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열처리에 의한 단감의 이화학적 특성

        손규목,김광호,성태수,김종현,신동주,정지영,배영일 한국식품영양학회 200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5 No.2

        단감의 기능성 소재 및 기호성이 우수한 부원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감새옥를 전처리별 즉, 열처리 온도 (25℃, 75℃ 및 95℃) 에서 NaCl (0, 1, 3%) 농도별로 침적 (1, 5분) 하여 동결건조한 시료구를 대상으로 탄닌, 비타민 C, 색도 및 조직감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탄닌 성분은 열처리 온도, NaCl 농도 및 침적시간이 증가할수록 탄닌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대조구 (420 mg%) 에 비해 95℃에서 1% 및 3% NaCl 농도에 5분간 침적시 각각 228 및 198 mg%로 감소하였다. 비타민 C 함량은 대조구 (122.4 mg%)에 비해 95℃에서 3% NaCl 농도에 5분간 침적시 75.8 mg% 로 감소하였고, 색도는 열처리 온도, NaCl 농도 및 침적시간이 증가할수록 L(명도) 및 b(황색)값이 뚜렷하게 증가한 반면, a(적색도) 값은 감소하였고, ??E 값은 증가하여 처리조건이 가중될수록 색의 변화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단감껍질과 전처리한 시료 (95℃, 1% NaCl, 5 분)의 flavonol 함량은 껍질에 myricetin(2.0 ㎍/g), quercetin (34. 5 ㎍/g) 및 kaemferol (1.1 ㎍/g) 성분이 검출되었고, 전처리한 시료는 myricetin (9.5 ㎍/g), quercetin (5.5 ㎍/g)이 검출되었다. 조직감은 대조구에 비해 전처리 (95℃, 1% NaCl, 5분) 한 시료에서 부서짐성, 응집성, 점성 및 씹힘성이 우수하였다. 관능검사는 95℃에서 1% NaCl에 5분 및 3% NaCl 농도에 1부간 침지한 시료가 좋은 평가를 받았다. Sweet persimmon were tested in order to identify their use as secondary material which is excellent in function and taste as food. Samples were soaked for 1 and 5 min with NaCl concentration (0, 1 and 3%) at a certain heating temperature (25, 75 and 9r℃), and then tannin, vitamin C, flavonol, color intensity, sensory test and textural propert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Tannins were decreased as heating temperature, NaCl concentration and soaking time were increased, especially, that the control was 420 mg% but decreased 228 and 198 mg% at 95℃ (1 and 3% NaCl concentration) for 5 min, soaked in each. Vitamin C content also decreased more in higher temperature and NaCl concentration than control (122.4 mg%). Color intensity showed higher value in L and b than in heating temperature, NaCl concentration and soaked time longer remarkably, but a value decreased. The peel of sweet persimmons was analyzed myricetin (2.0 ㎍/g), quercetin (34.5 ㎍/g) and kaemperaol (1.1 ㎍/g), but in pre-treatment sample ( 95℃, 1% NaCl concentration and 5 min, soaked ) was showed higher myricetin (9.5 ㎍/g) and quercetin (5.5 ㎍/g). Textural properties were good in pre-treatment sample ( 95℃, 1% NaCl concentration and 5 min, soaked) such as brittle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In sensory analysis, the pre-treatment samples (95℃, 1% NaCl concentration and 5 min, soaked and 95℃, 3% NaCl concentration and 1 min, soaked) were showed higher point than others.

      • KCI등재

        과산화수소의 농도와 적용시간이 상아질의 깊이에 따라 레진 수복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손정룡,이계영,강유미,오영택,이광원,김태균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심부 상아질과 치수실 상아질에 H₂O₂를 각기 다른 적용시간과 농도로 적용하였을 때, 레진수복물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준비된 각각의 치아에 전형적인 근관와동을 형성하고 다음과 같이 무작위로 1개의 대조군과,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1군, 전처리를 시행하지 않았다; 2군, 20% H₂O₂를 20분, 10분, 5분간 적용하였다; 3군, 10% 를 20분, 10분, 5분간 적용하였다; 4군 5% H₂O₂를 20분, 10분, 5분간 적용하였다; 5군, 2.5% H₂O₂를 20분, 10분, 5분간 적용하였다. 위와 같이 처리한 후 와동 내를 Superbond C&B(Sunmedical, Co., Shiga, Japan)로 충전하였다. 각 치아는 증류수에 24시간 저장한 뒤 심부 상아질과 치수실 상아질로 잘라 미세인장결합강도 시험을 시행하였다. 각 군에서 측정된 미세인장결합강도를 3-way ANOVA와 Tukey post hoc test로 통계 처리하였다(p < 0.05). 실험 결과 모든 군에서 심부 상아질(D1)의 미세인장 결합강도가 치수실 상아질(D2)보다 높게 나타났다. 평균 결합강도는 H₂O₂의 농도와 적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통계분석에서 상아질의 깊이, H₂O₂농도와 적용 시간이라는 세 가지 변수간의 교호작용 효과는 없으나(p > 0.05). 상아질의 깊이와 H₂O₂농도 사이, H₂O₂농도와 적용 시간 사이에서는 교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 < 0.05). SEM 관찰에서는 H₂O₂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상아세관이 좀 더 개방된 양상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ydrogen peroxide at different application time and concentrations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resin restorations to the deep and the pulp chamber dentin. A conventional endodontic access cavity was prepared in each tooth, and then the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1 control group and 4 experimental groups as follows: Group 1, non treated; Group 2, with 20% Hydrogen peroxide (H₂O₂); Group 3, with 10% H₂O₂; Group 4, with 5% H₂O₂; Group 5, with 2.5% H₂O₂; the teeth of all groups except group 1 were treated for 20, 10, and 5min. The treated teeth were filled using a Superbond C&B (Sun medical Co., Shiga, Japan). Thereafter,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for 24-hours and then sectioned into the deep and the chamber denti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value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by 3-way ANOVA and Tukey post hoc test(p < 0.05). In this study,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the deep dentin (D1)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e pulp chamber dentin (D2) in the all groups tested. The average of microtensile bond strength wa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and the application time of H₂O₂ were increased. Analysi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effect not only between the depth of the dentin and the concentration of H₂O₂ but also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H₂O₂ and the application time(p < 0.05),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among these three variables(p > 0.05). The higher H₂O₂ concentration, the more opened dentinal tubules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examination.

      • CMOS VLSI 회로를 위한 설계규칙검사 알고리즘

        김광태,손유익 계명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3 産業技術硏究所 論文報告集 Vol.16 No.1

        A DRC (design rule checker) algorithm employing λ-based design rule has been developed for CMOS circuits. The bit-language was used for its implementation program. Also, the λ-based DRC algorithm has an ability to indicate error coordinates so as to simplify the design procedure.

      • 二次元 Saint-Venant 式의 有限要素解析

        金弘泰,孫廣翼,韓健淵 경북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3 産業技術硏究誌 Vol.21 No.-

        This paper describes the use of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n the development of a two-dimensional(in plan) hydrodynamic simulation model that solves the Saint-Venant equation. A finite element model consists of pre-processing, analysis processing and post-processing. The model has been tested with tow dimensional problems, including surge flow, flow through abrupt contraction and outfall flow. The finite element model shows a stable and efficient results for various situations. The model will provide a good contribution to the numerical analysis of two dimensional Saint-Venant equation.

      • 노화가 인체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백기현,태현정,오기원,이원영,조정기,권순용,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3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골다공증과 연관된 위험인자로는 연령, 폐경, 약물, 불충분한 칼슘섭취, 만성질환 및 운동부족 등이 있는데, 특히 노화가 진행할수록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노화와 관련하여 진행되는 골소실은 조골세포 및 전구조골세포의 기능적 결핍에 의한 골형성의 감소가 주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동안 연령이 조골모 세포의 양과 조골모 세포로부터 성숙조골세포로의 분화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부 보고들이 있었으나 아직 일치된 견해는 없는 형편이다. 방법: 다양한 연령의 사람으로부터 골수를 채취, 중간엽 줄기세포가 포함된 단핵세포를 분리한 후 조골세포로 분화하기 좋은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대상군은다시 젊은군과 노령군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일차배양에서는 CFU-F를 계수하여 골수내 중간엽 줄기세포의 수를 추산하였고, 칼슘측정을 통하여 기질의 무기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계대배양후 이차배양에서는 시기별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를 측정하고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을 관찰하여 젊은군과 노령군 사이의 증식능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차배양 시기별로 MTT 측정을 하여 양군간에 증식능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1. 일차배양 15일째에 평균 CFU-F의 수는 젊은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젊은군 148.3±28.9, 노령군 54.3±9.1, p=0.02). CFU-F의 평균면적은 젊은군에서 넓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일차배양 17일 경과 후 양군간에 기질 칼슘 침착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젊은군 103.6±50.6, 노령군: 114.0±56.5, p=NS). 3. 이차배양 10일째에 젊은군에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가 고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젊은군: 935.5±115.0 U/mg, 노령군: 578.4±115.7U/mg,p.0.05). 고령군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미약했으며 전반적으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활성도가 젊은군에 비해 낮았다. 4. 이차배양도중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은 배양시기별로 젊은군에 비해 고령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이차배양 10일과 15일에 젊은군에서 노령군보다세포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10앓 젊은군 0.73±0.05, 노령군 0.58±0.04, p=0.05, 15일; 젊은군 0.80±0.05, 노령군 0.70±0.03, p=0.05).결론: 이상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노령군에서 젊은군보다 골수 내 중간엽줄기세포의 수가 적고, 노령군에서 유래한 전구조골세포의 성숙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가 젊은군 보다 감소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kground: Osteoblasts originate from osteoprogenitor cells in bone marrow stroma, term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r bone marrow stromal cells. Each MSC forms colonies (colony forming units-fibroblasts [CFL-Fs]) when cultured ex vivo. There are some reports about the age-related changes of the number and osteogenic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but any relationship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in humans. In this study, we counted MSCs using CFU-Fs count and examined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Finally, we analyzed how these parameters varied with donor age. Methods: Bone marrow was obtained from the iliac crest of young (n=6, 27.2±8.6 years old) and old (n= 10, 57.4k6.7 years old) healthy donors. Mononuclear cells, including MSC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osteogenic medium. In primary culture, we compared the colony-forming efficiency of MSCs between the two groups and determined the matrix calcification. When primary culture showed near confluence, the cells were subcultur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steocalcin expression by RT-PCR and proliferative potential by MTT assay were examined by the time course of secondary culture. Results: At the 15th day of primary culture, the mean number of CFU-F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ounger donors (young: 148.3±28.9, old: 54.3±9.1, p=0.02) and the mean size of CFL-Fs was also larger in the younger donors than the older donors. However, matrix calcific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young: 103.6±50.6, old: 114.0±56.5, p=NS). In secondary cultur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lder donors. The younger donors showed peak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t day 10, while the older donors didn't showed a remarkable peak (young: 935.5±115.OU/mg, old: 578.4±115.7U/mg, p<0.05). Total cell number as a proliferative index inc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secondary culture and a significantly greater cell number was noted in the younger donors. Osteocalcin expression was generally upregulated in the younger donors,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osteoprogenitor cells is decreased during aging and that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seem to be reduced during aging (J Kor SOC Endocrinol 18:296-305, 2003).

      • 短時間 確率計劃降雨波型의 推定

        朴相德,金弘泰,孫廣翼 강릉대학교동해안지역연구소 1993 東海岸硏究 Vol.4 No.3

        未計測 中小規模 河川流域에서 降雨量은 水工計劃의 중요한 資料이다. 短時間 計劃降雨波型을 推定하기 위하여 江陵地方의 每年最大 120分 降雨事象의 時刻別 강우량 時系列에 5乘根 變數變換 正規分布를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再現期間別 無次元 確率降雨波型을 提示하였다. 강릉지방의 재현기간에 따른 無次元 確率計劃降雨波型은 평균적으로 볼 때 1四分位에 集中된 單一 尖端降雨波型을 나타내고 있으나, 재현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1사분위와 3사분위에 2개의 尖端降雨를 갖고 降雨持續期間의 後半部에 강우량이 집중되는 傾向을 나타낸다. The rainfall depths are important data for hydraulic engineering projects in an ungaged small watershed. To estimate probability rainfall patterns for short duration, annual maximum rainfall series for duration of 120 mimutes of Kangnung site were fitted in the 5-root transformed normal distribution. Dimensionless probability rainfall patterns are sugessted in each return period. These show the simple peak in first quartile for lower return period and the trend of concentration at the first part of rainfall duration. However, for upper return period that is changed into double peak in first and third quartile and into trend of concentration at the later part of rainfall duration.

      • KCI등재
      • KCI등재

        8.3% Carbamide Peroxide 함유 펜 형 자가미백제인 BIancTis Forte의 색조개선 및 안전성에 관한 임상연구

        이진경,민선홍,홍성태,오소람,정신혜,황영혜,유성엽,배광식,백승호,이우철,손원준,금기연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2

        This clinical study evaluated the whitening effect and safety of polymer based-pen type BlancTis Forte(NIBEC) containing 8.3% carbamide peroxide. Twenty volunteers used the BlancTis Forte whitening agent for 2 hours twice a day for 4 weeks As a control. Whitening Effect Pen (LG) containing 3% hydrogen peroxide was used by 20 volunteers using the same protocol. The change in shade (ΔE^(*) color difference) was measured using Shadepilot™ (DeguDent) before, during and after bleaching (2 weeks, 4 weeks and postbleaching 4 weeks). A clinical examination for any side effects (tooth hypersensitivity or soft tissue complications) was also performed at each check-up.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displayed a noticeable change in shade (ΔE) of over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 (p>0.05) implying that the two agents have a similar whitening effect. 2 The whitening effect was mainly due to changes in a and b values rather than in L value (brightnes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change in b value thus yellow shade than the control(p < 0.05) 3 None of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f tooth hypersensitivity or soft tissue complications confirming the safety of both whitening agents 8.3%의 carbamide peroxide를 함유한 펜형 코팅용 미백제인 BlancTis Forte (NIBEC, Seosul & JinCheon)를 실험군으로, 3% hydrogen peroxide를 함유한글 Whitening Effect Pen (LG. Seoul) 제재를 대조군으로 각각 피험자 20명에게 2시간씩 1일 2회 제조사의 지시대로 치아표면에 4주간 적용하도록 지시하고 색조개선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미백 효과는 미백 전 및 미백 2주, 4주 및 미백 종료 4주 후에 Shadopilot™을 이용하여 색 변화를 측정하였고, 매 내원시기마다 모든 환자는 치수생활력 검사와 치주 및 치태 검사를 통해 부작용 여부 (치아과민증 및 구감 내 연조직의 부작용)를 기록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실험군 및 대조군의 색 변화량 (ΔE)은 2이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색 변화를 보였으며, 두 제품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p > 0.05) 유사한 미백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2,미백효과는 명도의 개선보다는 주로 a. b값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특히 실험군에서 b값의 변화, 즉 황색조의 개선효과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0.05). 3.치아나 치은의 과민증이나 이상증상을 호소하는 피험자는 없어 두 제품 모두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