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근린공원에 대한 환경지각이 이용자의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박영은,이우성,정성관,박경훈,Park, Young-Eun,Lee, Woo-Sung,Jung, Sung-Gwan,Park, Kyung-H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근린공원에 대한 이용자의 공원지각환경이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공원별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먼저 공원별 공원지각환경에서는 대부분의 공원이 집에서 공원까지의 거리와 집에서 공원까지의 길 환경이 높게 평가된 반면, 수공간과 공원 내 다양한 볼거리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23개의 지각환경 변수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경관성, 안락성, 접근성, 활동성, 편의성, 쾌적성의 6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토대로 건강증진인식과 지각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8개 공원 중 4개 공원에서 지각환경요인이 신체적 건강증진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접근성과 활동성이 3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또한, 심리적 건강증진인식의 경우, 8개 공원 중 5개 공원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이 4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기존의 공원 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공원을 조성하고자 할 때 효율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 in neighborhood parks on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This study used objective field survey data and subjective user survey data at 8 neighborhood parks in Changwo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erceptions of distance and street environment from home to park were evaluated highly but the perception of water spaces and various attractions within the parks were rated lowly in most of park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23 environmental perception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6 factors such as scenery, comfort, accessibility, activity, convenience and amenity. For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based on 6 factors, the recognition of physical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from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n 4 parks among 8 parks. 'Accessibility' and 'activity' were analyzed as the meaningful factors in 3 parks. Also, recognition of mental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from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n 5 parks among 8 parks and especially 'accessibility' was showed as the significant factor in 4 park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present parks and can be a basic data for new park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거주지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이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 -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대상으로 -

        이우성,정성관,박영은,Lee, Woo-Sung,Jung, Sung-Gwan,Park, Young-E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6

        본 연구는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 유무에 따른 거주지 주변 환경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거주지 환경인식특성이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근린공원 및 유원지로 설정하였으며, 총 303명의 설문응답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총 16개의 물리적 환경인식 지표들 중 시장 및 상가시설의 접근성, 대중교통의 이용성, 공원 등 녹지공간의 접근성, 충분한 보도, 횡단해야 하는 도로의 수, 운동인구를 포함한 6개의 지표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을 이용할 확률은 공원 등 녹지공간의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2.326배, 주변에 운동하는 인구가 많을수록 1.701배, 횡단해야 하는 도로의 수가 적을수록 1.617배, 충분한 보도가 설치되어 있다고 인식할수록 1.642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거주지 주변에 이용 가능한 공원녹지를 확대하고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주거지와 공원을 연결하는 보행자 전용도로를 계획하는 등 보행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perception on park use for health. The study area is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city. The analysis results are based on questionnaires of 303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s of accessibility to a marketplace, availability of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to the park, enough sidewalks, number of crosswalks, and athletic population. The probability of park use increased by 2.326 times as the satisfaction of accessibility to the park increased. Also, greater athletic population, fewer crosswalks, and more sidewalks lead to increase of park use by 1.701, 1.617, and 1.642 times,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vailable neighborhood parks around residences and to develop exercise programs that people can use continuously in order to vitalize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Al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walking such as development of pedestrian streets or malls between residences and parks.

      • KCI등재

        A Study on the Literary Activities and Performing Arts of Soviet Korea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Focusing on the anti-Japanese struggle and the cultural transformation of ethnic consciousness -

        Park, Young Eun(박영은)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고려인들의 활동공간이었던 ‘극동 아시아’를 독립투사들의 공간으로만 제한적으로 인식하고, 이 곳이 문화예술인들의 항일의식이 대중적인 문화운동으로 전개된 곳이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하지만 일제강점시기 러시아극동 아시아에서 활동하던 고려인 예술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일본의 제국주의적 야욕을 규탄하며 우리의 민족혼을 되살리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그 대표적인 작가로서 본고에서는 일제의 침략과 식민화, 디아스포라의 고난에 대해 뚜렷한 문제의식을 지니고, 문학 특히 연극을 통해 그 정신을 드러내고자 했던 조명희, 연성용, 태장춘 등의 작품세계를 중점적으로 고찰했다. 그리고 그들이 표명했던 소비에트 혁명정신과 연계한 항일저항의식 및 사회주의 민족의식 표출, 한국 고전작품의 각색 및 수용을 통한 민족의식 고양, 실존인물의 문학적 현실화와 실제 영웅에 대한 극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고려인 문학의 선구자로 일컬어지는 조명희의 행보에서도 나타나듯이, 소련의 사회주의 혁명 이후 고려인들은 소비에트의 혁명정신과 일본에 대한 저항정신을 동일시했다. 그들에게는 일제로부터 해방되기 위해서는 소비에트와 연합하여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는 것이 급선무였기 때문이다. 또한 연성용과 태장춘의 경우에는 조선의 고전작품들을 새롭게 부활시키며 각색이나 재상연을 통해, 그리고 그 연극에 삽입된 노래들을 통해 민족의 뿌리를 잊지 않으려는 노력을 경주하는 동시에 현지의 문화예술과 융합되며 다문화적 변용을 보여주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극동아시아에서 창설되어 중앙아시아로 이전하게 된 ‘고려극장’이 고려인들의 정신을 결속시키며 문화정체성을 고양하는 요람이 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This study was founded on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the space of Soviet Korean people, the Far East Asia, is rec ognized as being limited to the space of independent fighters, and that little is known in Korea about the anti-Japanese consc iousness of Soviet Korean cultural artists and related popular cultural movements. Writers who were the focus of this study such as Cho Myeong-hui, Yeon Seong-yong, and Tae Jang-chun, among others, come to gain distinct ideologies and awaren ess by living through the Japanese aggression, colonization, and weary life of diaspora from a young age, and sought to reve al these things through literature, especially in their plays. As examples, the discussion centered on the expression of anti-Ja panese resistance and socialist national consciousness in conjunction with the Soviet revolution, the uplift of ethnic conscio usness through the adaptation and acceptance of Korean classical works, the literary realization of existential figures, and th e dramatization of real heroes. Now is the time to reassess their feats and conduct more full-fledged research into their work and performanc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카자흐스탄 문화협력을 통한 박근혜 정부의 인문정신문화 진흥을 위한 제언

        박영은(Park, Young-E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아시아문화연구 Vol.39 No.-

        본고에서는 박근혜 정부가 4대 국정운영 기조의 하나로 내세운 ‘문화융성’의 실질적 추진이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협력을 위한 로드맵으로 적용 · 확대하기를 제안했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가 제시한 인문정신으로 문화융성의 길을 열기 위한 7대 중점과제 가운데 ‘인문정신문화 분야 국제교류 활성화’는 카자흐스탄과의 문화교류와 협력을 위한 실천 과제에도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금까지 한 · 카 문화협력에서의 문제점을 직시하는 동시에 한국과 카자흐스탄 역사의 접점이 될 수 있는 인문정신 부여가 현 정부의 문화융성 슬로건에 상응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이며, 이것이 어떤 새로운 문화렵력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박근혜 정부가 진정으로 문화융성과 인문정신 부활을 원한다면 어떤 가치를 지켜야 할지, 특히 이것이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협력 매개점으로 언급하는 고려인에 대한 재인식과 그들의 삶이 예술로 승화한 현장을 어떻게 복원시킬 수 있는지를 고심했다. 더 나아가 카자흐스탄과의 교류에 있어서 한류의 인기에 힘입어 《주몽》이 나 《대장금》 같은 인기 드라마 몇 편이나 K-POP에 의존해 정부 주도로 노력해야 하는 협력 또는 지원을 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우려를 극복할 수 있도록 현 실상을 짚어보고 문화렵력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우리 정부는 양국의 국제협력을 관행적으로 친선방문이나 문화교류 정도로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서 한-카자흐스탄 문화 협력에 대한 가치 있는 청사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며 유라시아 시대를 맞이한 한-카자흐스탄의 교육 협력 추진,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체계적 연구 및 예술인들을 위한 필드 스테이션(Field Station) 구축, 고려인들의 구전자료 및 창작자료에 대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아카이브 작업,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역사문화 기념사업과 OSMU 결합 방식 모색으로 박근혜 정부의 ‘인문정신문화’ 확산과 카자흐스탄과의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The concept of promoting a humanistic and cultural ethos can be applied to Korean-Kazak cultural cooperation, since the life and art of Koryo-ins in Kazakhstan share characteristics in common with the humanistic and cultural ethos that Korea is trying to promote. For the sake of Korea’s own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it is crucial for us as well to understand the history, culture and art of the Koryo-ins. It is hoped that the Park administration’s cultural policies will be implemented in a way through which the Korea-Kazak relationship can grow stronger, and in this sens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can be made 1)Korean-Kazak educational cooperation in the ‘Eurasia era’, 2)systematic research on the Koryo-in diaspora literature, and creation of ‘field stations’ for artists, 3)digital archiving of oral and creative records of the Koryo-ins, 4)commemorative historical projects between Korea and Kazakhstan, and the one source multi-use concept. The Park administration has prepared a variety of education and other programs to spread the liberal arts spirit in our society, and to enrich the national culture in the longer term. This approach that has just been implemented in Korea needs to be promoted outside of Korea as well by creating synergies with the government’s ‘Eurasia Initiative.’ In this process, the government should pay greater attention to another form of our history, culture and art that has blossomed in Kazakhstan.

      • KCI등재

        성장기 수컷 흰쥐에서 머위잎 첨가식이가 골대사 지표와 골밀도 및 골함량에 미치는 영향

        박영은(Young-Eun Park),최미자(Mi-Ja Choi) 한국차학회 2021 한국차학회지 Vol.27 No.2

        머위는 폴리페놀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특히 머위 잎에는 푸키놀릭산, 플라본 글리코시드, 페닐프로페놀 술폰산 등의 폴리페놀이 풍부하며 참취나 씀바귀에 비해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 무기질이 풍부하다. 이처럼 무기질과 기능성물질이 풍부하다고 알려진 머위는 옛날에는 새순은 말려서 달여 마셨고 최근에는 말린잎 외 티백 형태의 차로 판매되고 있다. 폴리페놀과 칼슘이 풍부하여 골대사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정되나 다량의 식이섬유는 칼슘흡수를 저해시키므로 골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머위가 골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성장기 수컷 흰쥐에서 6주간 10% 머위잎첨가식이를 섭취시켜 골대사 지표와 골밀도 및 골무기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Crosslinks value는 대조군에 비해 머위잎첨가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없었다. 척추 골밀도 및 골무기질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칼슘이 충분한 상태의 성장기수컷 쥐에서 칼슘과 폴리페놀이 풍부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머위잎 10% 첨가 식이는 골밀도와 골무기질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말린 머위잎을 그대로 섭취한 경우이며, 머위잎을 우려서 마시는 경우식이섬유의 섭취가 감소하게 되므로 머위 추출물이나 머위를 우려서 마시는 머위차가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Petasites japonicum leaf supplementation on the bone markers,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growing male rats. Sixteen Sprague-Dawley male rats (body weight 50 ± 10 g)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and P. japonicum leaf group. All rats were given deionized water and diet ad libitum for six weeks. The P. japonicum leaf was added to the AIN-93G at 100 g/kg diet. The BMD (bone mineral density) and BMC (bone mineral content) were measured using PIXImus (GE Lunar Co, Wisconsin). The calcium, phosphorus, alkaline phosphatase (ALP) levels in the serum and deoxypyridinoline (DPD), creatinine, and urinary crosslinks value were estimated. The data are presented as the means ± SDs, and significance was accepted at P<0.05.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9.3 (SAS Institute). The food intake,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were similar in the two diet groups. The serum calcium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were unaffected by the P. japonicum leaf diets. The serum ALP and urinary DPD, and creatinin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 japonicum leaf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P. japonicum leaf group had a lower crosslinks value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ine and femur BMD and BMC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of rats. P. japonicum leaf supplementation (10%) did not affect the bone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 SCIESCOPUSKCI등재
      • 페레스트로이카와 러시아 ‘은세기’ 정신문화 유산의 부활

        박영은(Park, Young E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본 논문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정교의 부활과 더불어 새로운 담론의 장으로 활성화된 19세기 말 20세기 초 러시아 은세기 종교 철학의 두 축을 형성하고 있는 솔로비요프와 표도로프의 역사관을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복잡하고도 모순적이라고 일컬어지는 은세기의 다양한 철학적 탐색을 아우르는 동시에, 이것을 거시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의 사상을 고찰하면서 오랫동안 금서로 지정되어 있던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에 대한 이해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의식의 변화를 보이고 있는 러시아에 어떤 의미를 던지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론으로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의 세계관에서 출발하여 그들의 물질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인간 의식에 방향성을 부여하는 근거가 되며, 또한 이것을 토대로 그들이 세계 진화와 역사의 과정, 그리고 인류의 미래상을 전개해 나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솔로비요프가 ‘소피아론’을 통해 세계의 ‘전일성’의 과정을 보여주었다면, 표도로프는 인류가 당면한 ‘공동의 일’의 수행을 위한 구상을 제시함으로써 ‘사랑’을 통한 인류의 ‘전체성’을 강조한다. 과거와 단절하고 계급투쟁을 통해 인간의 평등을 지향했던 소비에트의 이데올로기와는 달리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는 결과적으로 과거 를 계승하고 선조들을 부활시키는 공동의 노력, 다시 말해 신의 왕국을 성취하려는 공동의 노력을 통해 진정한 의식의 진보가 가능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즉 그들은 개개인이 자율성을 잃지 않는 독립된 개체이면서도 ‘큰 하나’를 이룰 수 있는 인류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비단 러시아의 은세기 뿐만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하여 현재의 우리에 게도 새로운 정신문화의 패러다임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cultural movement of Silver Age, despised as ‘decadence’ by the Soviet regime, came to public notice as a result of the ideology and the policy of Perestroika. The cultural heritage of Silver Age was again activated, following the trend of the time period of Perestroika.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 of the heritage is in the Russian Orthodoxy and the philosophy of religion. In this regard, a survey of various philosophy of Silver Age, especially the religious philosophy of both Nikolai Fedorov and Vladimir Solovyov i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viewpoints of both philosophers of religion are regarded totally different each other, even though the majority of scholars agrees that they share their philosophical origin in common. Considering such points of view, the following conclusions may be drawn by the result of th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survey. First of all, the ideology of both Fedorov and Solovyov shows a synthetic outlook on the world, which connects theory with practice, spirit with material, science with philosophy. Contrary to the existing Christian viewpoint, they do not distinguish the spirit from the material, but regard the material as a foundation for a new spirit. Both of them borrow such ideas as ‘evolution’ and ‘resurrection’ from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to ensure their ideas of human spirit and consciousness. Secondly, they suggest the directive of human soul through the medium of evolution and transformation. Therefore, the resurrection, which means a conquest over death, is come to the fore as a triumph of the spirit over the material. It is resurrection for them to reorganize the distorted condition of the material world by both the struggle and the triumph over death. Thirdly, they consider human nature united in the process of world evolution and human history. While Solovyov presents the process to the wholeness by the medium of the theory of Sophia, Fedorov puts great emphasis on the inevitability of human union through the ‘common task’, which mankind is confronted. However, it is different for them to bring forward such wholeness. It is more important for Solovyov to go ‘forward’ because he lays emphasis on the future, while for Fedorov ‘backwards’ and the past. Such ontological consideration on human beings is connected with that of the Russian intellectuals, who try to find a solution for their motherlan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Therefore, it may be regarded that the understanding and investigation for religious philosophers such as Fedorov and Solovyov presents unique opportunities not only for a new paradigm of spiritual culture but for a groping of the change after the ‘Perestroika’.

      • KCI등재
      • KCI등재

        SM엔터테인먼트, 글로벌 엔터테인먼트를 향한 질주

        박영은(Young Eun Park),이동기(Dong Kee Rhee) 한국경영학회 2011 Korea Business Review Vol.15 No.2

        SM엔터테인먼트는 한국의 대표적인 엔터테인먼트 & 미디어 기업으로, 지난 2000년 4월에 국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는 최초로 코스닥에 등록되었다. 코스닥 상장을 통해 풍부한 재원을 확보한 SM엔터테인먼트는 아카데미 사업, 음반기획 및 제작(프로듀싱 사업), 유통(라이선싱, 레코드 발매 등), 퍼블리싱, 가수·연기자 매니지먼트 사업, 전문 에이전시, 극장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 확보 및 인수를 통해 점차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 아울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글로벌 인재 개발 시스템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본 사례는 국내 스타시스템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특성 및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원천소스를 다루는 기업으로서 SM엔터테인먼트의 창의적인 비즈니스 모델 다각화, 분업화되고 전문화된 글로벌 인재개발 시스템 및 해외진출 전개과정 등을 체계적,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제조기업과는 다른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 기업들을 이해하고,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비즈니스 차원의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SM Entertainment is the Korea`s leading entertainment and media company. In April 2000, SM Entertainment became the first national entertainment company registered in KOSDAQ. This company, which gained a wealth of resources through KOSDAQ, engages in academy institute business, music planning & production(producing business), distribution(licensing, record release, etc.), publishing, singer & actor management business, specialized agencies, theater business. Furthermore, this company is trying to diversify business and acquire a variety of content through acquisition. In addition, dealing with primary sources of entertainment, SM Entertainment made the foundation of overseas expansion through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global talent development system.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star system and the domestic nature of entertainment industry,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is case present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omestic entertainment industry about both the establishment of innovative business models and glob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t provides practical insights.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at entertainment industry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manufacturing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