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제내성 그람양성균에 대한 Linezolid(Zyvox^(�))의 시험관내 항균력 비교

        박대원,정희진,엄중식,황병연,김성범,이재갑,이연주,정혜원,정성주,박재형,이진수,손장욱,김우주,김민자,박승철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5

        배경 : MRSA, VRE, VRSA같은 다제 내성 그람 양성균의 등장에 따라 glycopeptide를 대체할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새로운 항생제인 linezolid라는 항생제가 개발되었다. Linezolid는 이전의 항생제와는 다른 새로운 계열의 oxazolidinone으로 경구 이용률이 우수하다. 원내 및 원외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이 되고 있는 MRSA, VRE에 대한 적절한 경구용 항균제가 없는 국내에서 폐렴 및 피부 연조직 감염에서 경구용으로 사용해 볼 수 있는 약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대 구로 병원에서 분리된 MRSA, VRE 등을 대상으로 다른 여러 항균제와 비교한 linezolid의 시험관내 항균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연구대상은 1998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입원 및 외래를 통하여 피부 연조직 감염증 및 호흡기 감염증, 요로감염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가검물로부터 분리된 MRSA 60균주, VRE 43균주, PRSP 25균주를 액체배지 또는 한천배지 희석법을 통하여 linezolid 및 기타 항균제에 대한 최소발육억제농도를 구하였다. 결과 : 실험에 사용한 S. aureus는 모두 MRSA였고 이들은 linezolid에 대해 MIC_(90) 2㎍/㎖(MIC 범위 1-2㎍/㎖), Enterococcus spp는 모두 VRE로 linezolid의 MIC_(90)은 2㎍/㎖로 MIC 범위는 1-4㎍/㎖였다. 한 개의 균주에서 MIC 4㎍/㎖로 중등도 감수성을 보였으나 MIC breakpoint가 (8㎍/㎖인 내성균주는 없고 모두 감수성을 보였다. S. pneumoniae의 경우 penicillin 내성이었고, linezolid MIC_(90) 1㎍/㎖ (MIC 범위 0.5-1㎍/㎖)로 전부 감수성을 보였다. 결론 : Linezolid는 MRSA를 위시한 VRE, PRSP 등의 다제 내성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우수한 시험관내 항균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 The emergence of multi-drug resistant Gram-positive cocci, such as MRSA, VRE, and VRSA, necessitated to develop new antibiotics, which could replace the glycopeptide. As a result, a new antibiotics named linezolid was developed. Linezolid is different line of oxazolidinones with a good oral bioavailability, compared to other antibiotics. Since appropriate oral antibiotics are not presently available for MRSA, which is a major cause of nosocomial and community acquired infections, the introduction of linezolid will have favorable effect on treatment of infections such as pneumonia or skin infec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biotic effect of linezolid on MRSA and VRE isolated from patients who were treated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Material and Methods : By using broth microdilution and agar dilution method we measure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ith sixty S. aureus, forty three Enterococcus spp., and twenty five S. pneumoniae isolates from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kin, soft tissue, respiratory, and urinary infections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2. Results : All of S. aureus used in this study were MRSA, and MIG_(90) of linezolid was below 2 ㎍/㎖ (MIC ranged between 1-2 ㎍/㎖). All of Enterococcus spp. were VRE, and had MIG_(90) of 2 ㎍/㎖ (MIC ranged between 1 to 4 ㎍/㎖). One of the VRE showed intermediate susceptibility with MIC of 4 ㎍/㎖. However, none was resistant with MIC breakpoint above 8 ㎍/㎖. All of S. pneumoniae were resistant to penicillin, but they were susceptible to linezolid with MICao of 1 ㎍/㎖(MIC range 0.5-1㎍/㎖). Conclusion : In conclusions, linezolid has an excellent in vitro antibiotic effect on multi-drug resistant Gram-positive cocci, such as MRSA, PRSP, and VRE.

      • 치과방사선검사환자의 방사선 인식 연구

        강태욱(Tae-wok Kang),이진형(Jin-hyeong Lee),강민태(Min-Tea Kang),박지군(Ji-koon Park),강상식(Sang-sik Kang),노시철(Si-cheul Noh),정형진(Hyung-jin Jung),정봉재(Bong-jae Jeong) 한국방사선학회 2014 한국방사선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추계

        본 연구는 치과에 방문하는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014년 7월14일부터 8월14일까지 서울에 소재한 치과대학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10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치과방사선검사환자의 방사선 인식 수준은 3.20±.065점으로 인식수준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방사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수준이지만, 대체로 인체에 좋지 않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차폐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임상 현장에서는 더욱 적극적인 안내와 홍보를 통해 치과방사선환자들의 방사선에 대한 인식수준을 높이고, 방사선 피폭과 관 련한 올바른 정보제공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wareness of radiation of outpatients to dental clinic.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outpatients of a university dental clinic of university in Seoul from July 14th 2014 to August 14th 2014. And we analyzed for 110 survey data. The level of awareness for radiation was 3.20±0.065 points. And it conducted as low level. Although the level of knowledge for radiation is low and insufficient, generally, the subjects recognized the adverse effects to the human body and the need for radiation shield. Consequentl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wareness level for radiation must be improved by more active announcement and promotion in clinical field.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providing the correct information of the radiation exposure is considered necessary.

      • SCIESCOPUSKCI등재

        난소암에서 종양억제유전자들의 Multiple Methylator Phenotypes

        류효충,조치흠,권상훈,박준철,서민애,정선욱,이정호,김종인,윤성도,차순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3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종양억제유전자와 관련해서 CpG island의 methylation 이상으로 종양억제유전자의 기능 변화가 암 형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 결과 대장암이나 유방암에서 이러한 hypermethylation이 진단적 지표자로서의 사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난소암 환자에서 이러한 있는 종양억제유전자들의 CpG islands의 methylation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지금까지 난소암에서 methylation에 관한 연구는 많이 행해져 있지 않아 본 연구자는 난소암에서 종양억제 유전자인 BRCA1, p15, p16, p21, p73, hMLH1의 methylation유무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계획하였다. 난소암 13예와 정상 난소 조직 7예를 이용하여 p15, p16, p21, p73, BRCA1, hMLH1유전자들에 대한 MSPCR을 시행하였다. p15 유전자는 난소암과 정상 난소에서 모두가 methylation을 보이지 않았고, hMLH1에서는 모두에서 같은 methylation을 보여 의의가 없었다. p21 유전자는 양군 모두에서 같은 정도의 methylation을 보였고, p73 유전자는 난소암 13예 중에서 11예에서 methylation이 관찰되었으며, 정상 난소에서는 모두에서 methylation이 있었으나, 난소암에서 보다는 methylation이 적었다. p16 유전자는 난소암에서 13예 중 10예에서 methylation이 보였으나 정상에서도 methylation이 모두 관찰되었다. BRCA1 유전자는 난소암에서 11/13 (85%)에서 methylation이 있었고, 정상에서는 4/7 (57%)에서 methylation이 나타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저자가 확인한 난소암에서의 methylation 이상은 BRCA1 유전자에서 정상과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BRCA1 유전자의 methylation 변화가 난소암의 암화 과정에 관계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겠다. 그러나 표본 수가 적은 관계로 향후 좀더 많은 난소암과 대조군을 가지고 이러한 MSPCR 방법을 이용해 종양억제유전자의 변이나 발현 감소를 적절한 표적 CpG islands를 찾아 시행하면 좋은 결과를 보게 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 Recent evidence suggests that aberrant methylation of CpG islands is a major pathway leading to the inactiv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and development of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the methylation in ovarian cancer. Methods : Recent studies on colorectal and breast cancer have defined a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 which involves the targeting of multiple genes by promotor hypermethylation. Little is currently known about the role of methylation in ovarian cancer. To detect the methylation in ovarian cancer, we have investigated the methylation status of 13 primary ovarian cancers at six genes using methylation 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compared with 7 normal ovaries. Results : Six of tumor suppressor genes (p15, p16, p21, p73, BRCA1, and hMLH1) were evaluated to see the methylation status. Methylation of p15, p21, p73, and hMLH1 did not detect in ovarian cancers compared with normal ovaries. Ten of 13 ovarian cancers showed methylation of p16 gene and all normal ovaries showed hypermethylation. The BRCA1 gene was methylated in 11 (85%) of 13 ovarian cancers, 4 (57%) of 7 normal ovaries. Conclusion : Methylation of the BRCA1 gene is common alteration in ovarian cancers, and may paly a part of role in pathogenesis of ovarian cancer.

      • SCOPUSKCI등재

        고등학교 공통과학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 구축

        김재현,이희복,김현섭,김희수,박종욱,박현주,Kim, Jae Hyun,Lee, Hee Bok,Kim, Hyun Sub,Kim, Hee Soo,Park, Jeong Wok,Park, Hyun Ju 대한화학회 2000 대한화학회지 Vol.44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of multimediafor general science instruction of high school.this learning material was made of HTML record for each middle unit according to the general science curriculum, and was included a variety of Ietter, graph, picture, drawing, animation, and other moving image materials. And it was composed five coursewares:Content, Dictionary, Science Story,lmage Material, and Questions.The learning material is uploaded an internet website under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http://science.kongju.ac.kr), and also is provided to a CD-ROM title.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공통과학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구축하는데그 목적을 두었다.공통과학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문자 자료, 도표, 그림, 사진, 애니메이션, 동영상 및 음성 자료 등을 HTML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의 구성은 내용, 용어사전, 과학이야기, 영상자료, 그리고 질문의 다섯 분야로 나뉜다. 개발된 멀티미디어 자료는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홈페이지 (http://science.kongju.ac.kr)에 올려놓았으며, 또한 CR-ROM으로 제공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