, 허약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요인 탐색을 위해서는 허약 수준을 허약, 전허약, 건강의 3개 범주하여 순서 로짓 회귀분석(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사용하였다. 결과: 농촌지역 노인의 허약 및 전허약의 성·연령표준화유병률은 각각 11.5% 및 38.7%로 나타났다. 8개의 허약 구성요인의 분포에 있어서는 다중복약(57.3%), 주관적 불건강호소(45.1%) 및 감각상실(43.2%) 순으로 높았으며, 우울호소(10.0%)가 가장 낮았다. 허약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요인 탐색결과 사회적 지지가 중간 정도의 낮은 노인은 사회적 지지가높은 노인에 비해 허약 위험의 교차비가 1.98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 농촌지역의 허약 및 전허약 노인의 규모는 10명 중5명에 해당하는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파악되며, 여성 노인 및사회적 지지가 낮은 노인은 허약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에도 농촌지역의 허약의 규모에 대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과 허약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위험 요인에 대한 추후연구가 반복적으로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노인골반 골절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동원,서정열,안무업,이재성,이태헌,김남호,조준휘,문중범,박찬우 대한노인병학회 2010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4 No.4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aspects of pelvic fractures in an aged group with a non- aged group and to delineate its characteristics to improve prevention and treatment. Methods: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of 100 cases were reviewed. Two groups were created, older than 65 years and younger than 65 years. In addition, the following were carefully examined and recorded-gender distribu- tion, cause and types of fractures, associated injuries, Injury Severity Score(ISS), Glasgow Coma Scale, need for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duration of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rate. Results: A difference in gender distribution was seen with 12 males and 26 females in the aged group and 35 males and 27 females in the non-aged group(p<0.05). The mechanism of injury for the aged group in decreasing order was pedst- rian accidents, falls, and passenger accidents while it was passenger accidents, pedestrian accidents, and falls for the non-aged group(p<0.05). Level of severity was higher in the non-aged group for fracture type, ISS, Glasgow Coma Scale,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and hospitalization duration. However, when ISS was greater than 15, this was seen in the aged group with also a higher mortality rate in the same group. Conclusion: Education and prevention, particularly about gender distribution and mechanism of injury, of pelvic fractures in the aged population are needed, and because of the potential seriousness of fractures in the elderly, active assessment and treatment are also necessary. 연구배경: 골반 골절은 다른 외상에 비해 중증도가 높고사망률이 높다. 이 연구 목적은 노인 인구에서의 골반 골절의임상 양상을 비 노인과 비교하여 그 특징을 알아내고 예방및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방법: 저자들은 2007년 3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응급센터에 골반 골절로 내원한 100예에 대해 의무 기록, 방사선학적검사에 대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65세 이상의 노인과65세 미만의 비 노인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연령에 따른성별분포, 손상 원인, 골절 유형, 동반 손상, Injury Severity Score, Glasgow Coma Scale, 중환자실 입원 여부, 입원 기간,사망률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성별 분포에서는 65세 이상의 노인에서 남성 12명,여성 26명, 65세 미만의 비 노인군에서는 남성 35명, 여성27명으로 차이를 보였다(p<0.05). 손상 원인으로는 65세이상에서는 보행자 사고, 추락, 탑승자 사고 순이었으며,65세 미만에서는 탑승자 사고, 보행자 사고, 추락 순이었다(p<0.05). 동반 손상은 65세 이상에서는 두경부가 16예로가장 많았으며, 65세 미만에서는 사지가 37예로 가장 많았다. Injury Severity Score, Glasgow Coma Scale에서 비 노인군이더 중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환자실 입원도 비노인군에서 더 많았다. 그리고 입원 기간 역시 비 노인군에서더 길었다. 하지만 ISS 15점 이상에서는 노인 군에서 ISS 점수가더 높았으며, 사망률 또한 노인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 성별 및 손상의 원인에 차이를 생각할 때 노인군에대한 교육 및 예방이 필요하며, 중증도가 높기 때문에 고령의골반 골절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감시 및 처치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노인 대상의 의료기기 임상 시험 및 부작용에 대한 피험자의 인지도 조사

        임지연,이호준,권범선 대한노인병학회 2012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6 No.3

        Background: Along with the recent greater number of medical devices for the elderly in the market, there has been a parallel increase in the number of clinical trials for these devices. It is uncertain, though, whether the target population has the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se clinical trials and the possible adverse events of the devices. Methods: A total of 147 elderly subjects (mean age, 65.8±8.3 years; 39 mal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 pilot study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n 2009 with the actual survey taking place from June to November 2011. The questionnaire included 22 items-10 items on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clinical trial; 4 items on the understanding of adverse events; and 8 items on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Results: Of the responders, 62.5% had participated in at least one clinical trial and had heard about the clinical trials through a doctor, newspaper, or television. And 63.3% of the responders understood that the purpose of the trial was to show efficacy and safety for the medical devi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awareness of the trial by gender and life level.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verse events awareness. Conclusion: Although elderly subjects participate in clinical trials, it seems they do not receive enough information when involved in clinical trials of medical devices. In the future, before these trials are carried out, medical device companies need to ensure that they provide their elderly subjects with better education and information. 연구 배경: 최근 국내에서 의료기기 산업의 발전 및 고령화사회로 노인 대상 의료기기 임상 시험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의약품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는 연구는있으나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 조사 연구는 부족하며 특히 노인들의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와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한 인지도 조사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하여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47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의료기기임상 시험과 부작용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를위한 설문지 작성을 위하여 2009년 예비 조사를 시행하였고그 내용을 기반으로 22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는 여러차례에 걸쳐 의료기기 임상 시험 센터 및 부작용 보고 자문위원단으로 구성된 전문가들로부터 검토를 받았다. 이 설문지를이용하여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2010년6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의약품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에 비해 의료기기임상 시험의 인지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기 임상 시험 경험에 따른 ‘의료기기 임상 시험용어 들은 경로’, ‘의료기기 임상 시험의 목적’에 따라 유의하게차이가 나타났으나 ‘의료기기 임상 시험의 대상’에 대한 질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의료기기 임상시험의 목적’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학력 수준에 따른차이는 없었다. 생활 수준에 따라 ‘의료기기 임상 시험의 용어를 들은 경로’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고, 종교에 따른 차이는없었다. 의료기기 임상 시험 인지 여부와 의료기기 부작용 인지 여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조사되어 지속적인 홍보와 안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의약품의 경우에 비하여 의료기기 임상 시험의 인지도가낮은 것은 임상 시험의 규모가 작으므로 예상된 결과이지만,의료기기 산업이 부가가치가 높고 친고령 의료기기 산업의발전 양상을 고려하면 노인군을 대상으로 한 의료기기 임상시험 인지도 제고가 시급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 농촌지역 노인에서 낙상 경험과 낙상 두려움이 일상활동 제한에 미치는 영향

        이주현,안은미,김계은,정유경,김정현,김지혜,이건아,임세진,정소원 대한노인병학회 2009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3 No.2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revalence of falls and to correlate if the fear of falling results in avoidance of activities in a rural community elderly population.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done in 299 rural residents in Korea aged >60 years, between June 19, 2007 and June 21, 2007. Questionnaires about basic demographics, falling events, fear of falling (K-ABC), and limitations of daily activities (K-IADL) were completed. Results: Among the 299 participants, 26.1% had experienced a fall. 197 participants confirmed that they experienced fear of falling (66.9%). This was further broken down to participants who were 'a little concerned’ (31.4%), ‘much concerned’ (20.7%), and ‘very much concerned’ (13.7%). 183 people (61.2%) had limited daily activities caused by a fear of falling. Fallers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anxiety and fear of falling than non-fallers (p<0.001). Comparing fear of falling with limited daily activities shows that the greater the fear of falling, the larger the limitation in daily activities and the lower the K-IADL score. After adjusting for fall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showed that fear of falling and limited daily activ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p<0.001). Among groups with fear of falling, non-fallers, exercise group (p=0.024), and good perceived health group (p=0.022) had no limitations in activiti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Conclusion: Modifying drinking habits, diet habits, and social activities associated with perceived health states may improve daily activity levels in the elderly residing in rural communities, even though they have the fear of falling. 연구배경: 최근 노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인 질환의 증가와 의료비 상승이 중요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의 낙상 경험 유무에 따른 낙상 두려움 정도를 조사하고, 낙상 두려움이 일상활동 제한 여부와 연관성이 있는가를 조사한 연구이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2007년 6월 19일에서 2007년 6월 21일까지 춘천시 사북면 5개 리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99명이며, 가정 방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 299명 중 지난 1년간 낙상을 경험한 노인은 78명(26.1%)이었고, 낙상 경험 노인과 비경험 노인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성별,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고혈압, 골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연구 대상자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은 197명(66.9%)에서 있었고, 대상자의 183명(61.2%)에서 낙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일상활동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 경험 유무에 따른 낙상 두려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낙상 경험 집단이 주관적 염려도 높고, 균형 자신감이 낮아 낙상에 대한 두려움이 낙상 비경험 집단보다 크게 나타났다(p<0.001). 낙상에 대한 두려움 유무에 따른 노인의 일상활동 제한 정도를 비교한 결과 두려움이 커질수록 주관적 일상활동 제한이 크게 나타나고, K-IADL(도구적 일상활동 수행능력) 점수도 낮아졌다. 낙상 경험을 보정하더라도 낙상에 대한 두려움이 커질수록 일상활동 제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01), 낙상에 대한 두려움이 있더라도 일상활동 제한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비 교 분석하여 관련 요인을 알아본 결과 낙상 비경험집단, 운동을 하는 집단(p=0.024),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은 집단 (p=0.022)에서 낙상 두려움이 있더라도 일상활동 제한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낙상에 대한 두려움은 자신감의 결여이며, 낙상경험과 무관하게 낙상에 대한 두려움 자체로도 일상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서 활동을 억제하게 되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낙상의 두려움이 있더라도 운동을 하고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은 집단에서는 일상활동 제한이 없다는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농촌 노인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교정을 통해 주관적 건강수준을 높인다면 낙상 두려움이 있는 노인일지라도 일상활동을 영위하는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일개 대학병원 노인의료팀에 의뢰된 정형외과 노인 입원 환자의 포괄적 노인평가

        김고은,김선영,원장원,최현림,김병성,조윤제 대한노인병학회 2014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8 No.4

        Background: With a rapidly aging population, more elderly patients are being hospitalized than before. Thus, a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medium is needed to carefully evaluate geriatric patients. The author’s university hospital has a geriatric medicine team to where patients are referred for comprehensive evaluations. Their services will be introduced here. Methods: From December 2010 to January 2012, the team performed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s comprising of a thorough review of systems, physical examination, and surveys, and reviewed past medical records of the elderly hospitalized patients aged 65 or over, referred from the Department of Orthopedics. Results: Of total 58 patients, 4 patients (6.9%) had severe dysfunction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the score of 16 or higher. Twenty-two patients (73.3%) ha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upon assessing cognitive function after excluding those previously diagnosed with dementia or those within 5 days after surgery, thus predisposed to delirium who had tested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for cognitive function level test. Fifteen patients (31.3%) had milddepression, while four (8.3%) had moderate depression; and 37 patients (67.3%) were at moderate risk and five (9.1%) were at high risk for developing delirium. Conclusion: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functional status of elderly hospitalized patients was helpful in detecting medical problems other than the initial diagnosis.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elderly patients we assessed were suspected to have cognitive impairment. 연구배경: 우리나라는 급속한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 입원 환자의 비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의 건강상태를 올바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포괄적 노인 평가가 필요하다. 저자가 소속된 대학병원에서는 노인의료팀을 구성하여 의뢰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포괄적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이러한활동 내용 및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 2010년 1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일개 의과대학 부속병원 가정의학과에 노인 평가 의뢰된 입원 환자 중 65세이상의 정형외과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노인의료팀에서 문진및 신체검사와 설문조사가 포함된 노인 포괄 평가를 시행하고대상자들에 대한 기존의 의무기록지를 조사하였다. 결과: 총 58명의 환자 중 입원 전 일상생활기능(K-ADL) 16 점 이상의 중증 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던 환자는 총 4명(6.9 %)이었고, 인지기능검사를 시행한 55명 중 치매의 과거력이있거나 섬망 발생 가능성이 높은, 수술일로부터 5일 이내인환자를 제외하고 경도 인지 장애나 치매가 의심되는 환자는총 22명(73.3%)이었다. 우울증 선별검사에서 경증 우울 상태가 의심되는 환자는 15명(31.3%), 중증 우울 상태가 의심되는환자는 4명(8.3%)으로 나타났다. 섬망 위험도는 37명(67.3%) 이 중등도 위험군, 5명(9.1%)이 고위험군이었다. 결론: 입원 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포괄적 노인 평가를 시행하여 기존의 질환 외의 새로운 의학적 문제점들을 발견할수 있었고, 특히 인지기능 장애가 의심되는 환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 임상시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김선욱,정희원,박미란,정재용,이근욱,김지현,이종석,김광일,김철호 대한노인병학회 2014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8 No.3

        Background: Clinical trials are widely used to approve the efficacy and discover adverse reactions of new drugs. However, there has been much concern about the unjustified exclusion of the older adults in clinical t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geism in clinical trials and to find solution to any discovered discrimination. Methods: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650 experts including doctors, pharmaceutical staff, and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members. An offline inquiry was conducted by 250 experienced professors from a single tertiary hospital and other allied professions. The questions covered the current state of elderly participation, possible reasons for under-representation, and plans for its solution. Results: Among 1,900 subjects, 246 (12.9%) individuals completed the survey. We excluded the six subjects who did not answer more than 10 questions, and analyzed the remaining 240 respondents. They agreed that there are tendencies to exclude the aged from clinical trials (69.2%), and that under-representation would cause difficulties for doctors and geriatric patients. Most people (84.6%) thought that treating older adults with the results from trials which exclude aged participants is inappropriate. Because respondents had difficulties explaining the trial process and obtaining informed consent, they thought establishing a geriatric clinical trial team would be highly effective. Experts also believed that financial inducements and legal regulations are required to increase elderly enrollment. Conclusion: Because the elderly have a unique physiology, the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in clinical research is indispensable for verifying efficacy and determining potential adverse reactions. Consequently, clinical research professionals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 participation of older subjects, and the authorities must begin to care about age discrimination in research fields. 연구배경: 새로운 약품이 개발될 때 그 효과나 안정성을 입증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하게 되는데, 결과를 돋보이게 하거나 연구 진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를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전문가의 견해를 통해 노인임상시험 참여 현황을 알아보고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하였다. 방법: 의사, 제약 업계 종사자, 임상시험 수탁기관 종사자등 전문가 1,650여명을 상대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노인 관련 임상시험 경험이 많은 일개 종합병원의내과, 신경과, 정신과 교수 250명을 상대로 오프라인 설문 조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결과: 설문조사에 응답한 246명 중 20% 이상의 문항에 무응답한 6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24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69.2%가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율이 낮은 편이라고 응답하였고, 다른 직종들(64.1%)에 비해 임상의사(83.8%) 가 더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율이 낮은 편이라고 생각했다(p=0.003). 상당수의 응답자들은 노인의 저조한 임상시험 참여율이 치료에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으며(86.1%), 노인들에게 불이익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78.3%) 대답하였고, 성인을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 결과를 추론하여 곧바로 노인에게 적용할 수 없다는데 84.6%가 공감하였다. 전문가들은 노인 피험자 모집에 있어 ‘임상시험을 설명하거나, 동의를 받기 어려운점’ 등을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피험자 중 일정 비율을 노인으로할당하는 방법’과 ‘노인 피험자 모집에 경제적인 동기를 제공’, ‘노인 전담 연구 인력 충원’, 그리고 ‘임상시험 추적 관찰 시 교통편의나 유연한 일정을 제공’하는 방법 등이 거론되었다. 결론: 노인은 약물의 작용 및 대사 과정이 젊은 성인과는다르며, 동반 질환이 많고 다약제 사용이 흔하므로, 성인만을대상으로 얻어진 임상시험 결과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임상적용에 있어 유용하고 타당한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 노인의임상시험 참여는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연구자는 노인 친화적인 연구 설계 및 진행에 힘쓸 필요가 있다. 감독 당국이나임상시험 윤리위원회는 피험자 선정 과정에서 노인을 부당하게 차별하지 않는지 살펴야 하며, 제약업계 또한 노인에 대한효능 및 부작용 검증이 신약 개발에 꼭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유기인계 중독 환자에서 연령에 따른 특징 및 예후

        임승욱,박승민,이영환,이원웅,안지윤,손유동,안희철,김현 대한노인병학회 2013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7 No.4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mortality in organophosphate intoxicatio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lderly (≥65 years) and younger adults (18-64 years) looking at vital sign, length of admission, cholinesterase activity, complications, and prognosis. Methods: All patients visiting one Emergency Department (ED) with organophophate intoxication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11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geriatric adults (≥ 65 years) and nongeriatric adults (18-64 years).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155 patients (45 patients, ≥65 years; 110 patients, 18-64 years) presented to the ED with organophosphate intoxication. Thirty-six elderly patients (80.0%) vs. 63 younger adult patients (57.3%) were intubated endotracheally, with the analysis showing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p=0.026). Twenty-two elderly patients (48.9%) vs. 23 younger adult patients (20.9%) went into shock, displaying a significant gap (p=0.008). Thirtyfive elderly patients (81.4%) vs. 62 younger adult patients (59.0%) developed respiratory complications and 20 elderly patients (46.5%) vs. 19 younger adult patients (18.1%) developed central nervous system complications, with obvious differences seen in each of the comparison at (p=0.031) and (p=0.005), respectively. Comparing plasma cholinesterase levels at 1st, 3rd, 5th, 10th, 15th, and 20th days, the rate of increase was faster in the younger adults (p=0.022). Conclusion: With organophosphate intoxication, elderly patients tended to be intubated endotracheally, went into shock, developed central nervous system complications, were more severe, and showed a slower increase in cholinesterase level. 연구배경: 유기인계 중독 환자에서 65세 이상 환자(노인군)와64세 이하 환자(청장년군)로 분류하여 생체징후, 입원 기간,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 합병증, 퇴원 예후 등을 비교하여 연령에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사망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유기인계중독으로 응급센터로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수집하여 조사하였다. 그 중 18세 이하의 환자,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 종양이 있는 환자, 영양 상태가 악화되어 있는환자, 감염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65세이상의 노인군과 64세 이하의 청장년군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 환자는 총 155명으로 노인군 45명, 청장년군110명이었다. 기관 내 삽관 시행률을 비교한 결과, 노인군 36명(80.0%), 청장년군 63명(57.3%)으로 차이가 있었고(p=0.026), 승압제 중 도파민(dopamine)을 투여한 경우가 노인군 7명(15.6 %), 청장년군 11명(10.0%)으로 차이가 있었다(p=0.022). 흡인성 폐렴 발생률은 노인군 16명(45.7%), 청장년군 17명(19.5%) 으로 차이가 있었고(p=0.017), 쇼크 발생률 역시 노인군 22명(48.9%), 청장년군 23명(20.9%)으로 차이가 있었다(p=0.008). 호흡성 합병증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노인군 35명(81.4%), 청장년군 62명(59.0%)으로 차이가 있었고(p=0.031), 중추신경계 이상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노인군 20명(46.5%), 청장년군19명(18.1%)으로 차이가 있었다(p=0.005). 1일, 3일, 5일, 10일, 15일, 20일 혈장 콜린에스테라제를 비교했는데, 노인군 보다청장년군에서 증가 속도가 빨랐다(p=0.022). 결론: 유기인계 중독 환자 중 노인군이 청장년군 보다 기관내 삽관 시행률, 흡인성 폐렴 발생률, 쇼크 발생률, 중추신경계이상 발생률, 중증도가 높았으며,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가낮았다.

      • KCI등재후보

        요양시설 입소 노인들의 신체 및 감정 상태

        황희진,이경연,김상환 대한노인병학회 2010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4 No.3

        Background: The aim of the Long-term Care of Older People via Incheon Nursing Home Network (LOVE) study was to evaluate disease status and its association with physical activity and emotional status among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379 nursing home residents aged 65 years and older, of which 260 were excluded due to lack of baseline information. Data regarding major diseases from 1,119 people were analyzed to compare prevalence according to age. Data about physical function and emotional status on admission from 497 residents were analyzed looking for contributing factors to limited function and unstable emotion. Results: Hypertension was the most common ailment at 58.6% of the total followed by dementia (50.6%), stroke (28.7%) and diabetes (24.2%). Prevalence of diabetes (p<0.001) and stroke (p<0.001) were relatively low in the older age groups but that of osteoarthritis (p<0.001) and dementia (p=0.001) were relatively high. After adjusting for age and sex, limited physical activity was more frequent in those with strokes (odds ratio [OR], 3.7 [2.1-6.2], p<0.001) and fractures (OR, 2.1 [1.1-4.1], p=0.023). Unstable emotion was more frequent in residents with dementia (OR, 1.9 [1.3-2.8], p=0.001). Conclusion: The most common diseases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in decreasing order, were hypertension, dementia, stroke, and diabetes. Diseases related to the need for physical aids were strokes and fractures.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management of unstable emotional status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are needed. 연구배경: 요양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건강 상태를파악하고, 그들이 가진 주요 질환들이 신체활동 정도 및감정 상태와 각각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를 알아보고자한다. 방법: 2008년 8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인천광역 노인의료복지 네트워크에 속한 요양시설에 입소한 65세 이상 노인1,379명 중에서 자료가 미비한 자를 제외한 1,119명을 대상으로 진료 차트 및 처방 내역을 분석하여 나이, 성별 그리고질병 상태 등을 조사하였고, 입소자 건강수준 평가가 시행된자료가 있는 497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정도와 감정 상태에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요양시설 노인들에서 흔한 질병은 고혈압(58.6%)이었고, 치매(50.6%), 뇌졸중(28.7%), 당뇨병(24.2%)이 뒤를이었다. 당뇨병, 뇌졸중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연령군에서 상대적으로 유병률이 낮았다(모두 p<0.001). 이와는반대로, 관절염(p<0.001)과 치매(p=0.001)는 높은 연령군에서 상대적으로 유병률이 높았다. 나이, 성별을 통제하고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뇌졸중이나 골절의 과거력이 있는 노인들이 없는 노인들보다 제한적인 신체활동을보이는 경우가 각각 3.7배, 2.1배 높았다. 그러나, 치매가있는 노인들은 없는 노인들보다 불안정한 감정 상태를 보이는 경우가 1.9배 높았다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입소 노인들에게 흔한 질병은 고혈압, 치매, 뇌졸중 순이며 유병률 또한 높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신체적으로 요양시설 종사자들의 도움이 필요하게만드는 질병은 뇌졸중과 골절이며, 치매 노인은 불안정한감정 상태가 많아 이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및 대책이 필요하리라 본다.

      • KCI등재후보

        응급센터에서 노인 요관결석 환자의 진단적 특징

        심현석,최한성,이종석,홍훈표,고영관 대한노인병학회 2014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8 No.4

        Background: Incidence rate of ureterolithiasis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in general, with an especially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over 65 years of age.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geriatric patients diagnosed with uureterolithiasis in an Emer- gency Center were examined. Methods: A total of 613 consecutiv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ureterolithiasis through computed tomography from January 2012 to March 2014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 two groups: the geriatric group and nongeriatric group. Results: Among the 613 patients, there were 64 geriatric patients (≥65 years, 10.4%) and 549 nongeriatric patients (<65 years, 89.6%). In the geriatric patients, 13 patients (20.3%) appeared without any pain or with atypical types of pain, while 39 of the nongeriatric patients (7.1%) had no pain or atypical symptoms, presen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Gastrointestinal symptom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were more common in geriatric patients than in nongeriatric patients (42.2% vs. 29.9%, p=0.044), while lower positive rate of microscopic hematuria was reported (78.1% vs. 90.5%, p=0.002). Furthermore, in geriatric patients, the positive rate of costovertebral angle tenderness was lower and distal ureter stones were found to be more common, while urine pH and serum creatinine levels were higher. Conclusion: In comparison to nongeriatric patients, geriatric patients with ureterolithiasis showed lower rates of renal colic and hematuria, while showing higher rates of having gastrointestinal symptom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Thus, diffe- 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should be considered in evaluating geriatric patients to prevent complications which may be caused from the late diagnosis of ureterolithiasis. 연구배경: 전 세계적으로 요관결석의 발생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65세 이상의 연령에서 발생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응급센터를 방문하여 요관결석으로 진단된 노인 환자들의 진단적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응급센터를 방문하며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을 통하여 요관결석으로 진단된 환자를 노인 요관결석 환자군과 노인이 아닌 요관결석 환자군으로나누어 두 군 간의 특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613명의 요관 결석환자 중 노인(≥65세) 요관결석 환자는 64명(10.4%)였으며, 노인이 아닌(<65세) 환자는 549명(89.6%)이었다. 노인 요관결석 환자군에서 통증이 없거나 비전형적인 통증을 보인 환자는 13명(20.3%)였고, 노인이 아닌환자군에서는 39명(7.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노인 요관결석 환자군에서 노인이 아닌 환자군보다 오심 및구토 등의 소화기 증상이 더 흔했고(42.2% vs. 29.9%, p=0.044), 양성 현미경적 혈뇨의 비율이 더 낮았다(78.1% vs. 90.5%, p=0.002). 이 밖에 늑골척추각압통은 더 적었고 요석의 위치가 하부요관에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소변 ph와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가 더 높았다. 결론: 노인 요관결석 환자는 노인이 아닌 환자에 비해 급성옆구리 산통이 적고, 오심, 구토와 같은 소화기 증상을 보이는경우가 많았으며, 혈뇨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노인 요관결석 환자를 진료할 때 이와 같은 특징을 고려하여 요관결석의 진단이 늦어져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합병증을 예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