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ovel Engineering을 적용한 SW융합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홍지연,Hong, Ji-Ye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2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ims to cultivate a 'creative fusion talent' capable of creating new knowledge and fusing various knowledge to create new value. Therefore, it is strengthening reading education to raise humanistic imagination and software education to promote scientific creativity. In addition, we have created [Safe Living] textbooks based on experiential activities as a way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that is becoming a social issue. And we use it to conduct safety education at creative activity time. Novel Engineering believes that it can develop thinking skills in the process of reading books and finding and solving problems in life in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develop software education programs for safety education that are applied with Novel Engineering and apply them to actual classes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safety education.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고,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자 인문학적 상상력을 키우는 독서교육, 그리고 과학적 창의성을 키우는 소프트웨어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안전교육 강화 방안으로 체험활동 중심의 [안전한 생활] 교과를 신설하며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Novel Engineering은 책을 읽고, 그 속에 있는 생활 속 문제를 찾아 해결해 가는 과정 속에서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ovel Engineering을 적용한 안전교육용 소프트웨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안전교육에 도움이 되는지 교육적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초등학생의 비구조화된 문제 해결 과정에 나타난 수학적 추상화 연구

        홍지연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 학술지 Vol.201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들이 비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수학적 추상화 과정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수학적 추상화 수준과 형태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주어진 비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하면서 모둠별로 다양한 양상으로 지각적 추상화를 통한 수학적 구조 인식, 내재화를 통한 수학적 구조 적용, 내면화를 통한 새로운 수학적 구조 구성의 수학적 추상화 수준과 형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학생들은 비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문제 이해하기-해 구하기-적용하기)에서 수학적 구조의 필요 인식, 수학적 구조의 활용, 수학적 구조의 일반화의 흐름으로 수학적 추상화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 자연성 기흉으로 인한 대량의 혈흉

        홍지연,김수완,Hong, Ji Yeon,Kim, Su Wan 제주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20 The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Vol.17 No.1

        Spontaneous hemopneumothorax is a rare disease, and it can cause life threatening con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accumulation of more than 400 mL of blood and air in the pleural cavity without any other apparent causes. A previously healthy 22-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acute chest pain and dyspnea. Chest X-ray and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massive hemopneumothorax in the left hemithorax. The images showed a completely collapsed left lung with right-sided tracheal deviation, several pleural adhesion bands, and fluid collection with air-fluid level. We emergently performed a closed thoracostomy, and then 560 mL of fresh bloods were initially drained. We considered an emergent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for pulmonary wedge resection and bleeding control because of the massive hemothorax. However, the patient's vital signs were stabilized after blood transfusion and supportive cares for re-expansion pulmonary edema. The patient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on 11<sup>th</sup> in-hospital day after removal of the chest tube, and there had not been any recurrence of the pneumothorax for 10 months. We suggest that treatment strategy should be decided upon individually based on the patient's condition and clinical course of the disease.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회피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홍지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0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회피 및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30-40대의 여자환자들로 초기 8명으로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으나 퇴원과 증상의 악화로 3명이 불참하게 되어 총 5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2006년 2월부터 8월까지 주 1회 60분을 기준으로 2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검사와 사회적 회피 및 불안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이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집단미술치료 과정에 대해서는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적 회피 및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당뇨병을 가진 임부의 자가 간호와 자기효능감에 대한 출산 전후 비교

        홍지연,이미준,김성신,이자연,Hong, Ji-Yeon,Lee, Mi-Joon,Kim, Seong-Shin,Lee, Ja-Yeon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는 당뇨병을 가진 24주 이상의 임부를 대상으로 출산 전과 후의 자가 간호와 자기효능감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4주 이상의 임부 40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24일부터 2020년 5월 23일까지 2년에 걸쳐 출산 전과 출산 후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나이는 35세 미만이 27명(67.5%), 35세 이상이 13명(32.5%)이었다. 자가 간호와 자기효능감 점수는 산전에 비해 산후가 낮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000). 따라서 출산 후에 자가 간호와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self-care and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childbirth in pregnant women with diabetes mellitus. Data were collected from 24 May 2018 to 23 May 2020 for 40 pregnant women over the 24th week of pregnan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atched paired t-test using the SPSS 27.0 software program. 27 subjects (67.5%) were under the age of 35, and 13 subjects (32.5%) were over the age of 35. Self-care and self-effectiveness scores were lower in postpartum than in prenatal,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self-care and self-efficacy after childbirth.

      • KCI등재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딜레마

        홍지연,엄정애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교육에서 꾸준히 논의되어왔던 사회화와 개별화라는 긴장하는 두 가지 교육목적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딜레마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4일부터 2018년 10월 23일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해 크게 가치론적, 방법론적, 구조적 차원에서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었다. 가치론적 딜레마는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딜레마로 상충하는 두 개의 가치로 인해 교육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이다. 방법론적 딜레마는 설정한 교육의 방향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방법 차원의 딜레마로, 사회적 규범을 지도하되 낙오와 낙인, 배제를 야기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 혹은 자율성을 존중하되 교육의 목표를 달성해야하는 경우이다. 구조적 딜레마는 방향성과 방법을 명확히 설정하고 있음에도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딜레마를 경험하는 경우로 교사 대 유아 비율, 행정업무, 가정과의 상반된 철학 등으로 인해 제약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치의 상대성 차원에서 교사의 딜레마를 공론화하여 교육의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실증주의적 시각에서 탈피해 이 같은 교사들의 딜레마에 대한 논의를 보다 확장해나갈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dilemmas about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the topics of tension repeatedly discussed had been continuously appeared in discussion of in education. For this study, 10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and had in depth interview, from September 4, 2018 to October 23, 2018 as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eachers' dilemma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axiological dilemmas, methodological dilemmas, and structural dilemmas. Axiological dilemmas means the dilemmas that had to do with the instructions or educational purposes. Methodological dilemmas were related to achieving educational purposes. Structural dilemmas were the dilemmas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what the teachers had in min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use the discussion of these issues as educational opportunity in terms of the relativity of value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discussion on these issues, moving away from the view of positivism.

      • KCI등재

        한국 성인 남녀의 폭음 예측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

        홍지연,박진아,Hong, Ji-Yeon,Park, Jin-Ah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9

        본 연구는 제7기 3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폭음을 예측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 특성, 음주 특성을 이용하였으며, 복합표본설계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연령(남:p=.003, 여:p<.001), 1년간 음주빈도(남:p<.001, 여:p<.001), 한번에 마시는 음주량(남:p<.001, 여:p<.001), 가족/의사의 절주권고 여부(남:p<.001, 여:p<.001), 스트레스(남:p=.025, 여:p<.001), 흡연(남:p<.001, 여:p<.001)은 남녀 모두에서 폭음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남자는 교육수준(p=.030)과 경제활동 상태(p=.018), 여자는 소득수준(p<.001)과 결혼상태(p=.020)가 폭음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변수들은 성인 남녀의 폭음을 각각 72.4%(p < .001), 74.5%(p < .001)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폭음 위험요인이 남녀별로 다르다는 것을 규명하여 성별로 특화된 폭음예방 정책 마련과 음주문화 재조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predicting binge drinking in men and women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7th year 3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study data used the 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drinking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nd were analyzed by cross-sampl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age (M:p=.003, F:p<.001), drinking frequency for one year (M:p<.001, F:p<.001), amount of alcohol consumed at a time (M:p<.001) 001, F:p<.001), family/doctor's recommendation for moderation (M:p<.001, F:p<.001), stress (M:p=.025, F:p<.001), Smoking (M:p<.001, F:p<.001) were predictors for binge drinking in both men and women. In addition, education level(p=.030) and economic activity status(p=.018) for men, income level(p<.001) and marital status(p=.020) for women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of binge drinking, and variables explained 72.4%(p < .001) and 74.5%(p < .001) of adult male and female binge drink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a gender-specific binge drinking prevention policy and the restructuring of drinking culture by clarifying that the risk factors of binge drinking in Korean adults differ by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