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Topical Mitomycin C, Cyclosporine, and Bevacizumab after Primary Pterygium Surgery

        황신영,최상경 대한안과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29 No.6

        Purpose: To compare the recurrence rates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instillation of topical mitomycin C, cyclosporine, and bevacizumab after primary pterygium surgery. Methods: Between July 2013 and June 2014, we performed surgery using the bare sclera method on 132 eyes (132 patients) with primary pterygium. We randomly selected 33 eyes (33 patients) and treated them with artificial tears four times a day for three months, 29 eyes (29 patients) were treated with topical 0.02% mitomycin C four times a day for five days, 34 eyes (34 patients) were treated with topical 0.05% cyclosporine four times a day for three months, and 36 eyes (36 patients) were treated with topical 2.5% bevacizumab four times a day for three months after surgery. We prospectively determined the recurrence rates of pterygium and complications at the six-month follow-up examination. Results: At six months after surgery, the recurrence rates in each group were as follows: 45.5% (15 eyes) in the control group, 10.3% (three eyes) in the mitomycin C group, 20.6% (seven eyes) in the cyclosporine group, and 41.7% (15 eyes) in the bevacizumab group (p = 0.004). No serious complications, except subconjunctival hemorrhages, were observed in any group. Conclusions: Groups receiving topical 0.02% mitomycin C and 0.05% cyclosporine after surgery showed lower recurrence rates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difference in recurrence rate was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receiving topical 2.5% bevacizumab after surgery.

      •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황신영,성지민,이의빈 한국장애인개발원 2023 장애인복지연구 Vol.14 No.1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는 자녀의 발달과 재활을 위해 일평생 지속적인 돌봄을 제공하고, 이러한 돌봄부담으로 여가생활을 비롯한 일상생활 전반에 자유롭지 못한 제약을 경험하기 쉽다. 본 연구는 Pearlin과 그의 동료들이 제시한 돌봄스트레스 과정모델(1990)을 기반으로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과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영향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삶 패널조사 3차년도(2020)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발달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사례 260개의 사례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으며,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은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B=.147, p<.01), 여가만족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B=-.134, p<.01). 더불어 여가만족은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과 우울을 매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존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과 우울 간 관계에서 소외되어 왔던 여가만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돌봄부담으로 인한 어려움을 완화하고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여가생활의 향유와 여가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 Hollow ZIF-8/PVC-g-POEM 복합막의 제조 및 기체투과 특성

        황신영,김진수,지원석,김종학 한국막학회 2015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5 No.05

        Solvothermal surface coating was employed to form hetero-nanostructures consisting of a polystyrene (PS) core and ZIF-8 shell. Upon selective removal of the PS core, hollow zeolite imidazole frameworks (H_ZIF-8) with a particle size of 700 nm and surface area of 1528.5 m²/g were generated. Synthesis was confirmed by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FE-S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 X-raydiffraction(XRD) and Brunauer-Emmett-Teller (BET) analysis. Free-standing mixed matrix membranes (MMMs) were prepared by dispersing H_ZIF-8 filler in poly(vinyl chloride)-g-poly(oxyethylene methacrylate) (PVC-g-POEM) graft copolymer matrix. PVC-g-POEM worked well as a robust matrix to homogeneously disperse H_ZIF-8 with good interfacial contact due to the microphase-separated, amphiphilic properties of the hydrophobic glassy PVC main chains and the hydrophilic rubbery POEM side chains. Secondary bonding interactions were responsible for the good interfacial properties of the MMMs, as confirmed by Fourier-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FE-SEM, and XRD analysis. MMMs exhibited significantly enhanced CO2permeabilityrelativetopure PVC-g-POEM membranes: an 8.9-fold increase in permeability from 70.0 to 623 Barrer (1 Barrer = 1 × 10–10cm³(STP)·cm/cm²·s·cmHg) with only a small decrease in CO2/CH4 selectivity from 13.7 to 11.2 at 35℃, as measured via the time-lag method.

      • KCI우수등재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어려움과 성장 경험에 대한 포토보이스 연구: 사회적 포함 관점을 중심으로

        황신영,성지민,여소담,김유정,조승희 한국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학 Vol.75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narrativ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bout their experiences and challenges regarding social inclusion in college life. Instead of viewing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passive adaptors to mainstream university society, we employed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ologies to enable them to capture their lived experiences through photovoice. Five group discussion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five colleg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narratives from these discussion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resulting in four themes and twelve subthemes: a) Challenges, walls, and barriers during college life, b) Things, places, and people I can rely on, and c) Transitions that I went through, d) The future ahead of us. This study revealed that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not only faced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social inclusion in universities but also experienced personal growth through solidarity, disability pride, and active engagement in disability rights advocacy. The study highlights implications for creating a disability-inclusive campus environment at both the practice and policy levels.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 당사자를 대학 주류사회에 수동적인 적응자로 바라보는 인식에서 벗어나 보다 능동적인 주체자로 인식하고, 이들이 대학생활 내 사회적 포함(Social inclusion)의 기회 및 어려움과 관련하여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당사자의 생생한 내러티브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지역사회기반 참여적 행동연구(Community-base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인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대학 학부과정에 재학 중인 5명의 신체적 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5회기의 그룹토의를 실시하였다. 그룹토의 내용은 브론과 클락(Braun and Clarke, 2006)이 제안한 6단계 주제 분석에 따라 분석되었으며,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 그룹이 직접 선정한 4가지 대주제(대학생활에서 마주한 어려움·벽·배리어, 내 대학생활의 버팀목, 나를 거쳐간 변화, 앞으로 나아갈 길)와 연구진이 식별한 12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장애대학생이 대학 내 사회적 포함 과정에서 어려움뿐만 아니라 연대와 장애수용, 적극적인 자기옹호 등의 성장을 경험한다는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포함 기회 확대를 위한 지원 서비스의 확대 및 전문인력의 질적 향상, 당사자의 교내 활동 참여를 위한 권익 증진 등의 실천적, 정책적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앞으로 장애대학생의 완전한 포함을 위한 장애포용적 대학사회 형성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교사피드백이 포함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황신영,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 science writing program, including teacher feedback, on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16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gram consisted of twenty-one 10-minute sessions on two chapters (Stimulus and Response,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from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textbook. The students completed a worksheet in the class. We selected themes from science writing that could cultivate multiple facets of creativity in students: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Additionally, the format of the science writing was diverse for the above-mentioned reason.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raditional, lecture-based classe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1 were given the same lecture-based classes followed by a science writing program. Experimental Group 2, after receiving the same treatment as Experimental Group 1 (a lecture-based class followed by a science writing program), were given additional feedback from the teacher.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was tested using the TTCT. The students were also interviewed after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ents' creativity test revealed that the science writing program wasn't effective with respect to the student's creativity development. The science writing program, which included the teacher's feedback, however, had a meaningful effect on a sub-unit of creativity, originality(p<.01). Students will receive feedback from the teacher tried to creative thinking. Since the students were unfamiliar with scientific writing, the writing was considered by them to be difficult. We therefore need to develop a science writing program to improve students' creativity, a program which considers period, themes of science writing, and types of feedback. Again to reflect feedback from the teacher to be able to modify the science writing. Students who do not write a good science writing should provide enough feedback.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에게 교사의 피드백이 포함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과학시간에『자극과 반응』,『식물의 구조와 기능』단원의 총 21차시 분량의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이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은 과학 수업의 매 차시 정리 단계 10분 동안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활동지를 통해 진행되었다. 과학글쓰기의 주제는 실생활과 관련되며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의 창의적 사고가 신장될 수 있는 과학내용을 선정하였으며, 과학글쓰기 유형을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수업 정리 단계에서 비교반은 수업 내용을 정리한 강의식 수업을, 실험반 1은 과학글쓰기 프로그램 수업을, 실험반 2는 교사의 피드백이 포함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창의성은 창의적 사고력 검사지(TTCT)로 측정하였고,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적용결과,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에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교사의 피드백이 포함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은 창의성의 하위 요소 중 독창성(p<.01)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학생들은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독창적인 사고를 하려고 노력하고 과학글쓰기를 더 열심히 하려고 하였다. 다만 교사의 피드백이 포함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하는데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학생들이 과학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은데다 짧은 시간동안 글을 완성해야 하므로 부담이 컸던 것이 이유로 생각된다. 따라서 과학글쓰기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적용 기간 및 과학글쓰기의 소재, 피드백의 유형 등을 고려하여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꾸준히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다시 과학글쓰기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과학글쓰기를 잘 쓰지 않는 학생에게도 충분한 피드백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의 비유 분석

        황신영,김연정,허명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2

        비유는 과학교육에서 추상적인 과학개념을 개념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생물교과서에 제시된 비유를 분석·검토하여 두 나라 교과서에 제시된 비유의 차이점을 찾아보고,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새로운 비유의 제시를 통해 교육의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7차교육과정 생물교과서 8종과 미국의 생물교과서 2종을 대상으로 두 나라의 공통된 단원을 추출하여 비유분석을 실시한 다음, Thiele 등 (1995)과 Venville & Tregust (1996)이 제시한 분류 기준으로 분류하여 해당 단원의 비유를 나라별, 단원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한국 과학교과서 생물 영역의 비유 사용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에 비해 비유의 사용 빈도 및 질적 수준이 낮아 비유의 양을 늘리고 수준 높은 비유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 생물교과서의 비유 사용이 특정 단원에 국한되어 있어, 다양한 단원에 대한 새로운 비유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 생물교과서는 출판사 별로 비유 사용빈도가 상이하여 비유 사용 빈도의 적절한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 한국의 생물교과서에 제시된 비유의 한계점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현 교과서 비유물의 질적 향상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주목해볼 수 있었다. 또한 특정 단원에만 편중된 비유물을 보다 다양한 단원에 사용하고, 단순비유보다는 정교한 비유를 제시함으로써 유의미한 수업의 도구로 비유물이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새롭게 제시된 비유물을 활용한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 효괴에 대한 후속연구도 요구된다. Analogies in biology education are often used as a tool to conceptualize abstract science concepts. This research examined the analogies presented in eight different Korean textbooks taken from the Seventh Biology Curriculum and two American biology textbooks. Firstly, this study collected and classified analogies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regions, chapters and publishers. The analog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ways of expression, degrees of abstraction, and the equivalence and role in the context. Secondly,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analogi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biology textbook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analogies by type in both Korean and American textbooks, structural, verbal, concrete-to-concrete, simple match and short-term memory types showed high frequencies. On the other hand, the American textbooks presented a higher level of frequency in the structural/functional, enriched/extended, and multiple memory analogies than the Korean textbooks. Also, motivational analogies were often found at the beginning of a chapter in the American textbooks. In the Korean textbooks, there were many repeated and overlapping analogies presented by various publishers; thus, the analogies were easily recognizable for the students. In order to use analogies effectively in the class,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and present elaborate and various analogies in textbooks.

      • KCI등재

        여성 외부 생식기와 요도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적합한 영상기법과 폐경 전후의 해부학적 변화 비교

        황신영,안경식,성득제,박범진,김민주,조성범,이남준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11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15 No.2

        목적 : 자기공명영상에서 여성 외부 생식기의 정상 해부학을 알아보고 폐경 전후의 변화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골반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총 19명의 폐경 전 여성과 18명의 폐경 후 여성을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독립적으로 T2 강조영상, 지방억제 조영증강 T1 강조영상에서 외부 생식기 해부학 구조물과 요도의 영상의 질을 점수화하여 비교하였다. 폐경 전후의 대상군에서 영상의 질과 외부 생식기 해부학 구조물과 요도의 두께 또는크기를 지방억제 조영증강 T1 강조영상에서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Wilcoxon signed ranks test와 Student t test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 여성 외부 생식기의 모든 구조물과 요도의 영상의 질에서 지방억제 조영증강 T1 강조영상이 T2 강조영상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p < 0.05). 폐경 전 대상군에 비해 폐경 후 대상군에서 질전정구, 음핵 그리고 소음순은 형태적인 명확성이 유의하게 떨어져 보였으나 질과 요도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요도는 폐경 전후 여성에서 모두 표적모양의 세 층으로 관찰되었다. 폐경 후 대상군에서 폐경 전 대상군에 비해 질벽의 두께와, 요도벽의 두께, 질전정구의 두께가 감소하였다 (p < 0.05). 결론 : 지방억제 조영증강 T1 강조영상에서 여성 외부 생식기 구조물들과 요도의 정상 해부학과폐경 전후의 변화를 가장 잘 관찰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