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년대 한미합동경제위원회의 운영과 역할

        이현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48 No.-

        The operation and roles of Combined Economic Board in 1950s’Lee, Hyun Jin 1950년대 한미합동경제위원회의 운영과 역할이현진

      • KCI등재

        스크래치 개별학습자 인터뷰를 통해 알아본 코딩교육에서의 융합적 접근 필요성 연구

        이현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6

        In the era when digital literacy is more urgently required than ever, and the programming education is settled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more integrated and systematic educational direction in children's coding education. As a basic research, limiting its scope to Scratch, which is being used extensively as a tool for children's coding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a case study interview focusing on individual Scratch learners to grasp their recognition and experience. Scratch is a block-based programming language that helps programming novices easily adapt coding concepts and develop coding thinking while creating multimedia projects such as game and animation. It does not directly reveal the learner's error, thus leads the learner to solve the problem by himself.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in individual learners' Scratch learning experience, based on one's tendency, aptitude, and background experience. Also the fact that graphic thinking and knowledge mobilized for game and animation production importantly work together along with coding thinking is found. Computational thinking consists of abstraction, problem solving, and procedural thinking. However, these abilities can be cultivated through graphic thinking too. Therefore, although the general tendency of enhancing computing thinking is focused on the coding thinking, if the integrated approaches can be developed in curriculum by combining with graphic thinking, the coding education will be more effective, helping young learners keep their personal interest and aptitude. Finally this study follows the educational philosophy by Resnick and Pappert, who created a programming language and tool such as Scratch and Logo, as they say coding education needs to orient "coding to learn" rather than "learning to code."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초중등 정규교육과정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이 자리 잡는 상황에서 어린이 코딩교육에서의 보다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방향성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본 연구는 어린이 코딩교육용 툴로써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스크래치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스크래치 개별 학습자들의 케이스 스터디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학습경험과 학습접근에서의 인식 및 태도를 파악하였다. 스크래치는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로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등 멀티미디어 프로젝트 제작 유도를 통해 입문자들이 코딩 개념에 쉽게 적응하고 관련된 사고력을 갖추도록 이끈다. 또한 코딩에서의 실수를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아 입문 문턱을 낮추며 학습자 스스로 반복해 문제해결을 시도하도록 이끈다. 인터뷰 결과, 스크래치 학습자들의 개인별 성향과 적성, 그리고 경험의 배경에 따라 스크래치에 대한 접근과 학습인식이 상당히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발견했다. 또한 게임과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하여 동원되는 시각적 사고 및 그래픽 사고와 지식이 코딩사고에 직간접적으로 서로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도 파악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컴퓨팅 사고력 증진이 코딩사고에 집중되어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나, 그래픽 사고를 더한 통합적이면서도 개별학습자에게 맞춤화된 접근을 통해 어린 학습자들의 성향과 적성에 따른 흥미와 관심을 지속시키며 더욱 효과적인 코딩학습 커리큘럼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모색은 스크래치와 로고와 같은 코딩 입문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든 레즈닉과 파퍼트의 교육철학, 즉 “코딩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배우기 위하여 코딩한다”는 접근을 함께 지향하며, 융합적 사고를 증진하는 관점에서의 커리큘럼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 KCI등재

        공동체 돌봄으로서 사회적 농업의 특성 : 완주와 제주의 사회적 농장 사례를 중심으로

        이현진,김흥주,김자경 한국농촌사회학회 2024 農村社會 Vol.34 No.1

        한국에서 사회적 농업은 정책적으로 빠르게 추진되고 법 제도가 정비되면서 양적으로 성장하였지만, 사회적 농업 실천 현장에서 느끼는 정체성의 혼란은 가중되고있다. 농업과 돌봄 활동이 한 공간에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농업의 정책과 제도화 경로의 과정에서 사회적 농업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사회적농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치를 공동체 돌봄의 논의를 통해 파악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적 농업의 정체성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개념인 공동체 돌봄에대해서 분석했다. 공동체 돌봄은 개인과 가족에게 지워진 돌봄을 국가와 시장에만의존하지 않고 지역에서 함께 대응하는 것이다. 공동체 돌봄의 특성으로 사회적 농업의 정체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적 농업은 당사자와 지역주민이 지역에서 더불어 살아가는(주체성) 일상 속에서, 서로 의지하면서 다양하게 상호지원할 수있는 연결망을 구축하고(연결성), 연결된 이들이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거나 느슨하지만,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농업 활동을 통해 교류하는(관계성), 사회 인프라로서 돌봄의 장(자산기반성)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공동체 돌봄의 특성을 4가지로 추출하여, 이 특성이 실제 사회적 농업을 실천하는 현장에서 어떻게 구체화하는지 완주와 제주의 사회적 농장 사례를 분석했다. 두 곳의 사례를 통해 공동체 돌봄의 특성이공통으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지역주민들이 핵심 주체로 등장하며, 농업과 비농업 분야와 다양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속적 관계를 통해 사회적 농장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고, 교량적 관계를 통해 참여자들의 삶의 변화를 가져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돌봄의 장소로서 농장은 지역 공동체의 소중한 자산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적 농업은 공동체 돌봄으로서가능성을 보이는 것은 확실하다. 물론 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사회적 농업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도 상당히 많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적 농업의 실천 현장에서느끼는 혼란을 해소하는 데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Korea, social agriculture has experienced rapid quantitative growth and institutionalization through policy initiatives and legal frameworks. However, there is increasing confusion regarding the identity of social agriculture in practical settings due to the convergence of agricultural and care activities within the same spa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social agriculture during the process of policy and institutionalization by understanding the direction and values it should pursue through discussions on community care. To achieve this, firstly, the concept of community care, which is crucial for constructing the identity of social agriculture, was analyzed. Community care involves collectively addressing care needs in the local community rather than solely relying on the state or market. Summarizing the identity of social agricultur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are, we can define it as follows: (Agency) Stakeholders and local residents living together in the community's everyday life. (Connectivity) Building interconnected networks enabling diverse mutual support, relying on each other. (Relationality) Fostering a strong sense of solidarity or, albeit loose, intimacy among connected individuals through agricultural activities. (Asset-based community care) Serving as a social infrastructure for care. Secondly, four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are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rough case studies of social farms in Wanju and Jeju to understand how these characteristics are embodied in the practice of social agriculture.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commonly manifested in both cases. Local residents emerge as central agents, forming diverse networks across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domains. Through enduring relationships, social farms ensure sustainability, while transitional relationships initiate changes in participants' lives. Moreover, as sites of care, farms emerge as valuable assets to the local community. It is evident that social agriculture holds potential as a form of community care. However, it's worth noting that there are significant challenges faced by social agriculture in practical settings, which were not extensively cover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albeit to some extent, to resolving the confusion experienced in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social agriculture.

      • KCI등재

        전방향 복사패턴의 이중대역 프린트형 모노폴안테나

        이현진,임영석 대한전자공학회 2003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0 No.11

        We are designed and fabricated the printed dual monopole antenna with CPW feeder for PCS and IMT2000 band. In this paper is proposed modified dual monopole antenna that is transform conventional monopole antenna to get dual band frequency. The dual monopole antennas had broad bandwidth and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s in construct with conventional monopole antenna. On a monopole operated a stub to other monopole antenna, we could obtain easy an impedance matching. It is increased band width of impedance. The antenna bandwidth is about 150MHz(1.74~1.89[GHz]) at 1stresonance frequency and 290MHz(1.95~2.24GHz) at 2nd resonance frequency on VSWR1.5, and then we can be got not only 1.75~1.87 [GHz] PCS band but also 1.92~2.17 [GHz]. 인쇄형 모노폴 구조를 이용하여 PCS와 IMT2000대역인 이중 주파수 대역의 프린트형 모노폴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이중대역을 얻기 위하여 기존의 단일 모노폴 구조를 수정한 이중 모노폴 구조를 재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기존의 모노폴 안테나와 동일한 무지향 복사 특성을 가지며 평면으로 구현되어 모노폴 안테나 보다 크기가 작고 높은 이득을 갖는다. 두개의 단일 모노폴은 상호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스터브로 작용하여 임피던스 매칭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대역폭의 증가를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안테나의 대역폭은 VSWR1.5를 기준하여 150MHz (1.74~1.89[GHz])와 290MHz(1.95~2.24[GHz])의 결과를 얻었다. 이는 PCS대역(1.75~1.87[GHz]) 과 IMT2000대역(1.92~2.17[GHz])을 충족시킬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개성 太平館의 역할과 위상

        이현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 규장각 Vol.62 No.-

        본고는 조선시대 개성에 설치한 태평관의 객관으로서의 역할과 위상을 시대별로 살펴서 변화하는 양상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조선이 건국된 후 고려의 정동행성을 수리하여 태평관이라 명호를 고치면서 개성의 객관으로 활용했다. 정동행성은 고려 말에 객관의 기능을 하고 있었으며, 이를 태평관이라 명명한 것은 원-고려의 관계를 부정하고 명-조선의 관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었다. 한양으로 천도하기 이전에는 개성의 태평관이 주요 객관으로 활용되었고, 천도한 이후에는 한양에 설치한 태평관이 그 기능을 대신했다. 이후 개성에 있는 태평관은 그 명칭을 바꾸지 않은 채 명 사신이 한양으로 오기 전 각 지역에 설치한 여러 객관들 중 하나로 기능했다. 개성의 태평관은 임진왜란으로 건물이 소실되어 다른 건물을 활용함으로써 위치가 바뀌기는 했으나 기능에는 변화가 없었다. 청 사신이 한양으로 올 때에도 명 사신과 같은 동선으로 이동해서였다. 이처럼 개성의 태평관은 조선시대 내내 명과 청 사신이 머무는 객관 중 하나였다. 그러다가 19세기 말 청 사신이 수로를 이용하여 인천으로 들어오면서 개성의 태평관은 지역의 객관으로서 더 이상 유용하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개성 태평관은 인삼전매국으로 바뀌었다.

      • KCI등재

        상담학과 학부생의 통일 미래 인식과 교육 요구에 대한 연구

        이현진,김명찬,안유진,이현준 한국질적탐구학회 2019 질적탐구 Vol.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counseling major undergraduates on the future of unification and their needs for education. By exploring the perception of counselling major undergraduates on of the future of unification, the study was aimed to review the needs for education as a future unification counselors. For this purpose, FGI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10 under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department in A and B city of Gyeongsangnam-do. FGI was conducted for 1 or 1 and a half hours with two semi-structured questions, and the results were drawn through data collection, transcription, key words finding, main contents categorization, and results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undergraduates in counseling department recognized that they need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unification and that associated education is necessary. Second, counseling education required for the future of unification include awareness boosting education for the future of unification, research on North Korean psychology, counseling techniques and practical education for North Korean people, training for dedicated counselors for North Korean people, and training for North Korean counselors. In order to realize these requirements, it would be necessary to educate and study counseling through regular courses and academic societies of counseling department and university,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build connection to other disciplin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necessary education through the recognition of undergraduates majoring counseling on the unification future and raised their interest in the unification future. It also provided basic data for the education of undergraduates in counseling to prepare for the unification future and to strengthen their roles as future genera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학과 학부생의 통일 미래에 대한 인식과 필요한 교육에 대한 요구를 탐색 하는 것이다. 상담학과 학부생의 통일 미래에 대한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통일 미래 상담자로서 필요한 교육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A, B시의 상담학과 학부생 10 명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FGI는 반구조화된 질문으로 2회에 걸쳐 1시간 ∼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 전사, 핵심 단어 찾기, 주요 내용 범주 화, 결과 해석 과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담학과 학부생은 통일 미래를 대 비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른 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일 미래를 대비한 상담학과 교육은 통일 미래에 대한 인식 교육, 북한 사람 심리에 대한 연구, 북한 사람을 위한 상담 기법 및 실무교육, 북한사람을 위한 전담상담자 양성교육, 북한인 상담자 양성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상담학과 대학 정규과정과 학회 를 통해 상담에 대한 교육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으며, 타 학문과의 연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는 상담학과 학부생의 통일 미래에 대한 인식을 통해 필요한 교육을 탐색함으로 써 학부생의 통일 미래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통일 미래를 대비해 나가야 할 중심세대이자 미래세대 인 학부생의 역할을 환기시키고 통일 미래를 대비한 상담학과 학부생의 교육에 기초 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도시가스 용 바이오 가스 정제 시스템 개발

        이현진,고상욱,이인동,정인희,고재욱 한국가스학회 2019 한국가스학회지 Vol.23 No.2

        Korea is natural gas importer which imports a lot quantities which 20% of the volume of US exports in 2018. Biogas which can satisfy gas demand and respond effectively to climate change, will be an alternative. However, only 20% of biogas production is sold, which is also not efficient and difficult to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develops an optimal purification system for supplying biogas as city gas. We develope an optimal system by analyzing biogas for system selection, finding cases for system design, developing scenario, and developing a cost - benefit tool. 우리나라는 천연가스 수입국으로 2018년 미국이 수출한 물량의 20%를 수입할 정도로 많은 양을 수입하고 있다. 이에 가스 수요를 만족시키며, 기후변화 대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는 대체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바이오가스의 생산량의 20%만이 판매되고 있고, 이 역시 효율이 좋지 못해 활용하기 어려운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가스를 도시가스로 공급 할 수 있는 최적의 정제 시스템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시스템 선정을 위한 바이오가스에 대한 분석, 시스템 설계를 위한 사례 발굴, 시나리오 구성, 비용편익 툴을 개발하고 사례 적용하여 최적의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Web UX Pattern System for Wordpress Service, and Design Suggestion for Wordpress Theme Filtering Service

        이현진 한국콘텐츠학회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3 No.1

        This study focused on realizing the UX pattern elements for Wordpress service, and applying the UX pattern approach to enhance UX consideration in Wordpress theme service. The Wordpress UX pattern system was developed based on web UX pattern analysis, and on characteristics of Wordpress components and theme filtering tags. The Wordpress UX pattern system was further analyzed in 22 popular Wordpress themes and 20 web UX scenarios, to evaluate its working by defining theme UX as a case study. The Wordpress theme filtering service GUI was designed based on the Wordpress UX pattern system as a design suggestion. Web technology is evolving rapidly, and web design has become a ready-made service with less user experience consideration, or design creativity. This study directs to keep track of UX value in an emerging web service paradigm.

      • KCI등재

        양측성 상지 활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현진,권혁철,장문영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3 재활치료과학 Vol.2 No.1

        목적 : 양측성 상지 활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구에 소재한 F병원의 연구 뇌졸중 환자 20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10명씩 나누 었다. 실험군은 양측성 상지 활동과 작업치료 중재를 각각 1일 30분씩, 대조군은 작업치료 중재만 1일 30분씩 6주 동안 받았다. 두 집단 모두 실험시작 전과 후에 FIM을 통한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였다. 결과 : 양측성 상지 활동 전․후의 일상생활활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항목별 변화는 자조활동, 이 동성, 보행, 사회적인지 영역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양측성 상지 활동(중재후-중재 전)과 작업치료 중재(중재후-중재전)에 의한 일상생활활동 항목별 변화를 비교해 보면 자조활동 영역 의 전 항목, 보행 영역의 계단 오르고 내리기 항목, 사회적인지 영역의 문제해결능력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양측성 상지 활동을 적용한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양측성 상지 활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인 회복을 위한 치료방법으로써 임상에 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양측성 상지 활동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