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가 뇌졸중환자의 보완 대체요법 이용실태

        강현숙 ( Hyun Sook Kang ),김원옥 ( Won Ock Kim ),김정화 ( Jeong Hwa Kim ),왕명자 ( Myung Ja Wang ),현경선 ( Kyung Sun Hyu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뇌졸중환자는 대부분이 편마비라는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으며 퇴원 후에도 장기적인 치료와 간호가 요구되므로, 특히 현대의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보완대체 요법에 매우 관심이 높다. 본 연구결과,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 가 69.2%로 나타났다. 이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Mok 과 Cho (2004)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71.6%와 유사하며, Yang 등(2004)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60.0%, Oh (2008) 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61.3%. Jin (2009)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55.4%, 각종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Lee와 Park (1999)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51.2% 보다는 높았다. 그러나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Lee과 Son (2002)의 보완대체 요법 이용률 77.5%, Lee, Kang과 Lee (1997)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80.6%, 노인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Park 등 (2003)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94.2% 보다는 낮았다. 이와 같 이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이 연구자마다 차이가 있는 것은 대상 질병, 대상자의 특성, 조사시기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 되며, 무엇보다도 뇌졸중환자의 60% 이상이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은 뇌졸중 환자간호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정의, 종류, 효과 등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유무는 나이, 성별, 배우자, 교육정도, 직업, 수입에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Mok과 Cho (2004)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였으나, Hong 과 Park (1999)의 연구에서는 성별과 직업Yang 등(2004)의 연구에서는 성별, Jin (2009)의 연구에서는 학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뇌졸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에 있어서 복잡 하고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 사료되므로 앞으로 반복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연구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보완대제요법의 이용 유무는 진단, 발병 후 기간, 마비유무,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교육경험 유무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물리치료 유 무, 일상생활동작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는 Yang 등(2004)의 연구에서는 진단과 유병기간이 보완대체요 법의 시행여부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Mok과 Cho (2004)의 연 구에서는 선행질환, 재활치료, 일상생활기능에 따라 유의한 차 이가 있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이것은 선행질환이 있는 경우,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일상생활에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는 병의 정도가 중증이기 때문에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재가 뇌졸중환자와 입원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을 필요로 하 는 시점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 통일한 연구 도구를 이용하여 재가 뇌졸중환자와 입원중인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 현황을 비교·조사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뇌출혈보다 뇌경색이더 이용 을 많이 하였고 Yang 등(2004)의 연구에서도 뇌경색에서 이용 을 많이 하여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을 볼 때 외과적 치료중심의 뇌출혈보다 뇌경색일 경우 보완대체요법이용에 치료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보이며, 재가 뇌졸중 환자들은 발병 후 기 간이 2년 이상이고 마비가 있는 경우에 보완대체요법 이용을 유의하게 많이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뇌졸중이 뇌 조직의 특성상 일단 비가역적인 변성이 이루어진 이후의 회복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편마비 언어장애 및 치매 등의 섬 각한 후유장애를 남겨 사회적 복귀가 어렵고 치료 및 재활비용 등으로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며(Saeki et al. 1994), 뇌졸중의 완치율이 10% 미만이어서(Lee & Park, 1999) 후유 증으로 인한 불편감을 안고 길게 투병해야하는 재가 뇌졸중 환 지들에게 계속적으로 의사에게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에서도 보조적이거나 대안적인 치료인 보완대체요법으로 관리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교육경험이 없는 재가 뇌졸중 환 자의 경우 보완대체요법 이용율이 높았다. 이것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교육경험을 조사한 타 연구가 없어서 비교 논의할 수 는 없으나 보완대체요법에 대하여 올바른 교육을 받지 않은 상 태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뇌졸중 대상자를 위한 올바른 보완대체요법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재가 뇌졸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 시기는 47.3%가 치료도중에 이용하여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Mok과 Cho (2004)의 경우 51.1% 가 치료도중 이용하였으며,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Park (2009)의 연구에서도 62.0%가 질병 초기에 이용하였다Yang 등(2004)의 연구에서도 처음 이용 시기는 발병 후 3개월 이내가 88.9%로 나타났다. 이것은 뇌졸중이 발병되고 응급치료 등이 끝나면 질병상태를 호전시커기 위해 한국인이 전통적으로 사용해왔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관련 정보를 활발히 수집하고 적극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결과라 사료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민 정서에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효율적인 간호중재로 개발 하여 뇌졸중 환자의 간호에 활용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기간은 1년 이상이 41.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대체요법 이용 기간이 평균 약 12개월이었다는 Oh (2008)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Mok과 Cho (2004)의 연구결과와 Jin (2009)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 이용 기간은 3개월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35.5%, 42.9%), Yang 등(2004)에서도 보완대체요 법 이용 기간은 59.3%가 3개월 이내로 본 연구 결과와 상이하였다. 이것은 급성기를 지나 재활단계에 있는 대상자가 회복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고 영구적 장애에 대해 더 이상 나아질 수 없다는 생각에서 보완대체요법 이용 기간이 줄어들거나 경제 적 부담이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생각되나, 연구의 시기가 다르고 Oh (2008)의 연구에서도 병원치료를 받고 있으면서도 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는 대상자가 45.0%임을 볼 때 장기로 요 양을 하고 있는 뇌졸중 환지를 중심으로 한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이유는 치료에 대한효과 기대’가 52.7%로 가장 많았다. 이 결과는 Mok과 Cho (2004)의 연구결과 43.2%가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 같아서," Yang 등 (2004)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게 된 주증상은 “ 근력약화 와 마비”가 64.1%로 제일 많았으며 Jin (2009)의 연구에서 이 용 동기는 “병용하면 좋을 것 같아서" 68.2%, “질병을 낫게 하 기 위해서가 25.8%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뇌졸중 환자의 경우 보완대체요법의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것을 말하며 특히 만성질환자의 경우는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가 더 절실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완대체요 법의 이용은 현대의학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훌륭한 자연친 화적 요법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질병치료의 효괴를 기대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보완대체요법을 알게 된 경로는 가족 24.4%, 이웃 20.4% 순 으로 많았다. Mok과 Cho (2004)의 경우 이웃 27.3%, 가족 25.2 % 순이었고Yang 등(2004)에서는 가족이나 친구의 소개가 45.3%, Jin (2009)의 연구에서도 가족이나 진지가 55.4%로 보완대체요법을 알려주는 사람이 환자와 가까운 사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완대체요법의 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해서 환자는 물론 가족과 이웃을 함께 보완대체요법 교육에 참여시 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후 느낌은 혈액순환이 잘된다’ 20.9%, ‘심리적으로안정된다 159%순이었다. 이 결 과는 Yang 등(2004)의 연구결과에서 “증상조절에 효과가 있었다”가 95.0%, “치료효과는 없었으나 심리적 안정이 되었다” 5%로 나타난 결과, Jin (2009)의 연구결과 “증상이 좋아졌다’ 39.4%, “심리적 안정이 되었다" 36.4%와 유사하게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Mok과 Cho (2004)의 경우 ‘효과가 없다’ 30.9%, 혈액순환이 잘된다’ 28.1% 순으로 효과가 없다 는 느낌이 우세하였으므로 본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다고 본다. 이것은 보완대체요법 이용기간이 본 연구는 1년 이상이 가장 많고 Mok과 Cho (2004)는 3개월 미만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유추해 볼 때 효과를 비교하기에는 기간의 차이가 컸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이용기간을 고려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 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이 양방치료보다 좋은 점은 “붐에 해가 없다”가 24.4%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정서적으로 안 정감을 준다" 16.4%, “몸을 보호해 준다" 12.9% 순이였다. Mok 과 Cho (2004)의 연구에서도 “몸을 보호해준다”가 31.7%,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 25.2%로 나타났고, Lee (1999)의 연구에 서 만성질환자들은 32.3%가 “몸을 보호해준다”,25.3%가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라고 응답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보완대체요법은 만성질환을 치료하는 수단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정통의료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플러스 효과를 기대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보완대체요법 종류는 한방요법(침, 폼, 부항, 한약)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식이 및 영양, 수기요법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Mok과 Cho (2004)의 연구에서 식이 및 영양요법, 수기요법 순 이었으며, Jin (2009)의 연구결과에서도 식이 및 영양요법, 한약 및 약초요법, 수기요법 순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Hong 과 Park (1999)의 연구에서도 우황청섬환, 침, 사혈, 한약의 순 서로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젓과 유사 하다. 또한 Oh (2008)의 연구에서 대체요법에 대한 신뢰에서 특히 한방에 대한 신뢰가 많아 병원에서 퇴원하게 되면 한약이나 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완대체요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재가 뇌졸중 환자들은 질병경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더 적극적으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주로 치료도중에 사용하고 현대의학과 병행하고 있었으며,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고 인제에 무해하다는 생각을 나타냈다. 또한 가 족과 같이 환자와 가까운 사람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용자의 대부분이 올바른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재가 뇌졸중환자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간호요구를 충족시키기 위 해서는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대상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반복적 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재가 뇌졸중 환자를 위한 동서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use of the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CAM) in stroke patients, in order to provide the appropriate CAM information to patients recovering from stoke. Methods: Subjects were 201 stroke patien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 health care center and a welfare center. Data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llected from February to Apri1 2009 was analyzed using SPSSIWIN 12.0. Results: Subjects averaged 67.4-yr-of -age. Of the 201 subjects, 69.2% had used CAM. CAM u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iagnosis, duration of post stroke, paralysis, and education about CAM. CAM was used in the mid-portion of treatment by 47.3% of the subjects, and 41.7% used it for more than a year. Of those using CAM, 52.7%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ir reason was the belief in the treatment`s beneficial effects. Of the subjects 89.2% reported most frequent use of oriental medicine. Conclusions: The majority of stroke patients surveyed frequently and continuously used CAM in their mid-period of treatment expecting positive effects.

      • SCOPUSKCI등재

        간호실무에서 신봉이론(Espoused theories)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문자,김혜숙,이은희,박영숙,조경숙,강현숙,임난영,김주현,이소우,조복희,이명하,지성애,하양숙,손영희,권성복,김희진,추진아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1

        As a nursing practice involves nurses' actions in a specific context of health care, this study has focused on exploring the espoused theories in nursing practice within the action science perspectives, Espoused theories are the belief, principles, and rationale expressed by the practitioner as guiding her/his actions in a situation of practice. The data were analysed qualitatively and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of nursing action were identified and clustered into 6 categories. The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are as follows: The clinical nurse worked in wholistic and individual nursing, focussed on the patient's needed, comfort and supportive nursing (5 theories of nursing goal) ; excellent skills, knowledge based, assessment and data collection, explaining, educating or a scientific basis(6 theories of nursing intervention): advocacy, value oriented, treatment, account- ability and commitment(4 theories of nursing ethics) ; human respect. partnership, trust(3 theories of patient-nurse relationship) : knowledgable, accumulated clinical experiences and personally lived experiences. positive perspectives(4 theories of nurse), role of intervention. rewarding peer relationship(3 theories of situations) The above mentioned espoused theories are similar to that of nursing textbooks which students learned through basic nursing education and almost the same as the Acts ofa Nurse in Korean. However, we are doubtful whether nurses actually do as they think.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review the theories-in-use in order to and any discrepancies between the espoused theories and the reality of nursing actions

      • 서울시 중년층이 선호하는 미래 노인 주거환경Ⅱ : 관련변인이 노인주거환경 요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Related Variables on the Demands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for the Elderly

        강순주,전명숙 건국대학교 생활문화연구소 1995 생활문화ㆍ예술논집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for thr eld- erly preferred by the middle ag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include three types of elderly hous- ing differred in the availability of care service as well as inside and outsid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levels of participating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and attitudes toward aging. Six hundreds and fifteens males and females aged 40 to under 60 in Seoul were selected for the empherical study. The statistical procedures in SPSS PC+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In general, the inside residential environments were more highly demanded by the future elderly than were the outside environments. The demands for the in- side and outsid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not the same among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education, income, health, levels of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and attitudes toward aging. The demands for the inside and outsid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elderly, the levels of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and the preferred type of elderly housing. The following study should be extended to the elderly in rural areas and also be includ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The policymaker.s of the elderly housing should con- sidcr the demands for the care service as well as for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e varied in individuals of the future elderly.

      • KCI등재후보

        중소규모 제조업체 근로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건강행동변화단계에 미치는 영향

        구명회,임현우,박정일,이강숙,구정완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1

        목 적 : 근로자 건강증진을 위한 사업장 건강증진 사업 프로그램 기획실에 건강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근로자 특성에 4따른 행동변화단계를 조사하여 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성공적인 근로자 건강증진전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 법 : 경인지역이 중소 기업 제조업체 근로자 2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대한 조사, 건강위험평가, 위험요인에 대한 행동변화단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건강위험평가에서 흡연자는 남자 근로자에 서 65.7 %,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남자 근로자는 70.5 %, 여자 근로자는 86.1 %이었고 음주는 남자 근로자의 78.6 %, 여자 근로자인 50 %이었고 과음은 남자 근로자의 29.5 %, 여자 근로자의 11.1 %이었다. 건강한 생활습관으로의 행동변화단계로 계획전단계, 계획 단계, 실천단계, 유지단계 등 4개의 단계로 보면 근로자에서의 금연에 대하여 각각 40.5 %, 23.7 %, 12.1 % 및 23.7 %, 운동에 대하여는 18.4 %, 37.6 %, 17.7 % 및 26.3 %, 음주하였던 사람중 절주에 대하여는 20.9 %, 15.4 %, 10.0 % 및 53.7 %이었다. 흡연을 하는 보건관리자의 행동단계가 일반근로자 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운동에 대해서는 근로자중 50세 이상과 생산직 근로자에서 계획전단계가 다른 근로자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대부분의 근로자가 금연을 제외하고는 건강한 생활습관으로의 행동변화를 원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근로자의 특성에 따라 행동 변화단계가 다르므로 이를 고려한 다양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참여율 및 성공율을 높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Objectives :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isk factors and workers' behavioral changes based on individual worker's characteristics to allow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businesses places.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82 workers employed in small to medium sized enterprises in the Kyong-in area of Korea.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a health risk assessment and an evaluation of the stage of behavior change for health promotion strategy in the workplace. Results : The health risk assessment revealed that 65.7 % of male workers smoke, 70.5% of male workers do not exercise on a regular basis, 86.1 % of female workers do not exercise at all, and 78.6 % of male workers and 50 % of female workers drink alcohol. In addition, the survey identified that 29.5% of male workers are addicted to excessive drinking, as are 11.1% of female workers. Based on the four stages of behavioral changes that lead to health, the pre-contemplation stage, contemplation stage, action stage, and maintenance stage, 40.5 %, 23.7 %, 12.1 % and 23.7 % of workers are in these stages, respectively, with regards to quitting smoking. As for regular exercises, 18.4 %, 37.6 %, 17.7 %, and 26.3 % of workers belong to each stage, respectively. As for moderation in drinking, 20.9 %, 15.4 %, 10.0 %, and 53.7 % are in each stage, respectively. The rate of health managers in the active stage of quitting smoking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eneral workers. Among the workers who do not exercise on a regular basis, workers over 50 years-old and blue color workers are more common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than any other worker groups.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tages of behavioral change vary with worker characteristics. An awareness of the effects of the high risk factors is essectial for promoting workers' attendance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 KCI등재

        꿈 分析을 통한 精神治療 修練

        申明淑,姜錫憲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3 신경정신의학 Vol.22 No.2

        정신치료의 修練을 目的으로 著者들을 포함한 7명의 수련의가 Supervisor의 주제하에 198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慶北醫大 神經精神醫學 敎實에서 週1回 90分間 19回의 꿈 分析時間을 시도하였다. 19回의 錄音된 꿈 분석 資料를 정리하고 參加者들의 反應을 設問紙로 조사하고 集團討論을 거쳐 다음의 결과를 要約한다. 參加者 전원은 꿈 분석시간이 정서적으로 유익한 同察精神治療의 經驗으로 느꼈다. 참여자들의 轉移現象은 權威者를 둘러싼 兩價感情이 주류를 이루었고 이는 꿈 분석을 주도한 Supervisor의 現實的 役割이 크게 작용함을 알았다. Supervisor는 자신의 逆轉移感精을 과다한 꿈 解釋으로 방어할려는 경향이 있음을 자각하게 되었다. 꿈 분석시간에 참가한 수련의 전원은 정신치료의 基本槪念 습득에 도움이 되었다고 反應하였고 특히 꿈 해석의 技法을 배우는데 유익하였다고 보고하였다. 19회의 꿈 분석시간에 보고된 전체꿈 수는 122개였으며 이들 꿈을 몇가지의 주제별로 분류해보면 依存·獨立의 葛騰(26%), 敵愾心과 功擊心의 表現(21%), 無力 또는 無能感(15%), 兩價感情(8%), 排斥感(5%), 憂혈(3%) 등이었다. 꿈 내용에 있어서 수련기관이 그 배경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전체 꿈의 32%나 되었으며 따라서 수련의의 정신과 수련에 따른 갈등의 一面을 表現, 解消되거나 現實的 調整이 가능한 예가 많았다. 이상에서 볼때 集團 꿈 分析時間이 정신치료 수련에 유용하게 利用될 수 있다고 본다.정신치료의 修練을 目的으로 著者들을 포함한 7명의 수련의가 Supervisor의 주제하에 198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慶北醫大 神經精神醫學 敎實에서 週1回 90分間 19回의 꿈 分析時間을 시도하였다. 19回의 錄音된 꿈 분석 資料를 정리하고 參加者들의 反應을 設問紙로 조사하고 集團討論을 거쳐 다음의 결과를 要約한다. 參加者 전원은 꿈 분석시간이 정서적으로 유익한 同察精神治療의 經驗으로 느꼈다. 참여자들의 轉移現象은 權威者를 둘러싼 兩價感情이 주류를 이루었고 이는 꿈 분석을 주도한 Supervisor의 現實的 役割이 크게 작용함을 알았다. Supervisor는 자신의 逆轉移感精을 과다한 꿈 解釋으로 방어할려는 경향이 있음을 자각하게 되었다. 꿈 분석시간에 참가한 수련의 전원은 정신치료의 基本槪念 습득에 도움이 되었다고 反應하였고 특히 꿈 해석의 技法을 배우는데 유익하였다고 보고하였다. 19회의 꿈 분석시간에 보고된 전체꿈 수는 122개였으며 이들 꿈을 몇가지의 주제별로 분류해보면 依存·獨立의 葛騰(26%), 敵愾心과 功擊心의 表現(21%), 無力 또는 無能感(15%), 兩價感情(8%), 排斥感(5%), 憂鬱(3%) 등이었다. 꿈 내용에 있어서 수련기관이 그 배경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전체 꿈의 32%나 되었으며 따라서 수련의의 정신과 수련에 따른 갈등의 一面을 表現, 解消되거나 現實的 調整이 가능한 예가 많았다. 이상에서 볼때 集團 꿈 分析時間이 정신치료 수련에 유용하게 利用될 수 있다고 본다. Seven psychiatric residents have experienced 19 successive series of group dream sessions as a method of psychotherapy training. The dream sessions were conducted by the senior author (psychotherapy supervisor) in th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yung-Pook University Hospital, and the sessions lasted for 8 months' duration from March to November, 1981. Each dream session ran for 90 minutes on the weekly one time basis. Dream sessions primarily consisted of reporting manifest dreams of all participants, of freely associating to the dream images, and of discussing the materials. The supervisor tried to interpret the dream material psychotherapeutically. All dream sessions were tape-recorded. The presupposed purpose of group dream sessions was to experience the psychotherapeutic situation and to understand basic concepts of dynamic psychotherapy as well as to have insight into their own emotional proble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ream sessions, the authors reviewed all the recordings of the dream sessions after 10 month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sessions. In addition, the authors had individual interviews and one group discussion with all participants to evaluate the after effects. A questionnaire composed of 32 items was applied to the participants of analyzing the data of the experience.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All participants of the group dream session agreed that the experience was a kind of insight group psychotherapy with highly emotional atmosphere; each session had been rather terse and characterized by lack of verbal exchange, but was followed by extra group talking when the supervisor was absent. Main subjects of and emotional conflicts among the participants. The nature of the transference of the participants was colored by the authority problem toward the supervisor; the reason for this could be partly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supervisor also serves as a real figure (director of the psychiatric department). The supervisor himself gained insight into his own countertransference of domineering tendency, which manifested in the form of excessive and sometimes rather critical interpretations. The total number of manifest dreams reported during 19 sessions was 122, which counted 1 dream for each member in a session. As to the contents of the manifest dreams, the author could identify several categories of central themes; dependence-independence conflicts(26%), expression of hostility and aggressive impulse(21%), helplessness(15%), overt ambivalence(8%), feeling of rejection(5%), depression(3%), and others. It is interesting that the pictorial background in the manifest dreams frequently showed the training hospital; around one third of all dreams. Accordingly, the members could express various emotional conflicts of the psychiatric training and the conflicts could by worked through. Finally, the reaction to the dream session was particulary impressive in that their previous concepts about psychotherapy became vividly clear from their own experience of dream sessions; in terms of the basic concepts of the unconsious, transference, resistence and others. The authors felt that the group dream sessions could be a useful tool for learning and teaching dynamic psychotherapy.

      • SCOPUSKCI등재

        암환자의 삶의 질 도구개발

        태영숙,강은실,이명화,박금자 성인간호학회 2000 성인간호학회지 Vol.12 No.4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n instrument to be used for measuring the concept of duality of life of Korean patients with cancer multidimensionary and correctly. It can contribute in holistic nursing care for Korean cancer patients and also provide and validate basic data to help oncology nurses measure the outcome of nursing intervention correctly. To develop this instrument, the researchers first estabilished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he result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method Development of the scale was conducted using a method in which 31 items were assessed by subjects' self report using linear analogue scales. The subjects were 79 D.M. Patients. 103 patients with acute illness, and 91 cancer Patients residing in Busan, Korea.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24 to August 14. 2000. This instrument consisted of 31 items with a self report stale. This instrument covered 4 dimensions of cancer patients : 1) Physical wellbeing 2) psychological wellbeing 3) social wellbeing and 4)spiritual wellbeing. Each item had a possible score of 10.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tested with Cronbach's alpha. Validity was evaluat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of this scale. Youn's Quality of Life Questionnare scores and the Simple Quality of Life scale. Two separate runs of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predict scores on the Simple Quality of Life measuremend. Further validation was obtaine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strument subscores and Youn's Quality of Life measurement subscore for convergence of this scale. Examination of the discriminant. power of the instrument was done using ANOVA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for the quality of life was 0.8321 (Cronbach's alpha.), physical wellbeing dimension 0.6343. Psychological wellbeing dimension 0.6501, spiritual wellbeing dimension 0.5883. 2.This instrument had a high correlation with Youn's Quality of Life measurement(r= 0.636) in cancer Patients, whereas it had a low correlation with Simple Quality of Life measurement(r= 0.455) in cancel patients. In the D.M. patients, the instrument correlated with both the Youn's Quality of Llfe measurement and Simple Quality of life measurement(r=0.313. r= 0.407) and in the acute stage patients. the instrument had no correlation. 3.Multiple regression of individual Items on the Simple Quality of Life scores accounted for 56.8% of the variance in the Simple Quality of Life measurement, whereas, Youn's Quality of Life measurement scores accounts for 31.7%. The correlations collected from the three group had the same patterns of variations but especially the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had higher disciminant power than that of Youn's Quality of Life Measurement.

      • PLASMA 이온 질화처리 한 Ti-6Al-4V의 표면물성에 관한 연구

        손명숙,허성강,윤재홍,이영생,박노광 國立 昌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7 産技硏論文集 Vol.1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urface hardness and corrosion resistance of Ti-6Al-4V by ion nitriding treatment. As well known, the ion nitriding is widely used an effective surface hardening method and principal parameters of the ion nitriding are temperature and time. Ti-6Al-4V alloys were ion-nitrided under the atmosphere of the nitrogen-hydrogen mixture gas and surface modified layers were observed. Experimental results represent that the surface modified layers are formed as a multiphases of TiN and Ti₂N. The hardness of the layers are in the range Hv of 1000 to 2000. The multiphase layers also showed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in 2 Mol HCl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comparing to the non-coated layers. The kinetics show that the growth of the layers by N₂ diffusion were proportional to t½. The kinetics energy for the formation of nitride layers was 174KJ/mol.

      • Aflatoxin B_1 에 의하여 유발된 만성 간 병변에 대한 병리학적 연구

        김명숙,강대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0 충남의대잡지 Vol.17 No.1

        In an attempt to elucidate the chronic pathological lesions induced by aflatoxin B_1, the present study in male Sprague-Dawely rats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the light microscopic changes of the liver and the electron microscopic changes. The control group animals were fed basal diet. The experimental group animals were fed the powdered basal containing 1 ppm aflatoxin B_1 for 10 months with three times administration of aflatoxin B_1(1mg/kg) by gastric tube. The aflatoxin B_1 was dissolved in peanut oil (lmg aflatoxin B_1 to 1ml peanut oil). For demonstration of iron excluding foci, the animals were iron loaded by subcutaneous injection of 5mg iron dextran/40gm weight, in the inguinal region with the sides alternated two times per week for 2 weeks prior to killing.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10 months. The results on morphologic changes were as follows ; 1. Light microscopically, the normal hepatic lobular structure was distorted, and replaced by the basophilic nodules, eosinophilic nodules, vacuolated nodules and hyperplastic foci. 2. Light microscopically, the hyperplastic foci were distinct from the discrete modules often compressing the surrounding parenchyma. There was a decrease in the intensity of the PAS staining in the nodule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3. Electron microscopically, the nodular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showed variation in the size and form of mitochondria, shortened or depleted microvilli, proliferation or blebbing of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irregular shape nuclei and nuclear membrane, and nuclear segregation of fibrillar and granular elements, etc. 4. The eosinophilic nodules were distinguished from other lesion by the multiple concentric membranous bodies in the cytoplasm of nodular cells. These cytoplasmic structures were also present in some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5. Grossly, the incidence of hepatoma was 3.3%(1 rat), and microscopically the early les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were observed in 2 rats(6.6%), which were linked with eosinophillic nodules. 6. Iron excluding foci were noted at the nodules and hepatocelluar carcinoma lesions, while iron was diffusely pigmented in the control. The observations provided some evidence suggesting that the eosinophilic nodules, rather than the basophilic nodules, may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malignancy in the rat liver.

      • KCI등재

        청소년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 수입상품 선호도

        박명숙,강은희 한국 가정과 교육 학회 200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 preference for imported products and to suggest the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 consumers. The data for this research were attained from 426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in Pohang.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distribution, mean. standard deviation. analysis of variance, t-test. χ2-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ith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Preference for imported produc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amount of pocket money, region, T.V. advertising. friends and the attitude of their mothers. 2.Decision making Process was composed of 4 dimensions in this study: information sources. criteria for Products. problem experience of consumption and type of problem solving. In case of information sourc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gratae, level of parents' education. Criteria for produ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tirade. level of father's education, type of father's job. amount of pocket money and how they gained their pocket money Consumption problem experience & type of problem solv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and grade. 3.Preference for imported produc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riteria for products and consumption problem experience out of adecision making process.

      • 암환자가 지각한 사회적지지, 희망과 삶의 질과의 관계

        태영숙,강은실,이명화,박금자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2002 전인간호과학연구 학술모음집 Vol.- No.-

        The Relationship among Percieved Social Support, Hope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Tae, Young Sook. Kong, Eun Sil. Lee, Myung Hwa. Park, Geum J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cieved social support, hope and Quality of life of the cancer patients and to gain the baseline data for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promoting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cross sectional correlational survey. The subjects were 220 out and in-cancer patients in 5 general hospitals in Pusa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 to August 1,2001. The instruments were the Percieved social support scale(16 items, 5 point scale) had developed by Tae(1986), Hope scale(12 items, 4point scale) developed by Nowotny(1989) and Quality of life scale(31 items, 10 point scale) developed by Tae et. al(2000).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PC+ program using frequency & percentage, item mean &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1) The item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6.05±1.16 (range 0-10) .The heighest score of subarea of the quality of life was the spiritual wellbeing area (7.09±1.63) and the lowest score was social wellbeing area(5.53±1.65). The mean scor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52.65±10.32 (최고 1, 최저 80). The mean score of family support was32.71±6.66 (range 1- 40) and the mean score of medical team support was 19.93±5.95 (range 1- 40). The mean score of Hope was 37.02±5.64 (range 1-48).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life effect of religion (F=3.97, p=0.00), treatment method(F=2.94, p=0.01), area of diagnosis (F=3.48, p=0.01), stage of disease (F=13.74, p= 0.00). 3)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r=0.44, p= 0.000 ; family support: r=0.334, p=0.000, medical support; r=0.395, p=0.000), hope(r=0.563, p= 0.000) and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hope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perceived social support, hope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