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University Identity system개발 및 구축을 중심으로 국내 대학의 시각적 아이덴티티(Visual Identity) 분석 -대학브랜딩 표현전략 중

        이현정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0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An Analysis of Korean Universities’ Visual Identity and their Branding Strategy in UIS (University Identity System) Development Lee, Hyung-Jung The importance of branding has been heightened during the past decade or so, thanks to the growing awareness of ‘marketing communication’. The need for effective brand identity applies across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cluding from SME (small to medium enterprises)s to large corporations, and expanding into CEO branding and recently spreading even to educational institutes, such as universities and colleges around the nation. There are growing number of universities that are adapting to an ‘identity revision’ as they find it is a viable marketing medium and an excellent brand building tool. Given the recent trends, it is time for us to look deeper into what ‘branding’ really means and what association it has with the university identity system. University Identity is a visual and a verbal expression of the foundation of the school. Identity supports, expresses, communicates, synthesizes, and visualizes the University. It helps to manage the perception of a school and differentiates it from its competitors (in this case, other Universities). The best brand identity system are memorable, authentic, meaningful, differentiated, sustainable, flexible, and add value. Every university is founded on their own vision and mission statements, that are clearly defined and articulated. Then, how about their signature visuals? Does it represent the underlying visions as stated? And how does the receiver (in this case, the students) perceive the signature? In our research, we analyze the visual strategy of the university identity system in Korea. The keyquestions focus on providing abetterunder standing of how the receivers perceive of the university identity. In our study,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one hundred university students chosen randomly from Seoul. 브랜딩(Branding)”이라는 단어는 쓰이지 않는 곳이 없다. 크고 작은 기업과제품은 물론이고 기업의 대표 한 사람에게도 당연시 브랜딩을 하는 시대이며, 일개 개인은 물론, 대학도 브랜딩의 시대에 동참한지 오래된 일이다. 기업이나, 제품 또는 상업적 목적을 갖고 있는 여타 브랜드의 이미지 관리방법과 같이, 브랜딩의 대상이 점점 넓어지고 있는 사회적 실정 속에서, 이미마케팅 시장에 뛰어 든 대학은 어떠한 방법으로 그들의 이미지를 새롭게 구축하고 개선하는가를 각 대학이 내세운 전략적 체계 중 시각적인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구 분석해 보도록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특히, 대학의 얼굴이라 할수 있는 University Identity System이 어떠한 디자인 형태를 뜨이고 있는지 분석하고 또한 이들이 대학의 이미지에 어떠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2000년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University Identity 변화의 배경과 그 의의를 살펴보기 위해, 국내 몇 개의 대학을 선정하고 그에 대한 수용자(학생)들의 태도의 변화를 설문을 통해 알아본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발병시기에 따른 청소년 약물남용의 특성

        이현정,홍성도,정유숙,박현주,최상섭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6

        연구목적: 최근 청소년 약물남용의 발병시기가 점차 하향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발병 시기에 따라 사춘기 이 전, 초기 사춘기, 중기 사춘기로 나누어 그 특성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약물남용으로 대전소년원에서 국립감호정신병원으로 치료 위탁된 97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약 물남용에 관해 제작된 설문지를 사용한 개인면담, 지능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등의 결과를 SPSS 9.0을 사용하 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 1) 대상군의 평균 연령은 16.4±1.2세였으며, 사춘기이전 발병군(PA)은 39명, 초기사춘기 발병군(EA)은 29명, 중기 사춘기 이후 발병군(MA)은 29명이었다. 2) 사춘기 이전 발병군(PA)과 초기 사춘기 발병군(EA)의 비교:사춘기 이전 발병군은 약물사용의 빈도가 더 높았고 알코올 사용장애의 가족력이 더 많게 보고되었으며 약물의존의 진단이 더 많았다. 3) 사춘기 이전 발병군(PA)과 중기 사춘기 이후 발병군(MA)의 비교:사춘기 이전 발병군은 더 빈번하게 약 물을 사용하였고, 여러 종류의 약물을 사용하였으며, 금단증상을 더 많이 경험하였고, 이차 약물로 이행되는 기 간이 더 짧았다.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더 많이 경험하였고, 전반적인 기능의 저하가 더 많았고, 약물의 의존의 진단이 더 많이 내려졌다. 또한 이들은 자주 술을 마셨고, 가스의 사용을 더 많이 하였으며, 알코올사용장애의 가족력을 보였다. 더 많은 정신과적 동반질환을 가지고 있었으며, MMPI상 K척도가 중기 사춘기 이후 발병군에 비해 높았으나, 다른 척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초기 사춘기 발병군(EA)과 중기 사춘기 이후 발병군(MA)의 비교:초기 사춘기 발병군은 약물사용의 빈 도가 더 높았다. 두번째 약물로 진행되기까지의 기간은 더 짧았고, 전반적인 기능의 손상은 더 빈번하게 나타났 다. 또한 대인관계 상의 어려움이 더 많이 보고되었으나 가족구조의 와해는 오히려 적게 나타났다. 약물의존의 진단은 많이 보였다. 5) 알코올과의 혼합사용 여부, 단약의 시도 경험유무, 최장 단약기간은 세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동학 대 과거력, 가족의 지지여부, 과거 가출의 횟수, 최장 가출기간, 지능도 세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사춘기 이전의 약물에의 노출은 심각한 약물사용장애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아 이 시기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약물예방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Objective:To determine whether the age of the first exposure to substances influences the characteristics of substance abuse. Method:Ninety seven adolescent boys in a substance abuse treatment facility were evaluated by using questionnaires, individual diagnostic interviews, and psychology tests. They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preadolescence group(PA), early adolescence group(EA), and middle adolescence group (MA) according to the age of the first exposure to substances,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9.0. Results:The average age was 16.4±1.2 years. There were 39 in PA, 29 in EA, and 29 in MA. In comparison to EA, PA showed higher frequency in substance use, substance dependence, and positive family history of alcohol abuse. In comparison to MA, PA had higher frequency in troubl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unctional impairment, dependence on substances, withdrawal symptoms, amount of alcohol and gas consumed, positive family history of alcohol abuse. presence of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and higher score in K-subscale of MMPI. PA also used more variety of substances more frequently, and had shorter duration before starting the second substance. In comparison to MA, EA showed higher frequency of substance use, functional impairment, troubl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agnoses of substance dependence, and shorter duration before starting the second substance. However, less EA were from disorganized families. Among the 3 group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combined use of alcohol, trial of abstinence, duration of abstinence, child abuse history, family support, intelligence, and frequency and duration of running away from home. Conclusion:Earlier exposure to substances may lead to more serious problems of drug abuse. Earlier drug prevention education for adolescent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후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대상의 또래관련 중재연구에 관한 특성 분석

        이현정,김은경 한국자폐학회 2011 자폐성 장애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findings of intervention studies on Peer-mediated intervention(PMI) studi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Fourteen studies that met pre-determined inclusion criteria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in terms of: (a) common character of studies, (b) method of training peers, (c) peers implement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ly targeted research subjects were school age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The research design which was prevalent was single-subject design. Each study including more than one dependent variable and the most common dependent variable was some form of social interaction; Peers were instructed by verbal explanation, discussion, role play or practice, on-going feedback and visual aids;. In all studies, more then two peer participated and more then ten minute intervention.; The reported outcomes were mostly positive, but the studies are limited because treatment fidelity was only rarely assesse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improved, generalized, and maintained. Based on the result, the implication for research on PMI for autistic people were discussed, and future study issues were recommended. 이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또래 관련 연구를 적용한 2000년 이후의 국내외 연구를 분석하여 또래 관련 중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포함 및 제외 준거에 따라 선정된 14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분석대상 연구 모두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적용하였다. 종속변인은 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향상을 중재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또래 훈련은 주로 설명, 토론, 역할놀이, 질문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다수의 논문에서 중재가 시작되기 전에 또래 훈련을 수행하였다. 모든 논문에서 2명이상의 또래가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또래 중재가 10분 이상 이루어 졌다. 연구자가 중재를 모니터링 한 논문은 11편이였고 연구자가 또래에게 강화를 제공한 연구는 8편, 피드백을 제공한 연구는 7편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