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긴장증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고찰

        송지영,윤도준,변재영,장환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9 신경정신의학 Vol.28 No.3

        26 cases(9 males and 17 females) with catatonia features on admiss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its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In the diagnostic distribution, more than a half of the cases were schizophrenic disorders(57.5%) and the others were major depressions(26.9%)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s(15.4%). 2) The catatonia signs were nonspecific and evenly distributed among a variety of clinical diagnostic entities. But the signs of negativism, mutism, and posturing appeared frequently in all cases. 3) Acute onset was prevalent(65.4%), ECT was more frequently applied(61.5%) and treatment response was better(70.9%) in the catatonia group than non-catatonia. Although the definition of catatonia is not clear yet, above results support the opinions of previous studies that catatonia should be understood as a heterogenous symptom complex. And not only schizophrenia but also affective disorder are associated with catatonia features. This suggests that we have to re-evaluate the concept of Kahlbaum's old description.

      • 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뇌동맥류의 진단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 뇌혈관조영술과 고식적 뇌혈관조영술의 비교

        송상현,윤수한,안영환,안영민,조기홍,조경기,김선용,서정호 대한신경외과학회 1996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5 No.10

        Cerebral angiography has been essential for the diagnosis of the intracranial aneurysms but. is sometimes accompanied by serious complications. Resolution of CT angiography was up-graded greatly to represent the three-demensional structure of vesseles since helical CT had been introduced. We have compared 26 cases of CT angiography and 28 cases of conventional angiography in terms of specificity and sensitivity for the diagnosis detectable aneurysm diameter. configurational diagnosis and diagnostic confidency. All result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T angiography and conventional angiography. These should suggest that CT angiography could be replaced with conventional angiography for the diagnosis of ruptured aneurysms and even of unruptured aneurysms. resulting in the introduction of first screening modality of unruptured aneurysms.

      • SCOPUSSCIEKCI등재

        류마치스성 제1-2경추 아탈구 : 증례보고 Report of A Case

        송상현,윤수한,조기홍,안영환,안영민,조경기 대한신경외과학회 1996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5 No.10

        Authors report a case of one-stage transoral decompression and posterior fusion in rheumatoid atlantoaxial subluxation. A 63-year-old man developed a rheumatiod atlantoaxial subluxation with mild weakness of all extremities which developed relatively suddenly 3 months after the initial symptom of neck pain. Skeletal traction followed by transoral decompression and occipitocervical fusion was performed on the same day. Postoperative course has been uneventful and revealed favorable fusion state of occipito-atlanto-axis. The pertinent literature on theumatoid atlanto-axial subluxation is reviewed and discussed.

      • 高品質 豚肉 生産을 위한 고구마 사일리지의 開發에 關한 硏究 : 2. 肥肉豚에 대한 고구마 사일리지 給與가 生産形質과 經濟性에 미치는 影響 2. Effects of Feeding the Sweet Potato Silage on Performances and Production Cost of Finishing Pigs

        宋瑛敏,高永杜,文勝式,金斗煥,鄭孟和 진주산업대학교 농업기술연구소 1999 農業技術硏究所報 Vol.12 No.-

        본 연구는 고구마 사일리지를 이용한 고품질 돈육 생산을 위하여 고구마 사일리지가 돼지에 대한 생산형질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양시험은 고구마 사일리지를 고구마 70, 맥강 20, 대두박 10의 비율(사일리지 1)과 고구마 70, 맥강 30의 비율(사일리지 2)로 500kg 용 사일로에 충진하여 21일간 발효시켜 제조하고, 급여시기를 각각 체중이 75kg 과 90kg부터 시작하여, 급여시간은 각각 32일과 25일로서 체중 110kg까지 사육하며, 동일한 교배조합(LYD)으로 생산된 육돈 암컷을 3반복, 반복당 18두씩 총 324두를 공시하였으며, 고구마 사일리지 급여량을 하루에 두당 0.4kg씩 공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구마 사일리지를 급여한 경우 개시 체중 75kg과 90kg 공히 종료시 체중, 증체량, 일당증체량 및 사료효율은 배합사료를 무제한 급여하는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배합사료의 섭취량과 일당사료섭취량은 유의적으로 적게 섭취하였으나, 고구마 사일리지를 건물로 환산하여 합산한 총사료섭취량은 대조구와 고구마 급여구간에 비슷하게 나타났다. 2. 고구마 사일리지를 급여한 경우 배합사료의 섭취량은 줄어들어 배합사료비가 절감되나 고구마 사일리지를 섭취함으로서 총사료비는 비슷하다. kg 증체에 소요되는 사료비는 높게 나타났고, 배합사료급여를 기준한 생산 지수는 고구마 사일리지 급여구가 40∼50% 이상의 사료비가 추가로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ing sweet potato silages on live performance and production cost in finishing gilts. Two sweet potato silages containing same ingredients with different ratios(silages 1 and 2; 70 and 70% sweet potato, 20 and 30% barley bran, 10 and 0% soybean meal, respectively) were fermented for 21 days in 500 kg-capacity silos. Finishing gilts were fed a commercial finishing diet(CONT), or the same basal diet plus 0.4kg silage 1(TRT 1) or silage 2(TRT 2)/head/day beginning from either 75kg or 90kg of body weight up to approximately 110kg of final weight and the whole experiment was repeated 3 times. 1. TRT 1 and TRT 2 were lesser than CONT in final weight, total weight gain, average daily gain, feed efficiency and total and daily basal diet intake, but not in total dry matter intake including the silage. 2. Compared with CONT, TRT 1 and TRT 2 showed a reduced basal diet cost resulting from the reduced intake of it, but total feed cost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feeding regimens. Total feed cost per kg weight gain, however, was increased 40∼50% by supplementing the silage.

      • 畜舍의 施設要因이 家畜의 福祉와 生産性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最近 硏究 動向

        宋瑛敏,金斗煥 진주산업대학교 1991 論文集 Vol.29 No.-

        가축의 생산성 증진을 위한 연구가 가축의 각종 환경분야로의 접근으로 지속되어 왔던바, 근래 가축의 복지향상을 통한 유전적인 잠재능력을 극대화하려는 노력들이 기울여지고 있다. 그러나 환경인자의 다양성과 작용기전의 복합성 및 측정방법의 비객관성으로 특정 환경인자의 독립적인 영향을 밝히기란 어려운 점이 많다. 가축의 복지와 생산성에 미치는 각종 환경요인의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도 모호한 점이 많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가축의 최적 생산환경 조성을 위한 모든 조치는 가축의 안락을 통한 생산활동의 지원에 있으므로 이 분야의 연구는 지속되어야 한다. 특히 인위적으로 가해지는 각종 환경요인의 영향이 규명되지 않고서는 관리기술의 진보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할 것이다. 가축복지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을 조사한 것으로 환경을 지배하는 시설요인이 가축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여러 연구자들의 발표를 정리한 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축군의 관리 측면에서 신체 일부분의 절단, 축군의 재배치와 혼합, 고립 혹은 격리 및 수송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가축의 행동양식과 생산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각각의 효과는 축종에 따라 상반 될 수 있다. 2. 조기이유는 비정상정인 행동을 초래하며, 경우에 따라 장기적으로 영향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도살전 취급방법에 따라 육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사육밀도 및 축군의 크기는 시설의 경제성과 관계가 매우 깊으며, 가축복지적 측면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4. 바닥면의 조건은 열환경을 지원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일 뿐아니라 가축의 안락감에 가장 크게 영향하는 요인이다. 결론적으로 가축의 환경을 지배하는 모든 비기후적 인자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앞으로 가축은 물론 관리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여 최적 복지조건을 조성하고 생산성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특히 축사의 시설요인은 가축의 복지 및 행동습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시설요인에 의한 생산성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 분야의 많은 연구가 요청된다. This review concentrated on recent studies published in the effect of housing conditions and manipulating husbandry systems on animal welfare and productivity. We should use the word "Welfare" in a scientific way so that may be useful when considering animal management or control of animal environment. When evaluating systems for housing conditions, manipulating factors and so on, we need precise measurements of how poor the welfare is. An accurat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both welfare and productivity is difficult. Since the measuring instruments are imprecise, any assessment of the correlation between welfare and productivity is often speculative. Notwithstanding these methodological problems a number of studies have indicated that some husbandry practices adversely affect both productivity and welfare. Further studies of animal welfare is required in relation to good welfare improving productivity.

      • 증기발생기 세관에서 결함 선단 변화에 따른 와전류 결함신호의 분석

        송성진,김의래,김창환,김영환 성균관대학교 기계기술연구소 2001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기계기술편 Vol.4 No.1

        Eddy current signals from flaws with tip variation in steam generator tubes were analyzed. Using finite element models, abundant flaw signals from two dimensional axisymmetric flaws will tip variation were generated. Features of ECT signal were defined and extracted, and sensitive features for flaw classification and sifting were selected. Two neural networks were employed for flaw characterization and sizing. The intercept vector was introduced as a new feature, and its usefulness was discussed.

      • 도축돈 장분변으로부터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의 분리와 성상

        송영환,김지영,채미경,박창식,김명철,전무형 충남대학교 형질전환복제돼지연구센터 2007 논문집 Vol. No.10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STEC) causes various clinical signs in human and animals, and has been indicated as a global enteropathogen with zoonotic importance. In this study, the feces of healthy pigs were collected from the slaughtered pigs of Daejon abattoir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2001 to October 2002. Of 326 specimens, 13 STEC were confirmed by culture, PCR and colony hybridization. The isolates were further studied for toxin types, pathogenic factors, plasmid profil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to characterize the genetic and toxigenic properties. In PCR, all of 13 isolates were evident to have shiga toxin gene (stx). Of 13 isolates stx1 gene was detected in 4 and stx2 gene in 9. The genes of eaeA, hlyA and rfbE were not present in any isolates. In colony hybridization using shiga toxin common primer (STXc), 2 to 9 per 100 colonies subcultured from 13 isolates showed the positive reaction. In the examination for plasmid profiles of the isolates, one to eleven plasmids with varying sizes of 1.0 Kb to 100 Kb were detected, and the 13 STEC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 plasmid patterns.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the isolates were comparably corresponded with the plasmid profile patterns.

      • 胡 Silage의 好氣的 變敗에 形하는 豫乾과 Propionic acid 및 Lactic acid bacteria의 效果

        宋瑛敏,金斗煥 진주산업대학교 1992 論文集 Vol.30 No.-

        호맥을 재료로 예취직후와 하루동안 예건한 후에 propionic acid를 재료 중량의 0.7% 처리하고 Lactobacillus plantarum을 10^5개 수준으로 첨가하여 silage를 제조하여 60일간 실내에서 보관하였다. 개봉후의 호기적 조건으로 silage의 각종 성분의 변화에 의한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호기적 기간동안 온도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무처리보다 propionic acid 및 Lactobacillus plantarum 첨가한 것은 온도변화가 완만하였다. 2. 호기적 조건으로 인한 pH 변화는 무처리구는 크게 증가되었으나, propionic acid 및 Lactobacillus plantarum 첨가구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3. 호기적 기간동안의 유산함량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되었으나, 예건을 하고 Lactobacillus plantarum 첨가구가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4. 초산함량의 변화 또는 유산함량의 변화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5. 낙산함량의 변화는 호기적 기간동안 큰 변화는 없었으며, Lactobacillus plantarum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6. 총질소 함량 및 암모니아태질소 함량은 호기적 조건으로 증가되었으며, 총질소에 대한 암모니아태질소의 비율도 증가되어 품질이 떨어짐을 나타내었으나, propionic acid 및 Lactobacillus plantarum 첨가구는 품질 변화가 크지 않았다. 7. 호기적 조건에서의 silage의 화학적 조성은 큰 변화가 없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pionic acid and lactobacillus plantarum preventing on aerobic deterioration of Rye plant silages. Grass material was wilted for a day before ensilng and propionic acid 0.7% (w/w), lactobacillus plantarum 10^5 of fresh matter was application at ensuing time. Changes in fermentation acids, temperature, pH, distribution of the nitrogen contents were evaluated from the time of opening the silo until the 7th day of aerobic exposure perio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During the 7 days of aerobic exposure period the temperature of silage with all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d. 2. Changes in pH values during the 7 days of exposure period, silage without any treatment dramatically increased while, pH values of silages treated propionic acid and lactobacillus plantarum remained nearly constant. 3. Lactic acid content was decreased in all silages while silage treated lactobacillus plantarum little changes in aerobic deterioration. 4. Acetic acid content was decreased for the silages treated lactobacillus plantarum. 5. Changes in butyric acid content was little, silages for lactobacillus plantarum treated lowest. 6. During the aerobic exposure period, total nitrogen and ammonia nitrogen content was increased, but silage for the propionic acid and lactobacillus plantarum treated fermentation quality was no marked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