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 초급간부의 긍정심리자본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

        황보은,김완일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8

        본 연구는 군 초급간부의 긍정심리자본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육군과 공군 OO부대의 군 초급간부 169명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 정신적 웰빙 및 일과 삶의 균형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검증을 통해 일과 삶의 균형이 긍정심리자본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를 일과 삶의 균형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군 초급간부의 긍정심리자본과 일과 삶의 균형, 정신적 웰빙의 관계를 밝힌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군 초급간부들의 정신적 웰빙의 수준을 높여주기 위해서 긍정심리자본 수준을 높여줄 뿐 아니라 일과 생활의 균형이 적절할 수 있도록 상담적 개입을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life bal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mental well-being of military junior execu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ministered a sens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mental well-being scale and work-Life balance scale to 169 military junior executive in the army and the air force. And tested the mediating effect work-life balance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work-Life Balance mediated partially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mental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ork-Life Balance and mental well-being of military junior executiv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 the high mental well-being of military junior executive, not only does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need to be raised, but also the environment needs to be improved so that the work-life balance can be adequat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와 또래, 가족, 교사관계,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황보은,박춘성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2 Global Creative Leader Vol.12 No.3

        Based on Bronfenbrenner's ec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promotes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problems of school-age children and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n attachment was set as a study variable, constructing three structural models, and then comparatively analyzed each model. The 11th public response data (2021.2.2) conducted by the Korean Children's Panel was used, and the data of 707 people were analyzed. As a result, Comparative Model 1: assumes the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of school-age children as an independent variable; Comparative Model 2: assumes time with famil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omparative Model 3: assumes the interaction of the two as an independent variable, where It had the same value and showed a significant pat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sidered all three situations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counseling intervention or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who have difficulties in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to have enough time with their family and to bring positive results to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eers and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program. 본 연구는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학령기 아동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와 교육프로그램 만족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체계이론에 따라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 교사-아동 관계, 또래애착을 연구 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세 가지 구조모형을 구성하여 각 모형을 비교분석하였다. 한국아동패널에서 실시한 11차 응답 공개 자료(2021.2.2)를 활용하였 으며 707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령기 아동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를 독립변인으로 가정한 비교모형 1과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을 독립변인으로 가정한 비교모형 2와 이 둘의 상호 작용을 독립변인으로 가정한 비교모형 3은 동일한 값을 가지며 유의미한 경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상황을 모두 고려하여 동시에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 충분하며 교사 및 또래 관계와 교육프로그램 만족도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하여 외현화 및 내재화 어려움을 겪는 아동에게 상담적 개입 또는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정부의 고등교육 재정정책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황보은 한국교정복지학회 2010 교정복지연구 Vol.- No.18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제도(ICL: Income Contingent Loan) 는 학자금 대출을 원하는 모든 대학생에게 대학등록금 실소요액 전액을 대출(1인당 한도 없음)해주고 소득이 발생한 시점부터 원리금을 분할하여 상환하는 제도 (국세청 징수)이다. 소득은 취업에 따른 근로소득, 자영업소득, 상속 등에 의한 자산소득 등을 포괄하며, 대출을 받은 후 거치기간 중 이자는 부담하지 않다가 상환 시작시점에 원금에 가산하여 상환하되, “이자의 이자”는 부담하지 않는 방식이다. 위 제도의 시행이 2010년부터 시행되었다. 아직 여기에 대한 평가가 나오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여기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정부의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한 합리적인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ICL제도의 성립배경과 내용 그리고 경과와 정부의 합리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하여 본다.

      • KCI등재

        일반학교에서의 특수교육 교원 평가 방향 탐색

        황보은(Bo-Eun Hwa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5

        장애학생을 일반학급에 편입시켜 교육하는 통합교육의 활성화로 특수학교보다 일반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육 교원의 수가 지난 10여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함께 인사제도로서 교원능력 개발을 위해 실시하는 교원 평가제도가 최근 교원승진 및 교원성과상여금제도와 연계되어 일반학교에서 근무하는 소수의 특수교육 교원들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이 지속되어왔다. 이러한 비판이 지속되는 원인과 관련 쟁점을 정리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현행 교원능력개발 평가 제도를 검토 및 분석하였다. 둘째, 특수교육 교원능력 개발 평가제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쟁점을 분석하였다. 셋째, 일반학교에서 특수교육 교원능력 개발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교원에 대한 인사행정, 전문성 신장, 사기 진작을 위한 인사 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교육 현장에서 중복 또는 오용됨으로써 국가 차원의 새로운 정책 도입의 효율성을 감소 또는 왜곡시키지 않고, 궁극적으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모두에게 바람직한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는 특수교육 교원의 능력을 개발하도록 돕는 특수교육 교원 평가 개선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summarizes causes and relevant issues on such criticisms, and suggests possible solutions to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For the past 10 years, the number of teachers for special education working in general schools has been on the constant rise under the expanded inclusive education which has handicapped children transfer to general class. With this tendency, the current teacher assessment system for educational resource development has faced criticisms since, relating to promotion and merit-based incentive payment, current system without proper modification is inappropriate fo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in general school. While analyzing the related issue points and the caus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lternatives and solutions for them. For this purpose; first, current teacher resource development assessment system is to be reviewed and analyzed here; second, researche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 resource development assessment are to be reviewed and relating issues analyzed; third, alternative approache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 resource development in general school are suggested. Current teacher resource policies, deviated from the original purpose of improving professionalism and supporting the work morale, have overlapped and been misguided in education field, and the efficiency of introducing new policy on national level has lessened or been compromi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lternative policy direction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sessment and education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ich helps develop teachers" capability of teaching both handicapped and general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