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특성 길이를 이용한 평직 복합재 볼트 체결부의 강도 예측

        박승범,변준형,안국찬 한국안전학회 2003 한국안전학회지 Vol.18 No.4

        A study on predicting the joint strength of mechanically fastened woven glass/epoxy composite has been performed. An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length and joint strength of composite joint. The characteristic lengths for tension and compression were determined from the tensile and compressive test with a hole respectively. The characteristic lengths were evaluated by applying the point stress failure criterion to a specimen containing a hole at the center subjected to tensile loading and a specimen containing a half circular notch at the center subjected to compressive load. The joint strength was evaluated by the Tsai-Wu and Yamada-Sun failure criterion on the characteristic curve. The predicted results of the joint strength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 KCI등재

        이황화탄소 중독자들의 노출중단 이후의 심박동수 변이

        이상윤,조성일,백도명,변창범,김미정,박경근,임상혁,양길승,황창국,전형준 大韓産業醫學會 2006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8 No.2

        목적: 2000년도에 이황화탄소 중독증 환자들과 대조군의 심박동수 변이를 비교하여 이황화탄소 중독증 환자들의 심박동수 변이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다는 연구보고가 있었다. 당시의 연구가 이황화탄소 노출이 중단된 상태에서 이황화탄소 중독자들의 건강 문제를 연구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나 연구 결과를 해석하는데 있어 제한점들이 있었다. 이 연구는 2000년도에 수행하였던 연구의 제한점을 극복하고 이황화탄소 노출이 중단된 이후의 이황화탄소 중독자들의 심혈관계 상태를 심박동수 변이를 이용하여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황화탄소 중독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122명과 환자군의 연령대와 성별 빈도에 따라 무작위 추출한 112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자기 기입식 설문지와 건강검진을 통해 연령, 성별, 신장, 체중, 흡연, 음주, 규칙적 운동, 질병력, 직업력, 흉부 방사선 촬영, 심전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의자에 앉힌 상태에서 5분 동안 심박동수 변이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측정한 심박동수 변이 지표들은 정상 RR간격의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to-normal intervals, SDNN), 인접한 RR간격들의 차이를 제곱의 합의 평균의 제곱근(square root of the mean of the sum of squares of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normal-to-normal intervals, RMSSD). 저주파영역(low frequency power, LF: 0.04~0.15Hz), 고주파 영역 (high frequency power, HF:0.15~0.4Hz), 전체 주파수 강도(total power, TP), 저주파/고주파 비 (LF/HF ratio)이다.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 이황화탄소 중독자들의 모든 심박동수 변이 지표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다.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 이황화탄소 중독은 RMSSD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이 연구는 이황화탄소 노출이 중단된 상태에서도 이황화탄소 중독자들에게 심혈관계와 관련된 건강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A previous study conducted in 2000 measuring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of carbon disulfide (CS_(2))-poisoned subjected suggested that their HRV was reduced after exposure cessation. However, the study was limited by the following procedural limitations: (1) only 71 CS_(2)-poisoned subjects participated, (2) no females participated, and (3) the CS_(2)-poisoned subjects were older than the controls. This study was therefore conduct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the earlier study. Methods: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122 retired workers with CS_(2) poisoning and the same number of age- and sex-matched controls. Information on individual age, sex, height, wight, smoking history, alcohol drinking, regular exercise, medical and occupational history, chest x-ray, and ECG recording of the two groups was collected th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 medical examination. 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s (SDNN), Root-Mean-Square of Successive Differences (RMSSD), Total Power (TP), Low Frequency (LF), High Frequency (HF), and LF/HF ratio were measured as HRV indices for 5 minutes in the sitting position. Results: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all HRV indices of CS_(2)-poisoned subjected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S_(2) poisoning had negative association with all HRV indices and that its association with RMSS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CS_(2)-poisoned subjects continue to have reduced HRV, even though the exposure has ceased.

      • 도형 추론에 기반한 정역학 문제공간의 가시화

        국형준(Hyung Joon Kook),박승수(Seung Soo Park),민동순(Dong Soon Min) 한국정보과학회 1997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4 No.3

        본 연구는 정역학 분야의 문제해결에 자주 수반되는 도형에 관한 추론을 수행하기 위한 지식 표현 및 추론 체계를 정립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정보를 바탕으로 문제공간을 도형적으로 표현 가능케 하는, 이른바 도형 추론에 기반한 문제공간의 가시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은 도형에 관한 추론을 필요로 하는 정역학, 또는 이와 유사한 영역을 위한 지식 기반 시스템에서 추론의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추론의 과정 또는 결과는 도형생성모듈에 의해 학습자에게 보다 가시적인 방법으로 제시 및 설명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능을 필요로 하는 학습시스템의 사용자 환경 설계에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a methodology is proposed to help visualize the statics problem space based on reasoning about diagrams, which very often accompanies problem solving in statics. In the proposed methodology, both representational and inferential frameworks are established for reasoning about diagrams and later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the generation of diagrams from the problem space. The proposed methodology can be utilized as an inferential scheme in domains similar to statics where reasoning about diagrams is necessary. Also, such a methodology may be widely used in the design of user interface environments of ITS requiring such a capability, since it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processes of and the results from the system's inferential behavior in a visual way.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고등학습영역의 지능형 교수시스템을 위한 지식표현체계

        국형준(Kook Hyung Joon) 한국정보과학회 1994 정보과학회논문지 Vol.21 No.2

        기존 대부분의 컴퓨터에 의한 교수시스템은 비교적 초보적인 학습영역의 지식을 단순주입식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실제 학습현장에서 사용될 경우 그 학습효과가 저조하다고 할 수 있으며 실제 교사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으로 향상되기 위해서는 보다 진보된 지식 표현 및 처리방식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능형 교수시스템의 연구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서, 고등학습영역의 실험대상으로서 일반물리학을 선정하여 영역지식의 특성을 연구, 전문적 문제이해 및 해결전형을 설정한다. 제안된 전형의 기계적 실현을 위해 인식모델, 해결모델 등의 선언적 지식표현도구 및 생성규칙에 기초한 절차적 지식표현도구를 제시한다. 제안된 지식표현체계는 적절한 추론체계와 결합되어 향후 완성될 고등학습영역의 지능형 교수시스템의 전문가모쥴로서 활용될 예정이다. Most of existing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systems have been designed in a way to merely transmit the knowledge of relatively primitive educational domains, resulting in poor educational effects when used in real-world environment. For these systems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and be able to substitute human instructors, a more advanced form of representing and piocessing knowledge needs to b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as the first step towards developing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we select elementary physics as the experimental domain for higher education,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specific to the domain, then establish a model of expert problem understanding and solving. As an attempt to realize the model in computer, also proposed are the representational machineries for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based on the notions of Recognition and Solution Models and production rules, respectively. The proposed representational framework, combined with an adequate inferencing scheme, will be used as an expert module for the intelligent tutoring system in higher educational domain which is projected to be completed in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자동항해를 지원하는 적응형 웹 서핑 시스템

        국형준(Hyung Joon Kook)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1 No.4

        사용자 적응형 웹 서핑 시스템 설계를 위해 전체 시스템을 사용자 데이타 수집, 데이타 처리를 통한 사용자 프로파일 구축 및 개선, 그리고 사용자 프로파일의 적용을 통한 적응 등 세 단계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설계한 세 부문의 에이전트들은 이들 각 단계에서 작업하며 상호 유기적인 협동을 통해 적응형 웹 서핑을 지원한다. 이들은 각각 대화식 인터페이스 에이전트(Interactive Interface Agent), 사용자 프로파일 에이전트(User Profile Agent), 그리고 자동항해 에이전트(Autonomous Navigation Agent)이다. 대화식 인터페이스 에이전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데이타를 수집하고 기계적 항해 지원을 수행한다. 사용자 프로파일 에이전트는 수집된 사용자 데이타를 처리하여 사용자 브라우징의 실시간에 사용자 프로파일을 동적으로 구축하고 갱신한다. 자동항해 지원 에이전트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사용자 관심과 가까운 웹 문서를 자동으로 선별하여 추천하는 자동 항해 모드를 제공한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접근과 설계 방식은 향후 확장과 보완을 통해 실용 가능한 수준의 사용자 적응형 웹 서핑 시스템 구축에 활용될 수 있다. To design a user-adaptive web surfing system, we may take the approach to divide the whole process into three phases; collecting user data, processing the data to construct and improve the user profile, and adapting to the user by applying the user profile. We have designed three software agents. Each privately works in each phase and they collaboratively support adaptive web surfing. They are IIA(Interactive Interface Agent), UPA(User Profile Agent), and ANA(Autonomous Navigation Agent). IIA provides the user interface, which collects data and performs mechanical navigation support. UPA processes the collected user data to build and update the user profile while user is web-surfing. ANA provides an autonomous navigation mode in which it automatically recommends web pages that are selected based on the user profile. The proposed approach and design method, through extensions and refinements, may be used to build a practical adaptive web surfing system.

      • 효과적 문제해결 학습을 위한 지능형 기하 교수시스템

        국형준(Hyung Joon Kook)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5 No.7

        인공지능 연구 초기부터 현재까지 기하 증명 및 학습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많아 왔으나 실제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체계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고려되어야 할 점이 몇 가지 있다. 현장 학습을 위한 기하 교수기의 요건으로는 증명을 포함하는 다양한 문제 해결 학습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 기하의 특성인 다이아그램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 교사 입장에서 사용하기 쉬워야 한다는 점, 그리고 문제 기반 위주만이 아닌 학습자 질의 문제가 허용되어야 한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기하 교수기 설계 원리는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는 체계를 가진다. 주요 개념으로서 기하 학습의 구조적 정보를 기하적 정보로부터 분리하여 처리한다. 이와 같은 지식체계는 다이아그램을 적극적인 방식으로 활용함으로서 사용자 친숙성을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기하적 정보에 기반한 추론만을 가능하도록 해 시스템의 인지적 타당성과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제안된 설계 원리는 기하 문제교수기 CyberTutor의 도형 입력 및 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 그리고 추론 규칙의 자동 생성을 통해 구현되었다. 그 결과는 기존 시스템에 비해 학습의 흥미와 효과가 배가된 기하 문제 교수기의 원형이라 할 수 있다. Since the early years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the research on geometry proving and learning has been active. For application to real education, however, the research needs to cover a few important issues. They are: the facilitation of learning problem solving including proving, active utilization of diagrams, the characteristics of geometry, the friendliness to human tutors, and the capability to take problems formulated by students as well as those from system's builtin database. This research responds to these requirements by proposing a design principle for a geometry tutor. Main concept is the separation of the structural information from the geometric information within geometry. Such a knowledge structure can not only maximize the user-friendliness by utilizing diagrams in an active way, but improve the system's cognitive validity and overall performance to a great extent by allowing the inference be based only on geometric information. In CyberTutor, these design principles have been realized by developing the diagram drawing and the learner interfaces, and the automatic generator of inference rules. The result is a prototype for a geometry problem tutor with motivations and effects of learning more improved than in previous systems.

      • 학습에 적용가능한 정역학 문제 해결기

        국형준(Kook Hyung Joon),강은영(Kang Eun Young)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1A

        본 연구는 정역학에서의 가시적 문제이해 및 해결체계를 제시한다. 주요한 방법론으로서 문제의 심층구조를 이해, 재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일련의 관념적 객체들과 이로부터 문제를 직접해결하는데 사용되는 일련의 해결모델(Solution Models)이라는 지식표현의 언어개념들을 도입하였다. 이같은 모델에 기반한 지식표현체계는 모델의 선택 및 완성을 위한 전략 규칙기반과 연계되어 그 적절성이 실험되었다. 본 시스템 문제해결 부문의 가장 중요한 특성을 시스템의 문제해결을 독립된 전문가 모듈집단에 의해 수행한다는 점이다. 영역, 도형, 대수분야의 각 전문가 모듈은 해당 분야 특성에 적합한 방식의 표현체계에 의해 설계 구현되어 각각 영역 공식원리 적용, 도형 생성, 대수식 해결에 기여한다. 문제해결의 과정 및 결과가 사용자에게 친숙한 형태로 전달되고 검증될 수 있는 현재의 모형은 향후 확장을 통하여 대화식 학습환경에의 적용을 가능케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